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장소성에 대한 시학적(詩學的) 탐구

        엄경희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As not only the dwelling place and original space common to the mankind but also the first vast place being unable to be ranked and divided, ‘the earth' itself has the natural elementariness implying utopian meanings. In the result of gradual disappearance of utopian meanings in the original place, the modern literature has revealed an emotion of the unrest of existence and continually produced utopian ideals to substitute for the unrest. If the utopia is an unreal place, the heterotopia is an utopian place in reality. The heterotopia, as mentioned firstly in Michel Foucault's Les mots et les choses, is a concept of the spatiality from negative or critical imagination on the basis of literary rhetoric such as the overthrow, collapse, disturbance and nullification with the 'spacial-linguistic' strategy to deconstruct utopian mythologies. The kernel of Michel Foucault's argument is that the heterotopia is the place of 'objections' as well as the 'counter-space' absolutely different from all places if the utopia is the 'non-place beyond place.' His purpose to compare traits of the two topoi is not to assert their opposite meanings but to explain a relation between two positions of the utopian place, in other words, a relation between the utopia 'having no' place and the utopia 'having' a place. The utopia and heterotopia are the 'paired' places being endlessly reconstructed by the imagination of 'sympathies' and 'antipathies,' and the 'heterotopology' is the very methodology to elucidate how the places of heterotopia in this relation are reconstructed in the real space. In this inquiry trying to extend the poetical possibility of heterotopia, the spatial traits of heterotopia in Korean modern poetry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six principles of 'heterotopia' and 'heterotopology' as Foucault mentioned, into 1) the 'heterotopia of primitiveness' and 'heterotopia of deviation' as the places of divinity and cure in every culture, 2) the 'heterotopia of eternality' and 'heterotopia of feast' as the places heterogenizing and dividing times, and 3) the 'heterotopia of fantasy' and 'heterotopia of compensation' giving specific functions to places, and Korean modern poems are each select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se types of heterotopia. 인류 공통의 거주지이자 본래적 공간으로서의 ‘대지(大地)’는 위계화되지 않고 분할되지 않은 최초의 방대한 장소이며 그 자체가 유토피아(utopia)적 의미를 함의는 자연적 근원성을 지닌다. 본래의 장소가 지닌 유토피아적 의미가 점차 사라지면서 그 결과로 근대의 문학은 존재의 불안이라는 정서를 드러내게 되었으며, 그 불안을 메우기 위해 유토피아적 이상을 지속적으로 생산해냈다. 유토피아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장소라면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는 현실에 실재하는 유토피아적 장소라 할 수 있다. 미셸 푸코가 말과 사물 에 처음으로 언급한 헤테로토피아는 유토피아적 신화를 해체하는 ‘장소-언어적’ 전략으로 전복, 와해, 혼란, 무효 등의 문학적 수사에 근거한 부정적 또는 비판적 상상력의 소산이라 할 수 있는 장소성의 개념이다. 유토피아가 ‘장소 바깥에 있는 장소’라면 헤테로토피아는 모든 장소들과 절대적으로 다른 ‘반(反)공간(contre-espaces)’이자 ‘이의제기’의 장소라는 것이 미셸 푸코의 핵심 논지다. 두 장소의 특징을 비교하는 그의 의도는 대립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유토피아적 장소의 두 위상, 즉 위치가 ‘없는’ 유토피아와 위치가 ‘있는’ 유토피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토피아와 헤테로토피아는 ‘감응’과 ‘반감’의 상상력에 의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짝패’의 장소이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헤테로토피아의 장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현실공간에 재구성되는지를 밝히는 방법론이 바로 ‘헤테로토폴로지’(heterotopologyh), 즉 헤테로토피아의 위상학이다. 본고는 미셸 푸코가 언급한 ‘헤테로토피아’와 ‘헤테로토폴로지’의 여섯 가지 원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적 특징을 1)모든 문화에 존재하는 신성과 치유의 장소로서 ‘원시의 헤테로토피아’와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2)시간을 이질화하고 분할하는 장소로서 ‘영원성의 헤테로토피아’와 ‘축제의 헤테로토피아’, 3)장소에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환상의 헤테로토피아’와 ‘보정(補正)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하고, 각각의 유형에 맞는 시들을 선별하여 분석함으로써 헤테로토피아의 시학적(詩學的) 가능성의 적용과 확장을 꾀하고자 한다.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 유토피아와 우토푸스 사이 -푸코 ‘헤테로토피아’의 유토피아적 함축에 관하여

