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에서의 한국전쟁 기억하기: 기억의 정치화

        하성호 ( Ha Songho ) 한국미국사학회 2023 미국사연구 Vol.57 No.-

        이 논문은 미국에서 한국전쟁이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글이다. 그 방법으로서 역사가들의 책과 논문, 그리고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대학교 교과서 6종류와 가장 잘 알려진 한국전쟁에 관한 4개의 기록영화를 분석하였다. 저자가 이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미국에서의 한국전쟁의 기억은 미국/남한을 한 축으로 하고 소련/중국/북한을 다른 축으로 하는 적대적 관계에 의하여 정치화되었다는 것이다. 이 관계가 근본적으로 적대적인 한 미국 내에서의 한국전쟁의 기억과 연구는 전쟁의 기원과 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한국전쟁이 종전된 것이 아니라 휴전으로 중단된 것이고, 이론적으로는 언제든지 재개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군사적 집단은 한국전쟁 발발의 책임을 상대편으로 넘기는데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미국학자들은 한국전쟁의 원인은 공산주의 세력을 아시아로 확장하기 위하여 소련, 중국, 그리고 북한이 합작하여 남한을 침공한 것이고, 미국의 참전은 공산주의 세력의 확장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윌리엄 스툭(William Stueck) 이 이러한 주장을 펼치는 대표적인 학자이다. 이러한 적대적인 해석이 대학교 교과서와 기록영화들에도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부분의 교과서와 기록영화들 역시 전쟁의 원인과 발발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그런데 2019년에 PBS를 통해 방송된 기록 영화 “한국: 끝나지 않은 전쟁(Korea: The Never Ending War)”는 전쟁의 원인과 발발보다는 한국전쟁이 끝난 후 남한과 북한의 계속된 적대적 정책과 특히 1990년대 이후의 북한의 핵프로그램 개발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 기록영화는 1990년 초반 이후의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군사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북한이 1990년 초반부터 핵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해서 그 무기체계를 다양화하고 고도화시켜 왔는데 그 결과 두 개의 군사집단의 대결이 어떤 면에서는 의미가 없는 상태에 이르지 않았는가 하는 추측을 할 수 있다. 즉, 북한의 핵능력이 고도화되어서 실제로 미국 본토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한반도에서 과연 전쟁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가 하는 회의감이 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군사적 변화는 한국전쟁연구의 무게중심을 전쟁의 원인과 발발이 아니라 전쟁 포로, 휴전 협정의 과정,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인한 국제관계의 변화 등과 같은 다른 주제로 옮겨가리라고 전망할 수 있다. 2015년 이후 그러한 변화가 어느 정도 보이는데 특히 모니카김(Monica Kim)의 책 『한국전쟁의 심문실: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The Interrogation Rooms of the Korean War: The Untold Story)』(2019)는 좋은 예이다. 이러한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적·군사적 환경 의 변화에 기인한 한국전쟁 연구의 방향 전환은 한국전쟁의 기억의 변화도 유도하리라고 전망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Korean War is remembered in the United States by analyzing historiography, college textbooks, and documentary films. Specifically, it argues that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has been highly politicized because of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South Korea and North Korea/Russia/China. While the relationship has remained fundamentally hostile since the 1950s,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in the United States has mainly focused on the causes and outbreak of the war. This wa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military reality that the Korean War was suspended in 1953 with a truce rather than a peace treaty. Thus, the opposing sides have continued to justify their actions before and during the war by assigning responsibility for its outbreak to the opposite side. Most American scholars have argued that the war was caused by the coordinated efforts of Russia, China, and North Korea to spread communism into Asia, and justified US involvement in the war as an effort to defend the free world from communist expansionism. William Stueck is currently the most outspoken proponent of this argument. This hostile interpretation underlies the narratives in many college textbooks and documentary films about the Korean War. Most of them, like historian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auses and outbreak of the war. However, the recent documentary film titled “Korea: The Never Ending War” (PBS, 2019) suggests that this hostile interpretation might be challenged. Rather than examining the causes of the Korean War, the film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Korean War is not over, and how, in response,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nuclear program. The film’s focus reflects a changed political and military reality after the 1990s. Indeed,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development since the 1990s makes the assumption of a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ides somewhat irrelevant. The 1953 Korean Armistice Agreement that suspended the Korean War suggested that the war could resume at any time. Realistical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at a war could break out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when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has achieved such deadly and sophisticated levels as to threaten the U.S. mainland. This military and political reality necessitates a shift in the focus of the research on the Korean War, from its causes and outbreak to other topics, such as the war’s consequences for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prisoners of war (POWs), the process of the truce treaty, and other topics. This shift is somewhat reflected in new scholarship since 2015, which includes Monica Kim’s study on POWs that was published in 2019. Furthermore, this change in scholarship on the Korean War would reorient the much-politicized memory of the Korean War.

