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층민 서사와 주변부 양식의 가능성 -1980년대 논픽션을 중심으로

        김성환 ( Sung Hwa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9

        1970년대 이후 논픽션, 수기, 르포 등의 저널리즘 글쓰기는 대중 독자의 수용을 통해 문학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저널리즘 글쓰기는 새로운 글쓰기 주체와 공동체의 정체성을 구성하기 위해서 문학 양식을 적극 활용했다. 『국토와 민중』이 문학양식으로써 민중과 국토를 발견한 것과 같이 노동자 글쓰기도 노동자 주체와 노동의 의미를 확증하기 위해 운동으로서의 글쓰기를 확대해 나갔다. 1980년대 초 하층민의 문제도 이처럼 글쓰기의 차원에서 펼쳐졌다. 노동자, 농민으로 계층화되지 않는 하층민은 특수성은 고유한 언어와 문학적 양식을 통해 서사를 이루었으며, 하층민 정체성에 부합하는 양식화를 시도한다. 이동철의 『꼬방동네 사람들』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하층민 서사의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양식과 문체의 실험을 통해 주변부 문학의 가능성을 실증했다. 하층민 서사가 거듭되면서 화자는 하층민을 대상화하며 주체와 대상과의 거리를 확대시켰다. 그 결과 『오과부』의 양식은 소설에 근접했으며, 주변부 양식으로서 하층민 서사의 역동성은 약화된다. 구술적 글쓰기가 장편 서사로 전환되자 화자의 위치는 대상과 분리되었다. 그러나 『목동 아줌마』의 경우 거리를 둔 위치에서도 하층민 서사의 양식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했다. 목동아줌마라는 시점을 유지하면서 하층민의 능동적인 리터러시[literacy]를 확인하며 하층민이 문학적 주체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하층민의 리터러시로 인해 하층민의 다기한 발화들은 하나의 주제 하에서 긴밀하게 배열된다. 하층민 서사를 통제하는 문학적 화자는 르포소설의 근거였다. 유재순의 르포소설은 소설을 표방하면서도 르포의 효과를 적극 활용했다. 논픽션을 소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르포의 사실성과 소설의 상상력은 결합할 수 있었다. 이는 『난지도 사람들』에서 시도되었지만 화자와 대상과의 거리에 매몰되는 한계를 노출하기도 했다. 『여왕벌』에서 보듯, 대상의 특이성과 이를 서술하는 화자의 존재가 강조될 경우 저널리즘 글쓰기의 역동적인 양식적 시도들은 미완인 채로 남았다. The Increase of public readers and popular media drove the increase of novels and journalistic writings for both of them. In the course of modernity of literature, novels and journalistic writings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The Journalistic writing is a meaningful genre which was generated for the reality and the perspective in the relation of literature and journalism. At the Korean circumstance of 1970s` writings and literature, nonfiction was a leading genre among the journalistic writings. Specially writings on urban subaltern had effects each other and showed a possibility of new style of writings. In 1980`s, many reportages, reportage fictions followed the success of Sons of Darkness(『어둠의 자식들』) which is the first reportage for the narrative of the subaltern in 1970`s. People in a slum(『꼬방동네 사람들』), Five widows(『오과부』), A woman in Mokdong(『목동아줌마』) by Yi, Dong Cheol(이동철), and People in Nanjido(『난지도 사람들』), The Queen Bee(『여왕벌』) by Yu, Jae Sun(유재순) are the most popular narrative of the subaltern. The former is one of the journalistic writings forms, not fiction. But the style is very tough and disorderly, because that works based on the real experiences of writer. He regarded himself as a member of the slum town, and took the consciousness of the subalternity. But when the narrative was going on, the speaker of the narrative became more distant from the objet,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subalternity was weakened gradually. But A woman in Mokdong(『목동아줌마』) showed the possibility of the peripheral form by verifying the conditions of the subaltern`s utterance and active literacy of the subaltern. People in Nanjido(『난지도 사람들』), Yu, Jae Sun`s works are reportage fictions, or journalistic fictions. But subject matter of her fictions came from her experiences which similar to the journalistic writings. She wrote the fiction for the subaltern in Nanjido, a sanitary landfill. But her works did not make the reality of the subaltern as Yi, Dong Cheol did. Her works just emphasized the existence of a female reportage writer, because female reportage writer was few in 1980s, and existence of a female reportage writer could be in the spotlight. Her works tried a combination of journalistic reality and fictional imaginations, but the result was not inspiring.

