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양기초교육연구소 운영 성과와 특성화 방안

        윤승준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2 교양기초교육연구 Vol.3 No.1

        이 글은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운영 성과와 고전교육을 위한 특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연구소의 운영 모델을 모색하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조직과 인적 구성, 연구 활동, 교육 활동을 소개하고, 고전 및 지성사 연구와 교육을 통합하기 위한 단계별 특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2013년 10월 1일에 설립된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는 대학 및 국가 수 준에서의 교양교육 정책 연구, 교양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교양교육 성과 진단 및 분석, 환류 프로그램 개발, 교양교육 관련 각종 세미나와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간행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교양기초교육연구소는 소장과 감사, 간사 등 약간 명의 임원을 두고 있으며, 운영위원회와 편집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활동은 연구 활동과 교육 활동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연 구 활동으로는 학술지 교양기초교육연구 의 발간, 국내 학술대회 개최, <창파강 좌>의 공동 주최, 2019년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연구과제 수행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전 교육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사페레 아우데, <단국권장도서 101> 독서토론대회,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인문교양강좌 운영 등 학생과 지역사회를 위 한 다양한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기도 하다. 교양기초교육연구소는 ‘고전 및 지성사 연구와 교육의 거점 연구소’로 성장한 다는 목표 아래 단계별 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1단계 기반 강화기 (2019~2022)에는 연구소의 발전 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학술지 발간과 학술대 회 개최 등 연구소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고전교육 방법론 을 모색한다. 그리고 2단계 성장 발전기(2023~2025)에는 고전 및 지성사 연구 와 교육의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 역점을 두어 연구소 특성화 계획의 목표 를 실현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이러한 특성화 방안은 대학 교양기초교육연구소의 성공적인 운영과 발전을 위한 타산지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Research Center by introducing the operational results of Dankook University’s Institute for Liberal Arts and Sciences Education(DILAS) and a specialization plan for classics education. To this end, the organization, personnel composition, research activit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DILAS were introduced, and specialization strategies for each step was proposed to integrate research and education classics. Founded on October 1, 2013, DILAS researches liberal arts education policy at university and national level, develops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bjects, diagnoses and analyzes liberal arts education outcomes, develops feedback programs, and conducts various seminars rel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Its main businesses include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and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DILAS has a few executives such as the director, auditor, and secretary, and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Steering Committee and the Editorial Committee. The activities of the Institute for Liberal Arts and Sciences Educa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research activit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Research activities includ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journal ‘Research on Liberal Arts and Science Education’, holding domestic academic conferences, co-hosting <Blue Waves Lecture>, 2019 A Support Project for Humanities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addition,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classical education,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s and the local community are being carried out, such as Sapere aude, <Dankook Recommended Book 101> reading debate contest, and humanities liberal arts lectures for local residents. DILAS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 step-by-step development strategy with the goal of growing into a ‘research center for classical and intellectual history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first stage of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2019~2022), in order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stitute, it focuses on performing its original functions, such as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and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while exploring the classical education methodology. And in the second stage of growth generator (2023~2025), there is a plan to realize the goal of the research institute specialization plan by focusing on creating practical results in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classical and intellectual history. This specialization plan of DILAS can be considered as a model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nstitute for Liberal Arts and Sciences Education at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교양기초교육의 성찰과 새로운 방향

