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 시공현장에서의 품질관리가 원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주석,안용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1

        품질관리는 프로젝트가 요구하는 사항을 만족시키며, 프로젝트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 보장하기 위해 품질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수행하는 종합 품질보증체제를 구축하는 것으로 품질의 방침, 목표, 책임과 수행을 결정하는 관리기능의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또한 품질은 원가, 공정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에 결국 기업의 입장에서 생산 경영자가 이들을 유기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품질관리에 투하되는 비용은 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으로 구분되는데 각 비용이 상호적으로 잘 적용되면, 효율적인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효과적인 관리는 결국 원가절감효과를 거두게 된다.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한 하자율 0%달성은 정량적으로는 총공사비의 0.5%절감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원가절감의 효과 이외에도 품질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기업이미지의 향상과 입주자의 만족 등 부가이익을 취할 수 있다. 이에 점점 더 초고층화, 복잡화, 심대화, 과밀화 되고 무한경쟁 시대로 가는 건설업계의 추세와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볼 때,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품질관리 활동을 기반으로 최고경영자에서부터 건설현장의 작업자까지 품질관리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와 품질관리 의식의 제고가 요청되는 시점이다.

      • KCI등재

        정책품질관리제도 운영의 성과와 한계

        정윤수(鄭允秀),장지호(張志豪),김영민(金榮敏),박용성(朴龍星) 한국지방정부학회 2007 지방정부연구 Vol.11 No.4

        정책품질관리제도는 정책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비효율을 방지하고 정책추진 전 과정에 걸쳐 정책의 품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2005년 7월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추진되어 온 정책품질관리제도의 성과와 한계를 국무조정실의 성과분석과 본 연구진의 성과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국무조정실의 성과분석에 따르면 정책품질관리제도의 도입으로 정책품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고 정책과정 단계별 주요 성공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점검하는 제도를 갖추었다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정책품질관리의 실질적인 집행에 초점을 맞춘 본연구진의 분석에 따르면 정책품질관리의 성과물이 무엇인가에 대한 혼란으로 인해 제도의 형식적 운영이라는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여전히 담당공무원들의 정책품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정부의 일하는 방식 관련 다른 시스템과의 중복이라는 문제점도 나타났다. 또한 정부부처의 정책역량에 따라 부처의 시행성과와 문제점은 전혀 다른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처별 특성을 반영한 차별적인 관리전략의 수립, 부처의 자율적 운영 및 선도부처의 운영사례 확산, 다 부서 및 다 부처 관련 정책의 정책품질 강화, 정책품질관리제도 구성내용의 재점검, 정부업무관리의 전체적 틀과 정책품질관리제도의 연계 강화, 정책품질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July 2005, the Policy Quality Management System (PQMS) was initially designed for central government agencies to establish and perform their quality management process for public policies and by so doing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policy failures. Based on outcom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accomplishments and the limits of the PQMS. According to the Office of the Director General for Government Policy Evaluation under the Prime Minister, which is put in charge of facilitating and coordinating the PQMS, PQMSpractices in the Korean government have provided momentum for government employees to think about customers and quality services. However, this study finds not only benefits of quality circles and self-assessment/review checklists but also limits to them. They are a lack of government employees" commitment, a lack of coordinating with other systems, a lack of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different management levels of each department.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recommends encouragement of the best practices and a revised checklist of characteristics.

      • 국내 항공안전감독 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남승주,황유신,변해윤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항공산업은 산업의 안전성이 훼손될 때, 사고의 거대성, 전소성 등 발생가능한 피해와 부정적 영향이 크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감소시키고 비정상적인 상황을 예방 및 통제하기 위해서는 항공산업 활동의 결과물에 대해 일정한 수준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는 각 체약국에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State Safety Programs, SSP)을 운영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최근 항공산업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의 효과적인 감독기능을 강조하며, 항공당국의 행정기능 확대와 관리능력의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즉, 항공당국의 안전에 대한 책임과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항공당국이 일정한 수준으로 행정을 제공하고 점검 및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산업에서 전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품질관리 현황과 타 산업에서 수행되어온 품질관리 사례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안전관리에 대한 품질관리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항공안전감독에 대한 품질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 의의가 있다. 첫째, 국가 항공안전감독시스템의 지속적인 품질평가의 필요성 및 평가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항공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성을 확보하고, 확보한 신뢰성을 기반으로 급변하는 항공 산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구축된 항공산업 전반의 품질관리 현황 뿐 아니라, 건설, 특허, 행정 등 다양한 분야의 품질관리 실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항공안전감독에 적합한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안전한 항공산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건설공사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 결과를 통한 건설 품질관리 개선방안