      • KCI등재

        『삼국유사』 해탈설화에 나타난 하층민의 형상

        박순애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how the lower class people were shaped in the six nirvana tales of Samkukyusa.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heck out the social status and the conflict situations of the speaker. In case of the conflict situations, the conflicts were shown mixedly due to the conflict in the difference of social status, the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conflict between ideal and reality, which is related with the shaping method of character. The writer, Ilyeon, shaped up the characters by the ingredients such as voice, appearance, behavior, environment, according to a three-dimensional way. The lower class people were characterized as an active, confident and rebellious person, a person with a superior ability than a higher class people, a person who pursues an ideal life than a present life. Ilyeon shaped up the helpless lower class people as an ideal character more or less, which is related with his social consciousness. The nirvana tales showed a tough situation of life and also tried to show an ideal world which transcends it, which perhaps leads to a factor that ideological narrative presses character narrative. However, the nirvana tales of lower class people features the vividness of lower class people in character narrative. 본고는 『삼국유사』 소재 설화 여섯 편을 통해 하층민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하층인의 형상을 살피기 위해 먼저 화자의 신분과 갈등 상황을 점검해 보았다. 갈등 상황은 빈부의 갈등, 신분의 갈등, 현실과 이상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갈등 양상이 드러나는 것은 인물의 형상화 방법과 연관이 있다. 일연은 인물의 형상화 방법으로 목소리, 외모, 행동, 주변 환경을 입체화의 원리에 따라 구성요소별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히층인의 모습은 적극적이고 반항적인 모습, 당당하고 상층민보다 더 우월한 능력을 지닌 모습, 현실의 삶보다는 이상적 삶을 추구하는 모습 등이다. 현실적으로 무력한 하층민에 대해 일연은 다소 이상적인 모습으로 하층민을 형상화하였다. 이는 일연의 사회의식과 관련이 있다. 『삼국유사』의 하층민 해탈설화는 각박한 삶의 현장을 보여주면서도 이를 초월하는 이상세계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회의식으로 인해 하층민 해탈설화에서는 이념 서사가 인물 서사를 압박하는 형국이 되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물 서사에서 하층민의 형상이 발랄하게 살아나는 것이 하층민 해탈설화의 특징이라 할만하다.

