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답 범주 순서가 원자력 발전 정책 방향 및 국가 자긍심 문항에 미치는 영향: 신고리 5‧6 호기 공론화 조사 및 2016, 2018 한국종합사회조사

        김지범,김솔이,김춘석,김영원,강정한 한국조사연구학회 2019 조사연구 Vol.20 No.3

        This study uses a deliberative poll of Shin Kori no. 5 and 6 reactors and the 2016-201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and analyzes the response order effects for nuclear power development policy and national pride questions.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nuclear power development policy,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choose a response option including expansion of nuclear power, keeping as it is now, and reduction of nuclear power. The other half of respondents were asked the same questions but the response options were presented in reverse starting with reduction of nuclear power and ending with expansion of nuclear power. For 10 domains of national pride question, half of respondents were asked with 4-point likert-type scale response options, very proud, somewhat proud, somewhat not proud, not proud at all. The other half of respondents were presented the same options but in reverse order. We found that response or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regarding questions of nuclear power development policy in Shin Kori and 2016 KGSS data. While we found 1 primacy effect and 2 recency effects out of 10 national pride questions in 2016 KGSS, w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onse order effects in the 2018 KGSS data. Although not significant, overall, a simple percentage of distribution tends to show recency effect.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rotation of response categories seems to be necessary for important policy decision items in the questionnaire. 본 연구는 한국리서치에서 2017년에 수집한 신고리 5‧6호기 3차 조사, 2016년과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조사실험 문항인 원자력 발전의 정책 방향과 한국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국가 자긍심 질문을 통하여 응답 범주 순서가 응답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두 개의 부표본을 이용한 원자력 정책 방향 질문은 나열식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하나의 표본에서는 질문 순서가 원자력 발전 확대, 현상 유지, 축소 순서이고, 다른 표본에서는 역순으로 구성했다. 국가 자긍심 문항 또한 두 개의 부표본을 이용하였는데, 10개 문항(예, 사회보장제도 등)의 격자판 형태의 4점 척도로, 하나의 표본에서는 ‘매우 자랑스럽다’부터 ‘전혀 자랑스럽지 않다’ 순서이고, 다른 표본에서는 역순으로 구성했다. 신고리 5‧6호기와 2018 한국종합사회조사의 원자력 정책 방향 설문에서 응답 순서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응답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2016년과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에서 두 차례 반복 조사실험한 국가 자긍심을 보면, 2016년에 10문항 중 3문항만 순서효과가 있었는데, 한 문항은 초두효과, 두 문항은 최신효과가 있었지만, 2018년에는 모든 항목에서 응답 순서효과가 없었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최신효과를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연구결과는 설문지에서 중요한 정책 결정 항목을 물어볼 때 응답 범주의 무작위 순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서베이조사실험을 통한 폐쇄형과 개방형 설문 응답 차이: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김지범 ( Jibum Kim ),김솔이 ( Sori Kim ),강정한 ( Jeong-han K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4

        한국에서는 조사의 가장 근본적인 도구인 설문지 설계에 관한 조사방법론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의 표본분할을 통한 조사실험을 통하여 한국의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한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모두 경제(35% 대 33.2%)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고, 폐쇄형 설문에서는 범죄(24.4%), 교육(15.4%), 빈곤(6.3%)순으로, 개방형에서는 정치(10.8%), 범죄(9.5%), 교육(7.6%)순이었다. 즉, 정치가 포함되지 않은 폐쇄형 질문 응답과 개방형에서 응답순위가 일관성이 있었다. 최대 응답범주였던 경제를 답한 응답자의 특성이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인구학적 변수 중 연령과 가구소득 그리고 경제상태만족도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타국의 설문문항을 수용할 때 한국적 맥락에서 설문의 질문 부분뿐만 아니라 응답범주의 적정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사전조사에 조사실험이 더 많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questionnaires, little survey methodology research on questionnaire design has been conduc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wo questionnaire forms (close-ended vs.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Korea’ elicited similar responses. During the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a random half of respondents were asked the open-ended question form and the remaining half were asked the close-ended question form. While the economy is the most mentioned response (35% vs. 33.2%) to both close-ended and open-ended question forms, there is similarity in the order of highly mentioned responses if we consider that ‘politics’ is not provided as one of response categories in the close-ended question form. The order of second to fourth response category is crime (24.4%), education (15.4%), and poverty (6.3%) to the closed-ended question form, and politics (10.8%), crime (9.5%), and education (7.6%) to the open-ended question form. Also,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who responded with the economy as being the most important are sligh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halves in terms of age, household income, and satisfaction with economic condi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we need to be careful when we adopt question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and to consider using survey experiments in pre-testing questionnaire items.