        이병태 범한철학회 2020 汎韓哲學 Vol.99 No.4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는 대개 ‘유토피아’와 연관되어 논의된다. 이는 무엇보다 푸코 자 신이 이 개념의 규정에 ‘유토피아’를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이고, 아울러 ‘유토피아’적 희망과 관심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역사적 상황 때문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현실에 대한 부정과 저항, 비판과 대안의 여지를 함축하는 유토피아적 전망 하에서 자주 원용되곤 한다. 하지만 푸코는 이 개념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제시하지 않았으며, 다양 한 사례들을 보여주었을 따름이다. 이 사례들을 실마리로 삼아 그 의미를 재구성해보면, 그 와 같은 유토피아적 전망이 불가능하지 않지만, 뜻밖에도 그러한 전망에 반하는 의미 또한 함축됨을 알 수 있다. 헤테로토피아의 사례들은 부정과 비판의 계기를 지님과 동시에 억압 과 통제가 관철되는 장소들이기 때문이다. 푸코의 헤테로피아는 저항과 억압, 그밖에 다양한 계기들이 복잡하게 교차하는 ‘장소’일 뿐이며, 해방적 가능성만을 새로운 방식으로 낙관하게 하는 개념이 아니다. 나아가 푸코는 헤테로토피아가 언제, 어디에나 존재할 수 있으며 새롭게 돌출될 수 가능성 또한 열어 둔다. 주목할 부분은 헤테로토피아가 이 장소를 창출하거나 향유하는 주체에 의존적인 특성을 갖 는다는 점이다. 이는 자유를 완전하게 보장하는 장소란 따로 없으며, 이 장소들의 해방적 전환이 주체(우토푸스)에 달려 있음을 말해준다. 이를 통해 헤테로토피아라는 공간 담론은 다시 주체(화)에 관한 담론으로 전환된다. 나아가 주체(화)와 그에 의해 창출된 공간을 동일 시했던 유토피아적 상상은 바로 이 지점에서 헤테로토피아에 가닿는다. Foucault's ‘hétérotopie’ is usually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utopia’. This is, above all, because Foucault himself introduces ‘utopia’ into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hétérotopie’, and also because of th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utopian hopes and interests are bound to continue. For these reasons, Foucault's ‘hétérotopie’ is often used under a utopian perspective that implies the denial and resistance to reality, and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and alternatives. However, Foucault did not provide a dictionary definition for this concept, but only showed various examples. Taking these examples as clues and reconstructing its meaning, we can see that such a utopian vision is not impossible, but unexpectedly, a meaning contrary to that vision is also implied. This is because the cases of hétérotopie have the moments of denial and criticism, and, at the same time, are the places where the oppression and the controlling are carried out. Foucault's hétérotopie is just a 'place' where the resistance, the oppression, and the other elements cross intricately, and not a concept that makes only the possibility of emancipation optimistic in a new way. Furthermore, Foucault opens up the possibility that hétérotopie can exist anytime, anywhere, and that new forms of it can occur suddenly. Noteworthy is that hétérotopie has a characteristic dependent on the subject who creates or leads this place.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no place that completely guarantees freedom, and that the emancipatory conversion of these places depends on the subject(utopus). Through this, the spatial discourse called ‘heterotopia’ is transformed into the discourse about the subject(-tification). The utopian imagination that identified the subject(-ification) and the space created by him touches the heterotopia at this point.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헤테로토피아 적용에 대한 동향과 가능성

        한희정(Han, Hee Jeong),장은미(Jang, Eun Mi)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2

        본 연구는 국내외 미디어와 젠더 분야의 6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헤테로토피아가 주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푸코에 의하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의 공간, 완벽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유토피아, 현실 세계에 존재하나 완전히 ‘다른 공간’인 헤테로토피아 등 세 개의 공간이 존재한다. 연구자들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텍스트 기반의 담론 공간 연구와 물질적 기반의 물리적 공간 연구로 나누어 분석했다. 또한 헤테로토피아 특성을 이질성, 이의제기(저항), 개폐 체계를 통한 배제의 배치 전략, 경계 넘기를 통한 변형성 등으로 범주화하고 헤테로토피아의 특성에 따라, 유형별 헤테로토피아: 위기의 헤테로토피아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시간의 헤테로토피아: 영원성/일회성, 기능별 헤테로토피아: 환상적 헤테로토피아/보상적 헤테로토피아, 양립불가능한 복수의 배치 및 변형의 헤테로토피아로 나눠서 분석했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헤테로토피아는 젠더규범적, 이성애적 분류 체계를 넘어서는 탈중심적 공간으로의 해석이 가능하지만 일부 국내 연구에서는 인상적 측면에서의 적용에 그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This This study examines 68 articles on the subjects of media and communication, gender, sexuality, and queer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s heterotopia. In particular, authors have considered how the concept of heterotopia applies to media studies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First, we analyzed the articles as studies on discursive space in the basis on texts and on material spaces itself. We found that some studies can be situated in in-between spaces, such as cyber spaces because they can be either discourses or materials. Representation studies on films and literature evidently borrow the concept of heterotopia. Second, we analyzed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crisis vs. deviation as aspects of heterotopia, eternity vs. temporality as time of heterotopia, illusion vs. compensation as functions of heterotopia, and incompatible plural spaces & transformations as the deployment of heterotopia.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heterotopia can be stimulated in discussions on queer spaces and noted in the way in which spaces are gendered and their functioning in reality. Therefore, through spatial analyses, Foucault’s heteropopia can be usefully applied to visualize how neoliberalism dominates women today.

