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 및 시사점

        윤병훈,성용은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7 치안정책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policing policy research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related words based on the core subject words of the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Police Policies’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f future policing policy resear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09 to 2017, Volume 31, Issue 1 (issued in March 2017), and analyzed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published by the Police Science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ndency of study of police policy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research topics were ‘Police’, ‘CPTED’, ‘Police officer’, ‘North Korea’, ‘Investig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linkage analysis of the research theme ‘Police’ showed that the centrality of connection is ‘crime’, ‘investigation’, ‘North Korea’, ‘human rights’, ‘security police’, ‘police activities’, ‘Unification’, “crime prevention” and so on; Third, the main topic of the research is ‘crime’, ‘investigation’, and ‘North Korea’, which are related to the two main research top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expand the research trend of police policy research into police planning, cyber security, terrorism, foreign affairs, police planning, and information security; Second, more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major keywords (e.g., cyber terroris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new cybercrime, etc.) that can represent changes in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nd that it should be of practical assistance in the development of police policie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치안정책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핵심 주제어를 바탕으로 관련 주제어간 관계성을 분석하여 치안정책연구의 최근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향후 치안정책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7년 제31권 제1호(2017년 3월 발행)까지 치안정책연구소에서 발행된 치안정책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은 첫째, 연구주제의 빈도분석 결과, ‘경찰’, ‘CPTED’, ‘경찰공무원’, ‘북한’, ‘수사’라는 연구주제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어 연결중심성 분석결과, ‘경찰’을 중심으로 연결중심성은 ‘범죄’, ‘수사’, ‘북한’, ‘인권’, ‘보안경찰’, ‘경찰활동’, ‘인권침해’, ‘통일’, ‘범죄예방’ 등이 주요 연구주제어가 도출되었다. 셋째, 연구주제어 중 연결중심성이 높은 연구주제어는 ‘범죄’, ‘수사’, ‘북한’이라는 연구주제가 각각 총 32개의 연구주제어 중 약 2개의 연구주제어와 관계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치안정책연구의 연구경향은 향후 사이버안전, 테러, 외사, 경무기획, 정보화 등 보다 다양한 분야의 치안정책 연구로 확대 및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변하는 치안환경의 변화를 대변할 수 있는 주요한 키워드(예, 사이버테러, 제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신종 사이버범죄 등)의 연구주제로 더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이는 우리나라 경찰의 치안정책 개발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학술적ㆍ정책적 의의와 함께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에 대한 시민의 수용성 연구: 경찰 효율성, 시스템 안정성, 범죄 두려움, 사생활 침해, 경찰 정당성, 경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박한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1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LFRPS) has recently emerged 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policing innovations. This is because concerns about personal data and privacy infringement are rais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and analyzed the variables that predict citizens' acceptability, focusing on factors that are concerned when using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at a time when empirical research on the police's use of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has not yet been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 seek ways to reduce conflicts between police and citizens in the process of using new policing technology and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that increases police efficiency by utilizing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citizens (public) who are parties to the security service, and SPSS was used as the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e of live facial recognition was highly receptive when it was not infringing on citizens' privacy (β=-0.428***), and the higher the police's use of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β=0.402***),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accept it, and the justification in terms of means (β=0.358***).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β=-0.197*) showed that stability and reliability should be secured for automated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a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predictive security systems (Fredfall, Hunchlab) will be combined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for the police to actively utilize th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lice should not be impaired in case citizens perceive it negatively rather than the completeness of the technolog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learly justify the purpose and use of the new policing technology, and as it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live facial recognition policing system to be automated, it is proposed to secure reliability in the system.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LFRPS)은 최근 가장 논란이 많은 치안 혁신 중 하나로 급부상했다.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이들의 특성으로 인해 개인 데이터 및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의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사용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아직 시행되지 않은 시점에서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활용 시 우려되는 요인을 중심으로 시민의 수용성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그 영향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신치안기술의 활용과정에서 경찰과 시민들 간의 갈등을 감소시키고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을 활용하여 경찰의 효율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안서비스 당사자인 시민(대중)을 중심으로 설문되었으며, 통계 프로그램은 SPSS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실시간 안면인식의 활용은 시민의 사생활을 침해(β=-0.428***)하지 않을 때 수용성이 높았고, 경찰의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 사용이 치안활동의 효율성(β=0.402***)을 높인다고 판단할수록 수용의사가 높았으며, 수단적 측면에서도 정당화(β=0.358***)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더불어 향후 인공지능(AI)과 예측치안시스템(프레드폴, 헌치랩) 등이 결합될 것이라는 예상에 따라 자동화된 시스템에 대해서도 안정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석 결과(β=-0.197*)로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을 경찰이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완성도보다 시민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경찰에 대한 시민의 인식이 손상되지 않아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치안 신기술에 대한 사용의 목적과 용도를 명확하게 정당화할 필요가 있으며, 자동화될 인공지능 실시간 안면인식 치안시스템으로 구현이 예상되는 만큼 시스템상의 안정화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협력치안의 제도화와 민경 협력의 과제