        박일우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0 교양기초교육연구 Vol.1 No.1

        교양기초교육의 정상화 과정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이는 징후가 나타나 고 있다. 지난 20여년 진행되어 온 정부재정지원사업의 효과가 일부나마 현장의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 주었으며, 다수의 교양기초교육 연구소가 한 국연구재단의 안정적인 지원을 받게 되었다. 제3주기 대학기본역량 진단 항목은 교양기초교육계의 의견을 상당부분 수용함으로써 교양기초교육의 정상화 계기를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이 글은 이러한 시대적 징후를 읽어내면서 교양교육‘학’의 정립과 하위분야를 제안하고, 교양교육학계의 국제화 노력을 촉구하며 교양기초교 육계 내부의 성찰, 특히 교양기초교육 전담ㆍ담당 교ㆍ강사의 상호이해와 성찰을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의 이름으로 진행하기를 촉구한다. This article aims at suggesting a direction to pursue for the liberal arts education community. There are signs of era that can trigger norm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beginning of new era.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roject, which has been under way for more than two decades, has raised awareness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site, with a number of liberal arts institutes receiving stable support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items of the third period are expected to provide chances for the norm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accepting much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community. Reading these signs, the article suggests establish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a discipline and its sub-fields, calls for efforts to internationalize the liberal arts education community, and urges reflection with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community under the name of Faculty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Liberal Education, 그 오래된 미래를 향하여 -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단국대학교의 도전

        윤승준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0 교양기초교육연구 Vol.1 No.1

        본고는 단국대학교가 Liberal Arts College와 Liberal Education을 시행하기 위하여 준비해 온 과정을 돌아보고, 자유교양대학(D-LAC)을 운영하고자 하는 목 적과 교육목표가 무엇인지,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편하였으며, 그 시행 에 있어서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단국 대학교는 학생들을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식견, 깊이 있는 안목을 갖춘 인재로 양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양교육대학을 자유교양 대학(D-LAC)으로 전환하고, 대학의 교육과정을 교양ㆍ전공ㆍ선택(웅비)의 3원 체 제로 재편하면서 교양교육과정의 내실화를 도모하였다. 다만 그 시행에 있어서는 학내 여건을 고려하여 교양교육과정의 개편을 단계적으로 시행하기로 하였다. Liberal Education을 위한 단국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은 중핵교양, 공통교양, 영역별교양 으로 구성되는데, 중핵교양 교과목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2020학년도 에는 공통교양과 영역별교양으로만 구성하고, 2023학년도부터 중핵교양을 포함한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대신 2020학년도부터는 기존의 대학기초교양 영역에 개설되었던 전공기초 성격의 교과목을 전공교육과정에서 이수하도록 하고, 특정 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교과목이나 취창업 관련 교과목 등 보편지성교육을 위한 교 양 교과목으로서는 부적합한 교과목들을 웅비교육과정에서 이수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다양한 교육 수요를 충족시키면서도 교양교육과정의 정체성을 제고할 수 있 도록 하였다.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이 안정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발전하기 위 해서는 학내 구성원의 협력과 공조, 「세계 지성사의 이해」와 같은 새로운 교과목 의 개발, 영역별교양 이수학점의 확대, 기초학문 분야 전임교원의 확보 및 교육여 건 확충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process that Dankook University has prepared to implement Liberal Arts College, the goal of Liberal Education that Dankook University pursues, and how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what tasks were to be needed in its implementation. Dankook University has transformed an existing the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into a liberal arts college (D-LAC) in order to cultivate students with a wide range of knowledge, insights and in-depth knowledge in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The education curriculum was reorganized into a three-element system of liberal arts, majors, and choices (Ungbi), aiming to enhanc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as decided in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university conditions. Dankook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Liberal Education consists of core curriculum, common course, and distributed requirements. Consider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ore curriculum, the 2020 school year consists only of common course and distributed requirements. And in 2023, a complete liberal arts curriculum including core curriculum will be operated. In order for Dankook University’s liberal arts college to take root and develop stably, cooper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development of new courses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tellectual History”, expansion of credits for liberal arts in each area, securing of full-time faculty in basic academic fields, and increasing educational conditions remain a challenge.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 교양교육 관련 뉴스기사 토픽 분석