      • KCI등재

        『어둠의 자식들』과 1970년대 하층민 글쓰기의 양상

        김성환(Kim Sung-Hwan)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4

        1970년대 문학시장이 성장하면서 대중문학은 왕성한 생산성을 보인다. 이는 전문 문필가의 글쓰기에서 대중적인 글쓰기로 창작의 경로가 다양해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대중문학은 다양한 글쓰기 장르와 연관된다. 논픽션, 체험 수기로 대표되는 저널리즘 글쓰기는 문학과 유사성을 가지며 영향을 주고받는다. 대중문학과 대중서사물은 단선적인 수용을 넘어 대중독자들의 글쓰기의 욕망을 자극하기도 한다. 논픽션이 활성화된 1970년대에서 대중문학과 대중서사물은 독자의 글쓰기 장으로 이끌었다. 특히 하층민을 소재로 한 소설과 저널리즘 글쓰기는 서술방식에서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글쓰기의 가능성을 시험한다. 이 과정에서 주목할 작품이 『어둠의 자식들』이다. 『어둠의 자식들』 연구를 위해서는 실제 필자를 확정짓는 것보다, 다양한 필자가 참여한 글쓰기에서 어떤 특징이 드러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술자와 집필자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에서 『어둠의 자식들』은 서술방식이 혼합되는 양상을 보인다. 구술자의 체험수기의 형식에서 3인칭 서술자는 개입될 수 없지만 이 작품에서는 자연스럽게 3인칭 서술자가 등장하여 구술자의 체험을 넘어서는 사건을 서술한다. 이와 더불어 논픽션의 관습과는 무관한 소설적 상상력이 발휘되는 등, 『어둠의 자식들』은 소설 서술과 유사한 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어둠의 자식들』은 문어적 서술보다 구술적 서술이 강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저자의 의식적 창작행위가 사라지고 인물들이 직접 발화하는 상황이 강조되어 저자가 부인되는 (authorial disavowal) 서술상황을 드러낸다. 저자의 부인은 저널리즘 글쓰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인물들의 자유로운 발화는 극적인 상황을 연출하면서 인물의 특징과 전망, 그리고 사회적 비판 등 하층민이 처한 상황을 사실적으로 재현한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기존의 글쓰기에서 언술되지 못한 하층민의 목소리와 현실을 재현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소설과 저널리즘 글쓰기의 서술방식이 혼종되어 있는 『어둠의 자식들』은 하층민 집단의 목소리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다성적인 목소리의 전략은 인접한 글쓰기 상황에 영향을 미친다. 소설가 황석영의 저작이 대표적이다. 황석영 역시 1970년대 노동현실을 소재로 한 르포를 발표한 바 있다. 황석영의 르포는 사회과학적 전망에 의해 기술 된 것으로, 『어둠의 자식들』에서 결여되었다고 생각되던 것이다. 그러나 황석영의 소설들에서는 이러한 전망보다는 인물들의 말하기 상황이 더욱 우세하다. 인물과 서술자의 목소리가 혼합되면서 황석영의 소설은 서술대상의 목소리를 생생히 재현하려 한다. 이는 『어둠의 자식들』의 발화가 연설의 형식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재현하는 것과 비교될 수 있다. 『어둠의 자식들』의 생경한 목소리의 중첩은 구성상 완결성의 결여가 아니라 하층민의 목소리를 재현할 수 있는 서술방식의 전략의 하나이다. Since industrialization in 1970s, the Increase of public readers and popular media drove the increase of novels and journalistic writings for both of them. In the course of modernity of literature, novels and journalistic writings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Journalistic writing is a meaningful genre which was generated for the reality and the perspective in the relation of literature and journalism. At the Korean circumstance of 1970s’ writings and literature, nonfiction was a leading genre among the journalistic writings. Specially writings on urban subaltern had effects each other and showed a possibility of new style of writings. Sons of Darkness(『어둠의 자식들』) is a noticeable work for that possibility. For the study on Sons of Darkness, it is important to research on the way how it write, not on writer who is still nor clearly uncovered. Because the dictator and writer is separated, points of the views and narration styles is confused in narration of Sons of Darkness. Sons of Darkness is a essay on personal experiences. So an omniscient viewpoint is not permitted in principle. But there is an omniscient narrator who show fictional feature and imagination, which is unrelated with the journalistic writings. In this point, Sons of Darkness is similar to the novel. And Sons of Darkness is written in a colloquial style, not in the literary style, which means this work is not written with literary conscious but is recorded with the authorial disavowal. The authorial disavowal is one of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 journalistic writings. Free enunciation of persons made dramatic situations, and presented a possibility of characters, perspectives, social criticism, and a way of speaking by the subaltern who is regarded never to speak. Hybridism of fictions and the journalistic writings in narration in Sons of Darkness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representation of subaltern’s voices. The strategy of polyphonic narration has effects on the situation of writing of adjoining genres. Seokyeong Hwang(황석영)’s works is representative results. He wrote some reportages in 1970s. His reportages shows the social perspectives, which he thought can not find in Sons of Darkness. He researched every sources for the reality of labor conditions in 1970s with reports, interviews, and other pieces of writings as diaries and letters. But in his fictions, the colloquial style could be found rather than perspectives. Integrations of voices of characters and narrator make vivid representation of reality possible. His fictions can be compared with Sons of Darkness in narrations style. Strange voices in Sons of Darkness is the strategy for representation of the subaltern, not the lack of plot completion.

      • KCI등재

        황석영과 서정인 소설의 ‘작부’ 재현 방식과 그 의미

        정재림(Jeong, Jairi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6 No.-

        이 논문은 서정인과 황석영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술집 작부’가 소설에서 어떤 식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그것이 하층민을 그리려는 작가의식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해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씌어졌다. 두 소설에 등장하는 하층민 여성이 근대성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성찰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공통점인 사항인데,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한 것은 두 소설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의 차이이다. 황석영 소설에 등장하는 하층민 여성은 이동과 이주의 공간에 위치해 있으며 하층민 남성과 계급적 연대감을 공유하는 특징을 보인다. 하층민 남성이 서술자의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에 여성은 연민이나 동정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반면 서정인 소설은 하층민 여성의 계급성보다는 보편적 인간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1인칭 서술자를 선택하여 서술자의 권한을 최대화한 황석영과 달리, 서정인은 서술자의 권한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about the representation of “jakbu(pub ladies)” in the novels of Seo Jeong-in and Hwang Seok-yeong and its meanings. The women in the novels of the two author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ir critical reflection on modernity, but the study set out to focus on differences in the female representation between their works. In the novels of Hwang Seok-yeong, the women are characterized by sharing a sense of class solidarity with lower-class men and depicted as the objects of compassion and sympathy. In his novels, Seo Jeong-in focuses on the universal human nature of lower-class women rather than their class character. Differences in the reproduction methods between them are found also in the description methods between them. Whereas Hwang maximizes the authority of narrator by selecting first-person narrator, Seo minimizes the authority of narrator.