        정웅 치안정책연구소 2011 치안정책연구 Vol.25 No.2

        최근 도시개발과 인구유입으로 치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지역에서의 치안서비스소비 과밀 현상과 과밀비용 해소를 위해 본 연구는 범죄위험-치안비용 매트릭스 상에 실행가능성을 갖춘 대표적 협력치안 제도로서 공공부문의 경우 CPTED와 감시장비·시설의 확충, 민간부문의 경우 주민참여에 의한 자율방범대와 민간경비업체와의 협력방범 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협력치안 중에서도 민간 경비와 자율방범대가 참여하는 민경 협력치안의 제도적 과제로서 우선 법규 개선 측면에서는 경비업법상 업무범위 확대, 청원경찰과 민간경비에 대한 법적 체계 단일화,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 마련, 자율방범대법 제정 등을 제시하였으며, 조직 정비 측면에서는 경찰의 청원경찰 및 민간경비 관리부서 일원화와 협력치안 전담부서 신설, 치안센터의 확대, 협력치안 전문인력의 양성 등을 제시하였다. 또 세부적 또 세부적 운용 측면에서는 지역경찰과 민간경비의 연계순찰, 수익성과 관련된 혼잡경비의 민간경비 전담, 시설·호송·기계·학교경비의 민간경비 역할 확대, 지방자치단체 주관행사에 민간경비의 역할 확대 등을 제시하고, 자율방범대의 경우는 기존의 합동순찰활동 외에 학교외곽지역·범죄취약지역에 대한 연계순찰과 무질서환경 개선활동 강화를 제안하였다. 이해당사자간 협력에서는 파트너쉽의 형성 및 협력치안 네트워크 구축을 지향한 상호 정보교환, 연락체계의 주기적 확인, 정례적 간담회 개최, 합동순찰프로그램의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한편 협력치안의 당초 제도 도입 취지에도 불구, 치안서비스의 공동생산과 공급과정에서 경비 업체와 자원방범단체의 지대추구, 정치세력화, 참여자간 갈등의 문제가 표출될 수 있는 바, 지역경찰은 협력치안 조정자로서 역할을 적극 수행함으로써 협력치안의 제도화가 지역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acceleration of urbanization and expanding populations in the Korean metropolitan areas, local communities have undergone the congestion phenomenon in the consumption of public security services, and on the one hand local police is faced with the budget constraint in the supply of security services. Accordingly local police should make use of the cooperative policing institution and secure the sufficient security services, which include representatively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urveillance equipment/facilities enrichment, vigilante patrols and private security companies But first of all, for the sake of finding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congested security services problem, local police necessarily make the most of private security, which is expected to get more innovation and efficiency. In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this study suggests an institutionalization model of cooperative policing which is comprised of crime risk and policing cost analysis, institutional design, institutional implementation, and feedback. To put it to private-public police cooperation more concretely, the suggestion comprehends the improvement of private security laws, and the securing of the specialized police bureaus in the phase of institutional design. Furthermore it brings forwar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urity company and vigilante in the local policing, and the establishment of successful partnership and collabor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police in the phase of institutional implementation as well.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과정 연구

