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역량 관련 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

        정희영,정윤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핵심역량 연구의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교육기관과 관련된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동향을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 구방법, 연구대상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교육기관 관련 핵심역량 연구 252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 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교육기관 관련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는 연구시기에 있어서 2006부터 국가 주도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초 ․ 중등교육을 중심으로 학교교육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키기 시작하였다. 연구 내용에 있어서 기초연구와 실천연구가 비슷한 양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전인교육의 측면에서 핵심역량의 철학적 배경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토 대로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을 일관성 있게 운영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방법에 있 어서, 양적연구과 문헌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졌기에, 질적인 연구와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대상에 있어서 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논의가 전체연구의 2/3에 해당하므로, 교 사, 부모 및 전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research on core competency relating to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research year,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object in order to provide baseline data about education on the basis of core competency and in order to provide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core competency. To this end, 252 pieces of research on core competency relating to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2006 to 2014, were used as the object of research.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as calcula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research year of research on core competency relating to educational institution, state-led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2006. And a viewpoint about school education started to be changed,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research content, basic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is dealt with on a similar aspect. However, from all-round education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consistently manage curriculum and purpose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sufficient discussion about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core competency. In research method, research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quant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So,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In research object, discussions about students' core competency account for 2/3 of all research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arry out a discussion about teachers, parents, and experts.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교육적 타당성 비판

        손종현(Son, Jong-Hyu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이 핵심역량을 겨냥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타당한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 논의를 전개하면서 연구자는 핵심역량 개념과 연관하여 대학 교양교육의 정체성을 고민하고 있다.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육 체제 구축’ 혹은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편성⋅운 영’이라는 어법이 과연 성립 가능한 것인가, 과연 그것이 교육적으로 타당한 것인가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지금 여기’ 우리 사회의 대학 교양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묻는다. 핵심역 량으로 교양교육을 쟁점화하는 비합리(非合理)에 대한 것이 아닐까 의심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렇 다. 핵심역량 담론이 교양교육의 본질과는 동행할 수 없다. 핵심역량은 전공교육과는 동행한다. 핵심역량 은 차라리 직업교육과 대학 전공교육에서 감당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핵심역량이라는 말 자체는 주로 대학 전공학과에서 키워야 하는 능력과 관련되어 있다. 전공교육은 이미 전공 관련 핵심역량을 포함하여 전공능력을 키우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교양교육은 ‘교양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교양교육은 핵심역량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학습능력과 다양한 종류의 학습능력을 키운다. 이것이 대학 교양교육에서 키워야 하는 능력이다. 이런 교양능력을 키우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새삼 논의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reconsider the idea that liberal education cultivating core competencies is an acceptable one in terms of the ‘educational validity ques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dentity of lib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whether the usage of the ‘establishment of a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to improve core competencies is suitable and valid.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problems that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is facing in our society ‘now and her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discourse of core competencies can not go along with the essence of liberal education. However, core competencies can go along with a student’s major. Core competencies may be covered in vocational education and in major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fact, the phrase ‘core competency’ is mostly related to certain capabilities that are to be developed in the major departments of a university. Major education is already aimed at developing a student’s chosen major capabilities, includ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ir chosen major. However, the goal of liberal education is to develop ‘cultural capabilities’. Liberal education does not develop core competencies but various types and kinds of learning abilities. These abilities should be cultivated in liberal education at a university. We need to reconsider how to cultivate these competencies once more.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정선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formance and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es and to get the under-graduate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of P university curriculu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08 students who took the subjects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2014 fall term. After taking the subjects, the survey asked students their opinions on achievements, improvements and important degrees of core competences.