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치스런 몸의 역사 : 보이지 않는 역사적 원천과 풍속 통제의 자연화

        권명아 ( Kwon Myoung-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6 No.-

        역사적으로 볼 때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청소년에 대한 과잉 통제는 모두 일제시기부터 이어진 파시즘 통제의 전형적인 ‘적폐’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소수자 인권이나 청소년 인권은 여전히 ‘시기상조’이거나 ‘나중에’ 논의할 사안으로 간주한다. 이는 소수자에 대한 통제를 도덕적 교화나 ‘당연한 규율’로 간주해온 오랜 역사의 산물이다. 촛불 집회, 탄핵, 대선으로 이어진 국면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이나 소수자 인권이 나중에 처리할 사안으로 여겨진 건 특정 정치 집단의 가부장성과 남성 중심성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처럼 소수자 차별을 도덕적 교화로 여기면서 ‘사회통념’을 먼저 생각하는 심성 구조는 한국 사회에 널리 퍼져있고, 아주 오랜 역사적 과정을 거쳐 집단 무의식에 가까운 형태로 자리 잡았다. 이런 역사적 과정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무엇보다 풍속통제가 백 년 넘게 지속한 것이 지배적 심급으로 작동한다. 파시즘 증오 정치의 산물인 풍속 통제가 백 년 넘게 지속하면서 풍속 통제는 사회 통념으로 전도되었고, 개인의 도덕과 사회 윤리가 되었다. 풍속 통제가 발생한 역사적 원천이 보이지 않게 되고 자연화 된 긴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파시즘은 한국 사회의 도덕과 사회 통념이 되었다. 2017년 군대 내 ‘게이 군인 색출’ 사건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서 만들어진 파시즘 법제가 어떻게 한국 사회의 도덕이 되어버렸는지를 잘 보여준다. 특정 가치관이 자연화 되어도 이를 비판하고 변화시키기 어려운데, 파시즘 법제가 자연화 되고 그 이념이 사회 근간이 되어버린 상태에서는 이 문제를 공론화기 어렵다. 소수자 차별은 파시즘 적폐의 긴 역사적 산물이며, 이러한 적폐 청산이야말로 한국 사회의 변화를 위해 반드시 공통의 의제가 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반차별 담론은 공통성의 차원에서 구축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 소수자 차별은 공통성보다는 소수자 당사자들 저마다의 특수 문제로 여겨진다. 사태가 ‘특수 집단 문제’로 분리되어 버리면 실상 문제의 핵심은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차별을 공통의 차원이 아니라 특수한 문제 집단에 해당하는 사안으로 분리해서 통제를 정당화하는 것이 풍속 통제의 원리라는 점에서 이러한 전도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풍속 통제가 백년 넘게 지속하면서 한국 사회에서는 청소년 인권 침해는 교육의 이름으로 정당화되고, 성 소수자를 특수 집단으로 간주하여 ‘찬반의 대상’으로 만드는 것이 정치적 입장이 되며, 장애인이나 특정 질환자를 강제 수용하는 것도 자연스럽게 여긴다. 이 연구는 최근 몇 년 간 소수자 차별을 도덕, 교육, 교화 등의 이름으로 정당화하는 담론구조와 경향을 사례로 풍속 통제가 혐오 발화와 증오 정치의 원천이 되어버린 상황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article is focus on the history of so called ‘shamed body’ from colonial period till 2018 in Korea, especially focus on the history of naturalization of the legal system of con-trolling “풍기문란(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In Korea racial discrimination, sexual discrimination and social discrimination all this structure of discrimination are deeply related historical experience. Excessive control over juvenile and sexual minority is originated specific forms of Korean historical fascism, espe-cially the legal system of controlling “풍기문란(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The term “the act corrupting morality” is too arbitrary to become a legal standard; these kinds of ‘“undeterminable determinations” became legal terms after 1926 in Germany (as Georgio Agamben figured out) and Japan. After World War Ⅱ, the legal system of con-trolling “풍기문란(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was abolished as the representative fascist legal system not only in Germany but also in Japan and was reduced to being the so-called ‘“pink industry.” However, in Korea this legal system of controlling “풍기문란 (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was not abolished after liberation but was strength-ened during the Cold War era. During the Cold War era, the legal system of control over “풍기문란(風紀紊亂/corru-pting public moral” was served as the idea of legitimizing the coercive oppression of in-dividuals’ lives. Although the legal system of control over the “풍기문란” had a decisive effect on Korean society,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regarding this issue. This lack of research is due to the lack of availability of ‘primary sources, an issue that is relevant to the control over the “풍기문란.” As I point out in my book, 풍속 control is a type of bio-politics regarding “pathos and affect.” One of the important effects of this 풍속 control is constructing “shame work” inside and outside one’s body. This is the reason why the one who experienced 풍속 control felt the affect of shame. In this sense of shame, forceful oppressive of 풍속 control was transformed into an intimate sense of shame. By doing this, resistance was eradicated from the subject. In that sense, 풍속 control is the governance that tries to eradicate resistance of the body in order to incapacitate the subject. In these circumstances, 풍속 control is regarded as the governance regarding “the improper act” or “corruption of morality” that has existed since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수치 예측 알고리즘 기반의 풍속 예보 모델 학습