      • KCI등재

        전쟁을 사유하는 세 가지 방식 -미체험 세대를 중심으로-

        주지영 ( Ji Young 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전쟁 미체험 세대 작가가 다루는 전쟁 소설이 이전의 체험 세대와 유년기 체험 세대의 그것과 뚜렷하게 변별되는 지점이 무엇이냐를 검토하는 것은 오늘날 미체험 세대의 전쟁에 대한 작가의식이 어떠하냐를 검토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현 단계 한국소설이 나아가야 할 전쟁 소설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미체험 세대가 전쟁을 사유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전쟁의 외연을 넓혀, 한국전쟁만을 다루는 작품을 넘어서, 한국 사회가 직,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은 베트남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다루는 작품도 논의의 대상에 포함하였다. 방현석의「랍스터를 먹는 시간」은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전쟁과 관련하여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다층적인 시선이 결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은 베트남 전쟁의 의미와 전쟁 이후 그 후유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해낸다. 그리고 전쟁을 보다 총체적인 시선에서 다각적으로 조망하면서 전쟁의 기억을 현재화시키고, 거대 담론에 침윤되어 국가의 논리와 자본의 논리로 재단되는 전쟁의 당위성을 비판한다. 그러면서 그러한 대립과 갈등,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간의 품격’과 ‘나라의 품격’을 문제 삼으면서,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의 공존과 조화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시선을 통해서이 작품은 기존 베트남 전쟁 소설에서는 보지 못했던 새로운 관점과 시각을 확보한다. 김연수의「뿌넝숴」는 한국전쟁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한국전쟁당시 부상당한 인물의 ‘구술’을 통해 한국전쟁을 이데올로기 대립 내지국가의 요구 따위로 기술한 ‘기록된 역사’의 허구성을 비판하면서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을 문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남쪽과 북쪽의 전사(戰史)에서 자유로운 이름 없는 중국 인민해방군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이다. 곧 이 작품은 한국전쟁을 거시사의 입장에서 바라보던 종래의 태도에서 벗어나 미시사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거시사의 이면에 감추어진 비극적인 역사를 복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은 미체험 세대 작가가 한국전쟁을 다룰 때, 체험 세대나 유년기 체험 세대가 이룩한 소설적 성과를 극복하기 위해서 취할 수 있는 새로운 창작방법과 관련해 그 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정미경의「무화과나무 아래」는 이라크 전쟁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기존의 ‘사가’와는 달리, 정보사회의 ‘사가’는 일종의 상품 제작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사가에 의해 미디어 이미지로 기록되는 전쟁은 돈벌이 수단, 혹은 유희용 게임, 관음증 유발 기제와 같은 것에 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이라크 전쟁은 강대국이 힘없는 이라크인들의 최소한의 행복을 빼앗은 전쟁으로 의미화된다. 이러한 강자에 의한 약자의 행복 빼앗기는 이라크 전쟁 같은 국가 단위의 전쟁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곳곳의 일상에서 무한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나’와 ‘너’가 아닌 ‘우리’라는 공동체의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이라크 전쟁 식 폭력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들 작품에 나타난 전쟁에 대한 사유를 통해, 현 단계 전쟁 미체험 세대로서의 작가가 나아가야 할 전쟁 관련 소설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ognition of the war in the generation unexperienced the Korean War. Bang Hyeon-seok` no vel emphasizes the need for dignity of the human and nation to over come trauma of the Iraq War and the Vietnam War. Kim Yoen-su`s novel emphasizes that the history has been making record history in books as a virtual image. His novel is exemplified not that history c ould record but that could not say. Jung Mi-kyung`s novel emphasiz es an erroneous point of view the historian of the twenty-first centur y who records to Iraq War by mass media. Her novel is exemplified how the crime after the manner of Iraq War could be rampant in the whole world. Those novel show the potential for in-depth cognition o f the War novel written by the generation unexperienced the Korean War.