      • KCI우수등재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적 장소의 시학적 연관성에 대한 소론 -김명인의 시집 『東豆川』의 경우

        엄경희(Eum, Kyoung-hee)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는 자본 권력이 행사하는 공간의 통제와 기획에 맞서 유토피아적 공간을 ‘현실’에 실현하려는 ‘대항담론’이라는 점에서 근대의 공간-장소 분석에 특별한 의미를 제공한다. 헤테로토피아가 현실, 특히 문학 작품에 작동하는 고유의 방식은 알레고리적 사유를 통해서 드러날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대항담론’이라는 역사적 성격 때문이다. 본고가 근대의 공간-장소 분석을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라는 개념에 근거해 설명하려는 이유는 실존들이 겪는 소외와 억압의 하중이 ‘정치·경제적’ 측면보다 ‘장소적’ 측면에 더 깊게 각인되기 때문이다. 장소의 실존적 맥락은 자기보존욕구(conatus)에 의해 형성된다. 자기보존욕구란 장소 박탈에 맞서는 장소 회복의 의지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현실에 유토피아적 장소를 구현하려는 헤테로토피아적 의지와 상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대항담론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가 역사에 대한 알레고리적 사유를 동반할 수밖에 없다는 논거를 미셸 푸코와 앙리 르페브르가 언급한 헤테로토피아의 특징과 발터 벤야민의 알레고리론을 통해 제시하고, 그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김명인의 시집 『東豆川』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적 특징을 장소 박탈과 장소 회복이라는 측면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김명인 시에 나타난 ‘고아원’, ‘학교’, ‘포주집’ 등은 개인과 역사의 아픔이 결절(結節)된 수난의 장소들이라 할 수 있다. 결절된 장소들이 배치된 ‘동두천’은 유년의 장소적 체험과 역사적 상흔이 알레고리화된 장소이면서, 일상의 장소가 아닌 ‘다른’(heteros) 장소, 즉 실존 회복의 염원이 내포된 헤테로토피아적 장소라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할 수 있는데, 그것을 ‘일탈의 헤테로토피아와 장소의 패닉’, ‘거울의 헤테로토피아와 혼혈(混血)의 알레고리’라는 주제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김명인의 시적 세계가 역사적 수난과 실존의 근원성을 동시적으로 포착해내는 ‘알레고리적 리얼리즘’에 입각해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있으며, 그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적용한 ‘헤테로토피아와 알레고리적 장소의 시학적 연관성’이라는 소론이 한국 현대시의 공간-장소 분석의 다양화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a ‘counter-discourse’ aiming to embody an utopian space in ‘reality’ against the capital power’s spatial control and project, heterotopia gives a particular significance to the analysis of modern space-locality. The peculiar mode of heterotopia operating on reality, especially on literary works, is forced to appear in allegoric thought. For the ‘counter-discourse’ is a historical trait of heterotopia. Since the weights of elimination and pressure on existences have been inscribed more deeply in ‘spatial’ than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s, the analysis of modern space-locality is to be explained on the notions of heterotopia and allegory. The conatus makes the existential context of locality. As a will to regain a locality against depriving of it, the conatus is able to be in common with the heterotopian will to embody an utopian locality in reality. Through the traits of heterotopia such as Michel Foucault and Henri Lefebvre mentioned and Walter Benjamin’s theory of allegory, this study presents the basis of an argument that the allegoric thought on history must accompany heterotopia, and tries, on this basis, to illuminate the heterotopian traits of Kim Myung-In’s Dongducheon in aspects of the deprived and regained localities. The objects such as ‘orphanage,’ ‘school,’ and ‘pimp’s nest’ in Kim Myung-In’s poetry are the suffered localities of the knotted personal and historical pains. The city ‘Dongducheon’ where the knotted localities have been configured is not only a locality where the local experiences and historical scars in the poet’s childhood had been allegorized but also a ‘heteros’ locality where had been not the everyday locality but the heterotopian locality involving the wish for existential restoration. In this respect, the city has a particular significance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through the subjects of the ‘deviant heterotopia and local panic’ and ‘mirrored heterotopia and half-breed allegory.’ With the purpose of stating that the basis of Kim Myung-In’s poetry is the ‘allegoric realism’ to catch simultaneously the historical sufferings and the existential rooted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take part in diversifying the analyses of space-locality of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장자(莊子)의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과 홀리즘(Holism) Ⲻ 푸코(M. 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에 입각하여 Ⲻ

