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K-SATS) 타당화

        이현숙,전수현,Yi, Hyun-Sook,Jeon, Soo-Hyun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5

        Previous research has recently shown that non-cognitive factors such as attitudes toward statistics contribute positively to statistics learning, Hence, helping students develop positiv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has become one of the essential goals of statistics teaching. A wide variety of instruments assessing attitudes toward statistic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in foreign countries, but not many in Korea. The SATS-36(Survey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36; Schau et al., 1995)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valid measures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Survey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K-SATS). Instead of six factors of the original scale, a five-factor structure including interests, value, cognitive competence, difficulty, and effort was empirically supported by the Korean student sample. The results evidenced high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K-SATS. In addition, students' attitudes towards statistics differed across gender, level of statistics courses, degree programs, and major.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tatistics teaching. 전통적으로 대학에서 개설되는 통계학 강좌의 지향점은 통계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 여부에 주된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통계에 대한 태도와 같은 비인지적 요인이 통계학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함양이 통계 지식 및 기술의 습득 못지않게 중요한 통계학 강좌의 과제로 부각되었다. 이에 해외에서는 통계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국내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에 대한 태도를 가장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는 SATS-36(Survey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36; Schau 등, 1995)을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K-SATS)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예비분석 결과 원척도의 6요인이 아닌 흥미, 가치, 인지적 역량, 용이성, 노력의 5요인 구조가 한국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검사 분석 결과 K-SATS의 신뢰도와 구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K-SATS의 전체 혹은 하위 척도별 점수에서 성별, 강좌 수준, 학위 과정, 전공 계열에 따라 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판 통계 태도 검사가 추후 연구와 교수방법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TIMSS 수학 성취 상위국의 수학 흥미와 자신감에 대한 학년 및 연도간 변화 분석

        이현숙(Hyun Sook Yi),이창묵(Chang mook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실시된 TIMSS 수학 영역에서 성적이 높았던 상위 10개국을 대상으로 각국 학생들이 초등학교 시기에 수학에 대해 형성한 정의적 특성이 중학교에 진학하면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TIMSS 2007과 TIMSS 2011의 4학년과 8학년 학생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의 변화를 국가별로 비교하였다. 분석에는 여러 집단의 잠재평균 차이를 동시에 비교하는데 있어서 전통적인 다집단 분석 방식의 한계를 보완한 정렬 최적화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싱가포르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4학년에서 8학년으로 가면서 흥미와 자신감이 급격히 하락하였으며, 우리나라와 대만, 일본 학생들은 4학년 때도 흥미와 자신감이 상당히 낮은 수준에서 출발할 뿐 아니라 하락폭도 크게 나타났다. 한편 싱가포르는 같은 아시아국이면서도 우리나라와 달리 4학년과 8학년 모두 흥미 수준이 매우 높게 유지되었으며, 8학년의 흥미 수준은 우리나라 4학년 학생들에 비해서도 높았다. 반면 싱가포르와 더불어 교육선진국으로 인식되고 있는 핀란드의 경우 수학에 대한 자신감은 높았으나 수학 흥미 수준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은 미국과 영국, 핀란드, 이스라엘 학생들이 높았으며, 수학에 대한 흥미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높았던 러시아와 싱가포르는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학년의 증가 및 연도의 변화에 따른 정의적 특성의 변화가 우리나라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국가와 상반된 패턴을 보이는 국가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의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change of 4th and 8th 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etween TIMSS 2007 and TIMSS 2011 among high-performing countries in TIMSS mathematics. Student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math were compared across 10 countries and the alignment optimization method, recently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multi-group analysis, was employed to make comparisons on the latent means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It was observed that all countries except Singapore showed decreasing patterns in interest and self-confidence as it went from 4th to 8th grade, and that decreases in South Korea, Taiwan, and Japan were even more drastic. Singapore students maintained similar level of interest in math in both 4th and 8th grades, with the level of 8th grade interest being even higher than that of South Korean 4th graders. Finland showed contrasting patterns between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that interest was very low, while the self-confidence was relatively high. Self-confidence in math was also high in the U.S., U.K., and Israel, while countries with high level of interest such as Russia and Singapore showed moderate level of self-confide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mproving South Korean student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math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Assessment of Teaching Aptitude of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University-Based Teacher Credential Programs in South Korea: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Based on a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Framework : 예비교사들의 교직적인성 평가: 인지진단