      • KCI등재

        한국전쟁기 대한민국 교원의 삶

        안경식 한국교육사학회 2010 한국교육사학 Vol.32 No.1

        이 논문은 한국전쟁기라는 시대적 상황 아래서 대한민국 교원의 삶을 고찰한 글이다.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한국전쟁 직후 인민군 점령 상황에서 교원의 삶이고, 다른 하나는 피난상황에서 교원의 삶이다. 인민군 점령기, 점령 지역에서 교원의 삶은 이념에 따라 차이가 컸다. 교육계의 주도권은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전후로 하여 이미 표면적으로 척결된 좌익교원들에게 있었고, 좌익 교원의 재등장과 함께 우익 및 중립적인 교원들은 생존을 위하여 교육 활동과 무관한 과거의 죄과``를 ``청산``하는 여러 활동을 해야만 했고, 심지어 의용군 입대까지 해야만 했다. 그러나 9?28 서울 수복이 되자 좌익 교원들은 월북길을 택했고, 남아 있던 사람들은 다시 ``잔류파``라는 낙인과 함께 ``비국민``의 혐의를 받아 사상 검증을 받아야만 하는 이중 고통을 당해야만 했다. 인민군 비점령 지역의 일부 교원 역시 한국전쟁 직후 보도연맹 사건 등 이념적 사건에 얽혀 국가에 의해 다수 희생당했다. 교원 본연의 교육 활동은 1951년 피난학교의 개설과 함께 본격적으로 재개되었으며, 그러한 가운데 경제적 어려움도 적지 않았다. 한국전쟁기는 교원이 국가 체제 수호와 이념 전달의 ``요원``으로 전락한 시대였다. 이때 박탈된 교원의 사상 자유는 교권의 핵심적인 요 소임에도 불구하고 21세기가 된 지금까지 ``유보``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한국전쟁은 교원들 에게는 비극의 출발점이었다 할 수 있다. 這篇論文試圖從敎師的生活角度去考察韓國戰爭時期的敎育狀況。所要硏究的問題可以分成兩個部分,一是韓國戰爭伊始,在朝鮮人民軍占領下的敎師的生活狀況,?一個是避難的情形和在避難地的生活敎師生活狀況。在朝鮮人民軍占領區,大韓民國政府成立前后表面上已被淸除的左翼敎師重新走到前面主導了占領區的敎育。在這種情況下,右翼和中立的敎師爲了生存不得已從事관連育毫无關連的一些"淸算""過去罪惡"的各項活활動,一部分加入了義用軍。但是,9.28重新收復首?以后他們的身上留下了"殘留派"的烙印,還背上"非國民"的嫌疑而被接受思想監定,所以他們飽受了雙重折磨。非人民軍占領區的敎師部分在韓國戰爭之后也被連累報道聯盟等事件,?多敎師受到了國家的迫害而被犧牲。1951年開瓣避難學校,敎師們才眞正得到了從事敎育活動的机會,但是,這一過程當中經歷了相當的經濟困難。可以說韓國戰爭期是一個敎師們被淪落成守護國家?制和傳達思想的"要員"的時代。這個時期,敎師們被剝奪了思想的自由,盡管思想的自由是敎師權利的一個核心因素,但是限制思想自由的狀況一直"保留"到21世紀的今天,所以,可以說韓國戰爭對敎師們來說是悲劇的起始点。

