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내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 연구 40년: 검토 및 제언

        구경아,김다빈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5

        As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lead to a severe reduction of biodiversity, studie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habitat loss, growth decline, and death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endangered alpine/subalpine species in Korea, have been conducted for years but found no clear answer yet.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Korean fir published in the journals in the past 40 years, 1980 through 2020, into 10-year units, examined the study trend by period, region, and subject with a focus on ecological studies,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The ecological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evolutionary ecology, physiological ecology, population ecology, and landscape ecology.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required research fields in the future. We found a total of 73 papers published in the past 40 years and 48 (65.8%) of them published in the past 10 years. In terms of region, Mt. Halla accounted for the most as 41 papers were on it. In terms of ecological subjects, the physiological ecology accounted for the most with 38, and the evolutionary ecology accounted for the least with 10. The review of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any studies identified water stress caused by the water resource imbalance due to temperature increase and spring precipitation reduction following climate change as the main reason for the decline and habitat loss of Korean fir. However, recent studies suggested other factors, such as soil environment, disturbing organisms, and climatic events. The cause of the decline and death of the Korean fir not yet being clearly identified is that most of the studies dealt with the basic content, were carried out intermittently, and were concentrated in some regions. Therefore, we need long-term studies with advanced technology in each study subject at a local scale to find the cause of Korean fir decline and present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extend our study subjects to ecosystem ecology and systems ecology to integrate the results from various study subject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ason for Korean fir declines.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studies could provide clearer answers for Korean fir's declines and the alternatives of conservation management and practices. 기후변화에 따른 심각한 생물다양성 감소가 예측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후변화 멸종위기종인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의 서식지 감소와 생육쇠퇴 및 고사 원인에 관한 연구가 지난 40년간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지난 40년간(1980~2020년) 이루어진 구상나무에 대한 연구를 10년 단위로 나누고, 생태학적 연구의 분야들에 초점을 맞추어 시대별・지역별・분야별 연구 동향 및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구상나무의 효과적 관리 및 보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의방향을 제시하였다. 생태학적 연구 분야는 진화생태, 생리생태, 개체군생태, 경관생태로 구분하였다. 지난 40년간 총 73편의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최근 10년 동안 65.8%인 4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지역별로는 한라산에서 41편의 논문이 발표되어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분야별로는 생리생태연구에서 가장 많은 38편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진화생태연구는가장 적은 10편의 연구가 출판되었다. 분야별로 수행된 연구결과를 검토한 결과 많은 연구에서 구상나무의 쇠퇴 및 서식지감소의 주된 요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상승과 봄철 강수량 감소로 발생한 수분수지 불균형에 의한 건조 스트레스인 것으로추정되었다. 그러나 구상나무의 쇠퇴와 고사에 대한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연구가기초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간헐적 수행과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구상나무 쇠퇴 원인을 규명하고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관리와 보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각 연구 분야에서 지속적이고 발전된 연구가 수행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각 분야의 연구를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생태계생태와 시스템생태 등 연구 분야의 확장이 필요하다.

