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유방단층영상합성법의 FBP 알고리즘 적용을 위한 다양한 필터 조합에 대한 연구

        이행화,김예슬,이영진,최성훈,이승완,박혜숙,김희중,최재구,최영욱,Lee, Haeng-Hwa,Kim, Ye-Seul,Lee, Youngjin,Choi, Sunghoon,Lee, Seungwan,Park, Hye-Suk,Kim, Hee-Joung,Choi, Jae-Gu,Choi, Young-Woo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4 의학물리 Vol.25 No.4

        최근에 디지털 유방촬영술(digital mammography, DM)의 해부학적 구조의 겹침 현상과 컴퓨터단층촬영영상(computed tomography, CT)의 높은 환자 선량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유방단층영상합성장치(digital breast tomosynthesis, DBT)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DBT 시스템은 제한된 각도로 영상을 획득하면서 급격한 데이터 결핍으로 인해 다른 층의 간섭으로 인한 인공물(artifacts)이 발생한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적절한 필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BT 시스템에서 FB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재구성 시 발생되는 인공물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필터조합을 찾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시뮬레이션과 실제 실험을 통해 동일한 영상 획득조건에서 FBP 알고리즘을 이용해 재구성된 영상을 분석하여 다양한 필터 조합들의 특성을 조사했다. 필터 특성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영상 및 프로파일의 분석과 COV (coefficient of variation)를 이용하여 인공물과 잡음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분광필터(spectral filter)의 파라미터 인자 값들을 조절하여 cut-off frequency를 설정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 있는 영상의 잡음을 줄일 수 있었다. DBT 시스템에서 유방팬텀을 재구성한 영상들을 비교했을 때 분광필터의 파라미터 인자를 0.25로 적용한 영상의 결과는 분광필터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영상의 잡음을 10%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절편두께필터(slice thickness filter)의 파라미터 인자의 값들을 조절하여 정보들의 불균형을 줄임으로써 다른 층의 간섭으로 인한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FBP 알고리즘으로 재구성했을 때 필터들의 기본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적절한 필터 조합이 실제 화질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다양한 필터 조합에 따른 잡음과 데이터 결핍에 의한 인공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DBT 시스템의 개발 및 임상화적용 연구에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DBT) has been investiga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mammography for overlapping anatomical structures and high patient dose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However incomplete sampling due to limited angle leads to interference on the neighboring slices.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o reduce artifacts such as interference. Moreover, appropriate filters for tomosynthesis have been researched to solve artifacts resulted from incomplete sampling.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appropriate filter scheme with FBP reconstruction for DBT system to reduce artifa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various filter schemes with simulation and prototype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under same acquisition parameters and conditions. We evaluated artifacts and noise with profiles and COV (coefficinet of variation) to study characteristic of filter. As a result, the noise with parameter 0.25 of Spectral filter reduced by 10% in comparison to that with only Ramp-lak filter. Because unbalance of information reduced with decreasing B of Slice thickness filter, artifacts caused by incomplete sampling reduced. In conclusion, we confirmed basic characteristics of filter operations and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by appropriate filter sche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BT system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is about noise and artifacts depend on various filter schemes.

      • KCI등재

        Digital Chest Tomosynthesis에서 부가필터에 따른 화질 및 유효선량

        김계선(Kye Sun Kim),김성철(Sung chul Kim) 대한방사선과학회 2015 방사선기술과학 Vol.38 No.4

        디지털 흉부단층합성법 검사에서 부가필터 사용에 따른 환자의 선량과 화질의 특성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부가필터의 종류는 구리, 알루미늄, 니켈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 각 각의 부가필터에 따른 유효선량, 면적선량을 측정해 보았고, 화질의 물리적 평가방법으로 signal to noise ratio (SNR)과 contrast to noise ratio (CNR)을, 시각적 평가방법으로 contrast detail (CD) phantom을 이용한 CD 곡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부가필터별 조사선량이 비슷한 두께는 0.3 mmCu, 3 mmAl, 0.3 mmNi 였으며 부가필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조사선량 값이 평균 33.1% 감소하였다. 각 필터 별 dose area product (DAP) 선량값을 측정한 결과 Ni를 사용하였을 때 선량이 72.9% 감소하여 가장 낮았으며, 필터별 DAP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per additional filtration by comparisons patient dose and im-age quality among additional filters in digital chest tomosynthesis (DTS). We measured the effective dose, dose area product (DAP) by changing thickness of Cu, Al and Ni filter to compare image quality by CD curve and SNR, CNR. Cu, Al and Ni exposure dose were similar thickness 0.3 mm, 3 mm and 0.3 mm respectively. The ex-posure dose using filter was decreased average about 33.1% than non filter. The DAP value of 0.3 mm Ni were decreased 72.9% compared to non filter and the lowest dose among 3 filter. The effective dose of 0.3 mm Ni were decreased 48% compared to 0.102 mSv effective dose of non filter. At the result of comparison of image quality through CD curve there were similar aspect graph among Cu, Al and Ni. SNR was decreased average 19.07%, CNR was average decreased 18.17% using 3 filters. In conclusion, Ni filtration was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when considered comprehensive thick-ness, character, sort of filter, dose reduction and image quality evaluation in DTS.

