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첩 한자어부사와 동형 중국어의 의미 비교

        王丹丹(Wang Danda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내용들을 바탕으로 중첩 한자어부사들의 내부구조 및 ‘-하다’, ‘-히’히와의 결합 양상을 고찰한 다음에 동형인 중국어와 의미 비교를 했다. 한국 한자어부사 중에 중첩 형태가 많은데 이들이 종래의 연구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중첩 한자어부사들을 유형별로 나누어 내부구조를 분석했다. 또한 ‘-하다’ 및 ‘-히’와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중첩 한자어부사를 ‘동근사(同根詞)’라 부르고 동근사들의 의미가 비슷하다는 것도 확인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중첩 한자어부사와 동형인 중국어의 의미 비교는 사전에 등재된 뜻풀이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즉 『고대한어사전』와 『현대한어사전』에 등재된 중첩 한자어부사와 동형인 중국어의 뜻풀이를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중첩 한자어부사의 뜻풀이와 비교했다. 이는 한국 중첩 한자어부사와 중국어의 의미관계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paper, the duplicated Sino-korean is divided into 6 types. AA type, AABB type, ABAB type, ABAC type, ABCB type, ABA type. AA type, AABB type and ABAB type is full duplication. ABAC type, ABCB type and ABA type is partial duplication. This paper examined the duplicated Sino-korean adverb and ‘-하다’ or ‘-히’ combination. here we called them same root words and they have the same meaning. Some duplicated Sino-korean adverb can be found both in 〈Modern Chinese Dictionary〉 and 〈Ancient Chinese Dictionary〉, and some duplicated Sino-korean adverb only can be found in one of the dictionary. Most of them are AA type. Because 4 character structure in Chinese are often used as phrases. Then we compared duplicated Sino-korean adverb meaning in 〈Korean standard dictionary〉 and chinese dictionary. Although some of them have different meanings, but most of them have same meaning. This study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uplicated Sino-korean adverb and same form Chinese.

      • KCI등재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한자어 부사 사용 양상 연구 : 고빈도 한자어 부사 36개를 중심으로

        정비(Ding Fe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인 모어 화자들이 고빈도로 쓰이고 있는 한자어 부사를 사용하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립국어원 300만 어절 세종말뭉치와 학습자말뭉치를 기반으로 하고, 자료 처리는 counter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counter를 이용하여 세종말뭉치에서 고빈도로 출현한 36개 한자어 부사 목록을 선정하고 그 다음에 언어권과 숙달도에 따라 학습자말뭉치에서 36개 한자어 부사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며 마지막으로 중국어권 학습자 36개 한자어 부사의 오류 양상과 오류율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어권 학습자의 고빈도 한자어 부사의 사용 빈도는 모어 화자와 다른 언어권 학습자보다 많았으며, 그중에 ‘지금’, ‘열심히’, ‘정말’, ‘항상’, ‘계속’, ‘점점’, ‘특히’, ‘별로’ 중국어권 학습자가 우세성을 띠고 자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등급이 높아지면 사용하는 한자어 부사가 많아지고 특정 부사에 집중도가 떨어지지만 모어 화자보다 어휘 사용의 다양성이 부족하며, 한국어 교육용 어휘 등급 구분을 대비하여 학습자가 특정 어휘를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고 예측했다. 마지막으로 오류 양상은 음운 규칙이나 학습자의 실수로 인한 형태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어 시간 부사와 빈도 부사 내부의 부사들 간의 혼동이 가장 흔한 오류이다. 또한 한자어 부사 오류는 등급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밝히며, 이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hinese Korean learners use sino-Korean adverbs, which are being used at high frequency by Korean speak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million characters Sejong corpus and the learner s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the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the counter and the SPSS 25.0 program. A brief presentation of the results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requency of use of Sino-Korean Adverbs by Chinese Learners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speakers and other learners. Among them, Chinese learners of ‘지금’, ‘열심히’, ‘정말’, ‘항상’, ‘계속’, ‘점점’, ‘특히’, and ‘별로’ were frequently used with predominance. Next, it is predicted that the next higher grade will increase the number of Sino-Korean adverbs used, reduce the concentration of certain adverbs, but lack the diversity of vocabulary use compared to More speakers, and that learners will often avoid certain vocabulary words in preparat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vocabulary rating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the error pattern was most common, with form errors due to phoneme rules or learners mistakes, followed by confusion between time adverbs and degree adverbs internal confusion. In addition, the Sino-Korean adverbs error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suggesting several implications.