        양승권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1 No.-

        This research project dealt with the meaning of 'You[Wandering]' focusing on 'Muhayujihyang'. And he analyzed it with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Finall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linked to extended ethics beyond humanism based on Holism. Liberation of the spirit without oppression and alienation and 'You' are expressed as 'Wandering'. "Wandering" of "DaeBung" is the way of "doing nothing (無爲)" to get rid of "secular self" in order to find "true self." Zhuangzi, the 'fantasy space' of 'You (遊)' is not a world beyond reality. It is the 'aesthetic world' of 'subjectivity-Citta-Mātra (唯心)' who wants to play in the mind without being bound. Zhuangzi's fantastic world of absolute freedom was a way out of false reality. Utopia is a place not found in reality. In contrast, heterotopia bridge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fantasy. Heterotopia is a well-known place for young children who are faithful to the original nature of nature as it is not stained with society. Heterotopia can function to neutralize the difficulties of reality. According to Michel Foucault, a heterotopia is a ship that floats freely on the sea. For Zhuangzi, 'Muhayujihyang' is a space where people float like empty ships, empty their hearts and play. 'Muhayujihyang' and 'You (遊)' are both realistic and mythical spaces. It is also a heterotopia as an anti-space against all places other than yourself. 'You (遊)' as 'subjectivity-Citta-Mātra (唯心) heterotopia' extends to 'Holism' with 'all things' beyond social categories. Zhuangzi goes beyond human-centered logic and considers life in harmony with Mother Nature/cosmos as an ethical ideal. Zhuangzi extended the ethical category that remains only in the human world to all subjects. 이 논문은 장자의 ‘유(遊)적인 환상의 공간’의 의미를 ‘무하유지향’을 중심으로 다루면서, 이를 푸코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개념에 담아내었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홀리즘’(Holism)에 기초해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선 확장된 윤리의식으로 연결했다. (1) 장자(莊子)가 말하는 ‘유’(遊)의 환상 지평이 갖는 해방적 기능; 장자의 억압과 소외됨이 없는 정신의 해방, 그리고 ‘유’(遊)의 경계 지평은 ‘소요유’(逍遙遊)로 함축된다. 대붕의 ‘소요유’는 사회적 맥락에만 머물러 있는 협소한 자아상을 넘어서 ‘만물’과 소통하는 폭넓은 자아상을 내포한다. 그리고 장자에게 ‘유’(遊)라는 절대 자유의 ‘환상의 공간’은 어떤 피안적인 세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그 무엇에도 구애됨이 없이 내면의 세계에서 노닐고자 하는 주관-유심’(唯心)의 ‘미적’인 세계다. 장자의 극한의 자유를 펼쳐놓는 ‘환상’의 세계는 자신을 옥좨는 엄혹한 현실을 벗어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2) 푸코(M. Foucault)가 말하는 ‘헤테로토피아’의 환상 공간이 갖는 해방적 기능; 이어 본 논문의 핵심적인 방법론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유토피아는 실제 장소일 수 없는 위안의 장소일 뿐이다. 이에 비해 헤테로토피아는 현실/환상이라는 이분법적인 도식을 무너뜨리고, 존재/비존재의 경계가 허물어진 공간, 무한히 확장할 수 있는 의미의 공간을 말한다. 헤테로토피아는 특히 사회적 자아상이 덜 구축되어 있어 ‘자연(自然; 스스로 그러함) 그대로’의 원형적 본성에 충실한 ‘어린아이’들이 이미 잘 알고 있는 곳이다. ‘헤테로토피아’의 성격과 기능은 현실의 난맥상을 중화시켜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푸코에 의하면, 헤테로토피아는 항구를 떠나 일체의 자율권을 행사하며 바다 위를 떠다니는 선박이다. 장자에게도, ‘무하유지향’이란 마치 묶어 놓지 않은 선박처럼 자유롭게 부유하며 마음을 비우고 유희[유(遊)]하는 공간이다. (3) ‘헤테로토피아’로서, ‘무하유지향’과 ‘유’(遊)의 경계; ‘무하유지향’은 유토피아나 종교적 피안의 세계가 아니라 ‘헤테로토피아’의 내면화된 세계다. ‘무하유지향’과 ‘유’(遊)의 경계는 현실적인 동시에 신화적인 공간들이며, 일체의 장소에 맞서고 그것을 중화시키는 ‘반(反)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이다. 필자는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 장치를 기반으로 해 장자의 ‘무하유지향’이 참혹한 현실에 균열을 내는 저항적인 성격을 지닌 자기만의 ‘유희적’ 환상의 공간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4) ‘홀리즘’(Holism)으로서, 윤리적 고려 대상의 확대; 마지막으로 장자 사상에서 내면에 이식된 주관-유심의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유’(遊) 경계는 사회적 연결망 아래에서의 자아상을 넘어 ‘만물’을 고려하는 ‘홀리즘’(Holism; 종합주의)에 입각한 자아상으로 확대된다는 점을 ‘초점’화했다. 장자는 인간을 중심에 놓는 태도에서 벗어나, 대자연과 하나가 되는 삶을 윤리/도덕적 이상으로 생각했다. 인간 세상에만 머물러 있는 윤리적 범주의 경계 지평을 확대하고자 한 것이다. 장자가 바라는 윤리/도덕의 모습은 만물이 서로가 서로에 대한 지배가 없이, 이익을 공평하게 고려하는 태도를 갖추는 것이었다. 장자가 말하는 완성된 도덕은 모든 자연 사물에까지 도덕적 지평이 확장되어야만 달성 ...

