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픈소스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프레임워크 및 실증적 연구 -부동산 관련 데이터를 사례로-

        김정희 ( Kim Jung H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관련 문제의 의사결정지원 수단으로서 오픈소스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의 틀을 제공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GIS를 적용한 공간분석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부동산 이슈를 도출한 후, 데이터 구축에서 탐색적 공간데이터 분석과 모델기반의 공간데이터 분석 등의 공간분석기법까지 일련의 분석프로세스의 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분석에 적합한 오픈소스 GIS의 현황과 기능을 파악하여 분석방법을 모색한 후, 서울시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자료를 사례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일종의 공간분석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오픈소스 GIS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부동산 관련 자료를 사례로 실증적 연구 분석을 통해 하나의 구축 사례를 제공하여 공간분석에 필요한 기술적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the spatial analysis framework by using the open source GIS as the decision-making supporting means for the real estate issues and make the empirical analysis which can support it. For this purpose, the real estate issues which would be mainly handled in the spatial analysis applied with GIS would be derived and a series of analysis process framework would be suggested from the construction of data to the spati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and model-driven spatial data analysis.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open source GIS which is proper for the analysis would be found and the analysis method would be searched before the empirical analysis would be performed by using the data of the rent trend for the commercial real estate located in Seoul. This study would focus on the suggestion of guideline for a kind of spatial analysis and how to use it.

      • KCI등재

        공간정보 기반의 스마트시티표준을 위한 표준 갭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최원욱(Choi, Won Wook),홍상기(Hong, Sang Ki),이정구(Lee, Jeong Ku)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표준과 스마트시티표준 간의 연계활용 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두 표준 간의 표준 갭을 식별하기 위한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 프레임워크가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도출하고 개념적 모형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표준 Pool을 수집하여 제안한 표준 갭 분석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 스마트시티표준은 개념 정립, 물리적 도시환경 개발·관리·운영 및 참조모델 개발 중심의 표준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간정보표준을 기반으로 연계 확장하여 구문/서비스/네트워크/데이터 상호운용성 등 기술구현 중심으로의 스마트시티 표준화 및 관련 분석 방법의 고도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standard gap analysis framework is presented as a methodology to identify the needs of new standards to develop geospatial smart city standard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evant to standard gap analysis, the requirements for the analysis framework are derived and applied for defining the conceptual model of the standard gap analysis framework. The standard pool was collected and applied to the proposed standard gap analysis framework. As a result,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smart city standards in the pool were generally oriented on conceptual modeling, develop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hysical urban environment, and reference model development. In addition, by making the linkage to the spatial information standard, the need for smart city standardization and advanced analysis methodology for a technology implementation of syntax/service/network/data interoperability was suggested.

      • 시스템공학 개념을 적용한 폐기물 가스화 시스템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임용택(Lim, Yongtaek),구재회(Gu, Jaehoi),김나랑(Kim, Narang),이재천(Lee, Jaech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폐기물 가스화는 생산된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발전 등 직접적인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고부가가치 화합물의 원료 공급원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폐기물 가스화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화합물 제조의 경우 기존 화합물 제조공정에 폐기물 가스화 공정이 연계되어, 하나의 복합시스템으로 운영이 된다. 따라서 기존 공정과 최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폐기물 가스화 시스템의 개발 또는 선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폐기물 가스화 시스템에 대한 분석 평가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공학 개념을 적용하여 폐기물 가스화 시스템의 체계적인 분석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시스템공학은 요건분석, 기능분석, 합성(통합), 분석/관리 프로세스를 통하여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다학제적인 접근방법이다. 이러한 시스템공학의 개념 및 기본 프로세스를 적용 조정하여 폐기물 가스화 분석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계층구조로 표현이 된다. 계층구조는 분석관점, 분석항목, 분석지표로 구성이 되며 분석된 데이터에 대한 평가는 AHP를 통하여 계산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 생물다양성협약 이행·지원 프로그램 기획·운영(Ⅴ)