      • KCI등재

        한자어 부사의 형태론적 패턴에 대한 고찰

        두청(DU, JI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56

        국어 형태론적 패턴에는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연쇄적 패턴과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지 않는 비연쇄적 패턴이 있다. 이 논문은 형태소가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한자어 부사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연쇄적 패턴과 비연쇄적 패턴에 해당하는 것을 유형화하고자 한다. 패턴 유형별로 분류하면 한자어 부사의 연쇄적 패턴은 파생과 합성으로, 비연쇄적 패턴은 전환, 중첩, 혼종어로 구성된다. 파생 한자어 부사는 주로 2음절 이상의 어기와 결합하는 단어를 중심으로 접사의 판별기준에 따라 접두사와 접미사 설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합성 한자어 부사의 유형은 크게 직접 구성 요소의 자립성 유무와 직접 구성 요소의 관계로 나누고 분석하였다. 전환은 어기의 형식이 같은 채 접사를 결합하지 않고 품사의 성질을 바꾸는 패턴이다. ‘명사-부사’의 통용과 ‘수사-관형사-명사-부사’의 통용이 있다. 중첩은 의미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ABAB형’ 중첩, ‘AA형’ 중첩, ‘ABB형’ 중첩이 있다. 혼종어는 추가 유형으로 단어틀을 통해 서로 다른 어종의 언어 요소 결합을 논의하였다. The Korean morphological pattern has a cascade pattern in which morphemes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a non-cascade pattern in which morphemes are not sequentially arranged. In this paper, analyzes the formation process of adverbs arranged sequentially by morphemes, and try to typify those corresponding to cascade and non-cascade patterns. When classified by pattern type, the cascade pattern of Sino-Korean adverbs consists of derivation and synthesis, and the nonconsecutive pattern consists of conversion, reduplication, and hybrid word. The derivation Sino-Korean adverbs mainly discussed the prefix and suffix setting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the affix around the word which is combined with more than two syllable term. The types of synthetic Sino-Korean adverbs are divid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 component independence and direct component. Conversion is a pattern that changes the properties of parts of speech without combining affixes of the same form. There is a common use of ‘noun - adverb’ and ‘rhetorical - idiomatic - noun - adverb’. Reduplication plays a role in reinforcing meaning. There is the ‘ABAB-type’ reduplication, ‘AA-type’ reduplication and ‘ABB type’ reduplication. Hybrid word was discussed as an additional type, combining the elements of different fish species through word frames.