      • KCI등재

        자기 배려 주체의 공간, 헤테로토피아

        김분선 ( Kim Bun Sun ) 서양근대철학회 2017 근대철학 Vol.10 No.-

        이 논문은 푸코의 고유한 공간 개념인 ‘헤테로토피아’를 분석하고 해석의 논점을 전환하려한다.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그 공간이 주는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그러나 논자는 헤테로토피아가 주체의 공간이라는 차원에서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 헤테로토피아를 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해석할 때, 헤테로토피아의 본질적 성격을 더 잘 드러낼 수 있다고 본다. 이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네 가지 논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 푸코의 고유의 공간 개념인 ‘헤테로토피아’를 분석하고, 푸코가 정리한 헤테로토피아의 원칙들이 무엇인지 탐구한다. 둘째, 푸코가 헤테로토피아와 자기 배려 주체에서 공통적으로 논의하는 ‘쾌락’과 ‘불안’의 개념을 분석하여 헤테로토피아를 자기 배려 주체의 논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근거가 있음을 해명한다. 셋째, 헤테로토피아를 자기 배려 주체의 공간이라고 명명하고 그 이유를 규명한다. 넷째, 위의 논의로부터 현 시대에 부합하는 자기 배려 주체의 공간으로 용인될 수 있는 헤테로토피아적 질서를 재정립하고 미래적 의미의 헤테로토피아가 ‘쾌락’과 ‘안위’, ‘치유’의 역할을 도모할 수 있는 원시적 자연 공간이 될 것임을 전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and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Foucault on Heterotopia, which is a unique spatial concept he developed. Foucault was obsessed with the idea that problems of actual life. He framed the idea for Heterotopia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life, society, culture and temporality of the subject. For this reason I will reinterpret Foucault 's interpretation of Heterotopia from the understanding of symbolic space to the space of self-care subject. The paper is separated into four discussions in order to explain it. 1. Foucault’s unique spatial concept of Heterotopia and investigate the principles he developed. 2. Analyze the core concepts of Foucault’s self-care ethics, developing the idea of what is the baseconcept of pleasure and anxiety that is consistent with Heterotopic standards. 3. The reason why Heterotopia may be named the Space of Care subject. 4. The conclusion that present day Heterotopia is a primitive area-this spaceis considered as the space of caring subject and why this space is accepted as a Heterotopia of futuristic meaning in that space.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연구 -서펜타인 파빌리온 작품들을 중심으로-

