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지응용(實地應用) 일한회화독습(日韓會話獨習)』의 일본어(日本語)와 한국어(韓國語)

        李康民 한국일본어문학회 2018 日本語文學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f the book―Jitchioyo Nikkankaiwadokusyu(實地應用日韓會話獨習)―which was published in Japan in April 1904, and to consider the value of the book as a research resource for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Most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were created for military purposes. Being one of the few books that were created for commercial purposes, this book is of particular interest. A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ransitional phenomena of modern Japanese such as conjugations, honorific expressions, and the potential form of verbs were applied to the Japanese language in the book. In addition, phenomena that can be used in the research of modern language’s historical phonology and lexical history in the Korean language of the book was confirmed.

      • KCI등재

        일본어 번역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일본어 번역지도’ 교과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염미란 한국일본어문학회 2024 日本語文學 Vol.102 No.-

        본 연구는 (1)일본어 번역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 (2)실제 ‘일본어 번역지도’라는 수업에 VREW라는 AI 기반 자막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한 사례를 보고하는 것을 통해 향후 일본어 번역교육의 방향성을 고찰한 것이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 KCI에서 ‘일본어 번역교육’, ‘일본어 번역수업’, ‘일한 번역교육’ 3가지 키워드로 검색, 총 31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연구는 일본어학 분야에서 조금씩 증가 추세이지만 여전히 양적, 질적인 면에서 매우 미흡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어 번역지도' 수업은 VREW라는 AI 기반 자막 생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상번역을 한 것이 본 수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상번역 보고서와 설문조사를 취합한 결과, 학생들은 텍스트 번역과 영상번역의 혼합형식은 학습효과 면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텍스트와 콘텐츠에 대한 탐색 및 선별에 대한 고민과 효율적인 번역교육에 대한 담론 형성이 시급히 필요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기계번역을 활용한 교수학습 개발 등의 연구가 축적된다면 새로운 일본어 교육의 장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1) examine research trends in Japanese translation education and (2) report a case study of using VREW, an AI-based subtitle generation program, during the Japanese Translation Instruction course. Ultimately, the research considers, the future direction of Japanese translation education. A total of 31 related papers were collected from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RISS and KCI using keywords such as "Japanese translation education," "Japanese translation class," and "Korean Japanese translation educa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although research in the field of Japanese language studies is gradually increasing, it remains insufficient in quantity and quality. The Japanese Translation Instruction course uses VREW for audiovisual translation. Reports and surveys from the course showed, that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mixed format of text translation and that they considered it to be effective for learning. However addressing challenges related to the exploration and selection of texts and content and facilitating discussions among regarding designing efficient translation education are necessary endeavors when looking towards the future. Additionally, accumulating research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that utilize AI-based machine translation could result in the emergence of new possibilities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日本語教育実習의 教壇実習 기관에 대하여 -한국의 D대학교 예를 중심으로-

        한원형 한국일본어문학회 2024 日本語文學 Vol.102 No.-

        일본어교원양성(日本語教員養成) 프로그램의 과정 중 일본어교육실습(日本語教育実習)의 교단실습(教壇実習)이 행하여지는 교육기관으로서, 일본 국외의 한국 D대학의 예를 대상으로, 교단실습이 이루어지는 교육기관의 입장에서 교육기관의 역할과 실습과정을 다음과 같이 각각의 사항을 나누어 검토하였다. 1. 일본의 S대학교의 교육실습 과정에 맞추어 교단실습이 이루어지는 한국의 D대학교의 역할을 다음의 7개로 나누어 각각 검토하였다. ⑴수업 및 담당 교원 소개 - 실습 기관의 수업 담당 교원과의 인사 ⑵교원과의 조율 - 수업 견학 ⑶교원 피드백 - 일본어 교재 연구 ⑷교재 소개 - 교안 작성 ⑸교원 피드백 - 모의수업 ⑹교원 피드백 - 교단실습 ⑺교원 피드백 - 평가2. 교단실습에 관하여 다음의 1개 항목을 각각 검토하였다. ⑴실습시기 ⑵실습생 인원 ⑶교단실습 대상 수업과 수업의 수 ⑷2학기 시간표 ⑸교재 ⑹강의실 ⑺인터넷 ⑻숙박 ⑼식사 ⑽교통 ⑾비용 In the course of the Japanese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elements of the teaching practice institution for Japanese language teaching practice are: Intermediate activities outside of Japan. For the case of D University in Korea, teaching practice is about the role of the following institutions and all matters related to the activity process in the intermediate stage participants. It's like an explanation. 1. In accordance with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raining course of S University of Japan, the role of Korean D University, where teaching training is conducted,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even categories and examined each. ⑴Introduction of class and teacher - Greetings with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t the training institution ⑵Coordination with teacher - Class tour ⑶Feedback from teacher - Study of Japanese textbook ⑷Introduction of Japanese textbook - Creation of teaching plan ⑸Teacher feedback – Mock class ⑹Teacher feedback – Teaching practice ⑺Teacher feedback – Evaluation 2. The contents of teaching practice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11 categories and examined each. ⑴Practice period ⑵Number of trainees ⑶Number of classes and classes subject to teaching practice ⑷2nd semester timetable ⑸Textbooks ⑹Classroom ⑺Internet ⑻Accommodation ⑼Meals ⑽Transportation ⑾Costs