        이현숙(Yi, Hyun Sook),박세진(Park, Seji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3

        교원 양성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교직 적성과 인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부족한 영역을 강화하여 성공적으로 교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직적인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예비교사가 가지는 강점과 약점을 정확히 측정하고 진단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직적인성을 8개의 요소로 구성된 복합적인 구인으로 정의하고, 다차원적이고 상호관련적인 속성을 가지는 구인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직적인성 숙달 프로파일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6개 대학 1,111명의 예비교사들에 대해 교직적인성 숙달 프로파일을 측정하였으며, 성별과 학년 등에 따른 숙달 프로파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교직에 대한 소명감 과 공동체 형성 및 배려 에 있어서는 높은 숙달 확률을 보였으나 심리적 안정감 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 세부적인 프로파일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교직적인성 검사 결과에 대해 단순히 합격/불합격의 판단적 정보만 제공하기보다, 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보다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Teacher education programs must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 teachers to explore their teaching aptitude early in the program and help them to strengthen their areas of weaknesses to prepare them for the realities of teaching. This study employed the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framework,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in providing profiles of multidimensional and inter-related attributes, such as the teaching aptitude. The attribute mastery profiles of 1,111 participants from 6 South Korean universities were examined so that inferences could be made about the predominant attribute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university-based teacher credential programs in South Korea.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high mastery probabilities for the attributes “dedication to teaching profession” and “caring personality with community building skills” and low mastery probabilities for “emotional stability.” The results also varied across gender and level of educa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thod adopted provides more fine-grained and useful insights than a simple pass/fail testing system.

      • KCI등재

        혼합형 검사의 문항 유형별 가중치에 따른 신뢰도 및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

        이현숙(Hyun Sook Yi)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1

        혼합형 검사로 구성된 대규모 검사의 개발 초기 단계에는 검사의 내용 영역 및 행동 영역, 제한 시간, 피험자의 발달적 특성, 측정의 정교성 수준 등을 고려하여 검사 문항 유형별 문항 수와 배점 등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배점을 조정함에 따르는 측정학적 특성의 변화, 특히 신뢰도의 변화에 대한 경험적인 근거 없이 선택형 문항 및 서답형 문항의 문항수 및 배점이 정책적 결정 또는 선험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혼합형 검사 데이터를 이용한 예시적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문항 유형별 배점의 조합을 탐색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이 방법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한 중학교의 국어과와 과학과 중간고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합성점수 산출시 선택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에 적용하는 가중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킴에 따라 검사의 신뢰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적용하여 오차 분산 및 일반화가능도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산출된 최적의 상대 가중치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특정 검사에만 국한되지만,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적 틀은 검사의 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최적의 문항 유형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적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 국면과 문항 국면으로 구성된 설계에만 국한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나, 향후 채점자 국면을 임의 국면으로 포함한 설계에 확장하여 적용할 것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였다. It is a typical practice in developing a large-scale test with mixed format that number of items of multiple-choice(MC) and constructed-response(CR) items and relative weights of each format are determined based on test specifications including content and performance domains, time constraints, developmental stage of examinees, and desired accuracy of measurement. In some cases, however, this kind of decision is arbitrarily made based on government policy or a priori judgment, not based on psychometric properties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of investigating effects of diversifying relative weights of MC and CR items on reliability indices such as generalizability index or index of dependability using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and finding an optimum combination of relative weights that maximize the reliability, by providing an illustrative example of applying the methodology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eacher-crafted assess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timum combination of relative weights obtained from the illustrative example is not generalizable to other testing programs, but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find an optimum compositions of MC and CR items in other mixed format tests in general and will provide basis for making informed decisions in test construction.

