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열녀 담론과 한국 영화에 나타난 열녀 표상의 의미

        노지승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ays that the visual representations were formed through the discourses on virtuous women and Korean movies which have virtuous women motifs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Korean movies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virtuous women were represented problematically as young women with beautiful bodies and sexual desire, as oppose to the discourses in the colonial times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colonial period, Confucianism that forced young widow to be a virtuous woman was strongly criticized. On the other hand, modern intellectuals discovered and considered the feature of the romantic love and sacrificial motherhood as the modern values that were inherent in the stories on virtuous women. 20th Century Korean movies described virtuous women as the results of the upper-class men’s monopoly of sex and reproduction. The narratives of these movies were designed by the desire of lower-class men. In Bound by Chastity Rule(烈女門) directed by Shin Sangok in 1962, lower class man named Sungchil who falls love with young widow was described as a rebellious man believing in the modern values. In another movies which were produced in 1980s, lower-class men’s desire designed the narrative as the fantasy that they can revenge themselves on upper-class men(兩班) by being a sex partner of upper-class virtuous women. ‘열녀’ 표상은 식민지 시기를 넘어 특히 20세기 후반 영화 텍스트에서 매우 특별하게 시각적으로 재현되었다. 현재 ‘열녀’하면 대중들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시각적 표상들은 대부분 20세기 후반의 영화 텍스트 속에서 시각적으로 구현된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열녀의 시각적 표상들이 ‘열녀’에 관한 어떤 이해와 해석에 기반하여 형성된 것인지를 밝히고자 했다. 그 첫 번째 단계로서 2장에서는 근대 이후의 열녀 담론을 대상으로 열녀가 근대 이후에 어떤 해석과 평가를 얻었는가를 설명하였다. 열녀의 비자발적인 수절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도 여전히 존재했지만 헌신적 모성과 낭만적 사랑이라는 근대적 가치와 접목되어 열녀는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3장과 4장에서는 1960년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열녀 모티프 영화들을 분석하고자 했다. 열녀 모티프 영화들에는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에 부응하고자 했던 한국영화계의 욕망, 그리고 억압적인 가부장제에 대항하고자 했던 여성들의 욕망 그리고 열녀 문제를 계급적 문제로 이해하는 남성 욕망이 중층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중층적인 욕망 가운데서 이 논문은 하층민 남성들이라는, 계급과 젠더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인물의 욕망이 열녀 모티프 영화의 내러티브를 어떻게 디자인하고 있는지를 주로 분석하고자 했다. 60년대 신상옥의 <열녀문>에서 하위 계급 남성은 수절 과부의 욕망을 일깨우고 그와 사랑에 빠지는 근대적인 가치관을 가진 반항적인 인물로서 묘사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반항적인 요소들을 70년대, 80년대 또 다른 열녀 모티프 영화에서 그 흔적만을 담은 채 점점 희석된다. 80년대 열녀 모티프 영화에서는 상위 계급의 성(性)과 생식 독점에 대해 항의하는 하위계급 남성들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그 상위 계급은 늙은 양반들 즉 이미 역사적으로 몰락한 이들이었다. 따라서 겉으로는 전복적인 속성을 띠고 있는 듯한 이들 하위 계급 남성들의 살부 충동은 실제로는 반역성을 상실한 죽은 아버지를 또 한번 죽이는 종류의 것에 지나지 않는 것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김기영 「하녀」에 나타난 매저키즘적 쾌락의 양상