        정상기,박정은,차용운,한상원,현창택,Jung, Sangki,Park, Jungeun,Cha, Yongwoon,Han, Sangwon,Hyun, Changtae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7 No.1

        최근 국내 건설 산업은 높은 경제성장률과 신기술 도입 등으로 인하여 대형화, 초고층화, 첨단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건설 품질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과 요구 수준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는 과거의 양적인 성장위주에서 벗어나 시장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한층 더 체계적이고 수준 높은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건설공사의 시공 및 사용재료에 대한 적정성 여부와 부실시공 방지 등 품질확보를 위한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검 강화에도 불구하고 품질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및 형식적인 품질관리 운영 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품질관리 점검 시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적사항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인 지적사항을 줄이고, 부적절한 품질관리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해 서울시 품질시험소에서 2012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393개 건설현장의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을 통해 도출한 지적사항 3,443건을 심층 분석하여 실효성 있는 현장 품질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현장 품질관리의 개선방안을 통해 부적절한 품질관리와 부실시공의 방지,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지적사항의 감소, 현장의 품질관리 업무향상과 같은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struction projects are getting more complex and larger-sized with a high economic growth rate and development of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addition, interests and demands on standards of construction quality are further increasing. This trend requires more systematic and a higher level of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While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the regulations for quality assurance, many quality problems have repeatedly occurred mainly due to lack of recognition for quality management and quality control systems. To address this issue, this paper aims to suggest quality management improvement scheme through analyzing 3,443 nonconforming items identified during inspection of 393 construction sites from March 2012 to October 2014. The quality management improvement scheme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event quality problems and defects and thus improve construction performances.

      •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통계적 품질관리 방안 연구

        정현수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품질관리의 추세는 제품 검사 중심에서 공정 관리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국방품질경영활동은 「’19-‘23군수품 품질관리 기본계획」 발표를 통해 군수품의 규격 일치 여부를 직접 검사하는 행위를 최소화하고, 업체의 품질시스템과 공정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통계적 품질관리 방법론인 관리도, 공정능력 분석, 샘플링 검사 등이 있다. 통계적 품질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데이터가 요구되며, 데이터의 수가 많을수록 분석 결과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군수품은 특성상 다품종 소량생산의 제품이 많으며, 데이터의 수가 충분하지 않아 통계적 품질관리를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품질관리 방법론 중 공정능력 분석 및 관리도를 다품종 소량생산 공정에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군수품 품질보증활동에 적용하여 품질 문제를 예방하고 품질 개선활동을 수행한 사례를 발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감사인의 품질관리제도 영향 요소와 감사품질의 관련성: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외국 회계감독기구 등록 여부 및 조직운영방식 유형을 중심으로