        김연두 ( Kim Youndoo ),이찬 ( Lee Ch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의 여가 문화가 관심 받게 되면서 비일상 공간에 대한 수요와 관심 또한 늘어나고 있다. 과거 급격한 산업의 발달과 자본주의의 합리적 생산성에 가려져 있었던 비일상적 공간에 대한 심도 있는 철학적 접근은 장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키워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유토피아를 뜻하는 ‘헤테로토피아’의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 특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비일상적 공간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그리고 해당 공간의 내외부적 구조와 양상들이 헤테로토피아 관점과 어떻게 접점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간을 바라보는 심층적 관점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비일상 공간에 대한 연구에 적용 할 수 있는 자료로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연구에서는 먼저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푸코의 이론을 통해 현대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비일상에 대한 세가지 현상을 앙리 르페브르 이론의 사전적 반대개념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 현상은 ‘오브제적 제3의 공간’, ‘프레임의 해체’, ‘회귀를 위한 일탈’ 현상이다. 그리고 이 현상들과 앞서 설명한 헤테로토피아의 특성들을 결합시켜 ‘일탈과 변주를 통한 이질성’, ‘규범탈피를 통한 이의제기성’, ‘투영을 통한 환상성’이라는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에 대한 특성을 도출 하였으며, 이를 사례분석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고 최근 서펜타인 파빌리온 작품의 열 가지 사례에 적용시켜 헤테로토피아 관점의 비일상 공간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서펜타인 파빌리온은 오래된 건축물들이 지배하는 런던의 공간에 이의를 제기하고 보정을 요구하는 반공간인 동시에 강연, 공연, 팝업 스토어, 쉼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적 장소를 넘어 공간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적 공간으로서 현대인들이 일탈하며 치유하는 공간의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헤테로토피아와 비일상의 특성이 동시에 발현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기에 사례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분석결과 서펜타인 파빌리온은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의 세 가지 특성들이 고르게 적용되어 이질적이고 이의제기적인 동시에 환상성을 가진 공간으로 나타나며 헤테로토피아라는 철학적 관점을 통한 공간의 해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의 경험과 다양한 시도들을 통해 공간에 대한 지각을 넓힐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설계 되어질 비일상 공간들에 이러한 특성을 적용시켜 일상으로부터의 일탈과 동시에 다시 일상으로 복귀하기 위한 치유를 체험하고, 새로운 접근을 통하여 공간적 경험과 감상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철학적 관점을 통한 비일상 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하여 오늘날의 비일상 공간에 가치를 더함으로써 공간 디자인 분야에 발전을 가져오리라 기대하며 공간이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철학적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leisure culture of modern people is gaining attention, demand and interest in non-everydayness spaces are also increasing. In-depth philosophical approaches to non-everydayness spaces, which have been overshadowed by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rational productivity of capitalism in the past, can be keywords to help people understand places in depth. In this study, we analyze non-everydayness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which means existing utopia, to learn about the non-everydayness space, the elements that make it up, and how its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and aspects form a point of contact with the heterotopi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n in-depth view of space through this and present it as applicable material for future research on non-everydayness space. (Method) The study first reinterpreted Foucault's theoretical conceptual analysis of heterotopia in a modern sense. Three phenomena about non-everydayness life were derived from the dictionary-opposite meaning of Henri Lefevre's theory. This phenomenon is an aberration for 'third space like objet', 'frame dismantling', and 'escape to return'. In combination with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the characteristics of non-everydayness space were derived from the heterotopic perspective of "Heterogeneous properties through deviations and variations.", "raising an objec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breakaway of norms", and "Fantasy through projection", which were used as the basis for case analysis. In addition, we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heterotopian perspective to non-everydayness spaces by applying it to ten recent examples of Serpentine's work. The Serpentine Pavilion is an opposing space that challenges the existing space of London, which is full of old buildings. In addition, the Serpentine Pavilion is an experimental space that breaks the boundaries of space beyond the functional place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lectures, performances, pop-up stores, and shel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and non-everydayness are expressed at the same time. (Result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non-everydayness space from the Heterotopia perspective were evenly applied, indicating a heterogeneous, objectionable, and fantastic space, enabling interpretation of space through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Heterotopia. (Conclusions) In this study, Heterotopia's experience of non-everydayness space and various attempts will allow us to apply these characteristics to future non-everydayness spaces to experience healing to return to daily life at the same time as daily life. It is also meant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making us think about the philosophical value that space essentially pursues, expecting to bring development to the field of spatial design by adding value to today's non-everydayness spac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on-everydayness spaces.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에 의한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 개발

        신혜정,김혜연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철학적 개념을 시각화하여 패션디자인의 발상법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미셸 푸코의 헤테로 토피아는 이질적 요소로 기존 공간을 낯설게 접근하는 공간관으로 패션디자인의 창의적 방법 구현의 가능 성을 열어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이를 근간으로 하는 패션디자 인 발상법을 도출하고 디자인 소스로 활용할 지기구조에 관한 고찰을 병행한 작품 연구에 있다. 헤테로토 피아 공간관에서 비롯된 다양한 발상법의 유형에 따른 디자인을 구체화하여 창조적 패션디자인의 표현 가 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헤테로토피아와 디자인 소스로 응용할 지기구조 에 대해 국내외 서적과 선행연구, 웹사이트 등을 통하여 고찰한다. 둘째, 지기구조와 패션디자인의 유사점 을 모색하여 디자인 소스로서의 타당성을 뒷받침한다. 셋째, 헤테로토피아의 6가지 원리를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 개념의 틀을 구축하고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여 6벌의 작품을 제작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을 낯설게 해석하는 헤테로토피아는 패션에서 새로운 인체 공간에 대해 사고할 수 있게 해주어 독창적 발상법을 도출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패션과 지기구조는 인체 와 제품을 내부 공간에 담아 외부 구조를 형성한다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며 형태의 구축 방식과 기능 등 디자인 제작 원리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패션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 충분하였다. 셋째, 헤테로토피아 의 6가지 원리로부터 디자인 개념의 틀을 도출하였고 이는 기존 관념에서 인체 공간을 해방시켜 6가지의 지기구조적 패션디자인 방법으로 의상 형태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넷째, 지기구조의 특징을 인체와 어울려 표현한 결과 형태를 통해 지기구조가 헤테로토피아 공간관을 패션디자인으로 표현하기에 흥미로운 디자인 소스였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pproach fashion from a new artistic perspective by visualizing the concept of philosophy and developing it into a new fashion design idea. The heterotopia will open up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creative methods of fashion design with a spatial view that blends the existing space with heterogeneous elements and approaches.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creative fashion design expression by specifying the design according to the types of various ideas derived from the heterotopia.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 combination of theoretical research on heterotopia and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package design that will be used as a design sourc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books, papers, and Internet sites. Also, case studie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ix principles of heterotopia, a new design method is constructed to develop a structured fashion design. Based on the design method from heterotopia, the new way of design is developed and verified. By developing various types of designs in six ways about structured design, 6 types of the package structural fashion design reflecting heterotopia are produc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eterotopia, which interprets daily life in an unfamiliar way, showed the possibility of deriving an creative idea about a new space in fashion. Second, fashion and structure of a package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of forming an external structure and the design production principles such as construction method and function of forms. Third, the design concept was derived from six principles of heterotopia that liberated a human body from the existing notion and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diversifying forms of clothing. Forth, the package design was an interesting design source for expressing heterotopia as silhouette and shape of fashion design. It is meaningful and can be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is study has derived a new design idea by visualizing philosophical thought and realized designs based on this.