      • KCI등재

        면접원 조사: 2021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김지범,유광종,박현주,장덕현,김민재,김솔이 한국조사연구학회 2023 조사연구 Vol.24 No.1

        한국에서 서베이 조사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대면조사 자료의 질을 결정하는 면접원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2021년 한국종합사회조사를 수행한 면접원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통하여 면접원의 특성과 조사 관련 태도 및 행동을 파악하려고 하였다. 면접원은 100% 여성이고 60%가 50세 이상이다. 약 50%의 면접원은 일하는 이유로 돈과 유연한 근무 시간을 언급했다. 조사 참여 및 거절에 대해 일반적으로 면접원은 다양한 태도를 보였는데, 59%의 면접원이 시간을 잘 맞추면 대부분 응답자는 조사에 참여한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또한, 면접원은 응답자의 거절 이유로 외부인에 대한 두려움과 사생활 침해 및 응답 노출 우려를 각각 25% 정도 언급하고 있다. 반면, 면접원은 응답자가 조사에 참여하는 이유로 응답자가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싶거나 사례금 및 선물 때문이라고 인식했다. 면접상황에서도 면접원 간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64%의 면접원은 응답자가 서두르는 경우 빠르게 말한다고 대답했다. 마지막으로 면접원 자신을 응답자라고 가정하고 조사자료와 행정자료의 연계에 관한 질문에서 건강보험, 고용 경력, 국민연금 등에 대해서는 50% 이상 동의하지만, 세금 또는 빚 및 대출에는 30% 이하만 동의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면접원은 성별과 나이에서는 동질성이 높지만, 조사 참여 및 거절에 대한 설득 태도와 면접상황에서의 행동에서는 차이가 난다. 면접원 조사의 중요성으로는 연구자가 실제 조사와 결합하여 자료의 풍성함을 이끌어 면접원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를 가능케 한다는 점이다. 또한 조사업계에는 면접원 교육과 훈련을 재고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하게, 면접원 조사는 연구자와 조사업계가 어떻게 하면 면접원이 그들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 심각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 KCI등재

        사회제도신뢰의 인과구조에 대한 한미비교연구: 단체참여와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분석

        김상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6 국제지역연구 Vol.15 No.3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social institutions trus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association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and GSS (General Social Survey) 2001 out of the 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lanning)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1)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association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2)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status on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but They were appear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to Korea (3) The unit effects of association participation on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were significant to the two nations. (4) Association participation was especially in shaping social support and trust in social institutions to the two nations. This study is interpre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of social capital are raised with elaborating the measure on the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political efficacy, consciousness of social class and so forth, coupl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of this study.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단체참여, 사회적 지원, 사회제도신뢰 사이의 복합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자본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맥락에서 논의한 후, 각기 다른 맥락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미국 양 국가를 선정하여 국제 사회종합조사(ISSP) 자료모듈인 KGSS 2004와 GSS 2001 자료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모형검증의 분석결과, 첫째, 사회단체참여는 한국에서 사회제도신뢰에 대한 유의미하지 않은 상관관계와 유의미한 정(+)의 인과관계로 작동하는데 비해 미국에서는 상관 및 인과관계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단체참여가 한국에서 사회적 지원의 연결망활용에 강한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미국은 약한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단체참여의 중요한 인과변인인 사회경제적 지위는 양 국가 모두 강한 정(+)의 인과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넷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사회적 자본의 두 가지 구성개념(사회제도신뢰 및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과적 영향은 사회단체참여에 의해 매개되었다는 사실 또한 이 연구에서 밝혀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각기 다른 구조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미국 양 국가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의 불평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자본, 사회연결망 등을 다차원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제시되었으며, 또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발전적 제언도 설명되었다.