        노지승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여성문학연구 Vol.15 No.-

        A Study on Kim Ki Young 「 The Maid」 ― focusing on the aspect of masochistic pleasure ― Roh, Ji-Seung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aspect of masochistic pleasure in Kim Ki Young 「The Maid」. Masochistic pleasure are formed by the help with the peculiar structure and the relation of man and women in this film. First, 「The Maid」is characterized by the frame narrative embedded with another narrative. While frame narrative is real, embedded narrative is a fantasy that same hero is ruined by the seduction of the maid. In frame narrative, the hero is masculine but in embedded narrative, he is emasculate, passive. So this hero is controlled by two women-his wife and the maid in embedded narrative. His wife represents super-ego that functions as conscience and moral. On the other hand, having sex with the maid represents pleasure by the violation of law. But his wife and maid are two different faces of mother who has a power. According to the psychoanalytical theory, mother is a object of affection and also a controller to her child in pre-oedipal period(oral period). The hero controlled by two women, is a child who is afraid that he would lose mother's love. But two women who have a maternal image, are also controlled by two kinds of instincts- the reproductive urge and the desire for existence. This two kinds of instincts ruin all characters including two women. Finally, there is a fatality that human must be controlled by instincts. This fatalism is the characteristic viewpoint of 「The Maid」. 이 논문은 1960년대 문제적인 작품이었던 김기영의 <하녀>를 대상으로 이 영화에서 보이는 매저키즘적 쾌락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영화는 틀 이야기의 현실과 내부 이야기의 판타지가 액자 구조를 통해 분리되는 구성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그 내부 이야기에서 한 남자는 하녀의 유혹으로 인해 벌어지는 파멸을 상상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이러한 틀 이야기(현실)와 내부 이야기(환상)에 있어서 틀 이야기에서 보이던 주인공의 남성다움이 내부 이야기에서는 위축된 형태로 드러나면서 영화의 서사는 피지배의 쾌락을 드러낸다.내부 이야기가 구체적으로 매저키즘적 쾌락의 양상을 띠는 것은 세 가지의 층위에서다. 매저키즘적 쾌락은 첫째 두 명의 여성(아내와 하녀)에 의해 남성이 지배됨으로써 구현된다. 이야기 속 가정의 가부장은 위기 상황에 있어서 스스로 판단을 하거나 결정을 내리지 못한 채 두 사람의 여성-아내와 하녀-에 예속되어 있다. 둘째, 모성의 양가성을 통해 구현된다. 이 영화는 먹을 것을 주고 부엌을 차지함으로써 어머니의 역할을 수행하는 하녀를 두려움과 매혹의 대상으로 그려낸다. 이러한 양가성은 어머니를 사랑의 대상이자 통제자로 이해하는 구순기적 단계의 정신 상태와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두 층위는 모성적 초아자로서의 여성에 의한 남성의 피지배로 집약될 수 있다. 여성에 대한 예속됨은 여성이 아닌 남성의 입장에서 갖는 환상으로 이 영화는 이러한 의미에서 남성적 쾌락을 구현하고 있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이 영화가 갖는 또 다른 매저키즘적 쾌락의 층위는 모성이나 초자아의 층위를 벗어난 본능의 영역과 관련되어 있다. 영화는 본능에 의해 파멸되는 인물들을 통해 근원적 지배자는 바로 인간의 본능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즉 본능에 의한 지배는 숙명적인 것이며 벗어날 수 없다는 허무를 보여줌으로써 김기영 영화 특유의 세계관을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20년대 초반, 편지 형식 소설의 의미 : 사적 영역의 성립 및 근대적 개인의 탄생 그리고 편지 형식 소설과의 관련에 대하여 On the Relation of Epispolary Fiction to the Private Domain of Modern individual