      • KCI등재

        미국과 중국에서의 한국전쟁 사진과 기억

        김형곤(Hyung-Go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8 No.4

        미국과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을 비교 분석하여, 각 사진화보집이 전달하고자 하는 한국전쟁의 의미와 그 의미를 사진으로 표상하는 방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으로 선택된 사진화보집은 1954년에 미국 해외참전용사 협회에서 발간한 Pictorial History of the Korean War와 1959년 중국 해방군화보사에서 발간한 『光榮的中國人民志願軍』이다. 한국전쟁 사진화보집에 대한 분석은 한국전쟁에 관한 공식적인 기억의 내용을 알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분석 결과, 한국전쟁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인식이 다른 만큼, 사진을 통해 표현되는 한국전쟁의 기억도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미국에서 발간된 Pictorial History of the Korean War에서는 한국전쟁에 대한 일관된 스토리를 찾아보기 어려웠고, 우세한 전쟁 상황을 사진을 통해 객관적으로 보여주려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별 사진들도 상징성보다는 기록성이 강한 사진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비해 중국에서 발간된 『光榮的中國人民志願軍』에서는 한국전쟁에 관한 일관된 스토리를 찾을 수 있었고, 그 내용은 한국전쟁 참전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것이었다. 개별 사진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이데올로기적 신념을 시각화하는 상징성이 강한 사진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가 시각적으로 기억하는 전쟁이 사실은 현재의 관점에서 구성되고 재해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official memory of Korean War through the photographs of pictorial history book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wo books of pictorial history that were published in America and China. Two books are Pictorial History of Korean War and The Glories of the People’s Army of China. This study investigated symbolic meanings of the Korean War photographs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visu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official memory of Korean War in America and China. In Pictorial History of Korean War, the superiority of military strength was the memory of Korean War. While in The Glories of the People’s Army of China, the superiority of socialism was the memory of Korean War. The Korean War photography actualized particular interpretations on Korean War.

      • KCI등재

        한국전쟁시기 미국의 해상운송체계와 상선 : 미군해상수송지원단(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을 중심으로