      • KCI등재

        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의 연구 성과와 과제

        이동석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1

        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은 접미사가 결합한 것, 용언의 활용형이 부사로 굳어진 것, 체언의 곡용형이 부사로 굳어진 것, 용언의 어간이 부사로 사용되는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접미사 결합형 부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X이’형이며, 이때의 ‘-이’는 원래 접미사가 아니라 어미였던 것으로 보인다. ‘X이’형 부사에서 ‘X’가 어근일 때는 ‘-이’의 성조가 평성이고 ‘X’가 어간일 때는 ‘-이’의 성조가 거성인데, 이는 전자의 ‘-이’는 접미사이고 후자의 ‘-이’는 원래 어미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X히’형 부사에서 ‘X’가 한자어일 때는 ‘히’의 성조가 대개 거성이므로 ‘X-+-이(어미)’의 구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X이’형 부사에서 ‘X’가 한자어일 때도 성조가 마찬가지여서 이때는 ‘X-+-이(어미)’에서 ‘ㅎ’이 탈락한 것으로 생각된다. ‘X히’형 부사에서 ‘X’가 고유어 불완전 어근인 경우는 극소수이지만 이때는 ‘히’의 성조가 대개 평성이어서 유추에 의해 ‘X이’형에 ‘ㅎ’이 첨가된 것으로 보인다. ‘X오’형 부사의 경우에도 ‘-오’가 어미처럼 기능하는 경우가 있고 성조도 대부분 거성이어서 ‘-오’가 원래 어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용언의 활용형과 체언의 곡용형이 부사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통사적인 구성이 부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several types in adverb derivation of middle Korean. These are suffix combination, conjugation of the verb and the adjective, declension of the noun and conversion of the stems. Among the suffix combination ‘Xi’ type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It seems that ‘-i’ was basically a connective ending, not a suffix. In ‘Xi’ type advetbs, when ‘X’ is the root, the tone of ‘-i’ is low. Also when ‘X’ is the stem, the tone of ‘-i’ is high. From this we can know that that is the suffix and this originally belongs to the connective ending. In ‘Xhi’ type adverbs, when ‘X’ is the Sino-Korean word, the tone of ‘-hi’ is high. From this we can know that ‘Xhi’ type adverbs were form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Xhʌ-(stem)’ and ‘-i(connective ending)’. In ‘Xi’ type adverbs, when ‘X’ is the Sino-Korean word, the tone of ‘-hi’ is also high. So we can konw that these were formed by h-deletion after combination of the ‘Xhʌ-(stem)’ and ‘-i(connective ending)’. In ‘Xhi’ type adverbs, when ‘X’ is the Korean irregular root, which is very rare, the tone of ‘hi’ is low. So I think that it was formed by h-insertion through the analogy. In ‘Xo’ type adverbs, sometimes ‘-o’ functions like the connective ending and the tone of ‘Xo’ is high. So it seems that ‘-o’ was oringed from the connective ending. It seems that the syntactic constructions were solidified to the adverbs, in the case of the adverbs of which form is same with the conjugation of the verb and the adjective and declension of the noun.

      • KCI등재

        의미중복 표현의 출현과 어휘ㆍ구문 습득 - ‘고유어 부사 + [한자어 어근+하-]A/V’ 형식을 중심으로 -

        안소진 ( An So-jin ) 국어학회 2014 국어학 Vol.72 No.-

        본고에서는 ‘고유어 부사 + [한자어 어근+하-]A/V’ 형식의 의미중복 표현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한자어의 이해와 관련된 의미 현상’의 틀 안에서 다룬다. 이 논의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원인으로 지목해 온 ‘한자어의 의미나 한자 형태소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함’은 의미중복 표현의 출현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지 않는다고 보았다. 국어 화자가 의미중복 표현을 구성하는 한자어의 의미와 한자 형태소의 의미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대신 어휘 습득 과정과 구문 습득 과정의 상호작용 때문에 이러한 표현이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부사를 중심으로 구문 패턴이 형성되는데 습득하는 어휘가 점차 많아지면서 패턴에 참여하는 용언의 수가 늘어난다. 습득하는 용언 수가 늘어날수록 다양한 의미적 성격의 용언이 패턴에 삽입되고, 삽입 용언에 복합적인 개념을 표현하는 한자어가 포함되면서 의미중복 표현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causes of the rise of pleonastic expressions with the form of “native Korean adverb + [Sino-Korean root + ha-]A/V.” Most preceding studies address this material within the framework of “semantic phenomena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Sino-Korean words.” The present discussion sees “ignorance of the precise meanings of Sino-Korean words and Sino-Korean morphemes,” pointed out in earlier research as the cause,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rise of pleonastic expressions. Instead, it argues that such expressions stem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xical acquisition process and the syntactic acquisition process. The following two points are used as the grounds. First, Korean speakers comparatively accurately grasp the meanings of Sino-Korean words and Sino-Korean morphemes that constitute pleonastic expressions. Second, phrasal patterns can be created with a focus on adverbs, and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fill in empty spaces in such patterns at disparate times.