      • KCI등재

        정치참여의 인과구조에 대한 한ㆍ미ㆍ일 국제비교연구

        김상돈(Kim Sangdo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1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 비정치적 결사체가입, 정치참여 사이의 인과구조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정치참여개념에 대한 이론적ㆍ경험적 맥락에서 논의한 후, 각기 다른 맥락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을 선정하여 2004년에 수행된 국제사회자료모듈과 KGSS 2004자료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모형검증의 추정결과, 첫째, 정치참여와 비정치적 결사체가입 수준은 한국과 일본보다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높으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치참여와 사회단체가입 사이의 연관성정도는 한국과 일본보다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분상관관계의 강도는 미국과 일본보다 한국에서 확연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세 국가 모두 사회단체가입과 정치참여에 대한 유의미한 정의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단체 참여는 세 국가 모두 정치참여에 대한 유의미한 정의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정치참여에 대한 인과적 영향은 사회단체가입에 의해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단체참여에 대한 매개효과는 한국과 미국보다 일본에서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 또한 이 연구에서 밝혀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을 대상으로 평균차이, 판별수렴타당도, 상관 및 인과관계, 매개효과 등을 비교분석하여 제시되었으며,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발전적 제언도 설명되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ocioeconomics,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by suggesting that contexture explanation in the three nation. To do this, a set of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s,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KGSS 2004 and ISSP 2004 Modules. Analysis of data in terms of ML(Maximum Likelihood) procedure in LISREL 8.52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A differences of mean for the construct conceptualiz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have been proved to participate and enter positively and show significantly to the United states than to Korea and Japan. Second, A intensity of zero-order-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was proved to show high the United States opposed to Korea and Japan. but, A intensity of partial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was proved to show high Korea opposed to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ird,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s status on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were significant to the three nations. Forth, The unit effects of socioeconomics status on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hree nations. Fifth, The unit effects of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on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to the three nations. Lastly, A difference of mediation effect for the non-political association was especially important in shaping political participation Japan oppose to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 from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differences of mean,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 correlation and causation,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s status, non-political association entry,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are rais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and developmental proposal.

      • KCI등재

        한국 청년의 삶의 불안정성(precariousness)과 행복

        한승헌(Han, Seungheon),임다혜(Yim, Dahye),강민아(Kang, Minah)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2

        본 연구는 Rodgers(1989)가 제안한 불안정성의 세 가지 차원인 자원의 결핍, 불확실성, 통제권한의 부재를 이론적 분석 틀로 하여 한국 청년들이 경험하는 불안정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0년에 실시된 제8차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세대인 만 19세부터 만 34세의 총 41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가구 소득수준, 사회적 지지라는 세 가지 자원의 결핍이 삶의 불확실성과 통제권한의 부재라는 불안정성의 요소들을 통해 행복에 미치는 경로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청년세대를 저연령집단(만 19세-26세)과 고연령 집단(만 27세-34세)으로 구분하여 연령집단 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원의 결핍 및 불확실성과 통제권한의 부재 모두 청년들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중에서 통제권한의 부재가 청년들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소득수준, 사회적 지지 모두 통제권한의 부재를 통해서만 행복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다중집단분석 결과, 저연령 집단과 비교했을 때 고연령 집단에서만 소득수준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고연령 집단의 통제권한의 부재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저연령 집단보다 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제언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precariousness among young adults in South Korea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ubjective well-being by adopting the three forms of precariousness suggested by Rodgers(1989) such as lack of resource,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as its analytical framework.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analyzing the path model of self-rated health, income level and social support(three forms of resource)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Study population include young adults aged between 19 to 34 with a sample size of 415 using data of the 8th wave of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2010. Study population is divided into lower-age group (aged between 19-26) and upper-age group (aged between 27-34)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by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Study results show that three forms of resources,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had direct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outh Korean young adults and disempowerment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among the factors. In addition, self-rated health and income level had in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both uncertainty and disempowerment while social support had in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only through disempowerment. Results from the Multiple Group Analysis indicate that among the two age groups, income level on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upper-age group. In addition, disempowerment had greater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upper-age group than the lower-age group.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paper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and discussion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조사동향:여론조사에 대한 조사

