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후각측정방법의 국내 적용 연구

        김영진,한진석,김성태,장현섭 한국도시환경학회 2020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0 No.1

        Odor is sensory pollution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in living environments, causing displeasure people’s daily lives. In order to manage such odors, the government should first clearly identify the odor phenomenon around the sources. In Korea, a method is applied to collect air from a site and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ilution and 'designated offensive odor substances'. Germany and the U.S. are managing odors by a mixed standard of frequency and concentration, rather than by regulating them with their measurement concentr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frequency of odors in the field, and in Germany, a grid is formed at a certain interval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odors occurring, and a grid method is us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odors during the total visit by a olfactometry panels based on statistical rules for a period of six months or one yea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through a study on how to investigate odour by applying the German grid method to domestic environmental base facilities. First, it was able to reflect seasonal effects, time changes, and types of odors. Thus, i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ause of the odor, the affected areas and countermeasures. Second, the domestic version from the German grid method allows for Investigation of odor conditions. Third, recording the type and intensity of odors when measuring field odor helps analyze the more obvious effects when selecting the cause site. Fourth, nevertheless,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in applying field odor in Korea, but difficulties in using the IoT technology can be improved. 악취는 생활환경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감각공해로써, 생활환경 내에서 불쾌감등을 유발한다. 이와같은 악취를 관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악취발생원 주변의 악취현황을 명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국내에서는 현장의 공기를 포집하여희석배수 및 지정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최근 독일 및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국내에서의 방법과 같이 단일 농도값을 기준으로 악취영향을 규제하기 보다는 악취가 발생하는 빈도와 농도의 복합적인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약한 악취의 발생에 대해서는 어느정도의 인정수준을 포함하고 있으나, 최소의 악취불쾌감이라도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악취의 발생빈도를 측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독일에서는 이와 같은 악취발생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악취발생지역을 일정간격으로 격자망을 구성하여 6개월 또는 1년동안 기간을 정하여 통계적 규칙에 기반하여 악취판정사가 현장에 방문하고, 직접 악취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기록한 후 총 방문기간동안의 악취빈도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는 방법인 격자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식 격자법을 이용하여 국내형으로 변형하여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 국내에서의 격자법에 의한 악취실태를 조사하는방법에 대해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 번째, 계절적인 영향과 시간적인 변화, 냄새의 종류등을 반영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악취의 원인과 영향지역, 대응방안 등을 수립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두 번째, 독일식에서 축소된 국내형으로도 악취현황파악에 적용이 가능하다. 세 번째, 현장악취 측정시 현장악취 측정시 냄새의 종류와 강도를 기입하여, 원인 사업장의 냄새를 선별하는 경우 좀더 명확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네 번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악취에 대한 국내에서 적용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나, IoT기술을 접목하여 활용시 어려움이 개선될 수 있다.

      • KCI등재

        세계문화유산 양동마을에서의 과학 학습:

        김미경(Kim Mi kyoung),신동희(Shin D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인 양동마을을 활용한 과학 현장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탐구 활동의 도구로서 스마트 기기와 측정 도구가 학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양동마을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현장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양동마을 현장을 직접 방문하면서 사전 학습, 현장 체험 학습, 사후 학습으로 구성된 양동마을 과학 현장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서울 지역 한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과학 교실에 다니는 18명의 중학교 1·2학년 학생들에게 개발된 체험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했다. 모든 수업 과정과 면담 과정을 녹화했으며, 사전·사후 조사지, 면담 전 조사지, 학생들의 활동지, 발표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모둠은 자동 측정이 되는 스마트 기기 때문에 측정 활동이 약화된 과학 학습을 경험했다. 문화 유산은 자신이 배운 내용을 직접 확인하고 정서적 학습을 경험하는 공간이었다.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모둠은 문화 유산이 강조된 과학 학습을 경험했다. 이에 학생들은 양동마을의 자연 환경보다는 사회·문화적 내용을 중심으로 지식을 형성했고, 양동마을에 대한 자신만의 장소감을 가졌다. 측정 도구를 사용한 모둠은 기온, 풍향과 풍속 등 자연 환경요소를 반복적으로 측정하면서 측정 활동이 강조된 과학 학습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측정 결과를 자기화했고, 새롭게 형성된 지식에서 양동마을의 자연 환경이 중심 내용이었다. 학생들은 양동마을을 종합적으로 이해했다. 측정 도구를 사용한 모둠은 문화 유산인 양동마을에서 과학 활동 위주의 과학을 학습했다. 학생들은 문화 유산 현장을 다양한 감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 인식했고, 양동마을의 문화 경험에서 부족함을 느꼈다. 추후 문화 유산에서 이루어지는 스마트 기기 활용 과학 교육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in science using Yangdong Village which is a world cultural heritage and to confirm its educational effect. We analyzed the effects of smart devices and measurement tools on learning process as a tool of inquiry activities. We developed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of Yangdong village which consists of pre-study, on-site experience learning, and post-learning by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nd visiting the Yangdong Village several times. We applied the program to 18 middle schoolers in a science classroom hosted by a university in Seoul. We recorded all classes and interviews, and collected and analyzed pre- and post-surveys, pre-interview surveys, student activities, and presentations. The team using the smart device experienced a science lesson in which the measurement activity was weakened by the smart device that was being measured automatically. Cultural heritage was a place to directly learn what they learned and experience emotional learning. It was a place to directly learn what they learned and experienced emotional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the team experienced science learning that emphasized cultural heritage. The students built knowledge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contents rather than natural environment of Yangdong Village, and had their own sense of place in Yangdong Village. Using the measurement tools, the team experienced science learning where measurement activities were emphasized by repeatedly measuring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 this process, the students self-measured the results, and in the newly built knowledge, the natural environment of Yangdong Village was the central contents. Students ma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Yangdong Village. Using the measurement tools, the team experienced science-oriented learning at Yangdong Village, a cultural heritage site. The students recognized the cultural heritage site as an educational space where they could experience various senses, and felt the lack of culture experience in Yangdong Village.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science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in the cultural heritage site in the future.