      • KCI등재

        호텔과 헤테로토피아 - 비키 바움의 『호텔 사람들』을 중심으로

        윤미애 ( Yun Mi Ae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2 독일언어문학 Vol.- No.96

        1990년대 이후 비키 바움의 소설 『호텔 사람들』(1929)은 신즉물주의적인 대도시 문학으로 재평가되면서 호텔을 대도시의 상징으로 보는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이와 달리 호텔을 사회의 다른 모든 공간에 이의 제기를 하는 반(反)공간, 헤테로토피아로 보는 시각이 있다. 호텔을 일상적인 삶 안에 형성된 미니어처라고 본 1920년대 비평가 한스 카프카의 발언은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상기시킨다. 푸코는 헤테로토피아 기술을 위한 6가지 원리를 제시한 바 있다. 모든 사회는 고유한 헤테로토피아를 지니고 있다는 첫 번째 원리에 이어 헤테로토피아의 역사적 변화, 열림과 닫힘의 체계, 현실적 공간과 상상적 공간의 중첩, 헤테로크로니아(이질적 시간), 사회에 대한 반박 기능이 그것이다. 『호텔 사람들』에 나오는 인물 중 크링엘라인과 프라이징의 체험은 헤테로토피아의 공간적 효과를 가장 분명하게 보여준다. 말단 경리 직원 크링엘라인의 호텔 체류는 일탈적 한계 경험을 넘어 새로운 인생 단계로 넘어가는 문지방 경험을 가져다준다. 이때 호텔은 환상의 헤테로토피아를 넘어 위기의 헤테로토피아가 된다. 호텔을 낯선 공간으로 받아들이던 방직 회사 사장 프라이징에게 호텔은 점차로 환상의 헤테로토피아가 되면서 그가 일상적 규범으로부터 일탈하도록 하는 촉매자가 된다. 소설에서 호텔을 지배하는 시간은 일상적인 시간을 벗어난, 순환과 반복의 시간이다. 이로써 호텔은 헤테로크로니아(이질적 시간)의 장소임이 드러난다. Der Schauplatz von Vicki Baums Roman Menschen im Hotel ist ein Grand Hotel in Berli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neueren Forschung, die Baums Hotel Roman über die Zugehörigkeit zur Literatur der Neuen Sachlichkeit hinaus neu bewertet hat, stellt sich die Frage nach einem Verhältnis von Hotel und Großstadt im Roman. Sabine Beckers Studie liefert in ihrer Stude die Ansicht, dass das Hotel ein Symbol für die großstädtische Lebens- und Erfahrungswelt dartstellt. Demnach bildet es bei aller formalen Geschlossenheit eine Homotopie zur Großstadt. In dieser Perspektive werden die Aspekte betont, aufgrund denen sich der Roman Menschen im Hotel als Großstadtroman erwiesen hat. Der andere Interpretationsansatz besteht darin, das Hotel als Heterotopie der Moderne zu betrachten. Im Zusammenhang versucht der vorliegende Beitrag, sich bei der Analyse der Handlung des Romans methodisch auf das zu berufen, was Foucault als sechs Prinzipien der Beschreibung einer Heterotopie identifiziert hat. Im Roman beeinflußt demnach ein System von Öffnung und Schließung das Betreten und Verlassen des Hotels. Das Grand Hotel erweist sich als Illusionsheterotopie, die sich auf einige Hotelgäste psychisch und geistig stärker auswirkt. Die Zeitwahrnehmung innerhalb des Hotels weicht von der des Alltags ab, indem sie die Form einer ewigen Kreisbewegung aufweist. Damit wird die lineare Ordnung von Zeit oder das beschleunigte Tempo im großstädischen Alltagsleben im Hotel durchbrochen, wodurch es zu einem Ort der Heterochronie wird.