        노지승 민족문학사학회 2002 민족문학사연구 Vol.20 No.-

        편지가 소설에 접목된 것은 양자가 사적인 영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설은 근대 이후 구획된 개인의 사적 영역을 공적 영역에 끼워 넣는 형식이다. 한편, 개인의 사적 영역은 편지에 친밀함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편지에는 수신자의 순수함이 전제되어 있으며 이 인간성의 소유자가 바로 근대적 개인이다. 한국의 근대 소설에서 편지 형식 소설의 시작은 1920년대 전후이다. 1910년대 후반 소설에서 편지는 부드러운 계몽의 기제 혹은 개인의 고립과 소통을 동시에 보여주는 기제이다. 1920년대 편지 형식 소설은 사랑에 관련되 내밀함을 공적으로 현시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내밀함의 현시 방식이 페르조나의 성별에 따라 다른것은 근대적 개인이 갖는 주체성의 형식에 젠더적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 It is before and after 1920 when the form of letter becomes one of the novelistic form in Korea. In the novels of the late 1910s, letter is the device that can expose the newly formed humanity as the gentle skill of the enlightenment and also can make the individual get out of the isolation. In 1920s, epistolary fiction plays a part in revealing the privacy of individual. This privacy has connection with modern agony about love. In Korea, modern love is the revolutionary ideology that should be preoccupied by the modern intellectual. The strong expectation on love makes the modern intellectual suffer from agony between prenodern idea about marriage and modern idea. Because love also make relation with sexual desire, the agony of Korean modern intecllectual is obtained by the three parties. The agony of love partly occurred in sexual desire, therefore this agony is very secrer. The letter is the private form that can make inner agony be held in common by others. This commucative form is premised on new modern humanity because intimacy is based on the trust on an addressee. As the public form, epistolary fiction in 1920s specially connect public domain and private domain by binding the individaul to new humanity of pureness.

      • KCI등재

        여성작가는 어떻게 ‘탈(脫)여류’를 했는가 : 윤정모 소설에서의 상상된 부계(父系)와 여성혐오

        노지승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Jungmo Yoon who started her work activities from 1968, and then wrote popular novels in the 1970s, is not only a writer who wrote such controversial works like 「Night Road」 representing the May 18 Gwangju Democratic Movement into a novel for the first time, 「Your Ma’s name Was Chosun Whore)」taking the comfort women for Japanese soldiers as its material, and 『Rein』 known as an anti-American novel in the 1980s, but also evaluated as a writer who overcame the limitation of so-called ‘feminine’ literature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late 1980s, the female writers started asserting the new citizenship in the literary world and literary history not as ‘feminine literature’, but as ‘women’s literature’. At that time, Jungmo Yoon was also evaluated as a writer suitable for the new requests of women’s literature. However, Jungmo Yoon’s novels are overwhelmed by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so they reveal the limitations of misogyny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as follows. First, Jungmo Yoon’s novels in the 1980s, regarded as popular novels fully represent the stereotype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as hateful bad maternalism and excellent maternalism. Second, Jungmo Yoon’s novels represent the ‘foreign power’ threatening people through the characters of middle-class women. In other words, the female characters symbolizing the foreign power are set up as luxurious and selfish middle-class women who are connected to the United States or excessively like foreign goods. This method of representation is high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national/popular movements discourse of the time embraced the lower-class women as people and the public, and on the other hand, it excluded the middle-class women. Eventually, Jungmo Yoon became a female writer of ‘post-feminine literature’ by actively using the time, people, and history as the materials of her novels. However, her novels show the limitations of showing the tolerant perspective on men’s violence while revealing the misogyny. This method of reproduction is similar to the way Yoon Jung-mo reproduces and describes his personal history. The importance of the imagined paternal lineage was also the reason why Yoon Jung-mo’s literature could not be flexibly changed in the changed situation of the 1990s, as it was more than just nationalistic justification. 1968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해 1970년대 대중소설을 쓰던 윤정모는 1980년대에는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고삐』 등의 문제작을 쓴 작가이자 이른바 ‘여류’ 문학의 한계를 극복한 작가로 주류 문단에서 평가받았다. 1980년대 후반은 여성문학인들이 ‘여류문학’으로서가 아닌 ‘여성문학’으로서 문단과 문학사에서 새로운 시민권을 주장하기 시작한 시기였고 윤정모는 이러한 새로운 여성문학에의 요청에 걸맞은 작가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윤정모의 소설들은 여성 재현에 있어서 여성혐오라는 뚜렷한 한계를 다음과 같이 드러낸다. 첫째 윤정모 소설은 성적으로 방종하거나 훼손된 어머니를 소설 속에서 지속적으로 그려낸다. 윤정모의 초기 장편소설에도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이 모티프는 1980년대 소설에서는 민족주의와 접속되어 이들 여성들을 민족공동체 속에서 타자화 시킨다. 윤정모의 초기 소설에서는 분열적이고 기괴한 남성성을 혐오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여대생 캐릭터가 등장하는 것과는 달리 1980년대 소설들은 민족주의적 입장에서 혐오스러운 나쁜 모성과 민족과 공동체에 복무하는 훌륭한 모성이라는여성재현의 스테레오타입을 그대로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 윤정모의 소설은 민족을 위협하는 외세를 중간계급 여성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형상화시킨다. 이러한 재현방식은 교육받거나 경제력이 있는 중간 계급 여성을 배제하고 혐오하던 민중담론의 가부장제적 사고와 관련이 깊다. 결국 윤정모는 1980년대 후반, 문단에서 남성과 부계를 표준으로 삼는 민족, 역사를 소설의 소재로 적극 끌어온‘탈여류’의 여성작가가 되었지만 여성혐오를 드러내고 남성 지식인을 훌륭하게 묘사하면서 남성폭력을 용인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재현의 방식은 윤정모가 자신의 개인사를 재현하고 서술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상상된 부계혈통의 중요성은 단순히 민족주의적 정당성을 뛰어넘어 작가 개인의 실존적 고민에 맞닿아 있었기 때문에 윤정모의 문학이 1990년대의 달라진 상황에서 유연하게 변화될 수 없었던 이유로 작용한다.