        (Se Manil)서만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병참(Logistics, 兵站)일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정부는 전쟁을 수행할 군사·경제적 역량이 없었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유엔연합군(United Nations Forces)의 참전으로 전쟁을 지속할 수 있었다. 이 연합군에 대한 모든 병참지원은 미군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대규모 군수품의 운송은 미군해상운송 지원단(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MSTS)에 의해 이루었다. 이와 더불어 민간구호, 경제재건 물자의 운송에도 관여하였다.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은 2차 대전이후 냉전체제를 대비한 군 수송체계로 미군의 전쟁수행을 용의하게 할 목적으로 창설되었고, 한국전쟁시기 본격적으로 처음 활용되었다. 특히 한국전쟁은 미군해상운송지원단에게 실전에서의 운영 노하우(Know-How)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운영체계가 확고해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은 그 자체 선박의 운영뿐만 아니라 민간 상선과의 운송계약을 적극 활용하여 미국 해운업에 많은 이득을 안겨주었다. 이것은 단순히 공산측에 대한 군사적 대응뿐만 아니라, 전쟁을 국내 산업의 보호와 육성이라는 경제적 측면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냉전시기 미국의 한국에 대한 지원은 군사적인 부분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한국은 1950~60년대 미국의 대대적인 경제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지원은 자본과 물자 지원만이 아닌 기술원조(technical assistance)의 측면도 포함하였다. 한국전쟁당시 미군해상운송 지원단에 소속된 민간 상업 선박 중 일부 선박에서 한국의 선원 육성프로그램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시기 대부분의 물류를 수송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설립과정과 전쟁당시 운영에 대해서 제시하고, 한국전쟁에서 미군해상운송지원단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arrying out the war is logistic support. During the Korean War,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have the military and economic capacity to carry out the war, and it was able to continue the war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All military support for this coalition was provided by the US military, and large-scale military supplies were transported by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In addition, it was involved in the transportation of private relief and economic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II,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a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the U.S. military s war as a military transport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Cold War system. It was us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e Korean War not only provided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ith an opportunity to build know-how in practice,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to solidify its system in East Asia. In addition,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has benefited a lot from the U.S. shipping industry by actively utilizing transportation contracts with private merchant ships as well as its own ship operation. This seems to include not only military responses to the communist side, but also the economic aspect of protecting and fostering domestic industries for war. US support for Korea during the Cold War was not limited to military aspects. Korea received extensive economic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and 1960s. This support includes not only the economic aid program, but also the aspect of technical assistance. During the Korean War, some of the private commercial ships belonging to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appear to have carried out a program to foster Korean sailor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US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hich transported most of the logistics during the Korean War, and discusses the role and meaning of the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to Korea.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임권택의 「낙동강(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문선영 ( Sun Young M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이 논문은 한국전쟁을 다룬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통해 한국전쟁 가운데 치열하기로 이름난 낙동강전투가 영화담론으로서 어떤 의미망을 지니는지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된 것이다. 이때 중심되는 화두는 ``한국전쟁과 영화담론``이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대상으로, 당대 전쟁영화의 의미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1976년에 제작되었다.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과 대적하는 남한군의 고군분투를 그린, 임권택 감독의 이른바 반공영화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洛東江은 흐르는가」에서는 반공영화가 주요 관심사가 될 수 없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든 전경으로든 담은 영화가 피해갈 수 없는 맥락이 바로 ``반공``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을 담은 영화는 끊임없이 제작되고 있고, 여기서 ``반공``에 대한 논란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반공이 논란의 선상에 놓이는 것은 한국전쟁이 지닌 특수성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렇듯 한계담론으로 지적되는 ``반공``의 이면에 숨겨진 담론들을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가 어떻게 표명하고 있는지 살폈다. 아울러 적과 동지의 구분이 모호한 한국전쟁의 아이러니성을 극명하게 표출시킨 ``낙동강``의 공간성과 함께 그 속에 놓인 소년병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면모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꽃의 메타포``로서 기억의 저편에 묻힌 과거의 진실들, 잘 표현된 불행의 여정들을 탐색하였다. 본고는 인간의 모순, 감각의 윤리, 생존의 숭고 등 여전히 진행형으로 우리 삶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상흔들을 ``낙동강``을 배경으로 곱씹는 데 바쳐져 있다.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film historical significance of Korean War through Does the Nak-Dong River Flow by Im Kwon-taek.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as the border landmark of fratricidal war, ha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eld of tragedy which decides between victory and defeat. A few sets of its significances could be drawn out from the cinematographic embodiment of that Nak-Dong River.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worth being counted as the masterpiece of war films. Despite its faithfulness to the anti-communist film, it also escapes the scope of ``anti-communism`` and raises a solemn question as to the misery of fratricidal war, making a war movie based on humanity as a whole. With its well-made mise-en-scen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before anything else a movie made with a great enthusiasm for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movie Nak-Dong River posits itself not only as the significance of the site of tragedy covered with blood and carcases but also as the significance of love and parting at the same time. These are extracted from the situation of child combatant Cheon Tae-sik. Secondly, Does the Nak-Dong River Flow? directly deals with the problem of child combatants, an issue of continual controversy. Centering on a little child with no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war at all, the misery of Korean War emerges all the more powerfully, and the pretty ``flower`` in the movie calls attention to those horrors even more impressively, let alone the image of tanks and the scenes of humanity. Likewis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can said to be a distinguished film work of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Before anything else, it is noteworthy that Kwon-taek Im, who tries to approaches the historical fact with modesty and sincerity placing ``child combatant`` as the central figure, poses Nak-Dong River as the space for the venting of spite, not being content with its spatial importance as the expression of the irony of Korean War which has no clear division between enemy and friend nor with its value as a factual record of the battlefield of the blind struggling for victory under those ironical circumstances of history. It must be deeply involved with those circumstances that Nak-Dong River has been one of the main subjects for film and other branches of art. There was a scene in the movie in which Cheon Tae-sik throws a field shovel to tell his fortune and other soldiers, utterly fearful of death, give facial expressions of agreement when they were making a plan to sweep the enemy through blowing up of a bridge and preparing for the operation. It is a moment of sadness, in which our minds cannot help but lapse into weakness infinitely under the tragic circumstances.

