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 성취도에 기반한 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관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제영,신인수,이희숙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는 요소로서 학생의 학업 성취도 평가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학교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은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학업 성취도 평가가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는 주요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2년 통과된 NCLB 법률에 의해 거의 모든 주에서 학업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통해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높이고자 시도하고 있다. 워싱턴 D.C.에서는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21개의 학교를 폐쇄하고, 36명의 학교장과 270명의 교사를 해임하는 등 강력한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플로리다 주에서도 학업 성취도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책무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여러 가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으로 책무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학업 성취도 평가의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학업 성취도 평가를 활용한 책무성 평가 체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평가하기 위한 체제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학업 성취도 평가의 목적을 올바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 성취도 평가의 내용을 올바르게 구성해야 한다. 넷째, 학업 성취도 평가를 학교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과정과 방법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법적 분쟁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서 학업 성취도 평가와 함께 교육의 책무성을 관리하는 체제를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st based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s. In many countries, governments are trying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nd student achievement tests are the basis for evaluat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The No Child Left Behind Act of 2001 required every state to implement a statewide test in an effort to improve the results of public school education. For instance, in the State of Florida, student test results on the Florida Comprehensive Assessment Test (FCAT) are the core factor of its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Additionally, using test results, Michelle Rhee, Chancellor of the District of Columbia Public Schools system, has closed 21 schools, fired more than 100 workers of central bureaucracy, dismissed 270 teachers, and removed 36 principals. We can expect that the test-based accountability system will be used in Korea: therefore, five thing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First, we need a grand plan for evaluating an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Second, we need to customize the purpose of the student achievement test. Third, we should make authentic tests based on core competencies. Fourth, the testing process and its methodologies need the mutual consent of teachers,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Fifth, we need to develop legislation for the test and accountability system.

      • KCI등재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육과정 질 관리 역할

        김경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unctions of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by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or this purpose, first the researcher conceptualized the meaning of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s to manage the 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urriculum by the NAEA that are presented in 7th National Curriculum,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rd, through reviewing the history of 17 years of NAEA, this study shows that NAEA had success in managing the quality of basic academic ability, but there were few cases that those assessment results were directly utilized to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school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processes. Given the results, the researcher need to strength the functions to manage the 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urriculum by the NAEA.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reasons of the few reflected cases from the NAEA to the curriculum improvement exist in the limitation of testing whole population of students and a lack of the reflected system from the NAEA to the curriculum improvement. Through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NAEA to properly function as a mechanism of the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to efficiently utilize the results of NAEA and give the feedback to revise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질 관리 기제로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의 역할을 다루었다. 우선, 교육과정 평가의 일환으로서 교육과정 질 관리의 개념을 조명하고, 교육과정의 질 관리 기제로서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육과정 질 관리 기능과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0년부터 시작된 학업성취도 평가를 표집평가와 전수평가로 구분하여 질 관리 기제로서의 17년 동안의 학업성취도 평가 변천을 개관하고 학업성취도 평가의 학력 질 관리, 단위학교의 활용도, 교육과정 개선에의 활용 사례 등을 검토하여 기초학력 질 관리에서는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지만 평가 결과가 교육과정 개선에 환류 되는 사례는 미흡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표집평가로 돌아가야 하는 현 학업성취도 평가가 교육과정 질 관리의 기제로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노혜림(Hye Rim Noh),이현숙(Hyun Sook Y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뉴스에 대해 LDA 토픽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단어 간의 관계를 통해 평가 자체에 대한 인식과 이해당사자별 인식을 확인하고자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뉴스기사에 포함된 댓글에 대해 주제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분석 결과, (1)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확대에 대한 시·도교육감들의 상반된 반응, (2) 자율평가의 참여 유도로 인한 교육청과 교원단체 간의 갈등, (3)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시행, (4) 학력 신장을 위한 보수성향 교육감의 평가 확대, (5)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대상 확대, (6)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7)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시행과 사교육 총 7개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댓글 분석에서는 자율평가 시행의 필요성 및 이에 대한 우려가 주로 등장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자율평가를 통해 서열화와 사교육이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과 일제고사 형식의 평가는 지양하지만 자율평가 도입을 통한 학력 진단은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바탕으로, 맞춤형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on the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CAEA) proposed to ensure the basic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news articles and online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majo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tations using web-crawling method. The 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while keywor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and comments. Seven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LDA analysis: (1) conflicting responses from superintendents for expansion of the CAEA, (2) conflicts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 organizations over participation in the CAEA, (3)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to ensure that every student meets the basic level of academic standards, (4) expansion of the CAEA for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by conservative superintendents, (5) expansion of CAEA’s target grades, (6) the 2021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result, and (7) implementation of the CAEA and private education. In addition, the need for the national or state-level customized assessment and concerns about polarization in education associated with mandatory administration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comments on news articles. Finall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explored through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ly-sound applications of the CAEA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의 ‘교원 전문성 신장’ 효과 분석 : 국가수준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정(Lee, Soojeong),이광현(Lee, kwanghyu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4