      • KCI등재

        사랑과 돌봄, 사적 영역의 변혁 시도와 한계 : 식민지 시기 콜론타이즘 수용의 유산들

        노지승 한국근대문학회 202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3 No.1

        Even though the Kollontaism was accepted and popular in fashion as a theory of love in colonized Joseon, the Kollontaism was a thought of arguing changes in private sphere with the mediation of love and care to socialist women. The biggest meaning of Kollontaism in colonized Joseon was not bringing the new theory of love into fashion, but arousing the socialist women’s radical consciousness of publicness of care labor such as housework and childcare,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and family/marriage system. The people who fully showed the aspect of practicing the Kollontaism in Joseon were socialist women, Jeong Chil-Seong and Heo Jeong-Sook. Jeong Chil-Seong emphasized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and publicness of care labor while Heo Jeong-Sook showed the dissolution of the existing family system through sexual mutiny and sexual liberation in her own life. However, just as shown in the fact that the agenda of feminism was handled as a limited issue by socialists, and the case of Kollontai that was doubted as feminists by the mainstream socialist men during their lifetime, the liberation of women was handled only as the agenda subject to the liberation of class or the process or tool of class struggle. Also, the socialist men did not want to lose their domination and control over women, so the socialist women’s practice of Kollontaism in Joseon only influenced the limited scope. As a result, even though both Jeong Chil-Seong and Heo Jeong-Sook were limited to deeply apply the thought of Kollontaism, they are still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maximizing the practice of Kollontaism in colonized Joseon that was extremely conservative in women’s sex and role. 식민지 조선에서 콜론타이즘은 대중적으로는 연애론으로서 수용되고 유행된 바 크지만 여성 사회주의자들에게 콜론타이즘은 사랑과 돌봄을 매개로 한 사적 영역에의 변화를 주장하는 사상이었다. 식민지 조선에서의 콜론타이즘가 갖는 가장 큰 의미는 새로운 연애론의 유행시킨 데 있지 않고 가사와 육아 즉 돌봄 노동의 공공화와 여성의 경제적 독립 그리고 가족, 결혼 제도에 대한 여성 사회주의자들의 급진적인 자각을 불러 일으켰다는 데 있다. 조선에서 콜론타이즘의 실천 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이들은 여성 사회주의자 정칠성과 허정숙이었다. 정칠성이 여성의 경제적 독립, 돌봄 노동의 공공화를 강조했다면 허정숙은 성적 반역과 성적 해방을 통해 기존의 가족 제도의 해체를 그의 삶을 통해 몸소 보여주었다. 그러나 사회주의자 내부에서 여성 해방론의 아젠다가 여성 사회주의자들만의 한정된 이슈로 취급받았던 점 그리고 평생 주류 남성 사회주의자들로부터 여성해방론자로서 의심을 받았던 콜론타이의 사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여성 해방은 계급 투쟁의 과정이나 도구 혹은 계급 해방에 종속된 아젠다로만 취급되었다. 또한 남성 사회주의자들이 여성에 대한 통제와 지배를 놓치지 않으려고 했던 한, 조선의 여성 사회주의자들의 콜론타이즘의 실천은 협소한 범위에서 영향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결과적으로 정칠성과 허정숙 두 사람 모두 콜론타이즘의 사상을 깊이 있게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지만 여성의 성과 역할에 대해 극도로 보수적인 식민지 조선에서 콜론타이즘의 실천을 최대치로 끌어올렸다는 의미를 이들에게 부여할 수 있다.