        김세영(Se-Young Kim),김정민(Jeong-Min Kim),류광렬(Kwang-Ryel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3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을 위해 지난 20년 동안 풍력 발전에 관련한 기술들이 축적되어왔다. 풍력 발전은 자연적으로 부는 바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적이다. 이러한 풍력 발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 바람의 세기를 정확도 높게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풍속을 평균적으로 얼마나 정확하게 잘 예측하는지도 중요하지만 실제 값과 예측 값의 절대 오차의 최댓값을 최소화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발전운영 계획 측면에서 예측 풍속을 통한 예측 발전량과 실제 발전량의 차이는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므로 유연한 운영 계획을 세우기 위해 최대 오차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풍속 예측 방법으로 과거 풍속 변화 추세뿐만 아니라 기상청 예보와 시기적인 풍속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경향 값을 반영하여 수치 예측 알고리즘으로 학습한 풍속 예보 모델을 제안한다. 기상청 예보는 풍력 발전 단지를 포함하는 비교적 넓은 지역의 풍속을 예보하지만 풍속을 예측하고자 하는 국소지점에 대한 풍속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상당히 기여한다. 또한 풍속 변화 추세는 긴 시간동안 관측한 풍속을 세세하게 반영할수록 풍속 예측의 정확도를 높인다. Technologies of wind power generation for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technology have been accumulated over the past 20 years. Wind power generation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 because it uses the wind blowing in nature as energy resource. In order to operate wind power generation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predict wind speed changing every moment in nature. It is important not only averagely how well to predict wind speed but also to minimize the largest absolute error between real value and prediction value of wind speed. In terms of generation operating plan, minimizing the largest absolute error plays an important role for building flexible generation operating plan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predicting power and real power causes economic lo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wind speed prediction using numeric prediction algorithm-based wind speed forecast model made to analyze the wind speed forecast given b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pattern value for considering seasonal property of wind speed as well as changing trend of past wind speed. The wind speed forecast given b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s the forecast in respect to comparatively wide area including wind generation farm. But it contributes considerably to make accuracy of wind speed prediction high.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as the rate of wind is analyzed in more detail, the greater accuracy will be obtained.

      • KCI등재후보

        판소리와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 후기 연희풍속의 양상과 의미

        이대중(Lee Dae-j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2 No.-

        조선 후기의 연희풍속은 조선 후기 풍속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조선 후기 유랑예인집단들을 살피는 작업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연희풍속은 판소리와 풍속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흥미롭다. 판소리와 풍속화에 나타난 연희풍속의 양상은 조선 후기 연희풍속의 전반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흥보전〉의 ‘놀보박사설’과 혜원의 그림, 그리고 〈기산풍속도〉에는 조선 후기 연희풍속이 잘 드러나 있다. 이들은 비록 문학과 회화라는 다른 영역에 속해있지만 서로 괴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밀접하게 이어져 있다. 이들은 모두 조선 후기 연희풍속의 양상과 의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조선 후기 연희풍속이 어떻게 생성하고 소멸했으며, 지역적 특징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필 수 있다. 또한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 격변기 연희풍속의 변화를 통해 사라져버린 연희풍속을 조금이나마 재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lay customs at the latter half of the Chosun Dynasty showed the customs of the era. Therefore, wandering artist group of the latter half of the Chosun Dynasty needs to be investigated. The play customs commonly made appearance on both Pansori and genre picture to be interesting. The play customs showed general features of the era. Both the Korean literature circle and the forklore circle investigated play customs. The Korean literature circle examined literary values of the play group, while the folklore circle did general matters of the group. However, both circles are thought to examine from individual research level. Heungbojeon's Nobobaksaseol, Hyewon's painting and 'Kisanpungsokdo', etc expressed the play customs well in the latter half of the Chosun Dynasty. Those Pansori and paintings belonged to different area, that is to say, the literature and the paintings, but had close relations. This is because they showed aspects and values of the play of the era. In that way, the play customs in the latter half of the Chosun Dynasty made appearance and disappeared and made change depending upon regional features. The real aspect of the play customs, which disappeared at the change of play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could be reexamined.