      • KCI등재

        淸香堂 李源에 대한 일고찰

        구경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3 남명학연구 Vol.77 No.-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history of Lee Won'(李源)s ancestors, the process of Hapcheon Lee clan(陜川李氏) settlement in Sancheong(山淸). Also examines the life of Lee Won, which influence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studies of Gyeongsang- jwa-do and Gyeongsang-uhdo. Then I looked at his influence on Hapcheon Lee Clan. Cheonghyangdang is a descendant of Hapcheon Lee Clan and the grandson of Lee Gye, who settled in Baeyang-ri(培養里). He learned from his father, Lee Seung-moon(李承文), and succeeded to his family studies. He passed state examination examination in 1533, but did not care for office. So he returned to his hometown and built Cheonghyangdang(淸香堂) and Gusajae(九思齋) and lived in seclusion. Lee Won always cultivated himself in a way that faithfully exercised his spirit, and he thought that if he used this method, he would not be in a position to seek for the lost mind(求放心). He thought that reducing greed was the key of cultivating the mind. So he was wary of being greedy even when he was studying. He emphasized this spirit to his son Lee Kwang-gon(李光坤) and nephew Lee Kwang-woo(李光友). Lee Won had the deepest exchange with Nammyeong(南冥) and Toegye(退溪). Lee Won thought Nammyeong was a friend who understood me, and about Toegye, he thought he was a friend who understood what he out from society. In addition, Lee Won interacted with the disciples of Nammyeong and Toegye. Yeonam(燕巖) Park Ji-won(朴趾源) thought that Lee Won influenced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two by interacting with Toegye and Nammyeong. And Yoo Han-joon(俞漢雋) evaluated that Lee Won built his own academic world without being absorbed by either Toegye or Nammyeong. Lee W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Lee Kwang-gon and Lee Kwang-woo to study from Nammyeong and Toegye. Lee Cheon -gyeong(李天慶) was also affected by Lee Won's studies while studying at Gusajae. Since then, among the descendants, figures working in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德川書院) have been produced. From this, we can see that they were greatly influenced by Lee Won. 본고는 淸香堂 李源의 선대 행적과 陜川李氏가 山淸에 정착한 과정, 영남의 양대 석학인 남명・퇴계와 함께 동갑내기 벗으로 도의교를 맺어 함께 학문을 강학하고 경상좌도와 경상우도의 학문적 균형을 가능케 한 청향당의 삶과 교유 관계를 살펴보고, 산청에 거주한 합천이씨에게 끼친 영향력을 고찰한 것이다. 淸香堂은 산청의 배양리에 입향한 陜川李氏 李季通의 손자이다. 부친 李承文에게 가르침을 받아 가학을 계승하였다. 1533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지만, 관직을 단념하고 고향에 청향당과 九思齋를 지어서 그 속에 은거하며 학자로서의 삶을 살았다. 이원은 ‘항상 敬을 지키는 자세[庸敬]’로 자신을 수양하였는데, 항상 경을 지킨다면 求放心의 상황에 이르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또 ‘욕심을 적게 하는 것[寡慾]’이 마음을 수양하는 요체라고 생각하고, 학문을 할 때도 탐욕이 생기는 것을 경계하여 마음을 가라앉혀 완미하고 탐색해야 한다고 일러주었다. 이러한 정신은 그의 아들 李光坤과 조카 李光友에게 이어졌다. 이원은 나이와 마음과 도와 덕이 같은 남명 조식과 나이와 처향이 같은 퇴계 이황과 가장 깊이 교유하였다. 특히 남명과는 처세관이 같아 知音으로 여겼으며, 관직 생활을 해온 퇴계에 대해서는 자신의 은거를[隱淪] 이해해 주는 벗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밖에도 이원이 교유한 인물은 남명과 퇴계의 문인과 종유인이 대부분이다. 이원에 대해 燕巖 朴趾源은 퇴계와 남명 두 사람과 교유하면서 완급을 조절하였다고 하였고, 俞漢雋은 이원은 남명이나 퇴계 어느 한쪽에 흡수되지 않고 자신만의 학문 세계를 구축했다고 평하였다. 이원은 이광곤과 이광우가 남명과 퇴계에게 수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일족인 日新堂 李天慶(1538-1610) 역시 구사재에서 공부하며 청향당의 학문에 영향을 받았다. 이후에도 산청의 합천이씨 문중에서는 德川書院의 院任으로 활동하거나 남명의 재전 제자에게 수학하는 인물들이 배출되었는데, 이를 통해 이들에게 미친 청향당의 영향력이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 내장산 지역 굴거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요소와의 관계

        구경아,박원규,공우석 한국제4기학회 2000 제사기학회지 Vol.14 No.1

        굴거리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굴거리나무의 분포상 북방한계선 지역인 내장산에서 연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륜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연자봉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18그루의 굴거리나무에서 생장편을 각 2개씩 채취하였다. 굴거리나무의 연륜을 분석한 결과 마스터 연대기의 연대 구간은 1915년부터 생장편의 채취시기인 1998년으로 작성되었으며, 생장이 매우 저조했던 시기는 1920년, 1932년, 1934년, 1937년, 1942번, 1946년, 1964년, 1969년, 1985년으로 나타났다. 반응 함수를 이용하여 연륜 지수와 기후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8월 및 9월 강수량과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거리나무의 생장이 8월 및 9월 강수량과 음의 관계를 갖는 것은 이 시기에 강수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적어지고 적은 일사량은 광합성량을 감소시켜 굴거리나무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The growth of Daphniphyllum macropodum at Mt. Naejang National Park(Naejang temple area) was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e climatic factors by the use of tree-ring analysis. A pair of cores was extracted from each of 18 trees in the D. macropodum community area near Younjabong for the analysis. The period of mater chronology based upon D. macropodum covers from 1915 to 1998. The growth rates of D. macropodum were very poor in the years 1920, 1932, 1934, 1937, 1942, 1946, 1964, 1969 and 1985, respectively. Response function was employ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of D. macropodum and climatic factors. The response function of the growth rates of D. macropodum indica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recipitation of August and September. Poor growth of D. macropodum during the August and September nay be due to the frequent rain periods during the summer The heavy rain during the summer seems to decrease the solar radiation, which eventually caused the decrease of photosynthesis capacity. In conclusion, we hypothesize that the decrease of the photosynthesis rates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s may cause the slower growth of D. macropodum.

