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난 선거 투표 및 후보자 선택 회상

        김지범 ( Jibum Kim ),김솔이 ( Sori Kim ),장덕현 ( Deok Hyun J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2

        사후 선거조사 회상 응답 투표율과 당선자 투표율은 실제 투표율 및 후보 득표율과 비교하여 과대보고되고 있다. 과대보고 현상의 원인으로 주로 표본의 대표성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우리는 다양한 조사를 이용해서 먼저 지난 선거 투표 참여 및 당선자 투표의 과대보고 정도를 파악한 후, 특정 지지층의 과대표집에 따른 표본의 대표성 문제가 과대보고와 결부되었는지 탐구하였다. 실제 투표율과 비교하여 조사에서 투표 참여 비율이 최소 10%p에서 25%p 과대보고되고 있다. 또한, 21대 총선 출구조사와 지역구 사전 조사와 같이 실제 투표 결과와 유사한 조사에서도 지난 선거에 대한 참여 및 투표 응답이 과대보고된다는 점에서 과대보고가 표본의 대표성 문제로 설명될 수는 없는 것 같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과대보고는 대표성의 문제를 떠나 측정오류와 연관된 다른 요인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향후, 개인의 투표 참여 여부 기록과 조사에서 개인의 투표 참여 여부 응답을 비교·검증할 수 있는 자료가 시급히 요구된다. Reporters and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he accuracy of reported survey results because people’s memories of vote and voter choice is different from actual election results. The main culprit of over-reporting of voting and voter choice for the winner has been attributed to the sample unrepresentativeness. Using various data sources, we first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people over-reported in various elections and then tried to find out if sample unrepresentativeness is the cause of the discrepancy between reported and actual election results. Our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voting rate people reported is about 10%p to 25%p higher than that of election results. We also found that exit-polls and pre-election polls that have similar results to that of the actual election showed the over-reporting of voting and voter choice. Given that over-reporting cannot be explained by sample representativeness, we recommend a further investigation into factors related to measurement error that are associated with over-reporting. Moreover, data that can validate individuals' voting participation and voter registration records is urgently needed.

      • KCI등재

        무응답이 높은 설문 문항 한국종합사회조사 2003-2010

        김지범 ( Jibum Kim ),김솔이 ( Sori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4

        Item nonresponse leads to analytical difficulty. Despite its importance, little is known about which questions are more likely to lead to item nonresponse. Using the 2003-2010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cumulative data, we identify the questions of high nonresponse items(those answered “Don’t know/Refused”) and examine the correlates of these items. Overall, the item nonresponse rate is low. Of the 1,556 items, 1,469 items have 5% or less item nonresponse rate, and only 19 items have more than 10% nonresponse rate including 9 items that have more than 15% nonresponse rate. The highest item nonresponse question is “What sport or physical activity is the second most frequent that you take part in?”(29%). Following that are the questions: “Which party do you think has the best ability to take political power in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21%), “What kind of labor union do you think is the most desirable for the union activities in South Korea?”(16%), “How helpful do you think the internet is for Korean society for each of the following purposes?”(14 to 16%).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non-respondents vary for different questions, in general, old adults, women, and respondent living in rural area are more likely to be non-respondents. Also, we found that the unit response rate and item nonresponse rate is not related. Our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item nonresponse, we need to consider whether the questions themselves are applicable to all respondents besides respondents`` cognitive ability or motivation. Moreover, item nonresponse is a useful tool to evaluate data quality and to improve questionnaire for the repeated survey data.

      • KCI등재

        서베이조사실험을 통한 폐쇄형과 개방형 설문 응답 차이: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김지범 ( Jibum Kim ),김솔이 ( Sori Kim ),강정한 ( Jeong-han K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4

        한국에서는 조사의 가장 근본적인 도구인 설문지 설계에 관한 조사방법론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의 표본분할을 통한 조사실험을 통하여 한국의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한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모두 경제(35% 대 33.2%)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고, 폐쇄형 설문에서는 범죄(24.4%), 교육(15.4%), 빈곤(6.3%)순으로, 개방형에서는 정치(10.8%), 범죄(9.5%), 교육(7.6%)순이었다. 즉, 정치가 포함되지 않은 폐쇄형 질문 응답과 개방형에서 응답순위가 일관성이 있었다. 최대 응답범주였던 경제를 답한 응답자의 특성이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인구학적 변수 중 연령과 가구소득 그리고 경제상태만족도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타국의 설문문항을 수용할 때 한국적 맥락에서 설문의 질문 부분뿐만 아니라 응답범주의 적정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사전조사에 조사실험이 더 많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questionnaires, little survey methodology research on questionnaire design has been conduc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wo questionnaire forms (close-ended vs.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Korea’ elicited similar responses. During the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a random half of respondents were asked the open-ended question form and the remaining half were asked the close-ended question form. While the economy is the most mentioned response (35% vs. 33.2%) to both close-ended and open-ended question forms, there is similarity in the order of highly mentioned responses if we consider that ‘politics’ is not provided as one of response categories in the close-ended question form. The order of second to fourth response category is crime (24.4%), education (15.4%), and poverty (6.3%) to the closed-ended question form, and politics (10.8%), crime (9.5%), and education (7.6%) to the open-ended question form. Also,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who responded with the economy as being the most important are sligh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halves in terms of age, household income, and satisfaction with economic condi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we need to be careful when we adopt question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and to consider using survey experiments in pre-testing questionnaire items.

