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Origins of Cultural Films in Korea

        Kim Ryeosil(김려실)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9 No.2

        ‘문화영화(文化映畵, cultural film)’는 일제시기에 만들어진 용어로 한국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대체로 극이 아닌 영화(nonfiction film)의 총칭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기록영화(documentary film)라는 용어와 달리 문화영화는 국가의 문화? 공보정책의 일환으로 제작된 관제 선전영화라는 속성을 지녔고 그동안 연구대상으로 주목 받지 못했다. 문화영화는 애초에 장르의 명칭이 아니었다. 따라서 문화영화로 불린 작품들의 형식적, 내용적 공통성을 바탕으로 이 용어를 개념화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문화영화는 비(非)극영화=기록영화로 범박하게 인식되어 왔지만 제작과 유통현장에서는 극영화나 애니메이션조차 문화영화에 포괄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문화영화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문화영화라는 고유명사가 일반명사화 되어갔던 과정을 다시 들여다볼 수 밖에 없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영화가 등장한 일제시기로 거슬러 올라가 이 용어가 만들어지고 통용된 맥락을 살피고자 한다. 비극영화의 개념이 처음 도입된 ‘활동사진필름검열규칙’에서부터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을 거치면서 영화국책이 수립되어가는 과정속에서 문화영화가 장려되고 일본영화법과 조선영화령을 통해 국가가 육성해야 하는 ‘국민영화’로서 명문화되어 강제상영 되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해본다. The term "cultural film" was coined in Korea under the Japanese rule, and it had been used as a general term for nonfiction films since the Korean liberation until the 1980s. However, unlike the term "documentary film," cultural film contains implications of propaganda film, controlled and produced as part of cultural and public relations policies of the government, thus it had been seldom studied for a long time. The term “cultural film” did not mean a film genre in the beginning.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conceptualize the term based on common formats or contents of the films which have been called “cultural films.” Cultural films have been generally recognized as nonfiction films, and therefore documentary films. Yet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ites, fiction films and even animations were considered cultural films. In order to delve into the nature of cultural film, we have to re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proper noun “Cultural Film” became a common noun.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term “cultural film” was coined and used in the colonial Korea, when cultural films began to be produced. I examine the overall time period in which: 1) the concept of nonfiction fil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Motion Picture Censorship Regulation, 2) the term “cultural film” became legally stipulated at a time when national policies were being established as Korea experienced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Sino-Japanese War, and 3) “cultural films” were screened mandatorily as “national films” that the nation had to foster through the Japan Film Law and Choson Film Act.

      • KCI등재

        ‘조선전쟁’의 기억과 마이너리티 연대의 (불)가능성 : 사키 류조의 「기적의 시」(1967)를 중심으로

        김려실 ( Kim¸ Ryeosil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1

        베트남전쟁 중인 1967년에 씐 사키 류조의 소설 「기적의 시」는 한국전쟁 특수로 번영했던 일본 최대의 제철소 야하타제철소를 배경으로, 일본 사회가 이웃의 전쟁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를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일본어에서 市는 문맥에 따라 시가(市街)나 시장(市場)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적의 시(市)’란 한국전쟁 특수로 기적의 도시가 된 야하타시와 미국이 주도하는 냉전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동시에 가리키는 이중적인 제목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났으며 일본공산당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는 이 작가는 한국전쟁을 배경화한 일본 작가들에 비해 ‘조선의 식민화-대동아전쟁-패전과 점령-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전쟁기억의 연쇄와 오버랩 속에서 한국전쟁을 바라 보았다. 중학생 주인공의 1인칭 시점으로 식민 지배의 과거를 잊어버리고 한국전쟁 특수를 환영했던 일본 사회의 속물주의가 풍자되며 그와 같은 ‘망각의 경제’ 가장 밑바닥에서 생존을 도모했던 귀환자-프리케리아트와 재일조선인이 겪은 한국전쟁이 그려진다. 그러나 작가가 취한 미숙한 소년의 시점은 냉전과 분단의 심화에 따라 재구축되고 재분절화되었던 재일조선인의 복잡한 정체성을 제대로 드러내지는 못했다. 한편, 이 소설은 이차대전 때 미국과의 전쟁에서 아버지를 잃은 소년의 반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해 점령의 문제를 다룬다. 사춘기 소년의 과장된 남근적 욕망에는 명백히 불안이 내포되어 있는데 그의 좌절된 욕망은 페티시로 전치되며 복수의 환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점령군을 향한 복수는 결국 덜 위험한 대상으로 전치되며 아들은 보상을 받고 냉전 질서에 타협하는 길을 택한다. 이 소설에서 작가는 한국전쟁 특수를 베트남전쟁으로 다시 열린 ‘기적의 시장’을 비추어보는 거울로 삼았다. 한국전쟁 특수로 전후 부흥을 이루어낸 일본은 과거의 침략전쟁에 대한 정당한 배상 대신 미국과 공동으로 진행한 냉전 근대화 프로젝트를 통해 개도국이 된 아시아태평양의 과거 식민지들을 원조한 것으로 배상을 끝냈다고 간주했다. 그러나 정당한 배상이야 말로 탈식민화의 지난한 과정을 오래도록 겪어야 했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아직도 끝나지 않은 냉전을 종식시킬 평화의 기초가 될 것이다. Ryujo Saki’s novella the Miracle City(奇跡の市), written in 1967, during the Vietnam War, sheds light on how Japanese society viewed neighbors’ war, the Korean War, in the backdrop of the Yahata Steel Mill, which flourished with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by U.S. In Japanese 市 means city or market. Therefore, the title refers to Yahata City, which became a miracle city due to the Korean War, and also the Cold War capitalist market economy led by the U.S. at the same time. Born in colonized Chosen and having a history of joining the Communist Party of Japan, the author looked at the war in the chain of war memories and overlaps leading to the colonialization of Chosen, the Great East Asian War, the defeat and occupation of Japan and Korean War, compared to other Japanese writers who set the Korean War only in the background.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of a middle school student, the story satires the snobbery of Japanese society, which forgot the past of colonial rule and welcomed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nd depicts the Korean War experienced by the repatriate-precariat and Zainichi Koreans in Japan, who sought survival at the bottom of such an "Economy of Forgetting." However, the immature boy’s point of view does not properly reveal the complex identity of Zainichi Koreans in Japan, which had been reconstructed and re-divided following the deepening Cold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Meanwhile, the story deals with the issue of U.S. occupation over Japan through the anti-American Oedipus complex of the boy who lost his father in the war against the United States during World War II. His exaggerated phallic desire clearly contains anxiety, and his frustrated desire is transferred to fetish and translated into revenge fantasies. However, revenge toward the occupation forces is eventually transferred to less dangerous targets, and the son takes the path of compensation and compromising the Cold War order. As such, the Miracle City used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s a mirror to reflect the “Miracle Market” reopened through the Vietnam War. Japan achieved post-war revival with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nd regarded its war reparation was over by providing aid to its former colon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ch have become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a joint Cold War modernization project with Japan and the U.S. instead of right reparations for its past colonial wars. But legitimate reparations will be the basis for peace that will end the unfinished Cold War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ch has undergone a long and arduous process of decolo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