        전은정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4 교양기초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관련 뉴스기사의 토픽을 분석하고 시간 흐름에 따른 토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3년까지의 관련 뉴스기사 240건을 대상으로 LDA 토픽모델링을 통해 10년 단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0년대 토픽은 ‘대 학 교양교육 부실 지적, 교양과목 다양화, 해외 대학 교양과목 국내 이수제도 마 련’, 2010년대 토픽은 ‘대학에서의 교양교육 역할, 교양교육 역할 재정립을 위한 대학의 노력, 대학교양에 실용과목 도입 고려, 대학의 교양대학 설립’, 2020년대 토픽은 ‘대학 간 교양교육 교류, 한국교양기초교육원 교양교육컨설팅 결과, 교양교 육으로서의 ESG경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의 정 의와 역할,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컨설팅 기준, 새롭게 요구되는 시민역 량 반영 등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gai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by analyzing topics related to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overed in news articles and identifying changes in topics over time. For this purpose, LDA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on 240 related news articles. As a result, the topics of the 2000s were pointing out the lack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diversifying liberal arts subjects, establishing a domestic completion system for liberal arts courses from overseas universities, and the topics of the 2010s were the role of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universities’ efforts to redefine the role of libe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practical subjects in university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liberal arts college in universities, the topic for the 2020s was exchange of liberal arts educ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as a result of liberal arts education consulting at the Korea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ESG management as lib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ed to consider the definition and role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standards for liberal arts education consulting at the Korea Institute for Liberal Arts and Basic Education, and the reflection of newly required civic competencies was mentioned.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 역량 진단의 대안

        손종현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2 교양기초교육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과 관련한 역량 진단의 대안적 방식을 탐색하는 것이었 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토대를 둔 현 대학기본역량진단 방식을 비판하고 그 대안 을 제시하고자 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훈련기관이 아니라 교육기관으로서 다양한 교육제도를 가지고 있 는바, 그것은 정치ㆍ경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교육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대학교 육제도는 핵심역량과 같은 수단적 가치에 매몰될 수 없고 교육제도의 목적을 구현 해야 한다. 교양교육제도의 목적은 핵심역량 키우기가 아니라 교양능력 키우기이 다. 교양능력 키우기는 교육목적으로서 ‘책임감을 가진 자유시민’을 양성하는 것임 을 선언한다. 둘째, 대학은 핵심역량 키우기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학교의 교육력’ 키우기에 집중하는 정책적 지원을 기획해야 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 라, 어떻게 교육력을 키워 그것이 학생의 능력을 키우는 토대가 될 수 있을까를 숙 고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교육력’ 개념을 굳건히 가져야 하고 그 ‘교육력 구조’를 학교내에 체제화해야 한다. 교육력의 구성요소는 교양교육 관련 교수의 코스웍 기 획, 코스웍 기획에 대한 학교의 지원행정력, 공개와 개방의 제도화를 이끄는 평가ㆍ 피드백 기제의 작동에 대한 것이다. 이 교육력 구조가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학교는 인적ㆍ물적ㆍ문화적 자원의 확보와 운영에 충실해야 한다. 셋째, 종래의 기본역량진단은 그 자체 평가주의의 오만성을 지니고 있으며, 관료 주의적 형식주의적 대응 등의 병리적 현상을 낳고 있다. 이를 극복하는 진단 방향 의 대강으로서 진단 거버넌스의 교체, 교양능력 키우기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육 력 구조의 형성에 대해 제안하였고, 그 진단방식의 대안으로서 원리적 수준에서 진 단의 전체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alternative methods to assess competencies in relation to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 summary of discussion thus far is as follows. Firstly, universities have various educational systems on account of educational rather than training institutions. These are for education rather than politics/economy, and therefore university educational systems must realize their purposes without being buried in instrumental values such as core competences. Within that context, the purpose of systems on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develop liberal arts competence rather than core competencies. Improving the competence is to declare fostering “responsible, free citizens” for educational purposes. Secondly, universities must build enterprise in policy to support by focusing on developing educational ability rather than being absorbed in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University should consider how it can be a basis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e by developing educational ability instead of taking issue with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achieve that, concept of “educational capabilities” is firmed and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ability is systematized within university. Components of educational ability are professors’ enterprise of coursework rel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administrative support power for coursework enterprise, and operation of an evaluation/feedback mechanism that leads to institutionalization of release and openness. Universities must be devoted to procuring and working with human/physical/cultural resources so this structure of educational ability can perform its own functions. Thirdly, conventional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has the arrogance of evaluationism itself and causes pathological phenomena such as formalistic bureaucratic responses. This study proposes the replacement of assessment governance, organization/operation of the curriculum on liberal arts to develop liberal arts competence as the general direction of overcoming the arrogance and phenomena, and a comprehensive assessment framework at the fundamental level as an alternative means of assessment for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교양능력 키우기의 교육실천론