      • KCI등재

        Le portrait des plebeiens dans les romans de Maupassant

        주순자 한국프랑스학회 2004 한국프랑스학논집 Vol.46 No.-

        노르망디 귀족 가문 태생의 모빠쌍은 자신의 소설에서 사회계층 사이의 갈등관계를 그린 작품을 쓰거나 민중을 옹호하는 입장을 취한 바 없는 작가이다. 그의 많은 작중 인물들이 귀족계층인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19세기 프랑스 사회의 벽화라고 일컬어 지는 모빠쌍의 前期 세 편의 소설 여자의 일생, 벨 아미, 몽또리올에서는 하층민 출신의 인물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거나 또는 귀족가문의 인물들과 대등한 입장에 있음을 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인물들의 내면적 번민을 그리고 있는 후기의 심리소설보다 전기의 사회묘사 소설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상의 3대 소설에 구현된 모빠쌍의 하층민의 像을 토대로 그의 사회관을 엿볼 수 있다. 모빠쌍은 하층민에 대하여 호의적인 인물이라 할 수 없다. 여자의 일생의 로자리는 모빠쌍의 호감을 얻은 예외적인 하녀이다. 자신의 분수를 지키며 건전한 육신으로 삶을 일궈 나가는 그녀의 용기와 주인들을 향한 충직한 애정, 주인과 하녀의 주종관계를 기꺼이 수용하는 그녀의 자세는 모빠쌍을 감동시킨다. 로자리는 모빠쌍에게 구체제에 대한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인물이다. 그와는 반대로 벨 아미의 초라한 시골 선술집을 운영하는 가난한 농부의 아들 드르와나 몽또리올의 재력있는 농부 오리올 父子는 그들의 파렴치와 무식으로 모빠쌍의 조소와 빈축을 사고 있다. 전통적 가치관이 무너지고 오로지 출세욕으로 무장한 미천한 기회주의자들과 막강한 돈의 힘이 프랑스 사회를 지배하는 세태를 바라보는 모빠쌍의 참담한 심경이 그 특유의 야유와 함께 표출되고 있다. 지적인 재능은 전혀없이 여성을 매료시키는 성적 마력으로 파리의 언론계와 상류사회의 정복에 성공한 드르와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벼락출세한 야심에 찬 하층민의 전형이다. 교양없고 무지한 시골 농부의 토지와 재산은 그것을 노리고 모여드는 몰락한 귀족들과 대자본가들의 구미 당기는 먹이일 뿐이다. 농부의 딸들의 엄청난 지참금은 무위도식하는 건달 귀족청년들이 열망하는 신부의 최선의 조건이다. 점증하는 자본주의의 위력 앞에서 모빠쌍은 금전만능의 가치관이야말로 사회를 병들게 하는 최악의 요인으로 보고 있다. 자신이 귀족출신 임에도 불구하고 모빠쌍은 그의 소설에서 하층민과 대칭구조를 이루는 귀족사회를 결코 긍정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있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기에 필요한 이성적 판단이나 강인한 정신력을 갖추지 못한 채 몰락해 가는 나약하고 비겁한 존재들이 바로 그의 작중 귀족의 모습이다. 모빠쌍에게 귀족이란 가문과 혈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적인 능력과 교양을 갖춘 엘리트를 지칭한다. 따라서 귀족적 지성과 자부심을 저버리고 돈에 명예마져 팔아버리는 이름만의 귀족은 천민과 다를 바 없이 모빠쌍의 비판의 대상이 된다. 모빠쌍 소설에서 하층민은 대체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면치 못하고 있다. 19세기말 프랑스 사회에 번지고 있는 민중의 세력확장과 자신들의 계층을 뛰어 넘으려는 그들의 노력은 모빠쌍의 불쾌감을 자극한다. 급속한 사회계층의 변화는 프랑스의 미래를 위하여 근심스러운 사회적 재난이라고 생각하는 모빠쌍의 입장은 다분히 보수적인 그의 사회관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장자의 괴탄 사상으로 표현된추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애니메이션 <작은 요괴의 여름>의캐릭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석찬,김홍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4