      • KCI등재

        종교유형과 종교활동 참석빈도가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솔이(Kim, Sori),김지범(Kim, Jibum)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4

        한국에서 자살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종교 그리고 종교활동 참석빈도와 같은 종교성은 사회통합 및 사회적 지원과 연관되어 자살을 억제하는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종교와 자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종교유형과 종교활동 참석빈도가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분석을 위해, 2013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N=1,139)를 토대로 종교유형과 종교활동 참석빈도의 상호작용(interaction) 효과로 생성된 7개의 독립변수(불교 자주 참석, 불교 드물게 참석, 개신교 자주 참석, 개신교 드물게 참석, 천주교 자주 참석, 천주교 드물게 참석, 종교 없음)를 이용하여 음이항 회귀분석(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종교유형과 관계없이 종교활동에 자주 참석할 때 자살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종교가 있지만 자주 참석하지 않는 사람은 종교가 없는 사람과 비교해서 자살태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자살 연구에 있어서 종교유형뿐만 아니라 종교성(예, 참석빈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한다. Suicide has been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Despite half the population have religion, only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 of religion on suicide. Using the 2013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N=1,139), we examined how the interaction of religious affiliation and religious attendance was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suicide. Using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we found that those who have high rates of religious service attendance are more likely to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suicide than those who have lower rates of religious service attendance, regardless of religion. Also, compared to those who have no religion, Buddhists, Protestants, and Catholics whose attendance were low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ttitude towards suicide. This study concludes that both religious affiliation and religious attendance are important factors in attitudes on suicide and suggests that religious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of suicide in Korea.

      • KCI등재

        그래프 컬러링과 OpenMP를 이용한 병렬 메쉬 스무딩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신명규(Myeonggyu Shin),김지범(Jibum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6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3 No.6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컬러링과 OpenMP를 사용한 병렬 메쉬 스무딩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공유메모리 기반의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안하는 병렬 메쉬 스무딩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안하는 병렬 메쉬 스무딩 알고리즘은 그래프 컬러링 방법을 통해 전체 메쉬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집합 (색깔)으로 나눈 후 각각의 독립적인 집합에 대하여 OpenMP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병렬 메쉬 스무딩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실험을 통하여 여러 가지 그래프 컬러링 방법과 색깔순서 재배열 방법이 병렬 메쉬 스무딩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OpenMP의 루프 스케줄링 방법이 병렬 메쉬 스무딩의 효율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We propose a parallel mesh smoothing algorithm using graph coloring and OpenMP library for shared memory many core computer architectures. The proposed algorithm partitions a mesh into independent sets and performs a parallel mesh smoothing using OpenMP library. We study the effect of using various graph coloring and color reordering algorithms on the efficiency of performing the proposed parallel mesh smoothing algorithm. We als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using various OpenMP loop scheduling methods on the parallel mesh smoothing efficiency.

      • KCI우수등재

        기계 학습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한 스마트 수도미터 시스템에서의 물 사용량 데이터 분석

        최준혁(Junhyeok Choi),김지범(Jibum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8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5 No.7

        본 논문에서는 실제 스마트 수도미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사용자들의 시간당 물 사용량 데이터를 기계 학습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스마트 수도 미터 시스템에서 물 공급자가 무수익 물을 줄일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에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이상치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미터기 오류 및 부정한 사용자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두 번째로 LSTM 기법을 이용하여 미래의 시간당 물 사용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LSTM 기법을 사용할 경우 기존 인공신경망 구조에 비해 18.04%의 정확도 향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각 사용자의 과거 물 사용량 패턴 및 수도미터의 관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용도를 자동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결과 네 개의 분류기들 중에 그래디언트 부스팅 트리가 전반적으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0.80의 F1-score를 보였다. In this paper, various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are applied to analyze hourly water consumption data collected from real smart water meter systems. In particular, we have studied three methods where water suppliers can reduce non-revenue water in smart water meter systems. First, we investigated a method to automatically detect meter errors and unauthorized users using outlier detection algorithms. Second, the prediction of future water consumption per hour is performed using the LSTM metho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LSTM method improves the prediction accuracy by 18.04% compared with the exist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system. Finally, we automatically classified type of users by using past water usage patterns and the pipe size information. The gradient-boosting tree algorithm showed the best overall performance among the four classifiers and achieved a F1-score of 0.8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