      • KCI등재

        구결 자료의 어휘

        이병기 구결학회 2014 구결연구 Vol.33 No.-

        이 논문은 국어 어휘사 자료를 전반적으로 조망하는 큰 기획 목표 아래 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어휘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차적으로 전체 석독 어휘에 대하여 부사류, 동사류, 명사류로 나누고 각 부류별로 현토되는 구결자를 중심으로 유형화하여 분류하였다. 그리고 문헌별로 표기 양상과 출현 양상에서 유의미한 점을 찾을 수 있도록 출현 빈도도 함께 제시하였다. 부사류는 ‘X/’, ‘X’, ‘X’, ‘X//’, ‘X’, ‘X’, ‘X’, ‘X’, ‘X’ 등으로 유형화하였고 나머지 ‘新, 專, 已, 不’ 등의 부사들을 따로 묶어 제시하였다. 동사류는 ‘X//’, ‘X’, ‘X’, ‘X/’ 등으로 유형화 하였고 “삼다”류, “같다”류 그리고 ‘事, 入’ 등의 나머지 동사들을 따로 묶어 제시하였다. 명사류는 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문헌의 성격을 고려하더라도 명사류의 수가 많이 보이지 않는다. 특히 의존명사가 중세국어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국어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음독 한자 어휘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함께 이들에 대한 연구가 한자어의 수용 과정과 관련하여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논의에서 구결 자료의 어휘 전반에 대하여 목록화하고 유형화하지는 못하였지만, 구결 자료의 어휘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조감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대국어의 어휘 및 문법적 논의가 더 깊게 진척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언간 자료의 어휘사적 가치에 대한 연구

        박부자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본고는 언간 자료에 나타난 한자어, “아무쪼록”의 의미를 갖는 부사, 어간 복합어, 의태어, 물명 관련 어휘 등을 통해 사적인 연속선 상에서 언간 자료의 어휘가 갖는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언간 자료의 어휘는 언해본의 제약된 어휘 자료를 보완해 줄 수 있으며, 그간 국어사에서 연구가 미흡했던 한자어나 의태어 등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 또 그간 單線的으로 진행되었던 어휘사 연구가 지역, 성별, 연령 등 사회적 변인까지 고려한 重層的인 어휘사 연구로까지 나아갈 수 있는 바탕이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언간 자료의 어휘를 통해 16~19세기 언중들이 실제로 사용했던, 원문의 간섭을 받지 않은 자연스러운 국어 어휘의 모습과 그 변화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istorically lexical items in vernacular letters with a focus on Sino-Korean words, lexical variations of an adverb amuccolok(“아무쪼록”), stem compounds, mimetic expressions and names of things. Vocabulary in vernacular letters can supplement on the limited number of lexical items available in vernacular editions of Classical Chinese texts. It can also open up the research possibility for studying Sino-Korean words or mimetic expressions which have been rarely studied so far. Furthermore, vocabulary in vernacular letters can lay the ground work for further research on lexical history that take account of social variables such as region, sex or age. More importantly, lexical studies with vernacular letters enable us to trace the actual and natural use of lexicon—un-filtered through transliteration—and the historical changes.

      • KCI등재

        부사 파생 접미사 ‘-이’, ‘-히’에 대한 공시적 기술

        김준수 돈암어문학회 2023 돈암어문학 Vol.43 No.-

        본고는 부사 파생 접미사 ‘-이’, ‘-히’의 공시적 성격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접미사 ‘-이’, ‘-히’를 형태음운론적 관점에서 분석했으며, 관련된 한글 맞춤법 규정을 검토하여 그 규정의 문제점을 밝혀내었다. 더 나아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글 맞춤법의 수정 방안을 제언하고자 했다. 현행 규정이 ‘-이’와 ‘-히’의 출현 환경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현실 발음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언중들은 표기상 ‘-이’와 ‘-히’를 혼동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와 ‘-히’에 선행하는 어기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와 ‘-히’의 관계와 그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와 ‘-히’는 상보적 분포를 이루고 있는 이형태 관계이며, 일반적으로 어기가 고유어일 때는 /-이/가, 어기가 한자어일 때는 /-히/가 출현하는 분포를 보였다. 즉 이는 형태론적으로 조건 지어진 분포이며, 이런 분포에 따라 한글 맞춤법 또한 수정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ㅂ’ 불규칙 용언과 ‘르’ 불규칙 용언이 접사 ‘-이’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이’의 이형태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 없이 어간을 다중 기저형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 공시적 기술에 부합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부사어-서술어’ 수식 구성의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 근대계몽기 국문체-국한문체 병렬말뭉치에서의 ‘2음절 한자어+하다’ 구성을 중심으로 -