      • KCI등재

        현장직독식 방법과 공정시험기준에 의한 학교 교실 내 공기질 측정결과 비교

        서동천,최경축,긴준표 한국도시환경학회 2022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2 No.3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on-site direct-reading method (OSDR)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in school, we evaluated PM10, PM2.5, carbon dioxide, and formaldehyde in three classrooms using two OSDR equipments and Korean standard method for indoor air quality test (SM), and compared the results. Fo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imilar results to SM could be obtained with OSDR.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s and formaldehyde determined by an OSDR equip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SM.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some OSDR only for routinely check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school, and measurement by SM is required for regular inspection 학교 실내공기질 측정에 적용되고 있는 현장직독식 방법과 공정시험기준을 적용하여 실제 학교 3개 교실에서 PM10, PM2.5, 이산화탄소 , 폼알데하이드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이산화탄소의 경우 두 방법에 의한 측정결과가 유사 하였으나 미세먼지와 폼알데하이드에서는 현장직독식 방법의 결과가 공정시험기준에 따른 결과와 차이를 나타내었다 . 따라서 현장직독식 측정은 학교에서 자체 수행하는 주기적인 환경관리에 활용하고 ,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법적 기준 충족 여부에 대해서는 공정시험기준에 따른 측정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 KCI우수등재

        공기열원 히트펌프의 냉방 에너지성능 현장측정방법에 관한 시험적 연구

        손진웅,홍준호,엄태윤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pplicability of the in-situ measurement method of an air source heat pump as part of the energy diagnosis of existing buildings. For this purpose, the air enthalpy difference method for outdoor equipment in an air-source heat pump system was focused on. Two pilot projects were attempted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air enthalpy difference method in the cooling performance diagnosis of the air source heat pump operated in the field. The field test results confirmed that the compressor set energy conservation (CSEC) method required more expertise in the cooling performance measurement of an air source heat pump and was suitable for short-term investigation within a day.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air-source heat pump by the air enthalpy difference method in the outdoor unit had a mean error of 10% compared to the CSEC method. Nevertheless, it showed that this method was more suitable for the simplified in-situ measurement method because it had the advantages of ease of measurement and the simple analysis processing method required for in-situ energy performance diagnosi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진단의 일환으로 공기열 히트펌프의 현장 측정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열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실외기 공기 엔탈피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두 가지 현장시험을 통해 현장에서 운용되는 공기열 히트펌프의 냉각 성능 진단에서 공기 엔탈피법의 정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장시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1) CSEC(Compressor Set Energy Conservation) 방법은 공기열 히트펌프의 냉각성능 측정에 보다 전문지식이 필요하며, 1일 이내에 단기조사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2) 공기엔탈피법에 의한 공기열 히트펌프의 냉각성능은 CSEC 방법에 비해 평균 오차가 10%로 나타났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은 측정이 용이하다는 장점과 현장 에너지 성능 진단에 필요한 간단한 분석 처리 방법을 가지고 있어 단순화된 현장 측정 방법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반 양질 토양 및 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에서 현장 투수측정기를 이용한 투수속도와 정수위 포화투수계수 비교