        손종현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핵심역량 담론에 대해 비판적인 고찰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핵심역량은 기업의 논리와 경영의 논리에 의한 것이므로 교육의 장면에서는 이 개 념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것을 대체하는 개념으로서 ‘교양능력’이 성립하는 바, 이 교양능력은 교육논리에 의해 정당화된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 개념을 유보하고 교양 능력 개념으로 대체해야 한다. 둘째, 근본적 문화능력(교양능력)이 실재한다. 교양 능력을 키우는 교양교육, 이것이 오늘날 요구되는 교육실천의 논리이어야 한다. 셋 째, ‘일다운 일을 하는 사람’을 키우는 것이 대학의 권능이다. 그 사람을 ‘모험하는 자아’라고 한다. 그 자아를 키우는 것이 대학 교양교육의 지향이다. 교육의 개념이 올바로 정립되어야 교육실천이 올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다. 잘 못된 교육개념은 교육을 방해하고 오히려 반(反)교육으로 이끈다. 교육의 개념을 명료하게 이해하는 것은 제도와 체제를 가지런히 하는 일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다. 핵심역량 교육 담론과 관련하여 더욱 그러하다. This research aims to critically consider the discourse of key competency on liberal education. Key competency should be minimized in the educational scene because it is based on the logic of business and management. As a concept that replaces it, there is ‘cultural capability’ which is justified by the educational logic.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so far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key competency should be reserved and replaced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capability. Second, the fundamental cultural capability is real. Liberal education cultivates cultural capability, which should be the logic of educational practice today. Third, it is the power of the university to cultivate people who do good work. The person is called the ‘adventurous self’. The orientation of liberal education is to cultivate this adventurous self. When the concept of education is properly established, educational practice can go on the right path. Misconceptions on education hinder education and rather lead to anti-education. Clearl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education is as important as arranging institutions and systems. This is even more so with regard to the educational discourse of key competency.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실현에 관한 제언

        김혜영,유지현,이숙정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1

        대학을 향한 핵심역량강화에 대한 요구는 수년째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학과 교수들은 여전히 역량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는 등 역량에 대한 찬성과 반 대의 주장을 펼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을 둘러싼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역량에 대한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을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이 핵심역량강화에 대한 요구를 수 용할지 거부할지에 대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면 핵심역량을 직업과 직무에 관련된 능력만이 아니라 스스로 삶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일상적인 힘이나 해낼 수 있는 능력으로 일반화하여 접근할 수 있기를 제언하였다. 즉 역량이 개인이 삶을 살아가 는 힘이기 때문에 대학에서 이 역량을 강화시켜 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면 그 이후에는 교양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강화 방법에 대해 고민할 수 있다는 것이 다. 사회적 요구에 보다 합리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대학이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즉 핵심역량과 교육영역, 특 히 교양교육의 연계를 더욱 강화시키고자 하는 교수와 대학들이 있다면 무엇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본 연구가 수행되었 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대학들의 핵심역량을 교육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노 력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더 나아가 추진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즉, 핵심역량기반의 교양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제언을 통해 대학 교양교육 운영에 있어서 작지만 현실적인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Amid growing calls for strengthening key competencies toward universities for years, universities and professors are still offering various opinions on competence. Controversy continues over pros and cons of competence, but this study wanted to reflect on the needs of stakeholders surrounding universities. In other words, as a concern about how universities can accept core competencies, it was proposed to define core competencies more broadly as everyday forces that can create life on their own, not as vocational and job-related abilities.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judge more reasonably on their demand for strengthening their core competencies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Therefore, if there are professors and universities who want to further strengthen the link between core competence and education, realistic ideas will be needed,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his end, efforts to link the core competencies of Korean universities to educationally were organized step by step and various alternatives were proposed. In other words, it is hoped that the proposal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will be a small but realistic study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사회과학 고전 교양교육의 수업의 필요와 방향 -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조사에 기초하여