      • ‘상품’과 ‘영어(English)’로서의 서구적인 것 - 한형모 영화에 나타난 50년대 문화적 딜레마

        노지승 개신어문학회 2011 개신어문연구 Vol.0 No.33

        This article tried to reveal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an, Hyung-Mo's films came out from the dilemma between attraction and repulsion which were related with the cultural transformation in 1950s. Director Han, Hyung-Mo could be called the most popular director in the 1950s for his films catched the shots that emphasize the western goods, life style, manners as spectacles as well as urban young people who speak English words. These kinds of shots described the openness to the western culture in 1950s. Contrary to the shot describing vivid western, the narratives of his films usually end in conservative conclusion that young women with glossy western fashions regret their vanity and luxuriousness. This endings suture the conflicts of genders and classes. The ambiguousness or duplicity between openness and conservativeness is the reason that Han, Hyung-Mo films could be popular in the 1950s.

      • KCI등재후보

        샤머니즘, 침묵하는 타자를 위한 언어 - 한승원 소설에 나타난 한(恨)의 서사화 양상

        노지승 구보학회 2015 구보학보 Vol.0 No.12

        The Change of Han Seungwon’s novels from 1970s to early 1980s, is the process that the alienated women who had kept silent, get a new language. In his novels of 1970s, single mothers and madwomen, even though they are the victims of male violen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Korean War, are persecuted by the community. They don’t have any chance to protest against the assailants or to defend themselves. The allowed way to them is only to compromise with the unfair situation or just live isolated in the beach. Especially the case of single mother raising sons and grandsons, Han Seungwon’s novels signify their internal feeling state as ‘Han’(恨). Han means the traditional Korean emotion mixed with grudge, sorrow and resignation. Unlike single mothers who are not hostile to a patriarchal system, madwomen who live isolated in the beach are described as inexplicable and stronglysexed women. That is to say, madwomen who live isolated in the beach, represent the female monsters created in men’s guilty conscience and fright. On the other side, there are also heroes or male narrators who weave their war experiences into stories through a comprehensible and elucidatory language. This kind of gender gap is removed in the sequence novel Daughter of Fire. The male character of this sequence novel, who are dismissed from a newspaper, is suffering from psychic disease. By conceding his shamanistic gift and identifying with his shaman mother, the male intellectual ‘I’ become a shaman and get a shamanistic language. By this process, his Oedipus complex is overcome and he accepts the eroticism of his mother.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초까지 약 10여 년 동안 이룩된 한승원 소설의 변화 과정은 주체가 될 수 없었던, 침묵하는 타자가 새로운 언어를 얻는 과정이다. 70년대 한승원 소설에서 홀어머니들이나 해변의 광녀들에게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식민지 시기, 분단과 전쟁을 거치면서 반복된 남성들의 폭력으로 그들은 피해자가 되었지만, 침묵으로써 현실을 묵인하고타협하면서 생존하거나 혹은 광녀(狂女)가 되어 공동체로부터 유리되어 살아간다. 한승원 소설은 이러한 자기 표현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성되는 여성들의 정서 상태를 ‘한(恨)’으로 명명한다. 이들에 비해 남성 혹은 남성 지식인들이 등장하는 소설들의 경우 남성 인물들은 트라우마가 된 자신의 전쟁과 성장 체험을 이해 가능한 언어로 서사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원화된 서사 방식은 『불의 딸』에서는 무너지게 되는데 이 연작 소설에서는 샤머니즘의 언어를 통해서 타자의 언어를 구축하면서 남성 지식인조차 이 샤머니즘의 언어를 수락하게 되는 양상을 보인다. 타자의 새로운 언어는 남성인물들의 이해가능하고 언어를 뛰어 넘어 샤머니즘의 세계에서 새로운 언어를 얻는 것이며 그리고 이 언어를 통해 타자의 고통과 억압이 승화될 수 있음을 한승원의 소설은 스스로 설파하고 있다. 『불의 딸』에서는 또한 주인공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해소되면서 성욕이 강한 어머니에 대한 증오 역시 해소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이전의 소설들에서 보였던, 성적으로 거세된 홀어머니와 비정상적한 성욕을 가진 광녀라는 이원적인 여성 표상에 내재된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남북한 춘향전 영화를 통해 본 <춘향전>의 국민문학적 의미