        최근 들어 중국 애니메이션 학계는 장자(莊子)의 괴탄(怪誕)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캐릭터 이미지 디자인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괴탄적 이미지는 중국 애니메이션 창작의 주된 모티브로 점차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렇지만 괴탄의 이미지 중 하층민을 위주로 하는 캐릭터 이미지는 오랜 시간 학계로부터 외면받아왔다. 하층민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상층민의 완벽한 이미지를 돋보이게 하는 역할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장자의 ‘괴탄’ 미학 사상에서 제시한 특징을 통해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특히 하층민을 중심으로 하는 캐릭터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중국괴탄 미학 사상 가운데 추미적 특성인 ‘숭고’와 ‘비극’ 등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작은 요괴의 여름>(nobody)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이미지 구조와 미학적특징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중국 전통문화 속 하층민 캐릭터의 역사적 형성 과정 및 각 시대별 특징을 정리하고 장자 괴탄사상과 서양의 그로테스크 이론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중국 고전 미학의 독특한 예술적 기호와 미적 관념을 분석하였다. 애니메이션 작품 <중국 기담>(Yao-Chinese Folktales)의 첫 번째 작품인 <작은요괴의 여름>은 캐릭터 디자인에 『서유기』의 문학적 이미지와 추미화된 괴탄미의식을 접목하였으며 콘셉트 디자인에 민족적 문화 콘텐츠를 도입하여 관객들로 하여금 중국 애니메이션의 시청각적 언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하였다. 또한 하층민 캐릭터가 중국 애니메이션 속에서 어떤 역사적 과정 및예술적 특징을 보여 왔는지를 탐구하여 중국 고유의 미학이 담겨 있는 민족적애니메이션 이미지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 바로위에 언급한 두 가지 요소, 즉 ‘숭고감’과 ‘비극성’을 극대화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이 밖에 장자의 괴탄사상과 중국 현대 미학을 비교하여 장자의 철학사상 등 전통 미학이 중국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 어떠한 혁신적 요소로작용하는지를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장자의 괴탄 미학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작은 요괴의 여름>을 사례로 삼아 ‘추미화’ 등 기타 중국 전통 미학 사상도 현대 애니메이션 작품의 캐릭터 디자인에 창의적 요소로 널리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 Chinese animation academic community hasshown keen interest in character design based on Zhuangzi’s weirdideology. Although weird imagery has gradually become mainstream inanimation creation, weird images focusing on lower-class residents havebeen long neglected by academics. Research on the portrayal of lowerclassresidents has remained focused on emphasizing the perfection ofupper-class residen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imated characterdesig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proposed in Zhuangzi’s “Weird”aesthetic philosophy. Particularly, it bases its analysis on the aestheticfeatures of “Sublimity” and “Tragic” in Chinese weird aestheticthought, employing the image structur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of characters in the animation <Nobody>. The study summarizes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ower-class images intraditional Chinese culture across different eras, compares Zhuangzi’sweird ideology with Western grotesque theories, and analyzes theunique artistic symbols and aesthetic concepts in Chinese classicalaesthetics. Through these analyses, the study confirms the significantimpact of classical Chinese aesthetic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modern animation art, highlighting its theoretical research value. The study, through related literature, discovered commonalitiesbetween Zhuangzi’s weird ideology and lower-class characters, organized differences in aesthetic theories between the East and West regardingautomization, and concluded that animated works can utilize sublimityand tragic elements based on weird ideas. The first work of the animatedanthology <Yao-Chinese Folktales>, titled <Nobody>, combinesliterary imagery from <Journey to the West> and bizarre consciousnessin character design, incorporating national cultural content in conceptdesign to enhance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Chinese animation’saudio-visual language. It explores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artisticcharacteristics of lower-class images in Chinese animation, refiningthe national images in Chinese animation aesthetics, particularly bymaximizing the elements of “Sublimity” and “Tragic”. Additionally,the study compares Zhuangzi’s weird ideology with modern Chineseaesthetics, examining how Zhuangzi’s philosophical thoughts andtraditional aesthetics innovate Chinese animation character design. Finally, using <Nobody> an animation influenced by Zhuangzi’s weirdaesthetics, as an example, the study confirms the widespread use ofother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 concepts, such as “Ugliness beauty”creative elements in modern animated character design.