        이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을 통해 교원의 수업지도능력의 향상과 같은 효과가 나타났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정책 의도인 교원의 전문성 신장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원의 수업지도능력을 대표할 수 있는 변수로서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선택하였고 전국적 비교를 위해 국가수준학업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동료교원평가와 학생만족도, 학부모만족도 평균)가 초, 중, 고등학교별로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보통학력이상비율, 기초학력미달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여타 설명변인들을 통제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만족도 점수 변인이 수학과 영어 과목에서 모든 학교급에서 학생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 보통학력이상비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일정정도 학생의 학력수준향상에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다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교원의 수업지도능력의 향상에 긍적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eacher Capability Development Evalu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ism in South Korea. For this, the study, using the data of local ministries of education on the results of the TCDE, examined whether teachers test scores for the TCDE impact on their students test scores for the Nation-level Test of Student Achievement or not. Findings showed that teachers test scores for the parent satisfaction test of the TCDE positively influence the increase of their students test scores for both English and Math of the Nation-level Test of Student Achievement.. These findings impli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TCDE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 KCI등재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타당도

        조재민,민경석,박인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NAEA(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terms of school practic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s, the consistency of teacher’s classification of NAEA achievement level descriptions, the accuracy of predicted achievement levels for each student, and teachers’ application of NAEA results for teaching were evaluated.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that 1) teachers categorized achievement level descriptions somewhat differently from NAEA, 2) teachers expected more below-basic level students compared with NAEA, and 3) NAEA results were far less used than expected in school practices. Also, teachers kept focusing on the national curriculum regardless of the implementation of NAEA. In sum, we found the impacts of NAEA on schools were not in the intended directions and degrees, in terms of consequential validity defined by Messick. Based on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issues on the recent cessation of Elementary School NAEA and suggested several research points for further studies. 결과타당도는 평가 시행에 따른 결과가 본래 목적과 부합되는지, 평가 결과의 직 · 간접적인 사회/교육적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한 가치판단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국가차원에서 공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서 대규모 평가를 활용하는 경우, 평가도구의 결과타당도는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타당도를 단위학교 교사의 관점에서에서 논의하기 위하여, 성취수준 진술문에 대한 교사의 분류 일치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교사의 예측 성취수준의 일치도, 단위학교의 교육 활동 속에서 평가 목적의 구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수준 진술문에 대한 교사의 분류는 국어과와 수학과 모두에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 분류에 대한 일치율이 낮았다. 둘째, 개별 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교사의 예측 성취수준은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에서는 상대적으로 일치율이 높았지만, 기초학력과 보통학력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 평가 목적의 구현에 대하여 교사는 전반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단위학교 교사들은 평가 시행 결과가 학업 성취수준 파악, 학업 성취 추이 분석, 교수 · 학습 개선, 배경변인 정보 활용, 평가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기초학력 보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현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초등학교 재시행 포함)에 대한 논의에서는 평가 절차(학년, 과목, 전수/표본조사 등) 뿐만 아니라 평가 결과의 교육적 활용(결과타당도) 측면에서도 타당성이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를 위한 장애학생의 대체사정에 대한 고찰: 미국의 관련 연방법을 중심으로