        김충기,김종호,오일찬,구경아,이현우,김이진,양유경,홍현정,차은지,( Jun Gao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사업보고서 Vol.201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ㅇ 1993년에 발효된 생물다양성협약은 ① 생물다양성의 보전, ② 생물다양성 구성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 ③ 유전자원 이용으로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분배를 3대 목적으로 하는 생태계, 생물종, 유전자원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환경협약임(황상일 외, 2018) - 2019년 현재 196개국이 당사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94년 10월 3일에 가입하여, 1995년 1월 1일에 발효됨 ㅇ 일본 나고야에서 지난 2010년에 개최된 제10차 당사국총회(COP)에서 “2011-2020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및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를 채택하여 2020년까지 국제사회가 달성해야 하는 20개의 생물다양성 목표를 설정함 - 궁극적으로 2050년까지 생물다양성의 존중, 보전, 복원 및 현명한 이용을 통해 생태계를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지구의 혜택을 누리려는 것이 목표임 - 이행 기간을 1년 남긴 현시점에서, 지구평가보고서(IPBES, 2019)에서는 아이치생물다양성 목표의 53개 세부목표 중 4개(7.5%) 세부목표만을 달성할 것으로 평가됨 ㅇ 우리나라는 2014년 10월 강원도 평창에서 의장국으로서 제12차 당사국총회를 개최하고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4~2018년)과 제4차 생물다양성전략(2019~2023년)을 수립함으로써 관련 정책을 이행하고 점검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주요 논제에 대한 충분한 검토 및 이행 미흡, 생물다양성 이행 증진을 위한 재정 확대 관련 연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협력 기회, 생물다양성과 관련한 국제협력 증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임 □ 연구의 목적 ㅇ 본 과제는 총 연구기간 6개년 중 5차 연도로 생물다양성협약에 대응하기 위하여 의제를 분석하며 생물다양성협약을 이행하고 기반을 증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함 - 당해 연도는 ① 의제 분석에 기반한 생물다양성과 관련한 정책 제시, ② 재정 분석 고도화를 위한 연구 개발, ③ 협력 네트워크 및 과학기술협력 확대, ④ 정책 개발 플랫폼의 확대 및 운영으로 세부 프로그램을 구성함 Ⅱ. 생물다양성협약의 논의 동향 및 시사점 □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ㅇ 국제사회는 2020년 말에 개최되는 COP15에서 그 후속조치에 해당하는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기로 합의함 - 이를 위해 2018년 말에 개최된 COP14에서는 GBF 개발 작업 진행을 위한 개방형 작업반(OEWG)의 출범을 결정하고 2019년 8월 27일부터 30일까지 케냐 나이로비에서 제1차 OEWG를 개최하였으며, 2020년 2월 중국 쿤밍에서 제2차 OEWG를 개최할 예정임 ㅇ Post-2020 GBF는 기본적으로 ① 배경과 근거, ② 2050 비전, ③ 2030년 미션 또는 정점목표, 목표 및 하위목표와 지표, ④ 이행수단, ⑤ 교차적 이슈, ⑥ 투명성 및 이행·보고체계 등의 요소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ㅇ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역량 배양, 재정 및 기술적 지원수단(MOI: Means of Implementation)과 목표의 이행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모니터링·보고 메커니즘(Implementation Mechanism)이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개발될 것으로 전망됨 ㅇ 생물다양성 논의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전방위적으로 거론되는 토착민 및 지역공동체(IPLC: Indigenous People and Local Communities), 전통지식(Traditional knowledge), 성평등(Gender equality), 생물다양성 주류화(Mainstreaming) 등의 교차적 이슈가 핵심요소로서 Post-2020 GBF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됨 ㅇ 구체화되고 측정 가능한 형태의 미션 및 목표의 설정과 이행 강화를 위한 이행지표의 동시 설정 그리고 보고·검토체계의 개선 및 강화가 예상됨 ㅇ 생물다양성협약의 목적 달성을 위한 전환적 변혁(Transformative change) 필요성과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Internation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등이 발견한 과학적 사실에 근거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됨 ㅇ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에 입장 차이로 말미암아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 공유(ABS: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의 포함 여부 및 반영 형태가 향후 Post-2020 GBF 협상 타결을 위한 관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 전 지구 생물다양성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대한 정책결정자 요약보고서 ㅇ 2019년 5월에 채택된 「전 지구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대한 정책결정자요약보고서」(IPBES, 2019)에서는 현재 전 세계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자연혜택)가 응급한 상황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술,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혁신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함 - 6개의 장과 4개의 핵심메시지(A.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기능의 감소, B. 직간접 요인에 의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기능 감소 가속화, C. 기술·경제·사회적 요인 전반에 걸친 혁신적 변화 필요, D. 혁신적 변화를 위한 공동의 노력 촉구)로 구성됨 -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2020년 10월 중국 쿤밍에서 개최되는 제15차 당사국총회에 반영될 예정임(환경부, 2019) Ⅲ. 생물다양성 재정 분석 □ 국내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생물다양성 지출 분석 ㅇ 환경보호 지출통계를 참고하여 2017년 생물다양성 지출 현황 분석을 수행함. 2017년의 중앙정부 총 생물다양성 지출은 8,775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총 생물다양성 지출은 1조 9,723억 원으로 집계됨. 