      • KCI등재

        朝鮮 後半期 歲時風俗圖 硏究

        김현지(Hyunji Kim)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43 No.-

        歲時風俗은 일 년 중 특정한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의례로서, 농촌에서의 밭갈이, 김매기, 수확 등의 농경 주기와 직접 관련되어 농경의례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갖는다. 세시풍속도는 음력의 월별, 24절기, 명절의 내용과 이에 따른 의식과 의례행사, 놀이를 포괄하는 세시풍속을 주제로 한 그림을 말한다. 병풍식의 연작 그림인 경우는, 한 해 동안 농가에서 해야 할 일과 행사를 월별, 혹은 계절의 리듬에 맞게 배열하여 묘사한다. 세시풍속도 병풍은 8폭 내지 12폭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화면 형식과 구성의 원리는 중국의 〈?風七月圖〉를 기원으로 한다. 〈빈풍칠월도〉는 ??詩經??의 ?風편 중의 ‘七月’ 詩를 전거로 하여 그린 그림이다. 세시풍속도는 왕실의 감계화에서 시작하여 민간에도 성행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농업을 기반으로 한 유교사회에서 그 사회적 이념을 표방하는데 세시풍속도는 효과적인 주제였다. 사계절의 자연의 흐름에 일치되는 인간의 삶과 본업에 충실한 농민의 생활모습은 그 자체로 왕도정치의 이상이 실현된 태평성세를 의미하였기 때문이다. 세시풍속도가 조선화 과정을 거치고 정착되면서 19세기 후반에는 유교 이념을 향촌사회에서 유포하고 실현하고자 한 사대부층이 자신의 생활모습과 현실적인 욕망을 세시풍속도에 투영시키고 향유하였음을 그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풍속화 畵本은 이러한 주제의 그림이 궁중에서 민간으로 파급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현재 화본은 남아있지 않지만 현존하는 풍속화의 양상이 화본의 존재와 기능을 말해주고 있으며, 늦어도 1861년에는 조선의 풍속화 화본인 『圖說集』이 존재하였음을 김형수(金泂洙)가 저술한 『月餘農歌』의 「自敍」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esipungsok (歲時風俗) are annual cyclical rituals that are carried out regularly, repetitively and ritually at certain times of the year. Directly related to the agricultural cycles such as plowing, weeding and harvesting in rural areas, sesipungsok fundamentally takes on the character of agricultural rituals. Painting of sesipungsok refer to illustrations under the theme of sesipungsok or annual cyclical rituals encompassing customs, rituals and games in accordance with the monthly events, 24 seasonal divisions and holidays of the lunar calendar. In the case of series paintings on folding screens, the illustrations are arranged and depicted according to the rituals and events a farming house must carry out monthly or seasonally over the course of the year. The folding screens with the paintings of sesipungsok are composed of 8 or 12 panels, and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illustrations date back to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風七月圖) of China.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re based on the poem “Seventh Month (Qieyue, 七月)” in the “Airs of Bin (Binfeng, ?風)” section of the Classic of Poetry (Shijing, 詩經). As painting of sesipungsok began with didactic paintings of the royal court and came to prevail amongst civilians, it acquired a variety of functions. In a Confucian society based on agriculture, painting of sesipungsok was an effective means to advocate the social ideology. The lifestyle of the farmers, who were both devoted to their jobs and lives, corresponding to the course of nature of the four seasons, was enough to signify a peaceful reign in which the ideals of royal politics was realized.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ainting of sesipungsok that the nobility, who sought to spread and realize the Confucian values in the rural community society, sought to project and realize their realistic desires and livelihood actions through the painting of sesipungsok as it went through Joseonization and settled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oreover, the hwabon (畵本, album with a collection of illustrations used as a manual book for learning how to paint) on genre painting played a major role in spreading paintings of such subjects beyond the walls of the royal palaces and to the civilians outside the palaces. Currently, there are no hwabon left, but the existing genre paintings show the existence and function of hwabon. Through the foreword of Wolyeonongga (月餘農歌) written by Hyeong-su Kim, it can be confirmed that a hwabon of the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Collection of Illustrations (圖說集), existed in 1861 at the latest.

      • KCI등재후보

        새로운 유형의 풍속영업 등장, 경찰의 고민, 그리고 몇 가지 대안

        이웅혁,심명섭 치안정책연구소 2011 치안정책연구 Vol.25 No.2

        풍속영업의 기본법인 "풍속영업의 규제에 관한 법률"은 제정된 지 20년이 넘었다. 하지만 그 규제 대상으로 삼고 있는 풍속영업의 범위는 상당히 제한적이므로 이에 속하지 않는 새로운 유형의 풍속영업에 대해서는 최근에는 제대로 규제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문제가 되는 영역은 키스방과 같이 성매매나 유사성행위가 이뤄질 우려가 있는 자유업종이다. 이는 단속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렵게 단속을 하였다 하더라도 형사처벌에만 그치고 영업정지나 폐쇄조치 등의 행정적 제재를 가할 수 없는 맹점이 있다. 현재 풍속영업에 대한 단속은 지방자치단체와 경찰기관으로 이원화 되어있지만 사실상 단속업무는 경찰이 도맡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신종 유해업종의 계속적 증가는 경찰기관의 실효성 있는 관리와 단속에 상당한 한계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현행 "풍속영업 규제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영업자 준수사항 위주의 행위별 규제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또한 준수사항으로서의 금지행위를 구체화하고, 타 법령과의 상이한 처벌기준을 통일하는 것은 물론 유해한 자유업종에 대한 행정처분 근거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풍속영업의 유형을 구분하여 인허가를 요하는 풍속업소는 인허가 관청인 지방자치단체에서, 인허가를 요하지 않는 자유업종은 경찰에서의 분담적 규제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최근 풍속영업 환경에 맞는 경찰의 단속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므로, 전문화된 "풍속수사 전담팀"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단속방식 또한 상급청의 일괄적인 단속계획이나 단발적 이슈에 의해 수동적으로 끌려가는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실정과 특성에 맞는 계획으로 선별적이고 집중적인 활동이 있어야 한다. 최근에 경찰 및 관계기관이 신종 유해업종을 규제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규제의 사각지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새로운 풍속환경에 걸맞게 관련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The expansion of the-adult entertainment industry with recent economic growth in modern society has not only l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but also distorted teenagers' attitude toward sexualities. There has been a surge in unusual sex businesses in South Korean society. In fact, a new style of illegal adult entertainment business such as 'Kiss Room', 'Mirror Room', 'Anteroom' and abnormal sex massage parlor is causing substantial social problems. Despite these serious social toxicities, however, law enforcement officers are not able to timely regulate it due to the absence of legislation. Although the 'Law of Regulation on Sex and Entertainment Business' was passed 20 years ago, this bill currently does not have any tangible effect to control the new types of illegal business flourishing in South Korea. It is because the legislation only covers limited spectrum of sex and entertainment industry. Especially, places like "Kiss Room", where prostitution and "quasi-prostitution" businesses can take place, become the safe haven for an 'unregulated business.' It is difficult to even estimate how many this kind of shops are in operation, because most of these business are not required to get permission from a government for opening. The absence of relevant legal code is the fundamental problem for police officers. It almost makes law enforcement crackdown efforts unfruitful unless officers actually come across the scene of sexual intercourse when such actions take place. To make matters worse, even in cases when the onsite arrest was successful, the premise can continue to open for business, because legal code for shutdown of the business does not exist. Unbalanced regulation activities by police department and local government is another problem, which results in overwhelmingly heavy workload for the former. In this paper, the authors provide several suggestions for solving the these problems. First of all, the whole revision of the current "Law of Regulation on Sex and Entertainment Business" is necessary. New legislation needs to specify the obligation of the employers and address the need to introduce behavioral regulation, which means to regulate by the service they provide. The revision should also focus on identifying what behavior of employers' is prohibited. Furthermore, the amendment, if necessary, must concentrate not only on standardizing various penalty criteria with other legal regulations but also on preparing administrative sanctions including closure and suspension of harmful and 'unregulated businesses'. Secondly, both the local government and police depart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regulate adult and entertainment business in a coordinated manner for its efficiency. Local government should regulate the establishments that require permission from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police agency should regulate another establishments that do not require it. This division of work can serve as an effective model for dealing with a newly emerging variety of the sex business. Thirdly, there is a need to create specialized police unit for dealing with sex and entertainment business. In addition, instead of keeping up with uniformed national level crackdown without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each police department should consider the jurisdictional circumstances to make the crackdown more selective and concentrated. In recent years, the authorities are making every effort to diminish new type of harmful industries. Unfortunately, new type of noxious establishments remains a blind spot in our society since there is no substantial regul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m. There is no doubt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crucial stimulus to make public policy more effective and relevant.