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for the important degre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fields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were aware of the global capabilities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among core competencies. Second, the extent of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were surveyed most highly about achievement. Third, students said that global cap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are dealing with important in the curriculum. While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found that it improve through the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es. Forth, general education course based on core competences was investigated by the lower response rate than the response rate does not match that comply with the seven core competencies of the P university. Fifth. depending on how many take general education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was investigated as study the survey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he greater the number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taken were investigated the response does not match the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According to the ANOVA test of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different major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research on the results of operations of our core competencies curriculum by introducing a core competencies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status and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determine what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curriculum is supplemented with directional elements need to be pursued in the P university, and get ideas for the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t will also be able to become a base material through a follow-up study on such evaluation criteria as the preferred valuation method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capabiliti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ent operating core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P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 및 향상도와 중요도 등을 분석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의 성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이 대학교육을 통하여 함양하고자 하는 역량이 무엇인 지를 알아보고, 실제로 교양교육과정을 통하여 그러한 핵심역량들이 어느 정도 성취되어지고 향상되어지는 지를 조사해보았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학부생들에게 중요하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 글로벌 역량과 협업 역량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성취정도에 대해서는 협업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향상되었는지 묻는 설문에 대해서는 협업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교육과정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역량으로 글로벌 역량과 문제해결 역량 순으로 응답하여 성취정도 또는 향상정도가 높은 역량들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부합 정도를 묻는 설문 결과 교양교육과정이 대학의 7개 핵심역량과 부합한다는 응답율이 부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응답율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교양교과목 수강 빈도에 따른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부합 정도를 묻는 설문 결과는 수강 과목이 많아질수록 부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부합한다고 응답한 비율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계열에 따른 핵심역량의 중요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을 제외하고 대학의 핵심역량에 대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한 결과에 대한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통해 역량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성취도, 향상도 등으로 역량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고 진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과 보완해야할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교양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역량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준거와 바람직한 평가 방법 등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현재 운영중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가경전에서 핵심역량 함양과 수업 구현 사례

        김병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7 漢字 漢文敎育 Vol.43 No.-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교사의 전문성과 학습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유가경전 텍스트의 핵심역량 함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를 위해 유가경전에서 핵심 역량을 선정하고, 교과서에서의 진술 방안을 논의하고, 유가경전에서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유가경전 수업에서 ‘자기 관리 및 계발 역량’이 가장 잘 길러진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유가경전 수업 이후 학생들이 느끼는 감정은 부정의 감정 상태에서 긍정의 감정 상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가 경전을 유가경전으로 모두 수정함. 유가경전 학습을 통해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가 유가경전 학습에 대한 내용의 전문성, 교수ꞏ학습의 전문성, 평가의 전문성을 길러야한다. 또한 단편 지식을 암기하는 교육이 아니 라, 유가경전 학습을 통하여 새로운 상황과 맥락 속에서 선택, 조절, 조합, 통합하는 메타인지와 문 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새로운 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수행 능력을 신장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의 역량이 지속적으로 제고될 수 있도록 소규모의 참여형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가경전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장기적 과제로는 학습자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한 중ꞏ고등학교 한문 학습용 유가경전 텍스트의 표준화와 유가경전에서의 역량 세부 지표를 제작하는 것 등이 있겠다. In competence oriented curriculum,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learning capability is required more than ev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plan to cultivate core competence of Chinese literature and Confucian scripture text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this research selected core competence among Confucian scripture texts, discussed the statement method of textbook, and suggested a method to cultivate core competence out of Confucian scripture. Students appeared to cultivate ‘self-management and improvement competence’ well in Confucian scripture class. Also, the emotion that the students felt after Confucian scripture class showed change to positive state from negative state. To cultivate core competence through Confucian scripture class, first, teachers should cultivate professionalism in Confucian scripture study, professionalism in teaching・ learning, and professionalism in evaluation. Also, instead of simply memorizing fragmentary knowledge, teachers should cultivate meta-cogni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 to select, adjust, combine, and integrate in the new situation and context through Confucian scripture study, and increase the capability to create a new value. For this, the researcher considers small-group participatory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to consistently enhance teachers’ competence. As the long-term task for enhancement of Confucian scripture core competence, there are standardization of Confucian scripture text for middle・high school Chinese literature study use Confucian scripture text to reduce burden of study of learners and production of detailed index of competence of Confucian scripture.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2