        윤재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3

        The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Crime Investigation Office eliminates certain crimes, such as abuse of authority committed by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or their family members, filing of fraudulent official documents, and illegal receipt of political funds, and eradicating the privileges and corruption of public officials to ensure the transparency of the state and the reliability of public officials. As an institution to create a just and fair country that guarantees equal opportunities for all citizens by raising the level, the process of enacting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High-Level Public Officials Crime Investigation Center」 for establishment of this institution is divided by period. Through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we derive policy implications that the combination of each flow and the role of policy innovators are important in policy making,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decision process, such as the suitability and differences of the theory. Specifically, first, the fact that the smooth composition of each flow and whether or not it rises affects the policy decision, and if the flow rises, but cannot be combined, the policy window does not open, and when each flow is combined, the desired result is We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the claim to be produced. Second,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head of state as a policy entrepreneur, it was also found that the head of state can contribute to policy decisions only by securing the driving force supported by each flow.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ssertion that policy entrepreneur make decisions based on time constraints is appropriate. Finally, the research result that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is a theory that is useful when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the policy system is relatively low as in Korea, and the policy is suddenly decided or changed from time to time, it was also possible to examine its suitability through a case study.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고위공직자 또는 그 가족이 범한 직권남용, 수뢰, 허위공문서 작성 및 정치자금 부정수수 등의 특정범죄를 척결하고, 공직사회의 특혜와 비리를 근절하여 국가의 투명성과 공직사회의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국민 모두에게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는 정의롭고 공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기관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를 위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는 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한 뒤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이론의 적합성과 다른 점 등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특징과 함께 각 흐름의 결합과 정책혁신가의 역할이 정책 결정에 중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각 흐름의 원활한 조성과 대두 여부가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흐름은 대두하였지만 결합하지 못하는 경우 정책의 창이 열리지 않으며, 또 각 흐름이 동시에 모두 결합할 때 바람직한 결과가 산출된다는 주장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가원수의 정책혁신가로서 역할을 하는 부분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국가원수 역시 각 흐름의 뒷받침을 받아 추동력을 확보해야 정책 결정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다른 점도 발견하였다. 셋째, 정책결정자들은 시간 제약에 따라 의사결정을 한다는 주장이 적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다중흐름모형은 한국과 같이 정책체제의 분화 정도가 비교적 낮고, 정책이 갑자기 결정되거나 수시로 변동되는 경우에 유용한 이론이라는 연구결과도 사례연구를 통해 그 적합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정책결정과정 분석 연구 -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윤재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8 치안정책연구 Vol.32 No.1

        In this research, we derive the features and policy implications that appeared in the enactment process by applying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MSF) to the process of enacting "laws concerning prohibition of solicitation and prohibition of gifts, etc.". First,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ood of public office society form the process of the flow of policy problems and have a big influence on policy decision Secondly, the National Committee for Citizens' Rights Committee, etc., Activities promoted policy making through the flow of policy alternatives.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the flow of politics, we will reaffirm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group of the Diet. Fourth, as we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olicy innovation" to open "window of policy" and to derive "deliverables of policy", the role of "policy innovation" The role of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prevailed, not the expression of "policy innovation" but "policy intermediation" transferred. Finally, Kingdon said that the type of "window of policy" to be carried ou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coupled to a streams was decided, but discovered the difference that whether or not it is a streams combination may change based on the case of policy Can b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As a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olicy formulation for the policy formation During the formative period, aggressive response by government ministries is urgent, and at the same time the conflict with stakeholders inevitably emerging in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 is minimized In order to settle policy decisions, we considered that the role of "policy broker", which is expected to act as timing adjustment and mediation, is important. 본 연구는「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는 과정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MSF)을 적용해 정책결정과정의 흐름별 특성과 함께 상호관계, 영향력 여부 등 연계 구조를 탐색하고,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주요 요인 등 이 법안의 제정과정에 나타난 특징과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직사회의 비위에 대한 사회 환경적 요인이 정책문제흐름과정을 형성해 정책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국민권익위원회 등 해당 정부부처의 적극적인 정책형성 활동이 정책대안흐름을 통해 정책결정을 촉진했다. 셋째, 정치흐름과정을 통해 국회라는 정치집단의 영향력을 재확인하게 되었으며 넷째, ‘정책의 창’을 열고 ‘정책산출물’을 도출하는데 ‘정책혁신가’의 역할이 중요함을 살펴봄과 동시에 ‘정책혁신가’의 역할은 조정과 중재역할이 우세하여 ‘정책혁신가’라는 표현보다는 ‘정책중개인’이적합하였다. 다섯째, 법안이 형성되는 결과를 통해 ‘쓰레기통모형’의 특징인 ‘진빼기 결정’을 확인할 수 있어 다중흐름모형이 ‘쓰레기통모형’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이론적 배경의 근거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Kingdon은 흐름별 결합여부에 따라 열리는 ‘정책의 창’ 종류가 정해져 있다고 했지만, 정책 사례에 따라 흐름별 결합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차이점을 발견한 점은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함의로서 정책결정을 위한 형성기에는 해당 정부부처의 적극적인 대응이 절실하며, 아울러 정책결정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대두하는 이해관계자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정책결정을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시기별 조정 및 중재자로서의 행동이 기대되는 ‘정책중개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지역치안협의회의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향 연구 :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윤경희,박동균 치안정책연구소 2012 치안정책연구 Vol.26 No.1