      • KCI등재

        정근식·강성현 저,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한국전쟁 연구의 국제비교학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정근식·강성현의 저서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의 30번 째 단행본으로 2016년 5월에 출간되었다. 저자들이 미군 사진부대 사진병들이 찍은 한국전쟁 사진들을 별도의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한국전쟁에 대한 한국인들의 기억을 점하고 있는 다수의 사진들이 이들에 의해 촬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사진의 수용과 분석이전에 사진촬영 주체의 성격을 규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전쟁 상황에서 사진을 통한 심리전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된 군 사진부대의 특수성을 염두에 둘 때, 미군 사진병들의 시각과 사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들의 입장이다. 동시에 사진이라는 외부 피사체 기술복제 기기의 과학적 사실성이 내포하는 매체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저자들은 미군 사진병들의 사진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군 사진병들이 생산한 사진들의 사각지점들을 해명하면서, 저자들은 적 진영에서 생산한 사진들이나 민간 사진가들이 생산한 사진들과의 교차연구를 통해 한국전쟁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새로운 냉전구도가 형성될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재의 동북아 정세 속에서, 이러한 냉전구도의 역사적 기원인 한국전쟁에 대한 평화지향적인 관점확립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저자들은 한국전쟁에 대한 국제비교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 볼 때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자료조사 분석방법, 미학과 미디어 연구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학이 결합된 사진 매체론 및 포토저널리즘에 대한 연구, 사회적 기억에 대한 역사철학적·사회학적 연구 등을 아우르는 학제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진행되었다. 한국전쟁의 복합적인 성격, 냉전적 사고의 여파가 낳은 은폐된 사실들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학제적 연구는 필수적이다. 연구가 사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사진이라는 기술복제 미디어에 관련된 포괄적인 사회문화론적 지식 또한 필수적이다. 나아가 치열한 미디어 전쟁, 복잡한 국제적 여론전을 동반한 한국전쟁의 성격을 고려할 때,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국제비교학적 연구에 학제적 연구가 결합될 때 최적의 연구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이를 위한 중요한 기초를 놓았다. This paper reviews the book, Historical Sociology of Korean War Photograph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written by Jung Keun Sik and Kang Sung Hyun. This book suggests several points about our memories on Korean War, which are framed by the photograph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According to the authors, though Korean War is a sixty five year old past, it is still the source of memory reproducing the power to construct the present, and at the center are situated war photographs taken by American soldiers. This book intends not only to examine the photographs on Korean War, but also the activities of the photography units at the US Army during Korean War. Through grasping the scene the photographs are showing, this book tries to understand the scene they are not showing accordingly. To reach the object of the studies, this book make full use of the concepts and method of several fields : history, sociology, media, communica-tion, political philosophy, etc. This book can be a model case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Korean War.

      • KCI등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동

        박은정(Park, Eun-Jung)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작품은 박경리의 파시와 이호철의 『소시민』이다. 이 두 작가는 한국전쟁 직후에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전후작가로 그들의 작품 세계가 한국전쟁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1950년대에 각각 전쟁으로 가장이 된 여성과 실향민이라는 개인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단편소설을 발표하였다. 1960년대에는 장편소설을 통해 개인적인 문제에서 벗어나 사회 전반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또한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는 단편소설에서 담아내기 어려웠던 등장인물들의 생활상이 제시된다. 두 작품은 한국전쟁 당시 후방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이 작품을 통해 그 시대상을 포착할 수 있다. 두 작가가 작품을 통해 의도적으로 부산 등의 후방 도시를 그려내려고 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 작품들을 통해 드러나는 부산의 생활상은 전쟁 이전 시대의 사회상과의 차별성을 찾아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쟁 이후의 시기인 196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가 이미 전시 후방 사회였던 부산에서 경험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전쟁 당시 부산의 모습을 살핀다. 부산은 한국 전쟁 당시 인적․물적 자원이 집합된 곳으로 전쟁 중임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풍요롭고 활기차게 보이는 곳이다. 전쟁으로 인해 사람과 물자가 모여든 부산이 전쟁의 수혜지로 어떻게 비춰지고 인식되는지는 살피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쟁 수혜지에서 유통되고 소비되는 물자들로 인해 당시의 후방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핀다. 전시 후방 사회는 급격한 경제 변화로 부의 재편성이 일어났다. 기존의 부유층은 그대로 부를 유지하고 생활하기도 했지만, 전쟁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한순간에 몰락의 길을 걷기도 했으며, 전쟁이라는 혼란기를 이용하여 신흥 부유층으로 등장하는 사람도 생겨났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이런 부의 재편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살피는 것은 타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양상이다. 한국전쟁은 한국사회에 경제적 변화만 이끌어낸 것이 아니다. 전쟁 당시 한국은 미국의 경제적 영향력 아래에 있었고, 이와 함께 한국 사회에 미국 문화의 영향도 크게 자리 잡고 있었다. 갑작스러운 이질문화의 수용은 한국인들에게 많은 변화를 이끌어냈는데, 본 연구에서 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또한 살핀다. 이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혼란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법과 부조리를 통해 신흥 부유층이 등장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외국문화의 수용과 함께 당시 사람들, 특히 여성들의 성인식 변화를 살필 수 있는데, 이는 아프레 걸과 기존의 성 역할 인식에 도전하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당시 성 인식의 변화는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변화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부산 사회가 전후 한국사회의 변화를 앞서 보여주는 곳이었음 알 수 있다. 『파시』와 『소시민』은 전쟁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쟁 당시 후방에서의 사회변화를 제시함으로써 다른 소설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한국전쟁 소설의 폭을 광범위하게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북미교회의 한국전쟁 이해