        A gener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The case of K university Park, Hye-Jung(Korea Polytechnic University) There i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model for university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during the past decade due to it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ore competencies. To propose a model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planning, this study analyzes general education programs in 29 universities using content analysis and develops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or K university by pairing core competencies with general education programs(education purpose, education discipline category, and elective course). Only one university out of the 29 matched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corresponding core competencies. Considering that a general education program is a reflection of a school’s dedication to improv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t becomes clear that there is a profound need to match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core competencies.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 of K university was developed using general education standard proposed by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and included various kinds of education discipline categories and elective courses which help to satisfy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roposed model would fit into other universities which promote different kinds of core competencies. The proposed model will serve to guide future developments of general education program. 핵심역량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박혜정(한국산업기술대학교) 본 연구는 대학의 핵심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교양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여 교양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개편에 유 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총 29개교를 대상으로 핵심역량과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내용분 석(content analysis)과 빈도분석을 통해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파악한 후, 한국교 양기초교육원의 대학 교양교육 표준안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도록 K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과과정 설계 모형 을 제시하였다.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파악한 결과, 29개교 중 1개교만 핵심역량과 교양교육교 과를 연결시켜 제시하였다. 따라서 대학들은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의 효과적 설계와 함께 학생들 스스로 함양하고자 하는 핵심역량을 위한 교양교과의 선택용이성을 위해 핵심역량별로 교양교과를 제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K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설계에 있어 서 핵심역량에 따른 교양교육 목적을 정의한 후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 표준안의 다양 한 세부 영역들을 연결시켜서 교과를 설계한 결과, 교양교육이 한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 의해 편성됨으로써 전인적인 교육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모형은 모든 대학에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설계시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

      • KCI등재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최유현,강경균,유태명,문대영,최지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연구한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영역 및요소에 기반하여 실과(기술·가정)교과의 재구조화 방안을 탐색하고 전략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설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역량의 관점에서 2007년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교과 특수 역량으로 핵심 역량 영역 중 문제해결능력은 실천적 문제해결과 기술적 문제해결이 하위요소로 추출되었고, 의사소통의 하위요소로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이 추출되었다. 자기관리능력은 생활역량과 가족생활과 일의 조화능력, 합리적인 소비와 자원 활용이 추출되었고, 기초학습능력에는 도구사용능력과지식의 적용능력이 추출되었다. 시민의식은 기술적 소양이 추출되었고, 진로개발능력은 직업윤리가실과(기술․가정)교과의 특수 핵심 역량 하위요소로 추출되었다. 둘째, 핵심 역량 기반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하여 교육과정 수준, 교사 수준,통합 수준으로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A안)과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대영역 별로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B안)으로 재구조화 하였다. 교사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략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방안(C안)으로 재구조화 하였다. 아울러 통합수준에서는 교육과정 수준과 교사수준을 통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A안)과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략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방안(C안)을 통합하는 방안(A + C안)이다. 또 하나의 통합방안으로 교육과정 문서체제에서의 핵심 역량을 대영역별로 반영하여 재구조화하는방안(B안)과 교육과정 문서와 별도로 수업 전략에 핵심 역량을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방안(C안)을 통합하는 방안(B + C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o restructure model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by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ies as well as key competencies and factors required by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o make it strategic. Concerning the way to restructure key competencie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62 experts . The result analysis was as follows:Among key competencies areas, In terms of problem solving ability, prac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echnology problem solving were extracted as sub-factors and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media was extracted as sub-factor of communication. In terms of self-control ability, life ability, harmonizing ability between family and work and reasonable consumption and resource use were extracted. Meanwhile, ability to use instruments and ability to adapt knowledge were extracted as basic learning ability. Technological knowledge was extracted in civil consciousness. In terms of ability to pursue career, work ethics was extracted as the sub-factor of special key competency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restructure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the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olution from the curriculum,teacher and integrated level. In terms of curriculum level, the study came up with two methods: (Method A) reflecting and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in curriculum document system ; (Method B) reflecting key competencies in curriculum document system according to contents domains and restructuring them ; (Method C) from the teacher's level, reflecting key competencies of class strategy aside from curriculum document system and designing and conducing class. Furthermore, the level of curriculum and teacher can be combined from the integrated level. More specifically, it was the combination of Method A and Method C. Another way to integrate was to combine Method B and Method C.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실현에 관한 제언