        김지범,장덕현,김솔이,강정한 한국조사연구학회 2019 조사연구 Vol.20 No.1

        Survey is in crisis due to high nonresponse rates, the increase in survey costs, and the emergence of big data. Using surveys on survey data, this paper aims to find out how Korean opinions on surveys have changed over the last 30 years. We found that, in general, Koreans' attitudes towards and experiences of surveys have changed negatively.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surveys has increased. However, concerns surrounding the privacy of respondents have increased. Participants' pleasure in participating in surveys, perceived usefulness of surveys, and interest in survey results have decreased with dropping response rates. Paradoxically, at least seven out of ten people agree that there is a need for public opinion polls as a means of understanding public opinion, but seven out of ten people also think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flect the entire population’s public opinion by asking a sample of 1,500 people. Thus, Koreans still do not understand how sampling works. Given that surveys on surveys is an important indicator in understanding the survey climate, I hope that many surveys continue to ask about attitudes towards surveys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gativ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surveys and to develop ways to counter these trends. 높은 무응답률과 이에 따른 조사 비용의 증가, 그리고 빅데이터의 출현 등으로 여론조사가 위기에 직면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론조사에 대한 조사(surveys on surveys)를 통하여, 지난 30년간 한국인은 여론조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해 왔는지를 상세하게 기술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우리는 한국인의 조사에 대한 태도 및 경험이 부정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에 참여한 경험은 증가했지만, 응답자의 비밀보장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증가하고 응답률, 조사참여 즐거움, 여론조사의 유용성, 여론조사 결과의 흥미성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또한, 적어도 국민 10명 중 7명은 국민여론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여론조사 필요성에는 동의함에도 불구하고, 국민 10명 중 7명은 표본 1,500명에 대한 질문을 통해 국민전체 여론을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표본의 대표성보다 크기를 중요시하는 인식은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사지형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인 여론조사에 대한 조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소상하게 기록되어, 조사의뢰자 및 조사업계가 서로 협력하여 여론조사의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서울시 행정 구역과 이웃 효과 관계 탐색: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및 행정 자료 연계