또한 2017년 지방자치단체별 예산대비 생물다양성 지출 비율은 0.2~1.8%로 관측됨 ㅇ 향후 예산 수립에서 정부는 환경 부문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환경 관련 예상 증액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특히 생물다양성협약의 이행을 위해 생물다양성과 관련한 지출규모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생물다양성 부담금 현황 ㅇ 부담금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서 고려할 수 있는 수단 가운데 대표적 경제수단으로 국립생물자원관(2014)을 참고하여 생태계보전협력금, 농지보전부담금, 대체초지 조성비, 개발제한구역 보전부담금, 해양생태계보전협력금, 대체산림자원조성비를 생물다양성 부담금으로 정의하고 20018년까지의 부과 및 징수 현황을 파악함 □ 생물다양성 ODA(공적개발원조) 현황 ㅇ 우리나라의 2016년 생물다양성 ODA 승인액은 약 2,518만 달러로 전년대비 26% 감소하였고, 지출액은 약 3,134만 달러로 전년대비 8% 감소함 - 생물다양성을 주목적으로 하는 ODA는 아직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ㅇ 2014~2016년 기간에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분야 지원 사업을 원조목적별로 살펴 본 결과, 생물다양성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3개년 동안 14만 달러에 불과하며 이는 전체 지출액 및 승인액 기준으로 각각 0.16%, 0.17%에 그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에 대한 국외 선행연구 사례 ㅇ 프랑스전략계획센터(2011), 생물다양성협약사무국(2014), OECD(2017)에서의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의 정의,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목록,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개혁방안에 대한 연구사례를 정리하고 연구 수행방법을 도출함 - ①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정의 → ②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식별 방안, 목록 도출 → ③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재정 및 환경 영향 추정 → ④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선별 및 개혁 우선순위 도출 → ⑤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개혁방안 도출 Ⅳ. 국내외 네트워크 기반 구축 및 교류 □ 국외 과학기술협력: 중국 난징환경과학원(NIES) ㅇ 한국과 중국의 생태관광과 생태계서비스의 비교를 통한 시범연구(제주도와 운남성 시솽반나)를 진행하였으며 한·중 협동 워크숍을 통해 예비 결과에 대한 주요 연구내용을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진행함 ㅇ 한·중 생태관광 및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협동 워크숍(2019년 10월 30~31일 중국 쿤밍 개최)을 통해 양국의 생태관광과 생태계서비스 분야의 이해관계자를 참여시켜 주요 연구내용을 공유하고 경험을 교류하며 향후 협력 연구 계획을 수립함 □ 국내 생물다양성과 관련한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구축 ㅇ 생물다양성 가치가 높은 접경지역의 개발압력에 대해 논의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민단체 및 전문가 등 이해관계자와 비무장지대 일원을 방문(2019년 3월 8~9일)하고 한강하구 수역보전(2019년 4월 9일)을 위한 토론회를 진행함 ㅇ 전국 시·도 환경연구자 워크숍에 참석하여 생태자원을 보전하고 현명하게 이용하기 위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대안을 모색함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 생물다양성협약의 논의 동향 및 시사점 ㅇ 최신의 과학기술적 정보, 그중에서도 특히 2019년 5월에 발표된 IPBES 지구평가보고서에 기반을 두고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데 당사국 간 공감대를 형성함 - IPBES 지구평가보고서의 주요 내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분석을 바탕으로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수립 방향을 전망하고 국내외적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ㅇ 2020년 2월에 개최 예정인 제2차 OEWG 대응 관점에서 SBSTTA23 권고안의 부록에 수록된 목표에 대하여 주제 영역별로 우리나라의 입장을 정립할 필요가 있음 - 특히 기존 아이치 목표에 대한 지표체계, IPBES 및 생물다양성지표파트너십(BIP)이 식별한 지표 등을 바탕으로 주제영역별 이용가능한 지표체계 도출 필요 ㅇ 개발도상국들이 특히 목표를 이행하기 위해 재원 동원을 포함한 지원수단의 중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위해 필요한 재원을 추정하도록 위탁함 - 2020년 1월에 개최 예정인 재원 동원에 관한 협의 절차에서 전문가 패널의 작업결과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본 협의에 참석하여 재원 동원과 관련된 논의의 향방을 진단할 필요가 있음 □ 생물다양성 재정 분석 ㅇ 정부 전체 예산 대비 생물다양성 지출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어 생물다양성 협약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생물다양성과 관련한 지출규모의 확대가 필요함 ㅇ 생물다양성 재원을 확대하기 위하여 생물다양성과 관련한 부담금 사용내용을 면밀히 검토하여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ㅇ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ODA 규모 개선이 필요한바, 이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수행이 필요함 ㅇ 국외 선행연구 사례를 통해 국내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과 관련하여 연구 수행방법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방법에 따라 연구 수행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생물다양성 유해 보조금 개혁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됨 □ 국내외 네트워크 기반 구축 및 교류 ㅇ 국외 생물다양성 과학기술협력에서 생태관광과 생태계서비스의 가치 평가 분야는 생물다양성의 이용 및 보전 측면에서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과 중국의 생태관광과 생태계서비스 시범사업 및 공동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과학기술협력 수행 및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ㅇ 국내 생물다양성 현황 파악에 중요하게 활용되는 시민 생태 모니터링은 향후 활용잠재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며 시민과학 활용방안의 모색이 필요함 Ⅰ.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 Background ㅇ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entered into force in December 1993, having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of ①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② the sustainable use of the components of biological diversity, and ③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the benefits arising from th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24) - Currently, there are 196 Parties to the CBD,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ㅇ In the ten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10), held in 2010 in Nagoya, Japan, the Parties adopted the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which includes Aichi Biodiversity Targets. - The Strategic Plan is a ten-year framework to save biodiversity and enhance its benefits for people (CBD, UNEP, 2011). - It aims to value, conserve, restore and wisely use biodiversity by 2050 in order to maintain ecosystem services, sustain a healthy planet and deliver benefits essential for all people (CBD, 2010). - Most of the Aichi Biodiversity Targets under the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cannot be met on current trajectories, according to the IPBES global assessment report (IPBES, 2019). ㅇ The Republic of Korea hosted COP12 in the city of Pyeongchang and established the 4th NBSAP (2019-2023), laying out a set of structured biodiversity conservation