        김혜영,유지현,이숙정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1

        대학을 향한 핵심역량강화에 대한 요구는 수년째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학과 교수들은 여전히 역량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는 등 역량에 대한 찬성과 반 대의 주장을 펼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을 둘러싼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역량에 대한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을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이 핵심역량강화에 대한 요구를 수 용할지 거부할지에 대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면 핵심역량을 직업과 직무에 관련된 능력만이 아니라 스스로 삶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일상적인 힘이나 해낼 수 있는 능력으로 일반화하여 접근할 수 있기를 제언하였다. 즉 역량이 개인이 삶을 살아가 는 힘이기 때문에 대학에서 이 역량을 강화시켜 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면 그 이후에는 교양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강화 방법에 대해 고민할 수 있다는 것이 다. 사회적 요구에 보다 합리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대학이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즉 핵심역량과 교육영역, 특 히 교양교육의 연계를 더욱 강화시키고자 하는 교수와 대학들이 있다면 무엇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본 연구가 수행되었 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대학들의 핵심역량을 교육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노 력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더 나아가 추진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즉, 핵심역량기반의 교양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제언을 통해 대학 교양교육 운영에 있어서 작지만 현실적인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Amid growing calls for strengthening key competencies toward universities for years, universities and professors are still offering various opinions on competence. Controversy continues over pros and cons of competence, but this study wanted to reflect on the needs of stakeholders surrounding universities. In other words, as a concern about how universities can accept core competencies, it was proposed to define core competencies more broadly as everyday forces that can create life on their own, not as vocational and job-related abilities.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judge more reasonably on their demand for strengthening their core competencies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Therefore, if there are professors and universities who want to further strengthen the link between core competence and education, realistic ideas will be neede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is end, efforts to link the core competencies of Korean universities to educationally were organized step by step and various alternatives were proposed. In other words, it is hoped that the proposal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will be a small but realistic study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군(軍) 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남용(Nam Yeoung Kim),신현태(Hyon Tai Shin)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3

        본 논문은 군 영관장교를 중심으로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 연구를 통하여 리더십 핵심역량의 정의를 규명하고, 조직 관리적 수준의 리더십 핵심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정립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더십 핵심역량 정의 등 개념을 발전시켰으며, 리더십 핵심역량 요인과 행동지표 등 모델 개발을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를 하고 연구절차를 정립하여 FGI와 설문조사를 통한 델파이 기법, AHP기법 등 과학적 분석기법을 통하여 모델을 검증하여 신뢰도를 높였다. 먼저 군 영관장교에게 필요한 리더십 핵심역량은 Quinn의 경쟁가치 모형을 적용하여 대인관계 역량(사람), 과업수행 역량(일), 조직관리 역량(조직), 환경관리 역량(환경)의 역량군에 따라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핵심역량 도출 절차는 먼저 선행연구및 문헌 검토를 통하여 해병대 영관장교에게 필요한 리더십역량 45개를 우선 도출하고, 적합성 및 중요도 , 타당도, 우선순위 평가를 통하여 20개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AHP기법을 통하여 핵심역량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리더십 핵심역량 요인에 대한 역량군 별 우선순위와 통합 우선순위를 정하여 리더십 핵심역량 향상에 선택과 집중을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리더십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에 기초 틀을 제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군의 특성을 반영한 군 영관장교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에 관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정책적인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조직 관리적 수준의 군 중견간부인 군 영관장교들에게 필요한 리더십 핵심역량을 개발하였다는 것이다. 기존의 군 간부에 관한 역량관련 연구가 미흡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군 영관장교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은 군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군 영관장교들의 리더십 핵심역량 개발과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과정을 통하여 군 영관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을 구성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 리더십 핵심역량 요인과 우선순위를 개발하여 군 영관장교의 리더십에 필요한 구체적인 행동기준을 제공하였다. 셋째, 개발된 모델을 활용하여 군 영관장교들의 리더 십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기계발, 자기성찰, 상급자의 피드백등을 통하여 군 영관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군 영관장교의 리더십 핵심역량 모델은 리더십 역량중심의 실질적인 교육과 성과중심의 효과적인 인사관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군 영관장교에 대한 교육기관별 교육과정 소요 창출과 리더십 교육에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역량모델 개발을 활용하여 조직역량과 연계한 개인 직무역량을 향상시키고, 인재육성과 인사관리에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자료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prescribe definition of leadership competency model through a research on a core competency model of leadership with focus on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arine Corps and drew core competency factors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level as well as behavioral index as per the core competency factor. It developed concept including definition the core competency factor; it designed research models and established research procedures for development of models such as core competency factor and behavioral index; it verified the models according to scientific analysis techniques such as FGI and delphi technique through questionnaires, and AHP technique in order to improve confidence. First, as for leadership core competency required for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ilitary, it drew core competency factors pursuant to competency groups of interpersonal competency(person), task performance competency(work), organizational management competency(organization), and environment management competency(environment) by applying Quinn's competing values model. Deduction procedures of core competency were to first draw 45 leadership competencies required for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ilitary through advanced researches and literature review and then, to draw 20 core competencies through evaluation of adequacy, importance, suitability and priority. In addition, priority of core competencies was analyzed through AHP technique in oder to decide priority of competency groups and integrated priority, and it prepared base for choice and concentration on improvement of leadership core competency.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has following meanings; First, foreign troops and other forces have constantly performed researches on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of leaders and accomplished a considerable development but researches on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of the Marine Corps was insufficient. Second, it developed behavioral indexes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which consisted of respective leadership competencies through development of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and it suggested specific behavioral standards. As definition of leadership and competency differs from researchers, behavioral standards which exercise competencies differ from researchers; an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which consisted of behaviors must be also different. Third, it utilized core competency models and measured/analyzed level of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of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arine Corps so that it can cultivate and develop human resources according to strengthening program of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and it can measure level of person and organization for analysis of merits and demerits and then, it may improve supplement points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 goals and outcome. Based on above research result, this study, which is about leadership competency model of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arine Corps reflecting military characteristics, intends to suggest several political proposals as follows; First, it developed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arine Corps in organization management level.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models for field grade officers of the Military who play important role in the Mlitar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because existing researches on competencies of military executives were not sufficient.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in the field which the Military had not researched yet and it is a practical study applicable to working departments. Second, it developed behavioral indexes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which consisted of respective leadership competencies in the course of developing leadership core competency model and provided specific behavioral standards.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leadership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단과대학별 신입생의 핵심역량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만족도 요인 탐색: 대면과 온라인, 병행 수업상황의 비교

        허영주 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personal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 the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freshmen in face-to-face, online, and parallel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421 freshmen who entered N University in the 2018-2020 school year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N University freshmen improved the most in the face-to-face, but improved to a lesser extent than the face-to-face in the parallel, and decreased in the online classes. However, the change in core competencies was found to vary by college. While the core competencies of freshmen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decreased in all classes, it at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mproved in all classes. It at the Global College of Commerce and Commer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ace-to-face, while it increased slightly in the online and decreased in the parallel. It can be seen that at the College of Creative Arts and Culture improv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face-to-face, and decreased in the online and parallel. Second, it was found that core competency increased when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high and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core competencies were found to vary by college.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and the greater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the higher the core competency. In the Global University of Commerc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quality of classe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was high and change in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College of Creative Arts and Cultur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initial value of education quali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high, and change i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creas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a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is needed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new students. 