      • KCI등재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이현숙(Hyun Sook Yi),신진아(Jin Ah Shin),김경희(Kyung Hee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학생 및 학교수준 변인들 간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다층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학생수준 변인으로는 부모의 학력, 학교생활 적응, 부모자녀 관계, 학업적 효능감, 교과에 대한 태도, 수업태도 등을 고려하였으며, 학교수준에서는 학교장의 교수지도성과 교사의 효능감 및 직무만족, 학교풍토 등을 고려하여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설정된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생수준에서는 평소 부모와의 관계가 좋고 많은 대화를 나누며,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학생일수록 학업적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학업적 효능감은 단일변수로서 학업성취에 대한 예측력이 가장 높았으며, 직접 효과뿐 아니라 교과에 대한 태도 및 수업태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성취를 향상시키기도 하였다. 반면, 교과에 대한 태도 및 수업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 및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학교급 및 교과별로 학력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한편 학교수준에서는 교장이 수업 및 학급경영에 중점을 두는 학교일수록 바람직한 학교풍토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람직한 학교풍토가 조성된 학교일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이 학업성취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남에 따라 교사의 특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조명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and school-level context variable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multi-level SEM analyses. Student-level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 parents’ education level, school adjust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student’s academic efficacy, attitudes toward subject matter, and attitudes in class. School-level variables includ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school clim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t the student level, students who have goo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adjust to school tend to have higher academic efficacy, which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both directly and through the attitudes in class or attitudes toward subject matters. At the school level, schools with principals who give more focus on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tend to have favorable school climate,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non-signific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suggests the need for more in-depth research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A Simulation Study Evaluating the Impact of Context Effects on IRT Pre-Equating

        이현숙(Hyun Sook Yi),김성훈(Seonghoon Kim),김종필(Jong-Pil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3

        IRT 사전 동등화(pre-equating)는 본 검사(operational test)가 실시되기 이전에 미리 예비 검사 (field test)를 통해 얻은 문항 모수를 바탕으로 IRT 동등화를 실시함으로써 각 원점수에 대응하는 척도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검사가 제공되는 맥락에 상관없이 문항의 모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제가 만족될 경우에만 그 실효성이 정당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다변인 회귀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문항의 문맥 효과를 모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맥 효과의 정도에 따라 문항 모수의 불변성이 위배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둘째로, 문항 차원에서 모수 불변성의 결여가 검사 차원에서의 동등화 결과와 개별 피검자의 점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IRT 사후 동등화(post-equating)가 사전 동등화에 비해 보다 정확한 동등화 결과를 산출함이 발견되었다. 또한, 사전 동등화가 불가피한 경우, 동형 검사 제작시 첫째, 예비 검사에서와 본 검사에서의 문항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둘째, 예비 검사 문항을 치루는 피검자의 수를 늘리고, 셋째, 전체 문항 중 예비 검사만을 거친 문항의 상대적 비율을 가능한 한 줄이는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IRT pre-equating is an alternative equating procedure using item parameters calibrated in previous administrations as field test items, as opposed to the IRT post-equating procedure using item parameters obtained from operational administrations. Viability of IRT pre-equating rests on the premise that invariance of item parameters is ensured across administrations, which is likely to be violated in practice.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wofold. One was to propose a procedure of modeling context effects based on a multivariate regression technique an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item parameter invariance is ensured under various degrees of context effects. The other was to examine whether the lack of item parameter invariance affects equating results and examinee scores under varying testing conditions. Overa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IRT post-equating provided more accurate equating results compared to IRT pre-equating. However, if using IRT pre-equating is inevitable for practical reasons, test forms should be carefully developed so that accuracy of equating can be improved. It was suggested that conscious efforts be made to preserve the temporal position of items across administrations, to increase sample sizes for field test item calibrations, and to reduce the proportion of field-tested items when constructing a new form.