        김이현,김지범,강정한 한국조사연구학회 2020 조사연구 Vol.21 No.2

        Studies on neighborhood-level effects in South Korea have been focusing on the level of gu, which may fail to represent regions as living environments because goon/gu have large within-region variation. This study zooms into the level of dong, which is much finer than gu and may revive research on neighborhood-level effects in South Korea. We selected Seoul residents from a dataset of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2003-2016) and matched them to dong-level information from three administrative data sources: Seoul Open Data Plaza (2003-2017),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2006-2017), and Seoul Real Estate Information Plaza (2006-2017) (=2,656). Variance analysis of selected variables from KGSS and administrative data confirmed that between-dong variations are larger than between-gu variations and thus suggests that dong-level estimations are more promising than gu-level estimations of neighborhood effects on residents. We estimated how much Seoul citizens’ various attitudes were affected by the average price of apartment transactions and the percentage of the older population at the dong level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at the gu level. Estimates at the dong level tended to be larger and more significant than those at the gu level. Controlling for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s, respondents from dongs with higher percentage of older people reported lower household income and lower self-appraised class, which were not observed in the same analysis with gu-level variables. By conducting multi-level, multisource analysis, we showed the analytic potential of combining dong-level information with social surveys from large cities in South Korea. 지금까지 사회조사 자료와 지역 단위 행정 자료를 결합하는 이웃 효과 연구는 주로 시 ‧ 군‧ 구 단위에서 진행해 왔으나, 시‧ 군 ‧ 구 단위가 생활환경 단위로서의 지역을 대변하지 못하며, 시‧ 군 ‧ 구 내의 더 작은 지역 단위 간의 이질성이 서로 상쇄되어 지역 효과를 포착하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서울시 주민에게 미치는 동 수준의 지역 효과를 탐색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회조사 자료는 2003~2016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누적 응답자 중 서울 거주자를 선택했으며, 서울시 동 수준의 행정 정보는 2003~2017 서울열린데이터광장, 2006~201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및 2006~2017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서 수집, 결합하였다( =2,656). (1) 우선 지역 수준에서는 출생률, 고령자 인구 비율,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투표율, 평균 아파트 거래가격 등을 구 단위와 동 단위에서 수집한 후 분산을 분석한 결과, 동 간의이질성이 구 간의 이질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다수준 분석에서 동 수준 지역 효과의 잠재력이있었다. (2) 다음으로 개인 수준에서는 한국종합사회조사 응답 중 가구소득 수준, 주관적 계층, 주관적 정치 성향, 타인에 대한 신뢰 등의 분산을 분석한 결과, 역시 모든 변수에 대해 동 간의 분산이 구 간의 분산보다 더 컸다. 이는 응답자의 태도 차이가 구 간의 지역 차이보다 동 간의 지역차이로 설명될 가능성이 높음을 암시한다. (3) 실제로 다수준 분석을 통해 이러한 태도 변수들에대해 응답자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통제하고 지역 수준에서 평균 아파트 거래가격과 고령자인구 비율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구 수준보다는 동 수준에서 이러한 변수들의 효과가 더분명한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고령자 인구 비율이 높은 동에 사는 응답자일수록 소득이 낮고자신의 주관적 계층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 구 수준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예시 분석을 바탕으로 다수준다출처 분석이 갖는 잠재력을 토의하였다.

      • KCI등재

        정치적 아웃사이더들의 역습?

        조정인(Jung In Jo) 한국정당학회 2012 한국정당학회보 Vol.11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 유권자들의 정치참여 불평등현상이 비통상적 정치참여채널에서 실제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치참여의 불평등 정도가 시민 참여의 방법과 채널에 따라 상이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정치적 참여의 방법을 통상적 정치참여(투표)와 비통상적 정치참여(정치적 소비주의, 진정서 서명, 정치적 기부)로 구분하여 젠더,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기인하는 참여의 불평등 현상이 실증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2009년 한국 사회종합조사를 사용하였다. 흥미롭게도, 경험적 분석결과 한국 유권자들의 참여 불평등은 정치참여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과 기성세대 시민들이 전통적 정치참여 즉 투표율에 있어서 적극적이고 높은 정치참여율을 보이는 반면, 여성들과 연령이 낮은 유권자들은 남성과 연령이 높은 층의 시민들에 비해 통상적 정치참여 과정에서 주변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치적 소비주의, 정치적 기부, 진정서 사인, 인터넷 토론 등 비통상적 정치참여영역에서는 기존의 통상적 정치참여에서 나타났던 참여 불평등 현상이 매우 감소되었다. 즉, 여성들과 젊은 유권자들의 정치참여율이 통상적 정치참여 채널과 비교해 비통상적 채널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유권자들이 그렇지 않은 시민들에 비해 비전통적 정치참여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이 발견되었다. The rapid expansion of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activism of Korean citizens (demonstrating, political consumerism, signing petitions) poses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disparity when it comes to gender, age, and education. In this paper, I analyze the equality of participation patterns using individual level data from the 2009 Korea ISSP survey.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reduces gender and age gap in political participation. Yet,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increases education gap in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rise of innovative non-conventional participation will positively influenc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women and young voters thereby incorporating the underrepresented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traditionally marginalized outsiders in politics.