      • KCI등재

        쑤퉁(蘇童)소설에 나타난 하층민 형상과 뱀의 이미지

        박남용(Park, Nam-young),이혁(Lee, Hyou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9

        1980년 중반 이래, 쑤퉁 蘇童은 중국당대소설사에서 선봉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다. 본 논문은 2002년에 창작된 쑤퉁의 새로운 장편소설인 『뱀이 왜 날까 蛇爲什麽會飛』를 중심으로 이 작품 속에 나타난 하층민 인물형상과 뱀과 기차역, 광장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도시문명 속에 소외된 인간들의 비극적인 운명을 살펴볼 수 있으며, 현대 도시문명에 대한 작가의 날카로운 비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쑤퉁의 이전 소설에서는 주로 역사적인 제재를 취하며 여성의 비극적인 운명을 묘사한 소설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 작품을 통하여 역사적 제재의 소설에서 현실적 제재의 장편소설로 창작세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작품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하층민 형상으로는 커위앤 克淵과 금발소녀 金髮女孩 등이 등장하고 있다. 커위앤은 도시 공간 속에서 사채업자의 행동대원 역할을 하며 온갖 악행을 자행하는 인물로서 자본주의 도시 공간 속의 모순을 체현하고 있는 인물이다. 금발소녀는 패션스타가 되기 위해 도시로 들어왔지만 결국에는 실망과 좌절을 겪은 후 다시 도시를 떠나가는 인물이다. 작가는 이러한 인물형상을 통하여 현대인들의 인간소외 현상과 물질문명을 비판하고 있다. 이 작품 속에는 또한 특이하게 뱀의 형상이 등장하고 있는데 기차역으로 몰려들었다가 흩어지는 중국 농민공들의 삶의 모습을 비유하고 있다. 아울러 기차역과 광장이라는 현대 도시 공간의 가장 대표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현대도시인들의 삶의 일상적 욕망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쑤퉁의 새로운 장편소설을 연구함으로써 쑤퉁 문학의 특징과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중국당대소설사에서 쑤퉁 문학의 위치를 다시 확인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Since the middle of 1980s, Su-tong has created a number of pieces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vant-garde authors in the history of Chinese novel. This paper tries to inspect the images of subaltern characters, snakes, train station and square in his new novel Why can the snake fly published in 2002. Through tragic fates of neglected people in modern civilized culture, writer shows keen criticism on modern civilization. Previously his works mainly described women’s misfortune fate using historical topics. However, after this art piece, historical materials in his creation changed into realistic ones. ‘Ke-yuan’ and ‘blond girl’ are the symbolic image of subaltern. ‘Ke-yuan’, moneylender’s henchman, is a villain character representing contradiction of capitalism of the city. ‘Blond girl’ wants to be a fashion model, but leaves the town after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Showing these figures, the writer criticizes human isol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Also unusual appearance, snakes figuratively mean China’s urban migrant workers gathering and spreading at the train station. Additionally, desires in people’s lives are depicted with ‘train station’ and ‘square’, symbols of modern city, in the background. Studying Su-tong’s new novel,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points and changes of his literature and its status in Chinese novel history.

      • KCI등재

        영화 「진흙강」과 오사카 하층민 -전쟁의 상흔과 흔들리는 삶-

        강소영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3 No.-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ovie “Muddy River,” not by talking about the interaction and friendship of boys, but by the projection of the naked life of the lower-class people in Osaka. I also stared at the rich scars of the war in the background. A muddy river like Cortal, where abandoned garbage peculiar to black-and-white movies floats throughout the movie. The low-ranking people who live along the river and are late in the society depict a reality wherein they have no choice but to live slowly, although they have a hard life in the mud. The fact that the river is stagnant and unable to flow in the mud is a metaphor for life strewn with various obstacles. The film emphasizes the cruel reality symbolized by the “Muddy River” for each scene and character. The black and white format further highlights this. Amidst this, the scene at the end depicts a certain kind of hope: the Kiichi family was not descending toward the lower reaches of the river, but was entrusted to its upper reaches.. Second, my grandmother next door compared Nobuo’s fate to a “tree that grows in water.” Even in the mud river, Nobuo will grow wormwood with hard-rooted trees. 본고에서는 오구리 고헤이 감독의 영화 「진흙강」을 소년들의 교류와 우정 이야기가 아니라 오사카 하층민의 적나라한 삶의 투영으로 분석했다. 그 뒷배경으로 부각되는 짙은 전쟁의 상흔도 짚어보았다. 이 영화의 시대 배경은 1956년으로, 일본경제기획청이 경제백서 「일본경제의 성장과 근대화」속에서 “이제 전후가 아니다”라고 기술한 해이다. 영화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특수경기로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격차사회 속에서 전쟁의 상흔과 함께 하층민으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사람들에 주목한다. 이 영화는 장면과 등장인물마다 ‘진흙강’으로 상징되는 잔혹한 현실이 강조되고 있다. 사회에서 뒤처진 하층민들은 진흙 속에서 꼼짝할 수 없는 삶이지만 느리게라도 살아갈 수밖에 없는 현실을 보여준다. 강물이 진흙으로 정체되어 흐르지 못함은 여러 장애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삶의 모습을 은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흑백영화라는 형식에 의해 이 혹독한 현실은 더욱 부각된다. 「진흙강」은 당시 하층민 삶에 대한 깊은 응시로 일본의 자기비판을 일깨우고 있다고 생각된다. 혹독한 현실에서 그나마 희망으로 해석할 수 있는 장면은 마지막 결말에서 기이치 가족이 강의 하류 쪽으로 내려간 것이 아니라 강의 상류로 예인되어 갔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옆집 할머니가 노부오의 운명을 ‘물에 자라는 나무(水に生える木)’라고 풀이해준 것이다. 진흙강 속에서도 노부오는 뿌리가 굳건한 나무로 자라날 것이다.