      • KCI등재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on-Equivalent Groups Anchor Test Equating Under Various Conditions of Anchor Test Construction

        Hyun Sook Yi(이현숙)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비동등집단 가교검사 동등화 설계 하에서 가교 검사 구성을 위해 요구되는 기본 가정들이 일부 완화되었을 때 동등화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탐색하였다.특히 가교 검사가 전체 검사의 통계적 특성을 대표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위배되었을 때 동등화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가교 문항의 비율,가교 검사 문항 난이도의 범위,가교 검사 문항의 평균 난이도,전체 검사 간 평균 난이도의 차이,검사 실시 집단 간의 능력 차이 등 여러 가지 모의실험 조건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그 결과 전체 검사에 비하여 가교 검사의 난이도가 좁은 범위에 걸쳐 분포하는 경우 전체 검사의 난이도 분포를 그대로 반영한 경우보다 가교 검사와 전체 검사 간 상관이 높게 나타났으며,결과적으로 보다 정확한 동등화 결과를 산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또한 동등화에 사용된 두 검사의 비공통 문항 난이도 차이가 클수록,그리고 두 검사를 치른 집단 간의 능력 차이가 클수록 이러한 패턴은 더욱 뚜렷하게 관측되었다.이러한 결과는 가교 검사의 비율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반면,가교 검사 문항의 평균 난이도의 위치에 따라서는 가교 검사 문항의 난이도 분포에 따른 동등화의 정확성이 실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to which equating results are affected by violations of assumptions that need to be satisfied for anchor item construction in the NEAT equating design. The assumption that the anchor test should be a miniature version of the total test in statistical properties was evaluated under various simulation conditions, including the percentage of anchor items in total tests, spread of item difficulty parameters of the anchor test, location of the average difficulty parameters of the anchor item sets, degree of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of non-common items, and degree of difference of ability distributions between non-equivalent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generally suggest that anchor items consisting of a less wide range of item difficulty in relation to the total test tend to have higher anchor-to-total correlations and can produce more accurate equating results compared to using anchor items constructed from the full range of item difficult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nchor item sets with a less wide range of item difficulty than the total test could lead to more accurate equating results when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mean ability of the two non-equivalent groups differ greatly and the two equated forms are fairly different in overall item difficulty. Consistent patterns were observed across the proportion of anchor items. In contrast, however, performances of anchor item sets over various levels of spread in item difficulty were in consistent across different locations of the mean difficulty of the anchor items.

      • KCI등재

        학교 특성, 과정 변인, 학업 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현숙(Hyun Sook Yi),김성숙(Sungsook Kim),송미영(Mi-Young Song),김준엽(Junyeop Kim),양성관(Sung Kwan Y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2

        Understanding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explain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an important task that serves as an evidence for determining factors to consider when evaluating school accountability. As a way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sisting of school-level input, process, and output variables was specified and analyzed. Specifically, school-level SES,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including supervisor career and school supervision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uch as years of teacher experiences were considered as input variables; budget distribution, educational programs designed for students with academic help, ability group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school climate, and students’ overall academic attitudes were considered as process variables; and school-level academic achievement represented by NAEA scale scores in language arts, mathematics, and English was considered as an output variable.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for its validity through SEM analyses.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school SES, school climate, and students’ academic attitudes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school-level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agnitude of the effect increased as the school level increased.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only for elementary school level, whereas characteristics of teache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for all school levels. Offering speci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academic help and placing students with similar academic ability together for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students’ achievement only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hile the practice had a slight but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er academic ability. Providing teachers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ailored to teachers’ specific needs did not manifest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showed indirect effects though mediations of school climate and academic attitudes. 학교 수준에서 학업성취도를 통하여 교육의 책무성을 확인할 경우 어떤 변인들이 투입 변인과 과정 변인으로 기능하여 학업 성취도라는 결과를 설명하는지에 대한 구조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공정한 비교’를 통한 책무성 평가의 기초를 마련한다는 점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중요성이 강조된 변인들 가운데 2009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 자료에서 활용 가능한 변인들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에 영향을 주는 학교 수준의 투입 변수와 과정 변수를 선정하여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설정된 모형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ㆍ중ㆍ고 모든 학교급에서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교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교 풍토, 학습 태도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초등학교보다는 중학교, 중학교보다는 고등학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학교장의 행정 전문성 및 지도성은 초등학교에서, 그리고 교원 특성은 모든 학교급에서 학업성취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부진 학생들을 위한 학력 향상 프로그램 제공과 수준별 이동 수업 운영의 충실성은 초등학교에서만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고등학교의 경우는 학업 성취도가 중하위권인 학교의 경우에만 수준별 이동 수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은 학습태도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학교풍토나 학습태도를 통하여 학업성취를 간접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업 우수 학생들과 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변화