        김경남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2

        This research was initiated to compare water permeability rate measured by both on-site infiltrometer and constant-head permeameter under anysoil (loamy sand soil) and California systems and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pplicable to turfgras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water infiltration rate with soil system, season and method. Overall water permeability rate measured by on-site infiltrometer was 397.15 mm h-1 in California system and 1.13 mm h-1 in anysoil system, being 396.02 mm h-1 in differences. This rate was 350 times higher in California system over anysoil system. Regardless of season, California system showed rapid infiltration rate from 195 to 1,398 times higher than anysoil system. Data from constant-head permeameter indicated that overall average values of saturated infiltration rate were 414.77 and 122.80 mm h-1 for California system and anysoil systems, respectively, which were 291.97 mm h-1 in differences between two soil systems. This data means 2.37 times faster in California system over anysoil system. From this study, water permeability rate greatly varied with soil system and methods. Specially, the rate measured by on-site infiltrometer was 108 times lower under anysoil system of loamy soil when compared with that by constant head method. Use of on-site infiltrometer is not recommended for anysoil system. Considering soil aeration and drainage capacity, a sand-based system was better for turfgrass quality than loamy soil. Accordingly, it should be improved by mixing sand to increase macropore content in rootzone layer under anysoil system of loamy soil. Information on seasonal water permeability rate and saturated infiltration rate under both soil systems practically useful for turfgras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본 연구는 일반 토양의 기존토 지반과 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에 조성한 잔디밭에서 현장 투수속도기를 이용한 투수속도와 정수위 투수시험기를 이용한 포화투수계수를 비교해서 지반 및 측정방법에 따라 투수성능 차이를 파악해서 잔디식재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일반 기존토 지반 및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현장 투수속도 및 포화투수계수를 분석결과 지반, 계절 및 측정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현장 투수측정기로 조사한 연중 전체 평균 투수속도는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이 397.15 mm h-1, 기존토 지반이 1.13 mm h-1로 지반간 차이가 396.02 mm h-1로 나타나서, 캘리포니아 지반의 투수속도가 일반 토양에 비해 350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별 현장 투수속도도 캘리포니아 모래지반이 195-1398배 더 빠르게 나타났다. 전체 평균 포화투수계수는는 캘리포니아 지반 및 기존토 지반에서 각각 414.77, 122.80 mm h-1로 지반간 차이가 291.97 mm h-1로 캘리포니아 지반이 2.37배 정도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재층 지반 유형과 측정방법에 따라 투수성능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기존토 지반의 경우 측정 방법에 따라 투수속도 차이가 108배 정도 나타나서 현장 투수속도기를 일반 토양에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잔디밭에서 통기성 및 배수성능을 고려 시 일반 양토의 기존토 지반에 비해 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기존토 지반은 잔디밭 시공 및 관리 시 모래 혼합을 통해서 식재층의 대공극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험을 통해 밝혀진 지반에 따른 계절별 투수속도와 포화투수계수 데이터는 잔디밭 설계, 시공 및 관리에 실무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동주택 중량바닥충격음의 차단성능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신훈,국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측정한 중량바닥충격음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현황을 분석하였다. 슬래브 두께 180mm 바닥구조 29개, 슬래브 두께 210mm 바닥구조 34개의 현장 측정자료 63개를 이용하여 현행 중량바닥충격음의 평가방법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량충격음 차단성능에 대한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 슬래브 두께 210mm의 바닥구조는 슬래브 두께 180mm의 바닥구조 보다 125Hz 이상의 중음역에서 보다 급격히 감쇠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2) 대상구조별 단일수치평가량 현황분석 결과 슬래브 두께 180mm의 경우 최소 기준치 50dB를 만족하는 비율이 약 27.5%에 불과하였고, 슬래브 두께 210mm의 경우에는 약 65%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역 A특성 단일수치 평가량의 결정주파수 대역의 기여정도는 63Hz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슬래브 두께 210mm에서는 63Hz의 기여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현장 측정과 CFD 해석을 통한 해운대 미포지역 공간적 빌딩풍 위험도 분석 연구