      • KCI등재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과 이후의 한국의 사회동향: 2003-2021 한국종합사회조사

        김지범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조사연구 Vol.23 No.1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trends for the first two decades of the 21st century. Using the 2003-2021 cumulativ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I investigated how attitudes and beliefs have changed over the years pre-COVID-19, and then examined whether COVID-19 has impacted these attitudes and beliefs. Previously, while there was little change in happiness levels,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after COVID-19, Koreans have become both less happy and less satisfied with life. Post-COVID-19, half of the population cites the economy 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facing the nation, and no other national problem received more than 16% of responses.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olitical environment fell from 26% in 2018 to 13% in 2021. In the 2010s, about 30% of Koreans were proud of Korea’s fair and equal treatment of all groups in society, but it markedly increased to 58% in 2021. Except in 2018, sentiments of feeling closeness to North Korea has continuously decreased since 2008, and in 2021 dipped to 5%. Koreans became less likely to agree tha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to reduce income difference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lso, Koreans became less likely to agree that government should provide a decent standard of living for the unemployed and more likely to agree that government should reduce the benefit for the poor. Although environmental concerns have rebounded, there is a significant downtick for the willingness to pay higher prices, pay higher taxes, and accept cuts in the standard of living to protect the environment. Confidence in leaders of various institutions is generally down across the board except for an all-time high in big business (81%). 56% of Koreans are not affiliated with any religion. One out of ten Koreans agree that fortune-tellers predict the future, and two out of ten people agree that the four pillars of destiny influence one’s life. While permissiveness of pre-marital sex and homosexual relations has increased over the years, permissiveness of primarily homosexual relations dropped in 2021. Expectations for children’s future standard of living have decreased, and more Koreans think the wealth and education of parents are essential for getting ahead in life. In conclusion, Koreans seem to be in survival mode under difficult economic conditions inflicted by Covid-19. 본 논문은 21세기 20년간의 사회동향을 기술한다. 2003-2021년 한국종합사회조사 누적 자료를 이용하여, 코로나19 이전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태도와 믿음의 변화를 먼저 살펴본 후, 코로나19가 이런 태도와 믿음에 미친 영향을 고찰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행복 수준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생활 만족도는 미미하게 증가했는데, 코로나19 이후 한국인의 행복과 생활 만족도는 낮아졌다. 코로나19 이후 국민의 반은 한국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로 경제를 언급하고 있고, 그 외 다른 어떤 문제도 16%가 넘지 않는다. 2018년 정치 상황 만족도는 최고로 높은 26%였지만 2021년에 13%로 떨어졌다. 2010년대 ‘사회의 모든 집단에 대한 공정하고 평등한 대우’ 영역에서 자긍심은 30% 정도였는데 2021년에는 58%로 크게 높아졌다. 2018년을 제외하고, 국민은 2008년부터 북한을 덜 가깝게 느끼게 되었는데 2021년 단지 5%만이 북한을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크게 줄었다(55%). 국민들은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간의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이 정부의 책임이라는 의견에 대해 덜 동의하게 되었고, 정부가 실업자들의 생활수준을 유지해 주는 것에 대해서도 덜 찬성하게 되었으며,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한다는 것에 더 동의하게 되었다. 환경에 대한 위험 인식이 다시 반등했지만, 환경보호를 위해 비용 및 세금 지급 혹은 생활수준을 낮출 의향은 크게 줄었다. 전반적으로 기관 지도자에 대한 신뢰는 낮아졌지만 예외적으로 대기업 지도자에 대한 신뢰가 역대 최고인 81%가 되었다. 종교 없는 사람들이 56%이며, 국민 10명 중 1명은 점쟁이가 미래를 예측한다고 믿고 있고, 10명 중 2명은 사주가 인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혼전 성관계와 동성 성교의 수용성은 높아지다가 낮아졌다. 미래 자녀의 생활수준에 대한 기대는 하강했으며, 인생성공에서 부모의 부와 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크게 느끼게 되었다. 한마디로,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한국인들은 각자도생의 길로 나아가는 것 같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