      • KCI등재

        분산산술연산방식을 이용한 MPEG-1 오디오 계층 3 합성필터의 FPGA 군현

        고성식,최현용,김종빈,구대성,Koh Sung-Shik,Choi Hyun-Yong,Kim Jong-Bin,Ku Dae-Sung 한국음향학회 2004 韓國音響學會誌 Vol.23 No.8

        반도체 기술과 멀티미디어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고품위 영상과 다중 채널의 오디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MPEG 오디오 계층 3 디코더는 표준안에 기반을 둔 프로세서로써 기존에 많이 구현되어 있다. MPBG-1오디오 계층3 디코더의 합성필터는 디코더 전체에서 가장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속 프로세서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연산량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합성필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PEG-1 오디오 계층 3의 핵심부분인 합성필터 부분을 DALUT (distributed arithmetic look-up table)방식을 이용하여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 구현하였다. 고속 필터를 설계하기 위해서 승산기 대신에 DALUT방식을 사용하였고, 파이프라인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를 코사인 함수와 곱셈한 결과를 테이블로 만듦으로써 곱셈기를 제거하여 30%의 성능향상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의 하드웨어 설계는 모두 VHDL (VHSIC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로 기술하였다. VHDL 시뮬레이션은 ALDEC사의 Active-HDL 6.1과 Model-sim 및 합성은 Synplify Pro 7.2v을 사용하였다. 대상 라이브러리는 XILINX사의 XC4010E, XC4020BX, XC4052 XL, P&R 툴은 XACT Ml.4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프로세서는 20MHz∼70MHz사이에서 동작한다. As the technologies of semiconductor and multimedia communication have been improved. the high-quality video and the multi-channel audio have been highlighted. MPEG Audio Layer 3 decoder has been implemented as a Processor using a standard. Since the synthesis filter of MPEG-1 Audio Layer 3 decoder requires the most outstanding operation in the entire decoder. the synthesis filter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operation is needed for the design of the high-speed processor.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ynthesis filter. the most important part of MPEG Audio, is materialized in FPGA using the method of DAULT (distributed arithemetic look-up table). For the design of high-speed synthesis filter, the DAULT method is used instead of a multiplier and a Pipeline structure is use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by 30% is obtained by additionally making the result of multiplication of data with cosine function into the table. All hardware design of this Paper are described using VHDL (VHIC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Active-HDL 6.1 of ALDEC is used for VHDL simulation and Synplify Pro 7.2V is used for Model-sim and synthesis. The corresponding library is materialized by XC4013E and XC4020EX. XC4052XL of XILINX and XACT M1.4 is used for P&R tool. The materialized processor operates from 20MHz to 70MHz.

      • KCI등재

        개선된 발현악기의 루프 필터 설계 방법

        조상진,Cho, Sang-Jin 한국음향학회 2011 韓國音響學會誌 Vol.30 No.2

        본 논문에서는 발현악기 물리적 모델링에서의 개선된 루프필터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V$\"{a}$lim$\"{a}$ki가 제안한 기존의 루프필터 설계 방법은 악기의 음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타당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악기 음의 주파수 의존 감쇠를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녹음된 악기의 단위음에 대해 감쇠구간을 선택, 배음의 개수를 최소 5개부터 20개까지 변경하며 루프필터의 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한 합성음과 원 신호 간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좋은 파라미터를 선택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 검증을 위해 몸통의 구조와 현의 재질이 각각 다른 기타, 가야금, 거문고를 대상악기로 선정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배음의 지속시간에 상관없이 악기 음의 주파수 의존 감쇠를 잘 표현하는 루프필터 파라미터를 추정해 낼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a development of a loop filter design in a physical modeling of the plucked string instrument. The conventional method proposed by V$\"{a}$lim$\"{a}$ki cannot estimate right parameters if a sound has either very short sustain or no sustain. In order to overcome this drawback, we propose the use of the decay region and 5 to 20 harmonics of the sound in the estimation of loop filter parameters. The most appropriate filter coefficient is chosen by frequency signal to noise ratio.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guitar, gayageum and geomungo were selected as the target because they have different shape, structure, and material of strings. Regardless of the duration of harmonics, the proposed method was able to estimate the loop filter parameters representing frequency-dependent damping of harmonics.