      • KCI등재

        18~19세기 세시풍속서(歲時風俗書)에 담긴 한 양인의 세시풍속과 그 성격

        이현진(Lee, Hyun-ji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8 서울학연구 Vol.- No.70

        세시풍속은 ‘역법에 정해진 바의 절일에 습관적으로 행하는 일정한 행위들’이다. 좀 더 넓은 의미로 ‘세시에 행하는 일정한 행위를 포함한 옛부터 그 사회에 전해내려 오는 생활 전반에 걸친 습관’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세시풍속을 담은 책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이르러서야 나올 수 있었다. 이 시기 대표적인 세시풍속서는 유득공의 『경도잡지』, 김매순의『열양세시기』, 홍석모의 『동국세시기』이다. 그중 수도(Capital)의 뜻이 담겨 있는『경도잡지』와 『열양세시기』를 주요 텍스트로 삼았다. 『경도잡지』 「풍속」편을 보면, 당시 풍속은 예부터 내려오는 것도 있지만 대체로 당대의 풍속[시풍(時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일반 백성이나 여항인들의 풍속을 담고 있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18세기 후반 사대부가 문화의 다양한 면모에 초점이 두어져 있다. 저자인 유득공이 서얼 신분이지만 관직에 진출하고, 당대 최고의 학자들과 교유한 자신의 신분적 정체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경도잡지』 「세시」편과 『열양세시기』를 보면, 두 기록은 한양인의 세시 행사를 다루었기에 월별마다 행하는 절기가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 두 책에 실린 절기가 모두 1월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 중국과 한국의 여러 문헌들을 널리 인용하고 있다는 점, 예전부터 내려오는 세시는 물론 당대의 세시 행사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 편명과 서명을 통해 ‘세시’를 위주로 다루었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안에는 ‘풍속’과 관련한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는 점, 저자의 신분 이상에 있는 사람들의 세시에 관심이 두어져 있다는 점 등을 공통점으로 들 수 있다. 18세기부터 한양은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집중화 현상을 보였다. 그에 따라 양반 사족을 비롯하여 서얼, 중인, 상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어울리면서 여러 층위의 사람들에 의해 한양의 모습이 매우 다층적으로 그려질 수 있었다. 그럼에도 세시풍속서에는 그러한 다양성이라는 면에서 자유롭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두 텍스트의 저자가 한양에 거주하는 사대부 남성(유득공과 김매순)의 눈에 비친, 그의 시선을 통해 한양인의 세시풍속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Seasonal customs (‘Seshi pungsok, 歲時風俗’)” refer to specific actions customarily observed on predesignated days(“Jeolil,” 節日) as determined by the calendrical system of the time. It can also be defined as a larger set of time-honored traditional practices of a society,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seasonal customary practices. Manuals that documented such Seasonal customs were only published in the 18th century’s second half and the early half of the 19th. The most notable ones and representative manuals of this sort - would be Yu Deuk-gong(柳得恭)’s Gyeongdo Jabji(京都雜誌), Kim Mae-sun(金邁淳)’s Yeolyang Seshigi(洌陽歲時記) and Hong Seok-mo(洪錫謨)’s Dongguk Seshigi(東國歲時記).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first two, as these two have the term “Capital” in their respective titles. Some of the “Customs(‘Pungsok, 風俗’)” described in these manuals were old, but most of them were contemporary, and reflected “customs of the time(‘Shipung, 時風’).” And while they also included practices of commoners or ordinary people(“Yeohang’in, 閭巷人”), most of the customs selected in them were the ones observed by the “Sadaebu” Scholar/Officials as well as their houses in the late 18th century. “Seasonal Customs” inserted in these manuals were essentially customs that were observed by the residents of the Han’yang Capital city. So, individual manuals never differed from one another that much in terms of their contents. And the customs selected by them lets us know what was the social status of the compiler, and what kind of customs were perceived as most important, not only by the compiler but also by other people with social positions same and above. Since the 18th century, the Han’yang capital began to show a variety of concentrations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s a result, the Yangban Sajok figures had to interact with Seo’eol(庶孼) figures, Middle figures[中人] and merchants with various social statuses. Such increased interactions only contributed to the ever increasing diversity of the Han’yang capital society, and how it was generally portrayed in books and pictures. The Seasonal customs manuals, however, lacked such quality, as the compilers of both texts were only viewing the seasonal customs of the Han’yang residents from a perspective of a male Sadaebu figure, living in the capital city.