        Recently, as national interest in security like school violence, victim protection, or crime prevention is increasing, general and preprescriptions rather than post-approaches to crime are being more highlighted. Therefore, it is the periodic demand to build multiple organizations' cooperative system in a local community to discuss regional security issues and grope for solutions collaboratively. In particular, with the advent of the decentralization age, there is more demand to solve regional security issues in consideration of a region's specific situations. There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organized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 in February, 2008 and produced visible fruition as establishing the law and order to expand security infrastructure and conducting activities to form a bond of sympathy for security, so the importance of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 is getting greater now. However, despite the visible fruition of it,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 has recently been excluded from the evaluation of general security results, so its driving force has been weakened; thus, now its mere formal operation is pointed out as a problem. Thereupon, this study figures out the problems of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 by evaluat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 And it intends to suggest directions to enhance its functions and roles as a private cooperation organization worthy of its fame.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used Delphi Method to collect related experts' intuitions and opinions three times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s a result, the level of its operational appropriateness was lower than the average in terms of 'the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consultative groups or cooperation groups', 'forming the bond of sympathy with related agencies', 'degree of solving current issues in a local community', 'related organizations' 'cooperative handling skills', 'reflecting the agenda or the current problems and issues of the region at the meeting', 'sharing information on the agenda', and 'activating programs and holding meetings for cooperation regarding schools or sexual violence'. In order to activate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 afterwards, it will be needed to be improved in terms of the above eight items. Thereup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of this paper,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to active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 from three aspects :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s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cooperation, the Regional Security Council's reasonable agenda provision and conference operation, and activities(or programs). 최근에는 학교폭력, 피해자보호, 범죄예방활동 등 치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범죄의 사후적 접근보다는 사전적· 종합적인 처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치안문제에 대해 함께 논의하며 공동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지역사회내 다기관 협력체제 구축은 시대적 요청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분권화 시대를 맞아 지역의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지역치안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찰청에서는 2008년 2월 '지역치안협의회'를 구성하여 치안인프라 확충을 위한 법질서 확립 및 치안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활동을 하는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냄으로써 지역치안협의회의 중요성은 매우 증가하는 시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시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최근 지역치안협의회가 치안종합성과평가에서 제외되어 추진동력이 약화되어 형식적 운영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역치안협의회의 실질적 운영평가를 통하여 지역치안협의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명실상부한 민간협력기구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을 활용하여 관련 전문가들의 직관과 의견을 3차례에 걸쳐 양적·질적 분석을 통하여 수렴하였다. 그 결과 '기존 협의체, 협력단체와의 차별성', '관계기관의 공감대 형성', '지역사회 현안 문제 해결 정도', '관계기관의 공동대처 능력', '의제 및 회의시 지역현안 및 이슈의 반영', '의제 정보의 공유', '학교, 성폭력 등 협력 관련 회의 개최 프로그램의 활성화'의 측면에서 운영의 적절성 수준이 보통미만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지역치안협의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위 8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개선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치안협의회 활성화 방향을 지역치안협의회의 조직운영 및 협력, 지역치안협의회의 합리적 의제 제시 및 회의 운영, 활동(프로그램)상 3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치안부담에 근거한 지역경찰 인력배분 모형