      • KCI등재

        HSE Block : SE Block을 활용한 합성곱 신경망 필터 수 자동 최적화

        김태욱,정현진,홍정희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2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3 No.3

        본 논문은 탐색 알고리즘 없이 자동으로 모델의 합성곱 필터의 개수를 최적으로 결정할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SENet에서 제안한 SE Block을 합성곱 신경망에 연결하고 하단의 학습하지 않는 합성곱 신경망을 연결한 HSE Block을 제안한다. HSE Block 모델에 두 개의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필터의 개수를 3 epoch 당 1개씩 증가시키는 실험과 필터 내의값에 따라 필터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을 바탕으로 한 층의 HSE Block이 아닌 다층의 HSE Block으로 모델을 구성하고, 기존의 실험할 때 사용한 데이터셋에 비해 더욱 학습하기 어려운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존보다 학습하기 어려운 데이터셋에 대해 HSE Block의 개수를 2개, 3개, 4개, 5개로 두고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HSE Block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study how we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number of convolutional filters for the optimal model without a search algorithm. This paper proposes HSE Block by connecting SE Block proposed in SENet to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connect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not learned at the botto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filters by one per 3 epoch using two datasets for the HSEBlock model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filters by the value in the filter. Based on this experiment, the model was constructed with multi-layer HSE Block instead of layer HSE Block,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a dataset that was more difficult to learn than the one used in the previous experiment. The effect of HSE Block was verified by conducting an experiment with the number of HSE Blocks set to 2, 3, 4, and 5 on a dataset that is more difficult to learn than before.

      • KCI등재후보

        합성 스테레오 방식 3차원 입체음향의 실시간 구현을 위한 머리전달 함수의 IIR 필터 설계

        김현태,박장식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6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lgorithm for the approximation of high order FIR filters by low order IIR filters to efficient implementing two channel 3-D surround sound systems using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HRTFs). The algorithm is based on a concept of the balanced model reduction. The binaural sounds using the approximated HRTFs are reproduced by headphone, and serves as a cue of sound image localization. HRTFs of dummy-head are approximated from 512-order FIR filters by 32-order IIR filters and compare with each other. .Experiment of sound image are carried out for 10 participants. We perform the experiment based on computer simulation and hardware experiment with TMS320C32.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localization using the approximated HRTFs is the same accuracy as the case of FIR filters that simulate the HRTFs. 본 논문에서는 2 채널 입체음향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고차의 FIR 필터로 구현된 머리 전달함수를 저차의 IIR 필터로 근사시키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균형화모델감소법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근사화된 머리전달함수를 헤드폰을 통해 바이노럴 사운드로 재생하면 입체음향이 구현된다. 더미 헤더의 머리전달함수를 512차 FIR 필터에서 32차 IIR 필터로 근사화하여 기존의 머리전달함수와 성능을 비교한다. 이를 위해 10명을 대상으로 음상 정위에 대한 실험을 한다. 실험은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TMS320C32를 이용한 하드웨어 실험을 병행한다. 실험을 통해 기존의 FIR 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IIR 필터로 근사화된 머리전달함수를 사용한 경우도 동일하게 인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부가필터를 적용한 디지털 흉부단층합성검사에서 환자 체형에 따른 화질 평가와 선량감소 효과

        복근성(Geun Seong Bok),김상현(Sang Hyun Kim)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1