      • KCI등재

        ‘나운규 영화’의 관객들 혹은 무성 영화 관객에 대한 한 연구 - 식민지 시기, 관객의 변화와 나운규 영화의 의미

        노지승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3 No.-

        The ‘Na Yun-Kyoo(羅雲奎)’s films’, directed by Na Yun-Kyoo or starring him, represent the silent films of Chosun. In the early 1920s, <Arirang(아리랑)>(1926), directed by him, was the surprising film because it straightforwardly revealed the poverty of contemporary agricultural villages. The lower classes became the important spectators of ‘Na Yun- Kyoo’s films’. Therefore, the chief spectator of the film moved from the middle classes to the lower classes. From this point of view, ‘Na Yun-Kyoo films’ reflect the emotion of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His films feature the taste and sensibility of the lower class-fantasy, heroes who rescue the women from the sexual assault and the hatred against the rich. The fantasy, heroism and the hatred against the rich are harmoniously integrated by the anti-modernity or anti-capitalism. However, the sound films, from the early 1930s, made him suffer from the bitters of life but it also provided a chance to improve himself. The first-run theaters in seoul targeted the high level spectators like an intellectual, students or people of the middle and high classes. The sensibility of the lower class, the foundation of his films, became to be neglected in the name of the improving the quality or artistry. Therefore, his films produced in 1930s got the stick of the critics and Na Yun-Kyoo could not but change his acting and directing style. In <A ferry boat that has no owner (임자 없는 나룻배)>, he acted the part of the old boatman in the static style. In his last film, <Oh Mong-neo (오몽녀)>, he was regarded as the smart cineaste. However, despite of his change and the critics’ appraisement, his films made in 1930s seem to lack the dynamics seen in his silent films. 나운규의 스타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나운규 영화’는 조선 무성 영화의 한 흐름을 잘 보여주는 영화이다. 1920년대 초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조선의 극영화는 대부분 고전 소설에서 스토리를 차용해 오던 상황에서 1926년 <아리랑>은 조선의 ‘현재’ 농촌을 폭로한 충격적인 영화였다. 고전 소설의 영화화가 줄 수 없었던 충격을 <아리랑>에서 발견한 하층민 관객들은 ‘나운규 영화’에 대한 팬덤(fandom)을 형성시켜 나갔고 그 결과 나운규는 자신의 이름을 걸고 영화를 만드는 최초의 조선인이 되었다. 한편으로 당시의 영화 관객이 중산층에서 도시의 하층 계급(lower class)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배경으로 ‘나운규 영화’는 이들 계급의 정서를 적극 반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층 계급의 취향과 감성은 나운규 영화에서 서사적으로 몇 가지의 전략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영화 <아리랑>에서 특징적으로 보였던 환상의 몽타쥬이다. 환상은 사실적인 것(모방적인 것)으로는 표현될 수 없는 타자-이 영화에서는 억눌린 하층민-들의 언어를 생산해내고 이 언어를 통해 현실을 전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남성 공동체의 의리를 바탕으로 하여 이러한 성적 위기에 처한 여성을 구원함으로써 능동적이고 강인한 남성 영웅의 모습을 그리는 데 있다. 1930년 초에 시작된 발성 영화의 바람과 영화관의 불황은 나운규 영화에게 하나의 시련이자 변화의 기회이기도 했다. 조선극장, 단성사, 우미관 등의 상설관들이 발성영화를 위한 고급화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나운규 영화가 기반하고 있던 하층민의 감성은 주변화되고 도시의 고급팬들의 취향과 감성이 조선 영화의 표준으로 자리잡기 시작한다. 나운규 영화에 대한 카프계 비평가들의 비판과 논쟁은 나운규 영화를 더욱 위축되게 만들었고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 영화의 고급화, 예술화라는 대세 속에서 이전의 나운규 영화가 자주 사용했던 서사적 전략들은 진부하고 낡은 것으로 담론화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나운규는 <임자 없는 나룻배>에서 거칠고 남성적인 연기 스타일을 정적인 것으로 변화시켰고 말년작 <오몽녀>에서는 고급팬들의 취향에 맞는 농촌을 재현함으로써 ‘저급의 취향을 버리고’ ‘말쑥한 시네아스트’가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들은 무성 영화가 기반하고 있던 하층민 정서가 주변화되었고 ‘고급화’라는 대세 속에서 초기 무성 영화의 역동성이 희석되거나 사라져가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박재삼 시의 연민의 정서 연구