      • KCI우수등재
      • 지형조건과 미기후조건을 이용한 한라산 구상나무의 서식지 적합도 예측

        구경아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고산·아고산 식물들은 기후온난화에 매우 민감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장기생태연구지에서 서식하는 고산·아고산 식물들의 서식지 유실이 관찰되고 있다. 특히, 고산·아고산에 고립되어 서식하는 기후유존종들은 인근 개체군들로부터 개체의 유입이 어려워 서식지 유실이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지형의 영향에 의해 형성되는 미기후 공간들이 서식지 유실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고산·아고산 기후유존종인 구상나무는 기후온난화에 따라 서식지 유실이 우려된다. 특히 한라산 개체군은 분포의 남방한계에 위치하고 있어 온난화에 따른 서식지 유실이 우려되고 있다. 미래 기후변화에 따라 한라산 구상나무의 서식지 유실을 예측하기 위하여 아고산지역에 있는 미기후 공간들의 이해와 이를 반영한 서식지 적합도 예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형조건과 지형조건을 함수로 예측된 기온 조건을 사용하여 한라산 구상나무의 미소서식지의 적합성을 앙상블 종분포 모형을 적응하여 예측하였다. 예측 결과, 한라산 아고산 지역에서 구상나무의 분포는 미지형에 의해 형성되는 미기후에 의해 매우 잘 설명되었으며, 특히 수분조건에 매우 민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강수량의 증가와 미기후 공간들이 구상나무 서식지에 대한 온난화의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에서 생태공학 도입과 활용

        구경아,Koo, Kyung Ah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태계의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을 통한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하여 우리나라 생태계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평가기법과 이의 정책적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기법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고, 둘째, 생태공학 기법을 기반으로 지역 규모의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를 위한 개념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분석 결과의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국외에서 보호지역 지정 시 다양한 분석 모형을 활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 생태계 모니터링 및 생태연구 자료가 부족하여 보호지역 지정 분석기법의 개발 및 적용이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미소 규모나 지역 규모보다는 국가 규모의 분석에 기반한 보호지역 지정이 주를 이루고 있어 지역 규모의 다양한 생태계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합리적인 지정과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인자들과 인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지역 규모의 종합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생태공학 기법을 토대로 한 보호지역 분석의 개념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생태계 보호지역 분석은 다양한 생물 인자 및 비생물 인자,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 및 미래 환경변화를 고려한 각 지역 생태계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현재 우수한 생태계뿐만 아니라 앞으로 중요하게 보호해야 할 생태계를 보호지역으로 편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기법의 충분한 활용을 위해서는 각 지표항목과 지표항목에 속하는 인자들에 대한 개별 생태연구 자료 및 공간자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생태자료와 종별 서식지 환경조건에 대한 연구 자료가 필요하며 서식지 모형, 생태모형, hybrid 모형 등 경관생태모형을 활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developed an approach to identify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at local scales and explained how the results of this approach could contribute to extend the protected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While most developed countries have considered various biotic and abiotic factors, ecological processes, migration routes, habitat connectivity, ecosystem services, and etc. to determine the protected areas, ROK has considered a few factors focusing on biodiversity, landscape, and the habitats of endangered organisms. However,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our nature, we nee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ecosystem factors and interactions among them at local scales in designating protected areas. Forthis, we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based on the ecological engineering approach and then explained how the results of this approach could contribute to extend the protected areas. In particular, we considered future land-use and climate change in determining the priority areas for novel protected areas. Our research suggested an effective methodology 1) to include various ecosystem factors and 2) to consider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finding the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and prioritizing these areas. However, our approach has limitations on the real-world applications due to the lack of fundamental information and data on our ecosystem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in the real-world applications, we need various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result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onitoring data, and both current and future spatial environment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