본 연구는 대면-대면 및 대면-온라인,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 대학 신입생들의 개인적 요인과 교육적 요인이 핵심역량의 변화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N대학교에 2018-2020학년도 입학한 신입생 2,42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1학년에서 2학년 사이의 핵심역량 변화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대학교 신입생들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 가장 크게 향상되었고,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 보다는 적지만 향상되었고, 대면-온라인 수업상황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핵심역량 변화량은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모든 수업상황에서 감소한 반면, 보건의료복지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모든 수업상황에서 향상되었다. 글로벌상경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는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대면-온라인 수업상황에서는 소폭 상승하였고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소폭 감소하였다. 창조문화예술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는 다른 단과대학의 3배 이상 향상되었고, 대면-온라인 수업상황과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교육만족도 하위영역 중에서는 교육과정 초기값과 교육성과 초기값이 높고, 교육과정 변화량과 교육성과 변화량이 증가할 때,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핵심역량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은 교육과정 초기값이 높고 교육과정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글로벌상경대학은 수업의 질과 교육성과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건의료복지대학은 교육과정 초기값이 높고, 교육성과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창조문화예술대학은 교육의 질과 교육성과 초기값이 높고, 교육성과와 교육환경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신입생들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과대학 특성에 맞는 차별적인 지원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

        이난(Lee, Na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SUPER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대학에서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교육을 위해 핵심역량의 연계성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의의를 두고, J대학교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SUPER 핵심역량,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을 측정하여 SPSS ver 25.0과 AMOS ver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일부 핵심역량이 높게 나타나고, 의과학대학이 높게 나타나 고 경영대학이 낮게 나타났다. 진로장벽의 나이문제는 남학생과 3학년이 높게 나타나고, 직업정보부족과 흥미부족 및 미래불안은 의과학대학이 높게 나타나고 문화관광대학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각 연구변수 의 정규분포성 충족 여부 검증을 위해 왜도와 첨도의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핵심역량은 진로장벽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적응성과 진로장벽과도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회귀모형의 추정가능성과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변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진로적응성에 대한 핵심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49.8%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진로장벽에 대한 핵심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진로장벽에 대한 진로적응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37.8%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핵심역량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높아지며,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교육이 핵심역량에 기반한 교육과정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이에 따른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전공에 따른 SUPER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 일부 요인에 있어 차이가 있어, 성별 및 단과대학별 핵심역량과 진로장벽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대학은 대학생들에게 4차 사회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성취할 수 있도록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을 통해 그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강화와 향상을 위해서 스스로 부족한 핵심역량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과 가이드를 대학생들에게 알리는 것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UPER core competencies,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recognize the linkage between core competencies for career development and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SUPER core competencies,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were measured for 309 university students at J University. The measured results were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SPSS ver 25.0 and AMOS ver 25.0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me core competencies were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high in medical science colleges, and low in business colleges. The age problem of career barriers was higher in male students and third year students, and the lack of job information, lack of interest and future anxiety were higher in medical science colleges and lower in culture and tourism colleges. Second, the ‘skewness’ and ‘kurtosis’ criteria were satisfied by verifying whether each variable satisfied the normal distribution. Also,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showed that core competency and career adaptabil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core competenc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timability and fit of the structural regression model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a good fit was shown, and the suitability of each variabl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rth, the core competency for career adapt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49.8%. Core competencies for career barri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areer adaptability to career barri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37.8%.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the higher the career adaptability, and the higher the career adaptability, the lower the career barri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some factors of SUPER core competen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according to gender and major. Thus, an approach to core competency and career barriers by gender and college is required. Second, universitie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college students through subjects and non-course curriculum so that they can achiev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socie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in order to strengthen and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inform college students of a system that can recognize what core competencies are lacking, as well as to enlighten them on specific methods and guidelines for their cul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