policies. However, the progress towards meeting th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is still very limited. - The implementation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policies needs to be improved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continuous research on national biodiversity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trategies related to biodiversity. □ Purpose ㅇ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upport and promot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BD since 2015. - The study in 2019 consisted of four tasks. They were: ① the analysis of key items on the international negotiation agenda under the CBD, ② the evaluation of biodiversity finance and the mechanisms for reforming environmentally harmful subsidies, ③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networks for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cooperation related to biodiversity, and ④ the establishment of a policy development platform for biodiversity. Ⅱ. Key Agenda under the CBD and its Implications □ Two meetings were held in 2019, including the 23rd meeting of SBSTTA(Subsidiary Body on Scientific, Technical and Technological Advice) and the 1st meeting of OEWG (Open-ended Working Group on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dopte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OEWG, at COP14. The OEWG was launched in 2019 and will continue its operation by COP15 which will be held in Kumming, China. □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ㅇ At COP15 that will be held in 2020, the CBD will adopt a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GBF) that will replace the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In this regard, the post-2020 GBF agenda is currently of the utmost importance in the negotiation process under the CBD. ㅇ Possible elements of the GBF and its structure were the key issues discussed at SBSTTA23 and OEWG1. - Parties basically agreed that the post-2020 GBF should consist of ① 2050 vision, ② 2030 mission and/or apex goals and milestones, ③ goals, targets, sub-targets, and indicators, ④ means of implementation and enabling conditions, ⑤ cross-cutting issues and approaches, ⑥ transparent implementation and a monitoring and reporting mechanism, and ⑦ outreach, awareness and uptake. - Parties put emphasis on not only goals and targets but also means of implementation and enabling conditions, including financial resources,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cooperation and capacity-building as well as a transparent mechanism for monitoring, reporting and reviewing the implementation of goals and targets. - Parties also stressed that targets should be specific, measurable and achievable but ambitious, results-based, and time-bound (SMART), and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concurrently with targets to ensure their implementation. ㅇ The issue of fair and equitable access and benefit-sharing (ABS) from the use of genetic resources will be key in deciding the successful adoption of a post-2020 GBF, given that many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those in Latin America and Africa particular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BS and would like to see the new framework that reflects these concerns but developed countries are rather reluctant to set specific targets for that issue. - Aichi Biodiversity Target 16 only requests that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is to be in force and operation, consistent with national legislation by 2015. ㅇ There was a consensus that a post-2020 GBF should be informed by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evidence. Accordingly, the findings of the Global Assessment Report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of IPBES were stressed by Parties in particular. □ Global assessment report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ㅇ IPBES (2019) states that the negative trends in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s are projected to continue or worsen in many future scenarios, whereas nature can be conserved, restored and used sustainably through transformative changes across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technological factors. - According to IPBES (2019), most environmental goals such as those embodied by the Aichi biodiversity targets will not be achieved given current trajectories. - However, the scientific evidence suggests that urgent and concerted efforts fostering transformative change by means of sustainable approaches, such as enabling integrative governance that ensures policy coherence and effectiveness, producing and consuming food sustainably, encouraging effective reform strategies and so on, will redirect negative trends in biodiversity to support the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objectives. Ⅲ. Biodiversity Finance □ Domestic expenditures ㅇ According to expenditure data retrieved from EPER (Environmental Protection Expenditure and Revenue) database, the central government budget for biodiversity in 2017 was 877 billion KRW. - The sum of local/municipal government budgets in 2017 was 1,972 billion KRW, representing 0.2 to 1.8% of the total local/municipal government budget. ㅇ The government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sector in making decisions for the national budget, and biodiversity expenditure in particular should be increased to implement th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and its strategies and targets. □ Biodiversity-relevant charges ㅇ Biodiversity-relevant charges are one of economic instruments which provides signals to behave in a more environmentally-sustainable way. - The cooperation charge for ecosystem conservation, the cooperation charge for the conservation of marine ecosystems, the farmland conservation levy, alternative grassland creation expenses, alternative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expenditure and the greenbelt preservation charges are defined as biodiversity-relevant charges referr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 International financial resource in support of biodiversity ㅇ International financial resource flows in support of biodiversity can be estimated based 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total funding provided by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imated to be 31.3 million USD in 2016, an increase of 8% compared to 2015. - Bilateral ODA targeted biodiversity as a primary objectives stays only at the level of 0.16% among the total ODA, thus, the portion of ODA having a principal objective should be enlarged. □ Case study of harmful subsidies ㅇ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CBD (2014), OECD (2017) and Sainteny et al. (2011), this study suggests a definition for harmful subsidies to biodiversity, provides a listing of them, conducts a case study of subsidy reform, and further provides a research methodology of environmentally harmful subsidies. - ① Define biodiversity harmful subsidies → ② Identify harmful subsidies → ③ Assess the impacts of harmful subsidies → ④ Prioritize the harmful subsidies requiring most urgent reform → ⑤ Recommend reform measures for harmful subsidies Ⅳ. Networks and Cooperation for Biodiversity □ International cooperation ㅇ KEI launched a joint pilot study with NIES (Nanjing Institute of Environment Sciences) on Ecotourism and Ecosystem Services in Korea and China. - KEI and NIES shared research progress and experiences of both countries by holding a joint China-Korea seminar on Ecotourism and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 Korean experts and stakeholder networks ㅇ A site visit to the DMZ and a workshop on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Han River estuary were held in 2019. ㅇ KEI researchers participated in a workshop of environmental experts from cities and provinces to share current research on conservation and the sustainable use of biodiversity. Ⅴ.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 Strategy to cope with the CBD negotiation ㅇ Based on an analysis of the IPBES global assessment report published in 2019, it is necessary to forecast possible elements and content of a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ㅇ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specify its position on each issue to be included in the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outlined in the Annex of the recommendation adopted by the 23rd SBSTTA, to cope with the 2nd OEWG, which will be held in February 2020. ㅇ It will be useful to identify available indicators for each target topic theme on the basis of existing indicators for Aichi targets and those suggested by IPBES and BIP (Biodiversity Indicators Partnership) to predict possible SMART targets. □ The way forward for biodiversity finance ㅇ It is important to increa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odiversity expenditures and in particular those targeted primarily for biodiversity. ㅇ It will be helpful to assess the impacts of economic instruments, including biodiversity-relevant charges, so as to expand biodiversity resources. ㅇ It is recommended that a study on subsidies harmful to biodiversity in Korea be conducted referencing the information on preliminary research design suggested in this study. □ Networks and cooperation ㅇ It is essential to continue research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on ecotourism and ecosystem services, as this topic will continue to play a key role in policy decision-making in terms of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biodiversity. ㅇ It will be useful to seek ways of promoting citizen monitoring of ecosystems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prevalent use of the metho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its potential.