        흉부 단층 합성검사(Chest Digital Tomosynthesis, DTS)시 환자 체형에 따른 0.3 mm 구리 필터의 적용 및 AEC의 감도 변화에 의한 유효선량감소 효과와 폐 결절 검출능력을 평가하여 선량 최적화 조건을 평가하고자 한다. 8개의 인공 결절을 인체 팬텀 폐 영역내에 삽입하고 0.3 mm 구리 필터 적용 유무, 감도 변화에 따라 팬텀의 DTS 영상을 각각 획득하였다. 환자 체형에 따른 비교를 위해 팬텀 사이즈를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small size에서는 결절이 삽입된 인체 팬텀을 단독으로 사용하였고 Average size에서는 한 개의 PMMA를, Large size에서는 두 개의 PMMA를 인체팬텀 후방에 밀착하여 위치시켰다. 유효선량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계산 되었고 영상의 화질평가를 위해서 CNR과 SNR 측정을 통한 정량 평가와 인공결절 검출 수를 통한 검출민감도로 정성평가를 시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효선량은 Small size일 때 26 µSv, Average size 70µSv, Large size 133µSv 감소하였다. 유효선량은 0.3mm 구리 필터의 적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량적 화질 평가에서는 0.3mmCu필터 사용 시 CNR과 SNR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정성적 화질평가에서도 결절 검출 민감도는 팬텀 사이즈별 전체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DTS에서 0.3 mmCu필터의 사용은 폐 결절 검출에서 진단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환자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험에서 Large size 그룹의 경우 유효선량 감소 정도가 두드러진 점으로 보아 실제 체형이 큰 환자의 경우 0.3 mm Cu필터 사용은 더 높은 유효선량 감소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effect of patient size on effective dose and image quality for Digital Chest Tomosynthesis(DTS) using additional 0.3 mm copper filtration. Eighty artificial nodules were placed in the thorax phantom(“Lungman,” Kyoto Kagaku, Japan), and Digital Chest Tomosynthesis(DTS) images of the phantom were acquired both with and without added 0.3 mm Cu filtration. To simulate patients of three sizes: small, average size and oversize, one or two 20-mm-thick layer of PMMA(polymethyl methacrylatek) blocks were placed on the phantom. The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Two evaluations of image quality methods have been employed. Three readers counted the number of nodules detected in the lung, and the measured contrast-to-noise ratios(CNR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ED reduced 26μSv in a phantom, 33μSv in one 20-mm-thick layer of PMMA block placed on the phantom, and 48μSv in two 20-mm-thick layer of PMMA blocks placed on the phantom. The Effective dose(ED) differences between DTS with and without filtration were significant(p<0.05). In particular, when we used two 20-mm-thick layer of PMMA blocks placed on the phantom, the ED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36% compared with those without additional filtration. Nodule detection sensitiviti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with and without added filtration. Differences of CNR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p>0.05). Use of additional filtration allows a considerable dose reduction during Digital Chest Tomosynthesis(DTS) without loss of image quality. In particular, additional filtration showed outstanding result for effective dose reduction on two 20-mm-thick layer of PMMA blocks placed on the phantom. It applies to overweight patients.

      • KCI등재

        Evaluation of Woodchip and Synthetic Fiber as Biofilter Media for the Treatment of Livestock Stormwater

        청징(Jing Cheng),게라 하이디(Heidi B. Guerra),김영철(Youngchul Kim)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합성섬유로 충진된 바이오필터(FBF)와 우드칩으로 충진된 필터(WBF)로 구성된 수직흐름형 습지공정(BFS)의처리성능을 평가하였다. BFS 시스템에서 단독 필터를 사용한 것보다 두개의 필터를 직렬로 결합한 경우 특히 질소제거에 탁월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FBF 공정에서는 암모니아 질소 100%가 활발한 질산화 반응을 통하여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었으며후속 WBF에서 77%의 질산성 질소가 제거되어 우드칩이 제공하는 탄소가 탈질반응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바이오필터의 성능은 유입특성에 상관없이 독립적인 성능을 보였으며 인 제거에도 효과가 있었으나 종종 용출징후가 나타났으며 현장적용시에는 이와 같은 사항을 유념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회귀식 분석결과 운전시간에 따른 바이오 필터내부의미생물 증식상태를 간접적으로 암시해 주었다. 본 연구결과 질소제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여재를 이용한 수직흐름형 직렬식 습지 공정은 전형적인 수직-수평흐름 습지와 비교하여 비용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Two vertical flow biofilters in series (BFS) employing synthetic fiber (FBF) followed by woodchip (WBF)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assess it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to the typical vertical-horizontal flow configuration in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specifically nutrients and organics. These lab-scale column biofilters were operated for 176 days alongside three other columns that were added for control and sampling purposes. The biofilter columns were fed with either a semi-artificial piggery stormwater or artificial stormwater with specific ammonia and nitrate contents. Results reveal that the BFS was more effective than a single biofilter in removing pollutants especially nitrogen. FBF was found to remove up to 100% of ammonia from the stormwater with corresponding increase in nitrate in the outflow which shows evidence of active nitrification. Meanwhile, the succeeding vertical WBF was able to subsequently remove 77% of the nitrate. The effective reduction of nitrate in a vertical flow biofilter was believed to be due to the use of woodchip which can provide a carbon source that is required for denitrification.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to support this claim. Nonetheless, the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vertical flow BFS as a nitrogen removal mechanism especially in areas where enough land space for horizontal flow biofilters is limited.