      • KCI등재

        김광균 시에 드러난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황혼’

        박지학(Park, Jihak)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5 No.-

        본고에서는 김광균 시에 드러난 ‘황혼’을 미셸 푸코가 제시한 ‘헤테로크로니아(heterochronie)’로 파악하고, 여기에서 재생산된 공간을 ‘헤테로토피아(heterotopie)’로 규정하였다. 헤테로크로니아는 있을 수 없는 시간인 유크로니아가 현실에 존재할 때를 가리키며, 헤테로토피아는 있을 수 없는 장소인 유토피아가 실제로 존재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푸코는 헤테로토피아를 여섯개의 범주로 구획하고 있다. 이 중 여기에서는 ‘황혼’이 두 가지 의미 있는 작용을 한다고 파악하였다. 김광균의 시에서 ‘황혼’은 ‘거울’의 역할을 한다. 이때 화자는 ‘황혼’ 무렵의 공간에서 자신의 기억을 떠올린다. ‘황혼’에서 떠올린 공간은 과거의 시공간이기 때문에 화자에게는 장소 없는 장소가 된다. 그런데 일상 공간에서는 화자가 실재하기 때문에 ‘황혼’은 현실에 존재하는 헤토로토피아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동시에 ‘황혼’은 헤테로크로니아의 역할도 한다. ‘황혼’ 무렵의 시간은 화자가 지속하고 있는 현재의 시간이다. 동시에 현실에서 떠올린 기억은 과거로 회귀하는 시간, 즉 과거의 유크로니아가 된다. 따라서 화자는 현재의 시간에서 과거의 유크로니아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화자에게 기억은 대개 쓸쓸하거나 서글픈 것으로 드러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를 외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본고에서는 화자가 이러한 기억을 헤테로토피아로 여긴다는 점을 특징지었다. 기억이 상실 의식을 회복시켜주는 복원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황혼’은 열려있는 동시에 닫혀 있는 아이러니한 속성도 지니고 있다. 현실에서 화자가 지향하는 헤테로토피아는 자연적인 대상이다. 화자가 언제든 이것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헤테로토피아는 화자를 향해 열려있다. 그러나 이것은 도시의 인공적인 구조물에 막혀 이내 닫혀버리게 된다. 이처럼 열림과 닫힘의 헤테로토피아는 그의 시에서 아이러니한 혼돈의 세계에 융화할 수 없는 화자의 고립감을 강조하는 장치로도 사용되고 있다. This study understood ‘twilight’ in Kwang-gyun Kim’s poetry as ‘heterochronie’ suggested by Michel Foucault and defined the space reproduced here as ‘heterotopie’ to begin the discussion. Heterochronie refers to a uchronia that actually exists in reality, which is a time that cannot exist while heterotopie refers to a utopia that actually exists, which is a place that cannot exist. Foucault partitioned heterotopie into six categories. In particular, this study judged that ‘twilight’ serves as two significant actions and set forth them. Kwang-gyun Kim’s poetry, ‘twilight’ served as ‘the mirror.’ At this time, the narrator recalls his own memory in the space at ‘twilight.’ Since the space he recalled from ‘twilight’ is the space-time of the past, it becomes a place without any place to the narrator. But, at this time, in everyday space, since the narrator exists actually, ‘twilight’ serves as heterotopie existing in reality. At the same time, ‘twilight’ also serves as heterochronie. The time at ‘twilight’ is the time of the present in which the narrator abides. At the same time, the time is uchronia of the past. In other words, the narrator experiences the uchronia of the past simultaneously in the present time. Chapter 3 understood the narrator’s memory as heterotopie having eternity. But ‘twilight’ revealing this memory has temporariness in that the narrator temporarily passes that in everyday space. In the narrator’s memories related to ‘Twilight,’ the memory is usually revealed as something solitary or sad. The existing study understood it as trauma. And yet,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fact that the narrator considers this memory as heterotopie, for it is a space of recovery that recovers the consciousness of loss. Chapter 4 discussed ‘twilight’ as an irony that is open and close at the same time. That becomes heterotopie at which the narrator aims in natural objects and artifacts coexist. At this time, the narrator may freely enter heterotopie. But this leads to the closed isolation. The narrator pursues natural objects from the beginning. And yet, since the closing of artifacts is strong, the narrator’s frustration or isolation is maximized. Like this, the heterotopie of opening and closing is used as a device that emphasizes isolation that cannot be harmonized with the world of chaos in his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