        이현숙(Hyun Sook Yi),김신영(Shin Young Kim),김용련(Yong Lyu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05)에 표집된 2005년도 코호트의 1차년도부터 6차년도 설문 자료 및 성취도 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중1때 성적 우수/부진집단에 속한 학생들이 중ㆍ고등학교 교육을 거치며 학업 성취도가 어떤 패턴으로 향상 또는 하락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성장 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과목별 우수/부진집단 내에서 잠재계층을 파악하고, 각 계층별 변화 패턴의 차이를 설명하는 배경 변인 및 정의적 특성들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중1때 각 과목별로 유사한 성취수준을 보이다가 점차 학년이 올라가면서 성취도가 향상된 계층은 다른 계층에 비하여 학습 시간이 많았고, 내재적 동기와 도구적 동기의 초기수준과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학교 부적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학을 위한 학습 활동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을 주로 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다른 계층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학업적ㆍ정서적 지원, 교사의 열정과 지식, 성취압력에 대해서는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longitudinal growth of academic achievement of high-performing and low-performing students using the first to sixth year panel data of the KELS 2005 and explored student characteristics explaining different growth patterns of academic performances.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high-performing or low-performing group based on their first year scores on KEDI achievement test administered on the 7th grade, and latent growth mixture model was employed to each group to explore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and patterns of change in academic performances of each latent class. Three latent classes with distinct growth patterns were extracted for the high- and low-performing groups on the three subject matters considered in this study (language arts, mathematics, and English),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latent class with increasing academic performances tended to spend more time on study and had higher level of intrinsic / extrinsic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class with increasing academic performances tended to be less dependent on private lessons or EBS programs and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ir parents' academic and emotional support and their teachers' enthusiasm and academic pressure.

      • KCI등재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에 기초한 2011-2020 학습분석학 연구 동향 분석

        이현숙 ( Hyun Sook Yi ),이대영 ( Dae Young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디지털 학습 환경 및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확산으로 인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학습분석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해외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3,121편을 대상으로 주요 연구 경향 및 연구 주제의 종단적 변화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였다. 문헌 고찰 방법으로는 토픽의 시계열적 변화 추이 분석이 가능한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테마에 대한 서브토픽 모델링을 통해 소주제의 종단적 변화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총 42개의 주요 테마가 도출되었으며, LM S, 학업성취, 학습활동, 머신러닝 등의 앵커워드와 관련된 주제가 여러 해에 걸쳐 꾸준히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로그데이터를 바탕으로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학업성취 예측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 방법과 관련된 연구들이 양적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방법론적으로 더욱 정교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회연결망분석, 토론 포럼, 사회적 학습, 협동학습 등 사회적 연결과 소통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증가한 것도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는 최근 교육계의 흐름이 반영된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테마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기술적 측면을 다루는 테마가 많았으나, 이러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학습이론과 학습전략, 교수학습 설계 등 교육학적 초점의 연구도 비교적 균형 있게 다루어져 왔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학적 시사점 및 연구의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Learning analytics has received growing attention in the past decade with the increased use of digital learning and the big data analysis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learning analytics and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jor research topics, this study reviewed 3,121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1 to 2020. Dynamic topic modeling was employed to explor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major research themes and sub-topic modeling was also applied to explore specific topics underlying the major research themes. A total of 42 major themes were extracted, and topics such as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ctivities, and machine learning were found to have been studied actively over the years. Recently, predictive analyses of academic achievement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have increased, with more elaborate methodological advances. Growing tendency in research on social network analysis, discussion forums, soci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reflects the recent trend of education that emphasize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Overall, the majority of the learning analytics research focused on technical aspects and data analytic methods. However, pedagogical aspects such as learning theori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outcomes were also emphasized along with the technical aspects in a balanced manner.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have been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