      • KCI등재

        음성 합성기를 위한 문맥 적응 스무딩 필터의 구현

        이기승,김정수,이재원 한국음향학회 2002 韓國音響學會誌 Vol.21 No.3

        문자-음성 합성기 (Text-To-Speech, TTS)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 중의 하나는 음소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저역 여파기를 이용한 스무딩 기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스무딩 기법은 스무딩의 정도를 제어하는 필터 계수를 현재 합성하고자 하는 문맥에 따라 결정하여, 경계에서의 불연속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스무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음성의 왜곡을 억제하였다. 스무딩 정도는 현재 합성된 음성의 불연속 정도와 주어진 문맥으로부터 예측된 불연속 정도를 통해 결정하였으며, 문맥으로부터 불연속 정도의 예측은 음소 정보를 입력, 불연속 값을 출력으로 하는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코퍼스 기반 연결(corpus-based concatenative) 문자-음성 합성기를 기본 시스템으로 사용하였으며, 청취 테스트에서 60%이상 의 청취자가 제안된 스무딩 기법을 통해 합성된 음성이 스무딩 기법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명료성과 자연성 면에서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One of the problems that should be solved in Text-To-Speech (TTS) is discontinuities at unit-joining points. To cope with this problem, a smoothing method using a low-pass filter is employed in this paper, In the proposed soothing method, a filter coefficient that controls the amount of smooth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contort information to be synthesized. This method efficiently reduces both discontinuities at unit-joining points and artifacts caused by undesired smoothing. The amount of smoothing is determined with discontinuities around unit-joins points in the current synthesized speech and discontinuities predicted from context. The discontinuity predictor is implemented by CART that has context feature variabl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a corpus-based concatenative TTS was used as a baseline system. More than 6075 of listeners realized that the quality of the synthesized speech through the proposed smoothing is superior to that of non-smoothing synthesized speech in both naturalness and intelligibility.

      • KCI등재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장치의 영상획득 조건에 따른 화질 분석

        이다혜,이승완,김번영,임도빈,남기복,조정효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construction filters, X-ray source trajectories and intervals in the quality of digital tomosynthesis (DT) images, and the results was clinically validated. The filtered back-projection was implemented by using Ramp, Shepp-Logan, Cosine, Hamming, Hann and Blackman filters, and the X-ray source trajectories were simulated with 1 × 36, 2 × 18, 3 × 12, 4 × 9 and 6 × 6 arrays. The X-ray source intervals were 5, 10, 20, 30 and 40 mm. The depth resolution, spatial resolution and noise of DT image were evaluated by measuring artifact spread function (ASF),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and signal-to-noise ratio (SNR),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atial resolution and noise properties of DT images were maximized by the Ramp and Blackman filters, respectively, and the depth resolution and noise properties of the DT images obtained with a 1 × 36 X-ray source trajectory were superior to the other trajectories. The depth resolution and noise properties of DT images improved with an increase of X-ray source intervals, and the high X-ray source intervals degraded the spatial resolution of DT image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DT images are highly dependent on reconstruction filters, X-ray source trajectories and intervals, and it is necessary to use optimal imaging parameters in accordance with diagnostic purpose. 본 연구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장치에서 재구성 필터, X-선원 이동궤적 및 이동간격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임상적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터링후역투영법 재구성 시 Ramp, Shepp-Logan, Cosine, Hamming, Hann 및 Blackman 필터를 사용하였고, X-선원 이동궤적의 변화를 위해 1 × 36, 2 × 18, 3 × 12, 4 × 9 및 6 × 6 배열 형태의 이동궤적을 모사하였다. X-선원 이동간격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X-선원간 거리를 5, 10, 20, 30 및 40 mm로 변화시켰다. 재구성 영상의 깊이분해능, 공간분해능 및 잡음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물확산함수, 반치폭 및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Ramp 및 Blackman 필터를 사용하였을 때 각각 공간분해능 및 잡음 특성이 최대화 되었으며, X-선원 이동궤적의 형태가 1 × 36일 때 깊이분해능과 잡음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X-선원 이동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깊이분해능 및 잡음 특성은 향상되었고, 공간분해능은 저하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장치를 통한 3차원 영상획득 시 재구성 필터, X-선원 이동궤적 및 이동간격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르며, 진단 목적에 부합하는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