        이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3

        국가는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보다 높은 학업성취를 보장하는 책무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장애학생들에 대한 국가의 교육책무성과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지난 10여년 동안 연방법을 근거로 대체사정의 개념, 유형, 및 절차 등을 체계적으로 갖추어 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교육책무성과 관련하여 실시되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장애학생들의 참여가 법적으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대체사정의 개념이나 유형에 대한 이해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이 현재의 대체사정을 도입하기까지의 배경 및 미국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세 가지 유형을 관련 연방법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대체사정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대체사정 도입배경은 네 시기(1990년대 전반기, 1990년대 후반기, 2000년대 전반기, 2000년대 후반기)로 나누어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알아보았으며 대체사정의 유형은 각 하위유형(AA-GLAS, AA-MAS, AA-AAS)에 대한 도입시기, 대상학생, 학업기준, 사정방법, 적정 연간진보 산출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들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대체사정 방안모색을 위한 다섯 가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1) 대체사정의 개념 정립, 2) 대체사정의 유형 정립, 3) 개별화교육계획과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관계 정립, 4) 장애학생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제도적 절차 마련, 5) 장애학생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참여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 A nation has an accountability to ensur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Related to this accountability, in the United States, over the past 10 years alternate assessments have been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federal laws. However, in Korea, not only there is no law that can ensu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but also there is lack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types of alternate assess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three types of alternate assessments based America's federal laws and to draw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alternate assessmen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results of this study, five considerations were suggested: 1) Establishing the concept of alternate assessments, 2) Establishing the types of alternate assessments, 3)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EP and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4) Developing the procedures of each type of alternate assessments, and 5) Developing legal requirements on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학업성취도 평가 관련 법적 쟁점

        박창언(Park, Chang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학업성취도 평가는 전문적인 판단을 요하는 것이며, 외적인 규제나 통제와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 평가에 대한 실시와 방법 등에 대한 주요 내용은 법에 근거를 두고 규제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학업성취도 평가 분야에서 제기되는 법적 문제를 다루어 이론적으로 해결되거나 정비되어야 할 부분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논의 결과 공교육 체제에서 국가는 학업성취도 평가의 기준을 설정하여 학업성취도 평가에 관여할 수 있는 권한이 있고, 교사는 이러한 기준 의 범위 내에서 내용적인 면을 판단하여 기술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학습자의 성장에 봉사하고, 주체적인 자기형성을 기하는 평가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는데 노력하여야 했다. 그러나 아직 우 리나라의 학업성취도 평가 관련 규정은 국가의 권한이 강화되어 있고, 교육외적인 학업성취도 평가가 현 실적으로 규제하고 있어 교육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노출되어 있었다. 그래서 향후 이러한 부분에 대한 판례의 분석과 이에 따른 이론적 정립을 통해 법과 제도를 정비하여야 할 과제가 있었다. The evaluation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that needed professional judgement must be done in atmosphere of freedom. But, the main contents of the evaluation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are prescribed by laws and rules. Nevertheless, the reason that the evaluation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is a subject of discussion of legal study does protect some rights for learning by prescribing rules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conditions. However, a study on the legal aspect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was not conducted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dealt with the legal problems of the evaluation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This study worked three topics: the educational freedom of school teachers, the power of government, and methods of evaluation in the evaluation of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As a result, while the power of government strengthens, the educational freedom of school teachers remains week. Therefore, there needs to be modification of laws and institu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utonomy in the evaluation of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자료 활용정책

        신혜진(Hyejin Sh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5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각 단위학교의 학업수준을 국가수준에서 진단하고, 학생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전반적인 학업성취도 향상을 기대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정책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학교의 학업성취도평가자료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각 단위학교 현장에서의 학업성취도 평가자료 활용에 대한 정책분석 연구로서, 관련정책 문건을 분석하고 각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학업성취도 평가자료 활용실태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학교의 다양한 평가 자료 활용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각 단위학교의 학교장은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기초학력미달학생수의 정도에 상관없이, 학교장 개인의 재량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가 활용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최근 들어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는 반편성이나 진급 등의 목적이 아닌 보다 수업개선이나 교수학습개발 등의 실재적이고 수업중심적인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s (NAEA) aims to diagnos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in each school and support if any school identifies to struggle with underperformed students for their learning. As national level assessment policy, NAEA purposes to make efforts to lead zero perc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stud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NAEA results for each school and examined how each school used the NAEA results in school practices. Grounded by Stephen Ball's policy concepts, this study conceptualized 'policy as text' and 'policy as practice'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NAEA results in school setting. Applying a policy document analysis and an empirical approach, this study found that each school did not use the NAEA results appropriately; it tends to apply the NAEA results in school instructional settings, depending on principal own judgmen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elow basic proficiency' students. Although various ways to use NAEA results are provided in federal level policy document, the specific application procedure was only limited in providing at province and school distric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chool changed the application of NAEA results for more oriented to learning-centered strategy (i.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an burden-centered strategy (i.e., replacement testing for advancement) for students. Further, this study emphasized that schools which used the NAEA results in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tended to decrease the number of 'below basic proficiency'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AEA results should not be used to bring some burden for student or parents; rather, the results may apply to diagnose a student achievement level and support the underperformed students. Federal and province level polices need to provide appropriate and specific strategies on the use of NAEA results for each school practice.