      • KCI등재

        풍속화의 근대적 전개

        김소연(Kim So ye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49

        본 연구에서는 기존 풍속모티브의 반복과 재생산이라는 특징에 주목하여, 이를 근대기 풍속화의 한 경향으로 제시해보았다. 이에 풍속화의 모본(模本)으로서 기능한 김준근, 김홍도, 신윤복의 작품들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해, 안중식, 김윤보, 최우석과 같은 화가들에 의해 근대기 복제, 재생산되었던 양상을 면밀히 분석했다. 더하여 재조선 일본인 화가들 가운데, 민속을 고대문화의 잔존으로 포착하고, 조선과 조선풍속화에서 일본의 순박한 과거를 회상하고자 스스로 근대기 조선풍속화의 재현에 한 축을 담당하기도 했던 예를 살펴볼 수 도 있었다. 근대 화단에서 풍속화가 제재, 형식면에서 모두 복고양식으로서 기능했다는 점은 이 시기 풍속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930년대에 이르면 조선풍속도의 주제들이 이미 당대의 것이 아닌 지난 시대의 것, 즉 근대인들에게는 낯선 구습(舊習)이 되었으며, 삶의 모습을 가감없이 그려냈던 18세기 풍속화와는 다른 전제를 함의한다. 따라서 근대기 풍속화는 과거의 풍속을 다룬다는 태생적 한계가 분명히 존재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대개의 풍속화가 화첩형식, 혹은 화첩크기로 제작되었다는 사실 역시 근대 풍속화의 복고적 경향을 증거한다. 《단원 풍속도첩》, 《혜원전신첩》과 같은 조선시대 화첩형 범본(範本)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은 물론일 것이다. 특히 화첩이 개인의 감상을 전제로 한 회화양식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근대 풍속화는 고전에 대한 향수, 고화의 애호, 소장욕구와 관련된 특수한 복고적 결과물이었음을 보여 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petition and reproduction of existing motif of genre painting, and suggests it as a trend in genre paintings of modern period. Thus, genre painting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paintings of Kim Jun-geun, Kim Hong-do, Shin Yun-bok whose paintings functioned as a model for genre painting; then, they were used to analyze the repetition and reproduction by modern painters such as An Jung-sik, Kim Yun-bo, and Choi Woo-Suk. Additionally, examples were found from Japanese painters, who recognized genre painting as remains of an ancient culture and attempted to recall the simple past of their country from Joseon’s genre painting, took part in revival of genre painting. That genre paintings functioned as a retro style of subject and form in modern period holds an important meaning in understanding genre paintings of this era. By 1930s, topics of genre paintings have become those of the past, rather than of that time, which indicates that it had become an unfamiliar and old custom and holds a different undertone from 18th century genre paintings that drew moments of life as it were. Thus, genre paintings of modern period had an inevitable limitation that it dealt with customs of the past; the fact that most of the genre painting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created in a painting album form or sized for an painting album shows the retro trend of modern genre painting. Models of Joseon-style painting albums such as 《Danwon Genre Painting Album》 and 《Hyewon Jeonshin Album》 had an important effect as well. Considering that painting albums were style that were for personal appreciation, modern genre paintings show that they were a distinct result of nostalgia for classics, love of old paintings, and a desire of possession.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士人風俗畵와 餘暇文化