      • KCI등재

        요구분석을 적용한 디자인 문제해결 개념모델 연구

        한아름(Han, A Reum),곽대영(Kwak, Dae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시대의 흐름에 따라 디자인의 역할은 많은 변화를 가져 왔다. 디자인의 대상과 영역이 산업의 가시적인 물적 하드웨어에 머무는 것이 아닌 보이지 않는 인간의 행위와 서비스, 시스템을 모두 포괄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인식됨에 따라 디자이너가 해결해야 할 문제의 범주 또한 시각적 · 물리적인 것에서 점차 비시각적 · 상황적 문제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뿐만 아니라 그와 연관된 물리적 · 사회적 상호 관계에 관한 총체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상황에 대한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아이디어를 도출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창의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디자인 개념 모델을 제안하고,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자인 사고, 창의적 디자인 문제해결 방법과 i* 프레임워크의 특징, 원리와 구성 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 및 연계성을 고찰하였으며, i*프레임워크를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디자인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모델을 설계하였다. 한 번에 이해할 수 없는 복잡한 상황을 이해하기 쉬운 최소의 단위로 분할하고, SD · SR 모델을 통해 상호 관계성을 모델링 하고, 다시 관계 다이어그램, 역할 다이어그램, 행위 분석 다이어그램, 가치 분석 다이어그램 등 새로운 분석 모델로 연결 · 종합하였다. 이러한 실험 과정을 통해 디자인 문제를 보다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한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실의 문제를 개념모델을 통해 해결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개념모델의 효용성을 평가 할 수 있었다. Roles of designs have many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trends of the times. As the objects and realm of design are perceived as a social system encompassing intangible human behaviors, services, and systems, not being confined to tangible physical hardware of industry. The categories of problems to be resolved by designers are also transforming gradually into non-visual and circumstantial nature away from visual and physical nature. To resolve such design issues, overall consideration needs not only products users but also physical and social interactions related to such products and users.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design concept model applying i* framework which provides to take creative approach to problems involved to being resolved by analyzing problems of complex situation to various standpoints and deriving ideas. Moreover, we validated its potential capabilities that could be tapped into importantly in the design process of experiment analysi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 examined overall aspects related to the design thinking, creative design problem-solving methodologies, characteristics, principles, structure of i* framework and considered their interrelationship. The concept model for resolution of design issues was designed by applying i* framework of the design process. This model was to promote logical and interpretative to approach for understanding essence of problems and bringing solutions to these processes. Dividing complex situations and problems into minimal units for easy to understand and modeling interrelationship based on SD · SR model. Then linking and putting together such complex situations based on new analytical models such as relational diagram, role diagram, behavioral analysis diagram, value analytical diagram for in-depth comprehension. These experimental procedures can be to make access possible way of a different perspectives of design to solve problems more effectively and creatively. This concept model demonstrated usefulness for resolving realistic problems and creating new ideas, which therefore allowed its efficiency to be assessed.