        김종영,권용주,최주원,강병국,권순철 한국측량학회 2023 한국측량학회지 Vol.41 No.5

        한국에서 가장 고층빌딩이 많이 밀집된 부산 해운대 지역에서는 빌딩풍에 의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운대 미포 지역에서의 빌딩풍 현장 측정과 CFD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공간적인 빌딩풍 영향을 분석하고 CFD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해양관측 부이와의 풍속비 분석에서는 수목이 식재되어 있는 현장 관측지점 L4와 셋백 구조물이 있는 L5 지점은 낮은 풍속이 관측되었으며 L1, L2, L3 지점에서는 최고 풍속비가 2 이상이었다. CFD 해석에서는 초고층건물 건물 주변에서 벤츄리 효과에 의해 풍속이 증가하고, 박리류와 하강풍이 형성되어 건물의 측면부에서 풍속이 크게 증가하였다. 현장 관측과 CFD 해석의 풍속비 비교 결과, 여러 풍향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자세한 공간 모델과 수치 표고 모델을 구현하지 못해 큰 오차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행자 수준의 풍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이러한 난류모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CFD 해석의 정확성을 높여 도시 설계 계획, 고층건축물 설계 등 CFD 해석의 적용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In Haeundae, Busan, where the density of high-rise buildings is high in Korea, damages caused by skyscraper winds are continuously occurring. In this study, the skyscraper winds field measurement and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were conducted in Haeundae Mipo area to analyze the spatial effect of skyscraper wind and verify the applicability of CFD. In the analysis of the wind speed ratio with the ocean observation buoy, low wind speed was observed at field measurement points L4 with trees and L5 with set-back structure while the highest wind speed ratio more than 2 at L1, L2, L3. In the CFD analysis, the wind speed increased due to the venturi effect around the buildings, and separated and downward flows were formed,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wind speed at the side of the build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wind speed ratio between field measurement and CFD analysis, results were similar in various wind directions, but absence of the detailed spatial and numerical elevation models led to major error. It is thought that the applicability of CFD analysis to urban design planning and high-rise building design will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CFD analysis through further study on turbulence models to investigate the wind environment at the level of pedestrians.

      • Development of Measurement Equipment of Membrane Stress Using White Noise Sound Wave

        Jin, Sang-Wook,Ohmori, Hiroshi,Kim, Jae-Yeol 한국공간구조학회 2008 한국공간구조논문집 Vol.8 No.2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s in keeping membrane structures in healthy condition is to maintain the proper tension distribution over the membrane. However, it is not easy to know the real stress level in the membrane quantitatively after completion of the structures. Authors suggested measurement method that can measure membrane stress using sound wave, and have been holding experimental tests of membrane stress measurement that used the sound external excitation with sine wave and white noise. The concept of the method is the fact that measurement of resonance frequency by vibrating membrane having rectangular boundary by audible frequency can measure membrane stress indirectly. In this paper, through the experimental tests it is proved that the equipment can be used for not only the membrane material of type A but also for types B and C. In addition, it is proved that the developed measurement equipment is available to stably measure the membrane stress which exists in the membrane material of the actual membrane structures. 휨이나 압축에 저항할 수 없는 막재료에 적절한 장력을 도입함으로써 안정화 되는 막구조물은, 유지 관리면에 있어서 막면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을 설계대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준공후 막면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저자들은, 직방형의 경계를 가지는 막을 가청역의 음파를 이용해 진동시키고, 진동하는 막의 공진진동수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막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막을 진동시키는 음파로서 정현파와 화이트 노이즈를 이용해 검증실험을 해 왔다. 본 논문은 주요 막재료를 이용해 행한 막장력 측정 이론의 검증을 위한 실험 결과와, 실재하는 막구조물의 장력측정을 통해, 본 측정장치의 정확성과 폭 넓은 적용성 및 측정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검증한다.

      • KCI등재

        현장측정을 통한 실생활에 따른 미세먼지 비교분석 - 춘계,하계 기간을 중심으로 -

        안태경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fine dust depending actural life with field measurement. The result of measuring development of fine dust according to behavior obtained by studying types coping with fine dust through a survey is as follows. 1) The result obtained through a survey is as follows. (1) When looking into the number of ventilation indoor a day among subjects, it was revealed that 3 to 4 times accounts for the greatest part (47%). (2) When looking into behavior that subjects show in the event of yellow dust from outside and fine dust, it was revealed that closing windows accounts for the greatest part (81%). (3) When looking into ways in which subjects use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it was revealed that natural ventilation accounted for the greatest part (50%), followed by air cleaner (30%). 2) The result obtained by measuring according to behavior indoor is as follows. (1) It was revealed that when people open windows during spring and summer, they are more likely to be directly affected by fine dust from outside. (2) Average fine dust for two hours before cooking was 2(㎍/m3) but average fine dust for two hours after cooking was 64(㎍/m3).(3) It was revealed that operating air cleaner is effective in lowering concentration of fine dust. (4) It was revealed that wind caused by operation of air conditioner affects a change in fine dust temporaril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