        탁지일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2013년은 한국전쟁 휴전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부산에 있는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역인 유엔기념공원(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에는 2,300명의 한국전쟁 참전 유엔군들이 묻혀있다. 누군가의 사랑하는 아들이었던 이들이 자신들의 집과 조국을 떠나 머나 먼 이국땅에 잠들어 있는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가장 대표적인 기독교 국가들인 미국과 캐나다는 많은 군인들을 파병했고, 많은 희생자들을 냈다. 미국과 캐나다 교회는 한국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전쟁터로 파병되는 젊은 청년들과 그들의 가족들에게 교회는 한국전쟁 참전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했으며, 수많은 전사자들의 가족들과 부상자들이 겪는 고통과 아픔을 어떻게 설명했을까?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과 캐나다 교회가 한국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시기와 범위는 한국전쟁 발발(1950.6.25)로부터 휴전(1953.7.27)까지 나온 미국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와 캐나다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anada)의 공식적인 자료들로 제한한다.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군사적·외교적 관계 차원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교회의 관점에서는,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미 양국 교회의 관계가 전쟁 원조활동을 중심으로 연구되었고,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공식적인 자료들에 기초한 선행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주로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재한 선교사들을 통한 구호활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사료관이 소장 중인 일차자료들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다. 캐나다연합교회 자료는 토론토 캐나다연합교회사료관(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의 일차자료들을 조사했으며, 미국연합장로교회 자료는, 필라델피아의 미국장로교사료관(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접근한 후, 샌프란시스코신학대학원(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에 소장된 일차자료들을 조사했다. The year 2013 is the sixty-year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At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Busan, Korea, rest 2,300 UN troops who sacrificed their lives during the wa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anada sent numerous troops to Korea. We wonder how the churches of U.S.A. and Canada recognized the war, how they justified it, and how they explained the meaning of war entry to the families of the young soldi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urche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I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ted Church of Canada during the period of the war (June 25, 1950~July 27, 1953). The previous studies of the Korean War were mostly approached on the level of political, military, and diplomatic relations and also church historians mainly dealt with the churches" humanitarian aids. Precious documents owned by the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U.S.A. and the 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 KCI등재