        김성희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2

        본고에서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진행 중은 ‘과학, 커뮤니케이션 기술, 그리고 과학문화 정책의 대전환 연구’에서 수행중인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 사 중 교육 분과에 대한 기초분석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교육내용과 교육의 방향을 사회과학 고전 교양교육을 통해 살펴보는데 있다. 4차 산업혁명시 대의 교육과 교육정책의 교육주체, 교육의 방향, 교수법, 교실공간의 변화, 창의력 확보를 위한 환경적 요소 및 창의력 제고를 위한 요건에 대한 설문과 응답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용어는 익숙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 대에 필요한 교양교육의 방향과 내용, 수업운영에 대한 논의 등이 좀 더 활발히 이 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논의되고 있는 4차 교육혁명(빅데이터, IoT, 메타버스 등을 활용)의 목적 역시 의사소통을 활용한 포용적 교육에 기초 하고 있음을 사회과학 고전 교양교육을 통해 제고할 수 있다는 데 있다. 특히 인류 세 담론과 더불어 사회과학의 고전을 대학 교양교육에서 융합적으로 활용함으로 서, 학습자의 진로탐색 및 설계와 지속가능한 발전 맥락의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참조되길 바란다. In this pap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rough a basic analysis of the education division among the public perception survey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is being carried out in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scienc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cience and culture policy’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direction of education necessary for social science through classical liberal arts education. You can check the questionnaires and responses to the educational subjects of education and education polic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irection of education, teaching methods, changes in classroom space, environmental factors for securing creativity, and requirements for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this, although the termi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familiar, there is a need to actively discuss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requi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discussion of class op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purpose of the 4th educational revolution (using big data, IoT, meta-verse, etc.), which is being discussed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lso based on inclusive education using communication. It can be improved through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hoped that it will be referred to in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explore and design their career paths and practic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using the classics of social sciences together with the Anthropocene discourse convergence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 기반의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화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에 있어서 핵심역량을 어떻게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며, 환류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을 제 시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교양교육과정에서 어떻게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측정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양교육과정에 역 량 중심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단 순히 인력 양성을 위한 사회 기능적 관점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학생의 고른 성장을 돕기 위한 적절한 교육과정,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환경적인 인프라를 총체적으로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으로 운영하는 목 적은 학생의 측면에서는 강의실에서 배우는 것과 실제 수행 간의 간극을 좁힘으로 써 실행력을 함양하도록 돕고, 조직의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성과를 기반으로 정책을 세울 뿐 아니라 정책 적용의 결과로 실제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환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 는 교양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대학의 인재상과 교양교육대 학의 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의 구성 비율을 설정한 후, 교과목별로 주요 핵심역 량을 매치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에는 핵심역량의 변화 정도를 분 석하고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을 통해 환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양교육 방법과 교수 모 형의 보급, 신뢰로운 평가 도구의 개발, 그리고 교육과정에 대해 내용 중심이 아니 라 목표와 방법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lternatives for how to reflect core competencies in curriculum of liberal arts education, analyze the effects, and improve the curriculum. For this study, previous researches on how to set and measure core competencies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rawn. Introduc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per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not simply as a social and functional point of view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but from the aspect of overall construction of an appropriate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to help students grow even.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ies is to help students to develop real world problem solving skills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actual performance from personal perspectives, and not only to establish policies but also to support and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s organizational perspectives. In order to actually operate a competency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effectively, there have to be defined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et the ratio of the core competencies that meet the goal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selected the core competencies matching the subjects. After the curriculum operation, there should be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s in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returned the results through curriculum improvement. In order for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o operate effectivel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models and reliable evaluation tools not centered on contents but focused on goals and methods for the liberal art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