      • 제3장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중등교사의 견해 분석

        김영미 ( Young Mi Kim ),김용주 ( Yong Chu Kim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22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도부터 실시된 전집 형태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제도와 그 영향에 대한 서부 경남지역 중등학교 교사 350명의 견해를 조사·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세 가지 연구문제-학업성취도 평가의 내용과, 결과 활용 방식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견해는 어떠한가? 학업성취도 평가의 도입 후 학교 구성원의 변화에 대한 교사의 견해는 어떠한가? 학업성취도 평가가 학교교육 발전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한 교사의 견해는 어떠한가? - 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교사들의 3/4 이상이 평가대상 학년과 교과에 대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문항의 타당도, 변별도, 난이도에 대해서는 평가대상 교사의 2/3이상이 적절하다 혹은 쉽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다수의 조사대상 교사들은 성취도 평가결과의 공개 범위를 줄이되, 공개 방식은 개인적이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조사대상 교사들의 절대다수는 학업성취도 평가제도 도입 이후 학생들의 수업분위기, 기본 생활태도, 학업능력 등이 도입 전과 마찬가지라는 견해를 보였다. 조사대상의 3/4 정도는 학업성취도평가 도입 후 업무량이 많아졌고, 수업에 대한 부담감도 커졌으며, 성취도 평가가 교사의 사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대다수의 조사대상 교사들은 학업성취도 평가가 지역 간 학력격차 해소, 학교교육의 사회적 책무성 제고, 학교교육력 신장,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 현장의 실정을 반영한 학교교육 정책 수립 등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condary teachers` views on the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te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0 teachers in nine middle schools and seven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to who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took a favorable view on the validity and subjects of the tests, the grade of students to be tested, and the assessment function and validity of the test items. Second,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consented to the release of information on eac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s, but they disagreed to the release of information on each school`s collective average. Third, most of the teachers didn`t think that there was any change in the attitude of students on their learning eve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ystem. Fourth, most of the teachers found themselves to be responsible for greater pressure on teaching and administrative trivial job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ystem, and they considered the system would lead an adverse impact on their morale. Fifth, most of the teachers didn`t think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ystem made any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과 쓰기 영역의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

        전제응(Jeon, JeEung),최규홍(Choi, Kyu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쓰기 영역의 문항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교육의 변화와 쓰기 영역 학업성취도 평가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는 초등학 교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 기준에 반영되었던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내용과 학업성취도 평가 쓰기 영역의 성취 기준을 조응해 고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쓰기 평가 문항의 문항 성취 기준과 개별 문항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쓰기 평가 문항의 문제점으로 분절성, 간접성, 비균형성을 도출하였다. 문항 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쓰기 평가에는 직접 평가 문항이 추가되어야 함을, 둘째, 쓰기 과정을 통째로 평가하는 문항의 설계가 필요함을, 셋째, 쓰기 영역의 정의적 부분을 평가할 수 있는 성취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해야 함을 들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초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쓰기 영역에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한 점과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초등학교에 시행되었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통시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들 수 있다. This study is discussed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writing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 explore it through diachronic analysis of the questions. First, we looked at the trend of changes in writing achievement assessment and writing training. Then, we derive the problem of the writing test items-the segmentally, indirectly, and non-balanced tes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follows. First, test items should be added to the direct writing assessment. Second, there is a need to evaluate the entire writing process, first of all, in order to design of the items. Third, we need to develop criteria to assess the achievement of the affective domain of writing. And to develop a tool that measures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