        한민경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8 치안정책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지역경찰의 인적자원을 배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면서도 합리적인 기준 마련을 목표하였다. 우선 지역관서 인원배정에 있어 범죄 발생건수 등 경찰의 입장에서 수집된 자료뿐만 아니라 행정동을 단위로 수집된 관할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더불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에 지역경찰의 인력배분에 활용할 기준으로서 치안부담도를 제안하고 치안부담도 산출부터 실제 추가 인원배정 상황에 적용하기까지 총 4단계에 걸쳐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1단계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해 범죄 발생건수 및 112신고건수의 형태로 드러난 관할지역의 현재 치안부담도를 산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현재 치안부담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사회경제적 변수를 투입한 회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래 치안부담도를 추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현재 치안부담도와 장래 치안부담도 각각을 표준화한 후 종합한 결과로서 치안부담도 지수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4단계에서는 치안부담도 지수를 토대로 적정인원 및 부족인원을 산출하고 실제 추가 인원배정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실무상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치안부담도에 근거하여 지역경찰 인력배분이 이루어질 경우 그간 경찰서장 내지 담당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되어 온 인원배정 문제를 보다 객관화하고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a practical and reasonable criteria for determining staffing allocation needs of local police substations. It highlights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not only police-oriented measures, but also socioeconomic characters of districts divided by Administrative Dong. In this regard, the study proposes an policing demand index, and applied it to an assumed situation of additional personnel allocation. The analysis consists of four parts. Using factor analysis, the reactive policing demand of each local police substation is calculated in the first part. In the next part the proactive policing demand is predicted based on the stepwise regression model. Merging and standardizing the reactive and proactive policing demands, the index is constructed in the third part. Based on the policing demand index, the required workforce and workforce shortage are measured for each local police substation, which qualifies the eligibility of the index for determining staffing allocation needs.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치안수요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정연대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in reports to police through 112-calls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COVID-19,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distancing and the severity of COVID-19 on changes in demand for police services. Monthly total reports and emergency dispatch requests areused as variables representing demand for police services, while monthly COVID-19 death counts are used as a variable representing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study covers the period from January 1st, 2018 to January 31st, 2022, and data are visualiz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ime-series analysis models to verify the impact of variables related to social distancing and COVID-19 severity on the number of reports.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he total number of reports decreased while social distancing was enforced or as the severity of COVID-19 increased, but the greatest influence are found to be seasonality. Emergency dispatch requests, on the other hand, shows a decreasing trend during the social distancing period,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OVID-19 severity are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than other variab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mand for general police services and emergency responses may differ in changing policing environments. Although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analysis results regarding changes in demand for police services due to COVID-19, it has limitations in terms of its limited study period. Therefore, subsequent studies are suggest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impact of COVID-19 on demand for police services. 이 연구는 코로나19의 발생 전후 경찰 112 신고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거리두기나 코로나19의 심각성이 경찰에 대한 치안수요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치안수요를 나타내는 변수로 월별 112 전체 신고건수 및 긴급출동 요청건수를 사용하였으며, 코로나19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월별 코로나19 사망자수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22년 1월 31일까지이며, 각각의 신고건수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변인이나 코로나19 심각성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시계열 분석 모형을 통해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신고건수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와 코로나19 심각성의 증가에 따른 신고의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계절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긴급출동 요청건수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중 점신적인 신고의 감소추세가 확인되었으며, 다른 요인들보다 코로나19 심각도와 부적인 관련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변화하는 치안환경에서 경찰에 대한 일반적인 치안수요와 긴급대응에 대한 수요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치안수요의 변화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를 제시하였으나 한정된 연구기간으로 인해 일반화의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치안수요에 대한 코로나19의 장기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치안과학기술 연구개발 사업 발전방안