        장진성(張辰城) 한국미술연구소 2007 美術史論壇 Vol.- No.24

        그 동안 조선후기 풍속화에 대한 연구는 풍속화의 語義 및 발생과정, 풍속화의 양식적 변화 및 개별 작품들의 성격을 분석하는데 집중되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이르러 왜 풍속화가 진경산수화와 더불어 회화사의 핵심적인 장르로 부상하게 되었는가, 즉 풍속화의 발생원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풍속화가 발생하게 된 근본원인은 조선후기의 사회 변동과정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후기 사회변동의 중요한 특징은 중세적 신분제의 해체, 상업자본주의의 발전, 상품화폐경제의 확대이다. 상공업의 발전과 화폐경제로의 전환은 서울의 도시적 성장과 극도로 상업화된 도시문화를 탄생시켰다. 기방과 술집의 성행, 사치품에 대한 과소비와 도박의 유행 등, 유흥ㆍ향락문화의 확산은 조선후기 사회가 근대적 소비사회(consumer society)로 변화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조선후기에 유행한 사인풍속화는 이러한 서울의 도시적 성장 및 여가문화의 확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사인풍속화의 대부분이 양반사대부들의 여가생활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18세기에 이르러 본격화된 상업적 여가문화(commercialized leisure)의 성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조선후기 사인풍속화의 발생요인과 변화과정을 고찰하는데 필수적인 사항이다. 鄭敾의 〈독서여가도〉는 사인풍속화의 초기 작품으로 여가문화가 상업화되기 이전 단계, 즉 사대부의 편안하고 안락한 삶의 모습인 '閑居' 또는 '獨樂'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1740년대 이후 급속하게 확산되기 시작한 유흥적인 도시문화와 사치성 소비문화는 여가의 상업화를 촉진시켰다. 金喜誠이 1748년에 그린 〈석천한유도〉는 〈독서여가도〉에 보이는 '獨樂'의 이미지가 사라지고 기녀를 동반한 오락적 유흥이 양반계층의 여가생활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양반계층의 여가생활이 극도로 상업화ㆍ향락화되어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船遊놀이 등이 유행하게 되었다. 기생과 악공을 동원한 쾌락적인 유흥이었던 선유놀이가 신윤복의 《혜원전신첩》에 등장한 것은 상업적 여가문화가 사인풍속화의 핵심적인 주제로 부상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피터 버크(Peter Burke)는 다양한 오락에 관한 저술들 및 각각의 오락 활동에 관한 놀이지침서의 간행, 각종 놀이와 飮酒歌舞 등이 회화의 주제로 등장한 점, 도시의 상층계급이 교외에 별장을 짓고 휴가를 즐기게 된 것, 각종 도시의 유명 행락지에 대한 정보의 확산, 상류계층의 전유물이었던 여가문화의 중ㆍ하류계층으로의 확산, 소비사회의 등장과 여가의 상업화, 사회개혁자들(reformers)에 의해 시도된 대중들의 무분별한 향락적 오락활동에 대한 비판과 합리적 여가활동에 대한 추구 노력을 16-18세기 근세 유럽에서 형성된 여가문화의 대표적인 특징들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근세 유럽의 상업적 여가문화의 주요한 특징들이 조선후기 사회에서도 거의 비슷하게 발견되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양반사대부계층의 고동서화 수집괴 정원ㆍ別墅의 축조, 분재와 화훼에 대한 관심, 서울 도심 및 교외 행락지로의 여행, 선유놀이의 추구, 바둑 및 도박에 대한 열중 등 상업화된 여가문화가 조선후기 문화의 핵심적인 사항이 된 것은 '소비사회'의 탄생이라는 근세 역사의 커다란 흐름에서 한국이 결코 예외가 아니었음을 의미한다. 이인문의 〈십우도〉 및 김홍도 이명기의 〈서직수초상〉에 보이는 서직수의 쾌락적 유흥에 대한 도덕적 각성과 자기반성적 성찰은 조선후기에 상업적 여가문화가 사회 전반에 걸쳐 확산되었음을 반증하고 있다. 아울러 바둑 장기의 유행, 기생과 악공을 대동한 유흥성 놀이 등 상업적 여가문화의 다양한 면모가 사인풍속화의 중요 주제로 등장하게 된 것은 조선후기 사회가 소비사회로 변화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결국 조선후기의 유흥적 여가문화 속에서 탄생한 사인풍속화는 조선후기 회화의 근대성(modernity)을 나타내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양반계층의 향락적 여가문화에 대한 예리한 관찰을 바탕으로 한 신윤복의 《혜원전신첩》은 단순히 "色情이 물씬한 남녀의 애정행각과 도회생활상"을 그린 작품에 그치지 않는다. 《혜원전신첩)은 조선후기 사회가 근대적 소비사회로 변화해 가고 있었던 역사적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시각적 증거(visual evidence)이다. This essay explores how the rise of genre painting in eighteenth-century Ko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leisure of the period. Genre painting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achievements of late Joseon art. Yun Duseo and Jo Yeongseo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genre painting, depicting the daily activities of ordinary people such as women picking edible plants, sewing, and weaving as well as farmers tilling the field and resting. In paintings of scenes of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the thematic focus was on the representation of work and leisure of farmers who were the foundations of agricultural society. Early eighteenth-century genre painting was concerned primarily with the depiction of intensive labor and partial leisure. the theme of genre painting shifted from farmers' work and rest to yangban leisure activities in the mid eighteenth century. This shift was inseparable from the socio-economic change of die time. Joseon society entered the age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leisure in which both the collecting of luxury goods, antiques, and rare plants and flowers and the pursuit of pleasure and pastime activiti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ransforming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period. Genre paintings of yangban leisure activities resulted from the boundless expansion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celebration of urban pleasures. Jeong Seon's Leisure after Reading, datable to 1740, one of the earliest literati-style genre paintings, depicts a yamghan in a moment of leisure, seeking solitary pleasures and whiling away the summer heat. In this painting, Jeong Seon presents the ideal of a scholarly leisure as seen in the bundles of books on the shelves, the landscape painting hanging on the wall, and the flowers growing in the two planters. Girn Heeseong's Jeon Ilsang at Leisure, dated 1748, portrays the sitter seeking an outdoor pavilion idleness and pleasure with gisaeng courtesans. While Leisure after Reading is concerned with the depiction of a scholar in pursuit of self-cultivation and literary ideals, Jeon Ilsang at Leisure deals with the sitter's extravagant way of life. Jeon Ilsang at Leisure marks a dramatic change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yangban leisure activities from elegant and refined scholarly life to worldly and excessive pleasure-seeking. The new attitude of the yangban class pursuing the pleasures of collecting luxury goods and antiques, traveling to famous sites, enjoying amusement with gisaeng courtesans, musicians, and dancers, and gambling took shap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eighteenth-century. The rapid expansion of commercialized leisure and the wide currency of self-destructive hedonism led to the collapse of Confucian morality and the fast development of conspicuous consumption. The late Joseon period ushered in an era of leisure-consumption that signified the inauguration of cultural modernity. Sin Yunbok's Album of Genre Painting, an album of thirty leaves in the Gansong Museum of Fine Arts, is an eye-witnessing pictorial record of the conspicuous leisure of the yangban class, providing fascinating glimpses of the colorful scenes of their pastime activities such as traveling on a pleasure boat with gisaeng courtesans and musicians, pursuing gambling and drinking, visiting pleasure quarters, and seeking delight in sensual indulgence. The interplay between profligate yangban members and gisaeng courtesans that constitutes the thematic core of the album indicates that the flourishing of commercialized leisur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birth of a consumer society in which time and money were most prized. Late Joseon genre painting bespeaks this fundamental social change in the most eloquent visual form.