        ‘조선전쟁’의 기억과 마이너리티 연대의 (불)가능성 : 사키 류조의 「기적의 시」(1967)를 중심으로

        김려실 ( Kim¸ Ryeosil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1

        베트남전쟁 중인 1967년에 씐 사키 류조의 소설 「기적의 시」는 한국전쟁 특수로 번영했던 일본 최대의 제철소 야하타제철소를 배경으로, 일본 사회가 이웃의 전쟁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를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일본어에서 市는 문맥에 따라 시가(市街)나 시장(市場)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적의 시(市)’란 한국전쟁 특수로 기적의 도시가 된 야하타시와 미국이 주도하는 냉전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동시에 가리키는 이중적인 제목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났으며 일본공산당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는 이 작가는 한국전쟁을 배경화한 일본 작가들에 비해 ‘조선의 식민화-대동아전쟁-패전과 점령-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전쟁기억의 연쇄와 오버랩 속에서 한국전쟁을 바라 보았다. 중학생 주인공의 1인칭 시점으로 식민 지배의 과거를 잊어버리고 한국전쟁 특수를 환영했던 일본 사회의 속물주의가 풍자되며 그와 같은 ‘망각의 경제’ 가장 밑바닥에서 생존을 도모했던 귀환자-프리케리아트와 재일조선인이 겪은 한국전쟁이 그려진다. 그러나 작가가 취한 미숙한 소년의 시점은 냉전과 분단의 심화에 따라 재구축되고 재분절화되었던 재일조선인의 복잡한 정체성을 제대로 드러내지는 못했다. 한편, 이 소설은 이차대전 때 미국과의 전쟁에서 아버지를 잃은 소년의 반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해 점령의 문제를 다룬다. 사춘기 소년의 과장된 남근적 욕망에는 명백히 불안이 내포되어 있는데 그의 좌절된 욕망은 페티시로 전치되며 복수의 환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점령군을 향한 복수는 결국 덜 위험한 대상으로 전치되며 아들은 보상을 받고 냉전 질서에 타협하는 길을 택한다. 이 소설에서 작가는 한국전쟁 특수를 베트남전쟁으로 다시 열린 ‘기적의 시장’을 비추어보는 거울로 삼았다. 한국전쟁 특수로 전후 부흥을 이루어낸 일본은 과거의 침략전쟁에 대한 정당한 배상 대신 미국과 공동으로 진행한 냉전 근대화 프로젝트를 통해 개도국이 된 아시아태평양의 과거 식민지들을 원조한 것으로 배상을 끝냈다고 간주했다. 그러나 정당한 배상이야 말로 탈식민화의 지난한 과정을 오래도록 겪어야 했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아직도 끝나지 않은 냉전을 종식시킬 평화의 기초가 될 것이다. Ryujo Saki’s novella the Miracle City(奇跡の市), written in 1967, during the Vietnam War, sheds light on how Japanese society viewed neighbors’ war, the Korean War, in the backdrop of the Yahata Steel Mill, which flourished with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by U.S. In Japanese 市 means city or market. Therefore, the title refers to Yahata City, which became a miracle city due to the Korean War, and also the Cold War capitalist market economy led by the U.S. at the same time. Born in colonized Chosen and having a history of joining the Communist Party of Japan, the author looked at the war in the chain of war memories and overlaps leading to the colonialization of Chosen, the Great East Asian War, the defeat and occupation of Japan and Korean War, compared to other Japanese writers who set the Korean War only in the background.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of a middle school student, the story satires the snobbery of Japanese society, which forgot the past of colonial rule and welcomed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nd depicts the Korean War experienced by the repatriate-precariat and Zainichi Koreans in Japan, who sought survival at the bottom of such an "Economy of Forgetting." However, the immature boy’s point of view does not properly reveal the complex identity of Zainichi Koreans in Japan, which had been reconstructed and re-divided following the deepening Cold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Meanwhile, the story deals with the issue of U.S. occupation over Japan through the anti-American Oedipus complex of the boy who lost his father in the war against the United States during World War II. His exaggerated phallic desire clearly contains anxiety, and his frustrated desire is transferred to fetish and translated into revenge fantasies. However, revenge toward the occupation forces is eventually transferred to less dangerous targets, and the son takes the path of compensation and compromising the Cold War order. As such, the Miracle City used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s a mirror to reflect the “Miracle Market” reopened through the Vietnam War. Japan achieved post-war revival with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nd regarded its war reparation was over by providing aid to its former colon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ch have become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a joint Cold War modernization project with Japan and the U.S. instead of right reparations for its past colonial wars. But legitimate reparations will be the basis for peace that will end the unfinished Cold War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ch has undergone a long and arduous process of decolo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