        노지승 국문학회 2016 국문학연구 Vol.0 No.34

        The movies based on the novels Chunhyangjun(春香傳) has been produced 18 times so far. Nevertheless, most of them have very similar mise-en-Scène and plots of original novel Chunhyangjun. This paper argues the social condition and spectatorship that made those movies box office success. The first silent movie Chunhyangjun, in spite of being directed by a Japanese director, were received in the social atmosphere of national literature discourse and were involved with the agenda of standardizing premodern novels. Talkie Chunhyangjun of 1935 were supported by discourses of romantic free love and attracted attention of widely various audience from intellectuals to lower class audience. In the late 1950s, after Korean war, several movies Chunhyangjun were made again at the atmosphere of searching cultural identity of nation state and national tradition. Especially, Chunhyangjun of 1955 and two movies Chunhyangjun of 1961 bears the marks of referring to previous movies as far as can be called fetishism of patterned tradition. In movies Chunhayngjun of North Korea, the characters and mise-en-Scène were adjusted partially to socialism. However, it was not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movies made in colonial period. Movies Chunhyangjun after liberation and division of Korea, was made not pursuing innovation and newness but familiarity.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the audience of Movies Chunhyangjun had very special spectatorship to feel a sense of communal spirit by watching Movies Chunhyangjun. 현재까지 춘향전을 원작으로 한 영화는 18편이 제작되었지만 일부 영화들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장면화와 플롯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춘향전 영화가 비슷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제작된 이유와 이 영화들이 흥행할 수 있었던 사회적 조건을 밝힘으로써 원작 춘향전이 국민문학으로서 갖는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식민지 시기 무성영화 <춘향전>은 일본인에 의해 연출되었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1920년대 국민문학 담론이 본격화되는 상황 및 국민문학의 표준화라는 당대 문화계의 아젠다와 관련이 있었다. 1930년대에 제작된 토키 영화 춘향전 또한 자유연애 담론의 지지를 받아 신학문 교육을 받지 않은 관객에서부터 지식인 관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인기를 누릴 수 있었다. 해방 이후, 1955년 <춘향전>과 1961년 두 편의 영화인 <춘향전>과 <성춘향>은 국민국가의 문화적 정체성 즉 한국적인 것을 구성하기 위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제작되었는데 모두 장면화와 시각화에 있어서 식민지 시기에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을 참조한 흔적이 엿보인다. 북한에서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 역시 등장인물들의 형상화와 장면화를 일부 사회주의적 이념에 맞게 수정, 변형시켰지만 기본적으로 식민지 시기부터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의 익숙한 장면화를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근대화 이후 혁신과 변화를 추구해왔던 한국 사회에서, 춘향전 영화들은 전통에 대한 페티시즘이라고 불릴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하게 정형화되어 제작되어 왔다. 즉 해방 후 남북한 춘향전 영화들은 예술 작품으로서의 혁신과 새로움보다는, 익숙함을 추구했는데 이러한 특징은 춘향전 영화의 특별한 관객성을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그 만큼 춘향전 영화들은 매우 독특한 관객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관객들에게 춘향전 영화의 관람은 안정적인 소속감 혹은 공동체적 정체성을 확인하게 하는 의례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