      • KCI등재

        18세기 한문 산문 연행록 속 `풍속` 요소의 인지와 범주

        김현미 ( Kim Hyun-m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3 No.1

        이 글은 조선 후기의 중요한 문화적 文獻群으로서 존재하는 燕行錄의 주요한 내용 중 하나인 `風俗`의 구체적인 내용과 전개를 살피기 위한 첫 시도로 쓰여 졌다. `풍속`은 기본적으로 타 문화를 체험한 기록이라는 상황적·내용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연행록의 저자들에게 중요한 관찰 및 묘사 대상이 되면서, 연행록을 읽는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게 하는 내용적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풍속`은 `문헌군`이라는 이름 아래 다양한 성격의 텍스트를 포괄하고 있는 연행록을 `타문화 관찰 및 체험 텍스트`라는 하나의 통일성을 가지고 분석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선 `풍속`이 왜 18세기에 새로운 표제로서 나올 수 있었는가를 사행 기록의 전통 하에서 생각해보기 위해 이전 시기인 `대명 사행록` 속의 풍속적인 요소가 어떻게 등장하고 무엇을 중심으로 소개되었는가를 살펴본 후, 18세기 연행록 중 잡지 양식의 24개 연행록 중에서 일단 `풍속`이라는 개념의 총합적 이해와 전개 양상을 보기 위해서 풍속이라는 표제 하의 서술들을 분석하였다. 대명 사행 문학의 전통에서 형성된 풍속 요소의 서술 방식은 임금께 복명하기 위한 `문견 별단체`인 잡록 형식이었으며, 내용적으로는 문화적인 자부심을 표출하기 위해 언급된 `상례`의 발견과 지리적 요소와 긴밀히 연결된 풍속의 서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18세기 연행록 중 `풍속`을 표제로 하여 단편서술 양식을 모아놓은 세 개의 기록, 즉 노가재 김창업의 『연행일기』(1712) 중 「산천풍속 총록」, 그리고 이의봉의 『북원록』(1760) 소재 「산천풍속 총론」, 김조의 『관해록』(1784)에 수록된 「민속잡기」의 기록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바라본 새로운 세계인 `청`의 모습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었고 그것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폈다. 우선 노가재의 산천풍속 총록에 수록된 72개의 항목들은 이전 시기 대명사행문학에서 소개되었던 상례와 지리 지형적인 요소를 포괄하고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양식인 의-식-주 영역을 고르게 소개하면서도, 이전시기별단체 잡록처럼 나라의 경영을 위한 정보로서 작가의 목표를 삼지는 않았다. 이상봉의 산천풍록총론 속 118개의 항목들은 18세기 초 노가재가 관찰하고 겪은 결과의 타국 풍속을 기반으로서 받아들이고 이러한 기초지식 위에서 자신의 관찰 결과를 더하여 타국 풍속의 관찰을 했다. 1784년 연행의 결과로 민속잡록을 남긴 김조는 30항의 기록 중에서 일반적인 `풍속`이 아니라 그곳의 인물을 중심으로 여정에 따른 자신의 경험과 관찰에 근거한 `민속`의 항목을 서술하였고, 그래서 자신의 감정과 감상이 보다 많이 투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writing was written to examine the concrete contents and development of `customs(風俗)`, which is one of major contents of yeonhangrok(燕行錄) existing as important cultural literature(文獻群)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customs` are important subjects of observation and description to the authors yeonhangrok that basically has the situational·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of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while being a contextual element that makes those that read yeonhangrok have continuous interest. Therefore, `customs` are expected to become a connecting ring that would enable analyzing yeonhangrok that contains texts in diverse natures under the name `literature` with a unity `text of observation and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First, to consider why `customs` appeared as a new tile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tradition of delegation records, how customary elements appeared in the `records of delegation to Ming` that were written earlier and mainly what were introduced were examined. Thereafter, to se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customs` and how the concept developed in 24 pieces of yeonhangrok in the form of magazines out of yeonhangrok written in the 18th century, descriptions under the title customs were analyzed. The format of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of customs formed through the tradition of the literature regarding delegations to Ming was miscellanea in the form of `separate records of experience` for reporting to the king and the contents were the discovery of conventional practice mentioned to show off cultural pride and customs closely connected to geographical elements. Centering on the `miscellaneous records of folklore`contained in three records that gathered short story narrations under the title `custom` out of yeonhangrok written in the 18th century, that is, 「Sancheon Pungsok Chongrok」 in the 『yeonhangilgi』 of Noh Ga-Jae and Kim Chang-Eop(金昌業)(1712), 「Sancheon Pungsok Chonglon」 in the 『Bukwonrok』 of Lee Sang-Bong(李商鳳)(1760), and the 「miscellaneous records of folklore」 contained in the 『Gwanhaerok』 of Kim Jo(金照)(1784), concrete shapes of the new world `Qing` as seen by them and how the shapes changed over time were examined. First, 72 items contained in 「Sancheon Pungsok Chongrok」 of Nogajae included conventional practice and geographical and topographic elements and evenly introduced the area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at are basic ways of human life but the objective of the author was not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the country unlike the separate miscellaneous records in the pervious period. The 118 items in the 「Sancheon Pungsok Chonglon」 of Lee Sang-Bong are descriptions of observation of other country`s customs based on other country`s customs observed and experienced by Noh Ga-Jae in the early 18th century added with the results of observation by Lee Sang-Bong. Kim Jo, who left miscellaneous records of folklore as a result of delegation in 1784, described items of `folklore` based on his experience and observation during the trip rather than general `customs` in 30 record items and projected his emotions and sentiments considerably in the records.