      • KCI등재

        일본어 듣기 교재의 출판 현황과 교수법 분석 및 개선 방향

        주인원 한국일본어문학회 2024 日本語文學 Vol.102 No.-

        본고에서는 한국 내 일본어 듣기 교재의 출판 현황과 내용 및 교수법을 분석하고, 대학 일본어 듣기 교재의 문제점을 제시하여 개선점을 검토하였다. 『New스타일 일본어 청해 : 뉴스편』은 대학의 한 학기 시수에 분량이 적합하였으나, 과거의 전통적 교수법에 의존한 구성 방식으로 말하기 교재, 독해 교재와의 차별성이 부족했다. 『귀로쏙쏙 일본어 리스닝 초급』,『귀로쏙쏙 일본어 리스닝 중급』시리즈는 현대적 교수법의 요소들을 충실히 결합시킨 교재이다.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과 과제 중심 교수법을 동시에 적용시킨 구성 방식으로 이 교재를 학습하면서 학습자들은 주어진 과제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듣기뿐만 아니라 읽기, 말하기, 쓰기 능력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15과+α의 분량은 대학교 한 학기 시수와 맞지 않는 부분, 단어와 표현문형 제시에 있어 배치가 부적절한 점을 지적하고, 청각 구두식 교수법 적용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ations,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of Japanese listening textbooks in Korea, and identified problems with university Japanese listening textbooks to review areas for improvement. 『New Style Japanese Listening: News Edition』was suitable for one semester of university classes, but its composition method, which relied o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of the past, lacked differentiation from speaking and reading textbooks. The 『Japanese Listening Beginner』and 『Japanese Listening Intermediate』series are textbooks that faithfully combine elements of modern teaching methods. This textbook is structured in a way that simultaneously applies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methods. As students study this textbook, they will naturally and efficiently improve their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skills while trying to solve given tasks. However, the amount of 15+α did not match the number of hours in a university semester, and the arrangement of words and sentence patterns was inappropriate, and a direction for improvement was suggested for applying the audio-lingual approach method.

      • KCI등재

        『신찬조선회화(新撰朝鮮會話)』의 일본어(日本語)와 한국어(韓國語)

        李康民 한국일본어문학회 2017 日本語文學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serve the contents and background of the book “Shinsen Chosengokaiwa(新撰朝鮮語會話),” which was published in Japan in August 1894, and to consider the value of the book as a research material in terms of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his book is the first study material produced by a Korean among the Korean language study materials that were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Meiji period. The author of the book, Seokhyeon Hong(洪奭鉉), is known to have graduated from the Tokyo Senmon Gakko(東京專門學校), former Waseda University, in 1897. And after returning to Korea, he was appointed as the principal of Hansung National High School(官立漢城高等學校) in 1907. According to the study, the book confirmed that the transitional phenomenon of the modern Japanese such as conjugation, honorific expression, and possibility verb were applied to the Japanese language in the book. In addition, phenomenon that can be utilized in the research of modern language’s historical phonology and lexical history in the Korean language of the book was confirmed.

      • KCI등재

        명치간본(明治刊本) 『인어대방(隣語大方)』의 한국어(韓國語)

        신충균 한국일본어문학회 2006 日本語文學 Vol.31 No.-

        『隣語大方』には何種類かの異本が傳來するが、それらは同一內容を有しながら言語事象に異なるところがあり、言語史資料として注目されてきた。しかし、韓國語の方の硏究、特に諸本間の比較硏究はさほどなされていないのが現狀である。本稿は明治刊本の韓國語のいくつかの特徵を、異本と比較しながら檢討し、その意味について論じたものである。明治刊本には、消失母音<ㆍ>表記、母音調和、場所格助詞、副詞派生接尾辭などにおいて、異本とは異なる特徵を持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その違いの多くは、明治刊本が韓國語の變化を反映しようとしたことによるものである。また、變化反映とは思えない、いくつかの事象からは、明治刊本編者の規範的な態度を讀み取ることもできる。

      • KCI등재

        교사(敎師)와 학습자(學習者)의 일본어학습방법(日本語學習方法)에 대(對)한 신념(信念) 차이(差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박승원 한국일본어문학회 2008 日本語文學 Vol.37 No.-

        第二言語の硏究において、言語學習と信念の關係が取り上げられるようになって以來、敎師が學習者の種種の信念を把握する重要性が指摘されている。そこで、本稿では韓國人敎師と學習者の信念を把握するために、星麻美(2002)の調査で使われたアンケ一ト調査項目に多少手を加えた韓國人版BALLIを用いて、2004年に日本語敎師と日本語學習者の信念調査を實施した。その結果、韓國人學習者が受け入れやすい敎授法が明らかになった。しかし、これらは限定された資料に基づいており、あらゆる意味で予備的な正確を持つものである。日本語敎師と學習者の持つ信念についてのアプロ一チは日本語を敎える敎師たちにとって有意であるはずであり、本調査がその踏み石となれば幸である。具體的に、現職の韓國人敎師だけでなく日本人(原語民)敎師と韓國人學習者間の信念の差異を把握することが今後の課題である。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