        박진희(Jin hee Park)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이 글의 목적은 철저하게 개인적 차원에 머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박재삼 시의 슬픔 등속의 정서가 단순히 시인의 기질적 측면이나 개인사에만 근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 인식, 나아가 현실 비판과 연관되어 있음을, 그리고 그 매개가 되고 있는 것이 공감을 바탕으로 한 연민의 정서임을 밝히는 데 있다. 연민이란 타인의 슬픔에 대한 동류의식을 의미한다. 박재삼의 시에서 연민의 대상은 크게 유년의 자아와 혈육, 설화적 여성인물, 하층민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박재삼의 시에서 유년의 자아나 가족들은 '반짝임', '빛'으로 표상되는, 순박하고 무구한 존재임이 강조되고 있다. 이들은 고통을 당할 만한 이유가 없는 존재들임에도 고통에 처해있다는 점에서 슬픔 주체이자 연민의 대상이 된다. 또 다른 인물군으로 설화적 여성 인물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사랑의 장해요소인 거대한 힘 앞에서 타자화된 '약한자'로서 연민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극복할 수 없는 거대한 힘 앞에서 타자화된 존재로서 사랑의 부재를 견디고 있는 설화적 여성 인물들은 다름 아닌 시인 자신의 자아상이자 자신의 슬픔이 투사된 존재이다. 마지막으로, 하층민에 대한 동류의식과 연민의 정서는 메저키즘적 구도를 통해 발현되고 있어 의미가 깊다. 박재삼의 시에서 메저키즘적 구도는 그의 현실인식과 비판의식을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내주는 시적 의장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하층민의 입을 통해 드러나는 고통의 현실과 그에 대한 시적 주체의 연민의 정서가 독자의 공감을 획득하는 과정을 통해 심층적인 층위에서는 지배층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선취하게 되는 구도로 드러난다.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at emotions in Park Jae-Sam's poetry such as sorrow which are merely assessed as thoroughly being on personal level are not only based on the poet's temperament or personal affairs but they are related to awareness of reality and subsequently to criticism on it and that; its medium is the emotion of compassion based on sympathy. Pity means consciousness of kind in sorrow of others. In Park Jae-Sam's poetry, objects for compassion are largely classified into (i) ego in childhood; (ii) one's own flesh and blood; (iii) fictional woman characters and; (iv) the lower class. Ego in childhood or family is stressed as naive and innocent existence which is represented as 'glint' and 'light' in Park Jae-Sam's poetry. These objects have no reason for suffering but they are actually in pain, which makes them the existence of sorrow and pity as well. Another category of fictional woman characters is objectified as 'the weak' before enormous power, an obstacle for love and it is subject to pity. With huge strength they insurmountably face, fictional woman characters who endure absence of love as objectified existence are the very ego of the poet himself and they are beings on which his sorrow is projected. Lastly, it is significant that consciousness of kind and pity to the lower class are revealed through a masochistic composition. It is because the masochistic composition in Park Jae-Sam's poetry serves as a poetic design to most concretely express his awareness and criticism of reality. Painful reality concealed by the lower class' voices and subsequent pity from poetic subject appear as composition to secure the criticism on the ruling class on in-depth dimension through the process to acquire readers' sym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