        류연수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8 치안정책연구 Vol.32 No.2

        As the rapid social change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rime is becoming more advanced, intelligent, and wider,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cience and technology R&D project to cope with the changing crime preemptively and effectively. After recognizing the urgent need to introduce science and technology into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1965, the US Congress enacted the Safe Streets Act to establish the legal basis for the policing technology R&D project. As a result of enacting the Safe Streets Act, th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and the Law Enforcement Assistance Administration were established in 1968. Th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has been leading the development of policing technology with excellent R&D achievements such as body armor, DNA identification technology, explosiv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technology, and police protective equipment development. Korea has revised the “police law” in 2014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conducting R&D projects in the field of policing technolog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R&D process of the policing technology R&D project in the US and Korea, it was required to improve the project operation system and the legal basis, to strengthen the expertise in project planning and evaluation, and to promote the outcome. 급격한 사회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범죄도 첨단화, 지능화, 광역화되고 있으며 변화하는 범죄에 선제적,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치안과학기술 연구개발 사업의 수행이 필요하다. 미국은 1965년 형사 사법 시스템에 과학기술의 도입이 시급함을 인식한 후 미 의회에서 「Safe Streets Act」를 제정하여 치안과학기술 연구개발 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후 1968년 국립사법연구소와 법집행지원국을 설립하였다. 국립사법연구소는 방탄복, DNA 신원확인기술, 폭발물 탐지 및 식별기술, 경찰관 보호 장비 개발 등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를 얻어 치안과학기술 발전을 선도하였다. 우리나라는 2014년 「경찰법」을 개정하여 치안분야 연구개발 사업 수행을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한 후 치안과학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과 한국의 치안과학기술 연구개발 사업 운영체계와 프로세스를 비교한 결과 사업발전을 위해 사업운영 체계 구축 및 근거법률 제정, 과제 기획 및 평가의 전문성 확보, 성과확산 촉진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한국경찰의 G20 정상회의 집회시위관리정책에 대한 사례연구

        Vitale, A. S.,김학경,최낙범 치안정책연구소 2011 치안정책연구 Vol.25 No.2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the Korean Police Force confidently showed the whole world that protest-culture in Korea was greatly improved by their successful performance in policing the protests at 2010 G20 summit in Seoul. Protest policing policy is regarded as an indicator of a country's level of democratization. most previous studies of protest policing in Korea have focused either on effective countermeasure responses or legal issues, and hence,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analyze and positively associated protest management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process for better decision-making in protest policing policy. In this context, this study basically aims to examine the Korean National Police's G20 summit protest policing, compared with western police forces' (UK and USA) crowd management models, such as 'Escalated Force', 'Negotiated Management', and 'Command and Control'. To collect primary data in this research, participant observation as well as qualitative interviews are employed, and research findings are analyzed and presented from the two perspectives: tactical and strategic issues. This research's final findings were that when it comes to G20 protest policing, the Korean National Police have adopted a policy of 'facilitation of lawful protest', whereby detailed strategies and tactics are nearly synonymous with the 'Negotiated Management Model', which is a step forward from a 'guarantee of lawful protests & strict punishment of unlawful protest' policy in the past. However, to develop a more perfect negotiated management model, the Korean police should deploy a proportionate number of police officers to the scene and also introduce visible identification numbers as with police forces in the UK or USA in terms of tactical issues. This study further suggests that the Korean police should not only consider deregulating restrictions on protest venue, but also prohibition of entry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issues. 지난 해 한국경찰이 보여준 G20 정상회의 집회시위의 성공적인 관리는 전 세계에 높아진 한국의 집회시위 문화를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한 국가의 집회시위관리정책은 민주화 발전단계를 보여주는 척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정책과 집행과정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분석은 향후 더 나은 정책과 국가 전체 발전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간 집회시위에 관한 연구들은 경찰의 효율적인 대응방식이나 법률적 대응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문헌고찰을 통해 서구 경찰의 집회시위관리 모델인 물리력확대 모델, 협의관리모델, 지시통제 모델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지난 G20 정상회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을 분석·평가 하였다. 특히 참여관찰 및 질적 인터뷰 등을 통해 집회관리 정책과 집행 실제 사례를 전술적 측면 및 전략적 이슈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의사소통 측면에서 상호 대화노력을 통해 평화적인 집회시위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었으며, 가시성 측면에서는 형광색 재킷을 착용하고 전자교통신호벽을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오해와 충돌을 방지하였으며, 유연성 측면에서는 사소한 법위반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하는 태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찰관의 배치 측면에서는 대규모의 경찰관을 시위대 앞에 배치함으로써 대응 및 통제에 대한 자신감 결여를 보여주었던 것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지적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G20 집회시위 관리정책은 과거 '합법보장, 불법필벌'에서 벗어나 서구의 협의관리모델에 가까운 '합법촉진 정책'으로 변모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보다 더 완벽한 협의관리모델을 위해서는 전술적 측면에서 경찰력의 축소배치 및 개별인식장치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으며, 전략적 측면에서 행사장에대한 접근성 보장 및 과도한 입국금지 정책의 폐지 등 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