        백해파 ( Bai Haibo ),최정도 ( Choi Jeongdoh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1 언어사실과 관점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two-syllable Chinese character is a Chinese phrase or a Chinese character that appears in the Korean language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a two-syllable Chinese word that has an adverbial or descriptive composition. In the data that corresponds between Korean style and Chinese style, it was confirmed that the separation of the “adverb language + descriptive language” composition and the use of individual one-syllable Chinese characters could contribute to the modernity of the style. It was judged that if the two-syllable Chinese characters, which constitute an “adverbial word+descriptive word”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re not separated from Chinese characters, the two-syllable Chinese characters used in Chinese characters are likely to be Chinese phrases. When the two syllables were separated from the two syllable Chinese characters in the construction of ‘adverbial and descriptive’, we looked at the first syllable Chinese adverb (e.g.)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1-syllable Chinese characters: It was confirmed that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predominant in separation from pure Chinese characters, may have been Chinese characters similar to syntactic composition or temporary words inferred from other two-syllable Chinese structures, even if the two-syllable Chinese characters that it forms appear to be one word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one-syllable Chinese-language adverb (eh), where separation prevails, identified the possibility that the two-syllable Chinese characters it forms were Chinese-language words in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고급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비모국어성 연구 –일본어권 학습자들의 한국어 번역 글쓰기 자료를 중심으로–

        박은정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on-native usages in the writing of Japanese native learners with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s similar to Korean among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goal is to uncover the non-native usages that hinder a more natural Korean sentence composition. Both Japanese and Korean are Chinese-language cultures, and due to their similar sentence structure, it can be said that it is relatively easy to learn Korean among the languages subjec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However, it is not difficult to find unnatural expressions in Korean sentences by high-level Japanese-speaking learners are quite common. These are inappropriate choices of similar Chinese characters, and choices that fail to distinguish small differences in conjunctive adverbs or conjunctive verbal-ending of similar semantic functions. Learners have difficulty constructing the same speech or sentence as native speakers of Korean, even though they are high-level Korean speakers.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inevitable process that occurs because Korean is a non-native usages, however, it can be also said that it is less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translation education. It is disproved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on non-native usages in the writings of Japanese native learners so far.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non-native usages was examined for Japanese native learners similar to Korean. Next, the distinction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it revealed non-native usages that should be removed for more fluent and natural Korean writing for learners majoring in Korean translation who need a high level of Korean expressions, such as translation, not in terms of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고급 학습자 중 한국어와 유사한 어휘와 문장 구조를 가진 일본어 모어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비모국어성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좀 더 자연스러운 한국어 문장 구성을 위해서 제거해야할 비모국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밝히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일본어와 한국어는 둘 다 한자어권 문화이면서 유사한 문장 구조로 인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대상 언어권 중 비교적 한국어 학습이 용이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고급수준의 일본어권 학습자들이 구성한 한국어 문장에서 부자연스러운 표현을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유사 한자어의 부적절한 선택, 유사한 의미기능의 접속부사나 연결어미의 작은 차이를 구별하지 못한 학습자들의 문장이 그것이다. 고급수준의 한국어 구사자라고 하더라고 학습자들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같은 발화나 문장을 구성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것은 한국어가 학습자들에게는 비모국어이므로 발생하는 필연적인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한국어 교육이나 번역 교육에서도 학습자들의 비모국어성에 관심을 덜 가졌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본어권 학습자들의 글에 나타난 비모국어성에 대한 논의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이 그것을 반증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와 유사한 일본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비모국어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다음은 언어 교육 측면이 아닌, 번역과 같이 높은 수준의 한국어 표현력이 필요한 한국어 번역 전공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좀 더 유창하고 자연스러운 한국어 글쓰기를 위해 제거해야 할 비모국어성을 밝힌 것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