      • KCI등재

        조선후기 西人 · 老論의 풍속인식과 그 기원

        조성산(Cho, Sung-San) 한국사학회 2011 史學硏究 Vol.- No.102

        그 동안 조선후기 풍속 논의의 성장은 중세의 해체와 근대의 상징이라는 관점에서 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이 시기 풍속 논의의 성장에는 이러한 문제로 일반화할 수 없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이 있었다. 본 연구는 어떠한 외부적, 내부적 요소들이 이 시기 풍속 논의 속에 개재해 있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세시대의 풍속은 보편이념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비균질적이었고 스스로 자신을 규정할 수 없는 존재였다. 따라서 풍속의 정의 또한 쉽지 않다. 풍속은 흔히 사료에서 國俗, 東俗이라는 용어로 등장하였고 지역성, 주변성을 포함하여 민인들의 오래된 생활양식, 습속 등을 총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글은 풍속 자체가 아닌 풍속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풍속을 바라보는 시선은 곧 중세 보편이념의 그것을 의미하며 조선에서는 주자성리학이었다. 본 글은 주자성리학이 바라보는 풍속 논의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선후기 서인-노론의 풍속관에 주목하였다. 조선전기에는 조선의 특수성이 용인되다가, 16세기이래 사림파에 의해서『朱子家禮』가 보급되면서 조선의 고유 풍속을 교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적극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사회적 갈등이 노정되었다. 이후 이러한 관점을 계승한 것은 서인-노론 일파였다. 주자학적 이원론, 즉 中華와 夷狄, 君子와 小人, 雅와 俗등에 포섭되지 않는 ‘풍속’이라는 영역이 주자학 안에서 만들어지기는 쉽지 않았다. 程子가 理에 害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풍속을 따를 수 있다고 말했지만, 사실 理에 해가 되지 않는 풍속은 그렇게 많지 않았다. 그들이 국속, 동속에 기본적으로 우호적일 수 없었던 이유이다. 특히 이것은 집권층으로서 그들이 갖는 정치권력의 행사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時俗으로 상징되는 반대세력들을 주자학적 정치이념의 행사를 통하여 억압할 수 있는 것이다. 俗의 同異를 논하지 말고 義理의 是非를 논해야 한다는 것은 그들의 가장 본질적인 입장이었고 그들의 정치이념을 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그들의 입장은 동아시아 전체를 놓고 볼 때에도 매우 독특한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의 지역적인 國俗은 주자학자들에 의해서 억압되었다. 서인-노론으로 대표되는 주자학자들은 그들이 생각하기에 보편적이고 이상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理的질서로서, 구체적으로는 송대의 예법질서로서 국속을 교정하고자 하였다. 노론 지식인들은 의리를 풍속보다 우위에 두었으며 이는 자국의 고유 풍속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갖게하였다. 특히 19세기 서양문화의 도래는 이러한 입장을 더욱 강고하게 하였다. The folk lore in the middle ages was deemed as distracted or unfocused and identified to be a being that was unable to prescribe itself as a being that remained outside universal ideology. The folk lore generally meant lifestyle, folkways, etc of the people as well as locality and circumambiency.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the way that they saw the folk lore, not the folk lore itself. The way that they saw the folk lore boiled down to that of universal ideology in the middle ages, which was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To look into issues related to folk lore in which Neo-Confucianism held, I have paid attention to viewpoint of custom held by Seoin-Nor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It was difficult that the field of "folk lore"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dualism of Neo-Confucianism, that is, Sinicentrism and Babarianism, noble man and common man, and elegant and vulgar, could be created in the Neo-Confucianism. That"s way they couldn"t but hold positions favorably against their own folk lore. In particular, it was closely related to exercise of their political power that they held as ruling class. The ruling class could successfully oppress opposition parties represented by contemporary folk lore through exercising their political ideology based upon Neo-Confucianism. It was their essential position that they should only discuss whether the folk lore has any moral value or not, but they wouldn"t need to discuss whether folk lore is similar or not, which showed clear point of their political philosophy. This kind of their position held a unique stance when looking further into the map of whole East-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