      • KCI등재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CBD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성능분석

        이용환(Yong Hw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3 No.1

        최근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들은 지속적으로 요구사항들이 변경되는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이며 컴포넌트 기반이나 제품계열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과 같이 아키텍처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에서 생산성이나 유지보수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BD(Component Base Development) 기반의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지보수 시 생산성과 유지보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유연성과 확장성 품질속성을 가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이들 품질속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을 아키텍처 모델을 통해 설명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최근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프레임워크(Framework)로 잘 알려진 Struts와 JBean이라 불리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성능을 비교했다. JBean프레임워크는 프리젠테이션 프레임워크와 비즈니스 로직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정한 실험을 위해 JBean에서 비즈니스 로직 프레임워크에 관련된 모듈을 제거하고 단지 프리젠테이션단 프레임워크만 가지고 실험을 한 결과 JBean의 프리젠테이션 단 프레임워크가 평균 초당 18개의 거래를 더 처리하고 있다. Current many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gradually develop large volume of complex and changeable system. Architecture driven methodology is used for developing softwares like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or PLE (Product Line Engineering). T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maintainability in such an environment, the first of all needs the flexible and extensible architecture. This paper suggests the CBD application framework that has the flexbile and extensible architecture for improving development productivity and maintainability. In this paper, we also show basic performances of our suggested framework, comparing to a well-known web application framework, Struts.

      • KCI등재

        스마트 폰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향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강동주(Dong Ju Gang),조성현(Sung Hyun Cho),강신진(Shin Jin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9 No.10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향 분석을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안한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의 급격한 확산으로 사용자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 폰에서는 핸드폰 고유의 기능인 전화, 문자사용 보다 애플리케이션 사용률이 매우 높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는 어려움이 있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모바일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향을 안드로이드 폰에서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사용 통계 정보를 전달하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프레임워크를 설계 및 구현하였고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3가지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 및 평가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for analyzing application usage patterns of smartphone users.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With smartphones, application usage rate is much higher than phone usage or sms usage rate. However, it"s difficult to analyze application usage patterns. The proposed framework sends mobile user application usage to a server that collects and analyzes the usage data. This framework is able to analyze smartphone user application usage patterns and user statistics objectively. Moreover, the information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application developers. The framework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examine the framework usability, and we analyze and evaluate the test results from android users in three different ways.

      • KCI등재

        협력형 수집및분석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메타모델과 정형명세

        조은숙(Eun-Sook Cho),송치양(Chee-Yang S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2

        기업들은 소셜 미디어로부터 특정 주제 및 자사 제품에 대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집단이나 소비 트렌드를 식별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예측 및 마케팅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소셜 미디어 분석 도구들이 네트워크 통계분석을 통해 기업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구들은 방대한 양의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고가의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을 소모하고, 복잡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축 및 운용에 따른 비용부담과 많은 운영 노하우를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중소기업이나 개인 사업자의 경우는 이러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이나 개인 컴퓨터에서도 운영이 가능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프레임워크 설계와 제시된 프레임워크 설계에 대한 완전성이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정형 명세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정형명세 기법으로 Z 언어를 통해 명세한 결과를 Z-EVES Tool을 통해 Z 모델 체킹을 수행하여 프레임워크 설계의 명확성을 검증한다. Companies can identify user groups or consumption trend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opinions of many users on special subjects or their products as well as utilize them as various purposes such as predicting some specific trends or marketing strategies. Therefore current analyzing tools of social media have come into use as a means to measure the performances of social media marketing through network’s statistical analysis. However these tools require expensive computing and network resources including burden of costs for building up and operating complex software platforms and much operating know-how. Hence, small companies or private business operators have difficulty in utilizing those social media data effectively.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applied into developing analysis system of social media. The framework could be set up and operate the system to extract necessary social media’s data. Also to design the system, this study suggests a meta-model of proposed framework and to guarantee completeness and consistency, a formal specification of meta-model by using Z language is suggested. Finally, we could verify the clearness of framework’s design by performing Z model checking of formal specification’s output through Z-EVES tool.

      • 주제범위 문헌분석을 적용하여 확인한 재난포렌식조사 프레임워크의 현재와 미래

        이영웅 한국행정학회 2021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2015년 세계의 재난위험을 줄이기 위해 센다이 프레임워크(SDF)가 채택되었다. 위험의 이해, 재난위험거버넌스 구축, 회복력을 위한 투자, 대응력 강화로 이어지는 대비 수준 개선이 최우선 목표로 설정되었다. 재난포렌식조사 프레임워크(FORIN)는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고안된 재난근본원인 탐색의 지침이다. 국제적으로 채택되었으나 국내에서 FORIN에 입각한 재난근본원인조사 논의는 충분치 않다. 프레임워크의 발전에 학술적·실무적 논의가 필수적이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FORIN의 배경과 주요 내용 및 연구절차를 소개한 뒤, 주제범위 문헌분석을 통하여 최근 5년(2016-2020) 동안 국내외 관련 연구가 수집·검토되어 ⅰ) 다루어진 사례, ⅱ) 연구설계에 반영된 방법론, ⅲ) FORIN의 정교화와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사례는 수해와 연관되어 있었다. 연구방법론으로는 문헌분석과 인터뷰가 많이 활용되었다. FORIN의 틀을 유지하면서 기술적 분석의 고도화로 간접적으로 정교화하거나, 전형적 연구설계 양식을 통한 사례연구가 있었다. 대조적으로 FORIN을 바탕삼아 예측력·범용성을 개선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들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아직까지 재난근본원인조사는 독립적 영역의 지위에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FORIN을 활용하고자 하는 새로운 연구자들에게 높은 진입장벽으로 다학제성과 실천성 그리고 분석절차가 기능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기대할 수 있는 후속 연구 의제들이 제시되었다. In 2015, the Sendai Framework was adopted to reduce the risk of disasters. The top priority was to understand risks, build disaster risk governance, improve invest for resilience and the level of preparedness. The Disaster Forensic Investigation Framework(FORIN) was designed to achieve these goals as a guideline for exploring root causes. In Korea,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disaster root causes based on FORIN.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s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framework.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history, main concepts, and research procedures of FORIN are introduced. Applying the scoping study method, related literature is collected and reviewed over the past five years(2016-2020). The disaster cases dealt with, the methodology used, and the relevance with elaboration of FORIN were reviewed. As a result, most cases were related to flood.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ere frequently used. While maintaining the FORIN,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descriptive analysis or to present typical research design forms. In contrast, new frameworks with prediction power and generality have also been proposed. So far, disaster root cause analysis seem to have not reached an independent topic. The reason may be that the multidisplinary and practical nature of FORIN and its profound procedures are functioning as barriers to entry for researchers who want to use FORIN. Further research agendas that can expec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대규모 로그를 사용한 유저 행동모델 분석 방법론

        이종서,김성국,Lee, Jongseo,Kim, Songkuk 한국빅데이터학회 2016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1 No.2

        사용자로그는 많은 숨겨진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데이터 정형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데이터 크기도 너무 방대하여 처리하기 까다로워서 아직 밝혀져야 할 부분들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특히 행동마다의 모든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를 응용하여 많은 부분을 밝혀낼 수 있다. 하지만 로그데이터 자체를 바로 분석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유저 행동 모델 분석을 위해서는 별도의 프레임워크를 통한 변환과정들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유저 행동모델 분석 프레임워크를 먼저 파악을 하고 데이터에 접근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는 유저 행동모델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은 대규모 데이터를 빨리 처리하기 위한 분산환경에서의 MapReduce 프로세스와 유저별 행동분석을 위한 데이터 구조 설계에 대한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실제 온라인 서비스 로그의 구조를 바탕으로 어떤 방식으로 MapReduce를 처리하고 어떤 방식으로 유저행동모델을 분석을 위해 데이터 구조를 어떤식으로 변형할지 설명하고, 이를 통해 어떤 방식의 모델 분석으로 이어질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통해 대규모 로그 처리방법과 분석모델 설계에 대한 기초를 다질 수 있을 것이다. User activity log includes lots of hidden information, however it is not structured and too massive to process data, so there are lots of parts uncovered yet. Especially, it includes time series data. We can reveal lots of parts using it. But we cannot use log data directly to analyze users' behaviors. In order to analyze user activity model, it needs transformation process through extra framework. Due to these things, we need to figure out user activity model analysis framework first and access to data. In this paper, we suggest a novel framework model in order to analyze user activity model effectively. This model includes MapReduce process for analyzing massive data quickly in the distributed environment and data architecture design for analyzing user activity model. Also we explained data model in detail based on real online service log design. Through this process, we describe which analysis model is fit for specific data model. It raises understanding of processing massive log and designing analysis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