        이재은 ( Jae Eun Lee ) 한국회계학회 2011 회계학연구 Vol.36 No.1

        2002년 Sarbanes-Oxley법의 시행 이후 미국 PCAOB(the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는 감사인들에 대한 품질관리감리를 실시하기로 하였으며, 동시에 미국상장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들은 PCAOB에 회계법인 등록을 하도록 정하였다. 유사하게 국내에서도 금융감독원(금감원)은 2007년부터 한국공인회계사회에 위임했던 감사인 품질관리감리를 직접 실시하고 있으며, 상장기업 감사인 등록제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또한 영국, 일본, 캐나다, 룩셈부르크 등 여러 국가의 회계감독기구들이 자국 증권시장 상장기업을 감사하는 외국 감사인들에게 자국 회계감독기구에 등록을 요구함에 따라 여러 국내 감사인들도 외국 회계감독기구에 감사인 등록을 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감사인의 회계감독기구 등록과 감사인에 대한 회계감독기구의 품질관리감리가 이루어지면 감사품질이 향상될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한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Carcello et al. 2000 등)에서는 감사인 조직의 운영방식에서 파트너쉽 이익배분풀의 규모가 감사인의 행동 및 감사품질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면서, 이익배분풀이 크고 통합될수록 전사적 품질관리노력을 더 기울이게 되어 감사품질이 더 양호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감사인의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및 외국감독기관에 등록, 그리고 금감원(2010)이 설명한 회계법인의 운영방식(즉, "One Firm 유형"과 "독립채산제 유형"으로서, 파트너쉽 이익배분 유형과 유사) 등 감사인의 품질관리제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와 감사품질의 관련성을 실증조사한다. 연구 결과,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및 외국회계감독기구에 등록한 감사인이 감사한 기업의 재량발생액의 절댓값은 각각 금감원 품질관리감리대상이 아니거나 외국 회계감독기구에 등록하지 않은 감사인이 감사한 기업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 결과는 Big 4 감사인과 Non-Big 4로서 동 테스트 변수 유형에 해당된 감사인의 변수 값을 구분한 경우에도 동일하였다. 또한 "One Firm 유형" 감사인 변수는 일부 경우에 유의한 음의 계수를 나타냈다. 특히 "One Firm 유형"의 Non-Big 4 감사인의 경우에는 "독립채산제유형" 감사인보다 감사품질이 높을 뿐만 아니라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과 비교해서도 감사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증분석 결과는 대체로 금감원의 품질관리감리 대상과 외국 회계감독기구에 등록한 감사인들은 그렇지 않은 감사인들보다 감사품질이 더 양호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뒷받침 한다. 감사인 조직운영방식의 차이도 일부 감사품질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품질관리감리 제도 운영과 관련된 시사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지 않은 감사인의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외국 회계감독기구 등록여부 변수 및 감사인 조직운영방식 유형과 감사품질의 관련성을 실증확인하고, 이들의 감사품질 대용치로서 사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Upon enactment of Sarbanes-Oxley Acts in 2002, U. S.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PCAOB) was established and began its investigations on the public accounting firms to evaluate their audit quality control system. Also, accounting firms, including foreign firms, auditing public companies listed in the U. S. stock exchanges are required to register with the Authority. In Korea,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the Korean regulatory authority, implemented its quality control review program on Korean accounting firms auditing public companie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s in 2007. Before then, such quality control reviews on the Korean accounting firms had been performed only by Kore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KICPA). Also, FSS is presently preparing for a registration rules for auditors of Korean public companies. Similarly, EU and Japan regulatory authorities have changed their regulatory systems including registration requirements for the third country accounting firms auditing public companies listed in their national stock exchanges, and the relevant regulations also include the authorities` quality control review program on the registered accounting firms located in the third countries. Many Korean auditors have registered with those foreign regulatory authorities to comply with these requirements. These global changes are based on the assumptions that auditor registration and regulatory authority`s investigation on the quality controls of the (registered) auditors would eventually improve audit quality. In addition, Carcello et al.(2000) and others reported that the auditor`s partnership profit-sharing pool siz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auditors` audit quality. This could be explained that the auditors with partnership`s larger size profitsharing pools promote more centralized firm-wide quality control efforts to minimize risks of audit failures, which eventually improve the firm-wide audit quality. This study is to find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factors affecting auditors` quality control systems and audit quality. For this purpose, I used the auditor group variables whether they are (1) subject to FSS`s quality control reviews, (2) under registration with the foreign regulatory authorities, and by (3) auditors` profit-sharing scheme types (i.e. "One Firm" type vs. "Simple Unity" type, as referred in the Briefing Report for FSS`s Quality Control Reviews released by the Authority in October 2010). I found that the first two factors [(1) and (2)] generally have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ion with (absolute) discretionary accruals of the audited clients. Additional tests by dividing the test variables into Big 4 groups and Non-Big 4 groups also show similar results. Group classification by auditors` operation types [factor No. (3)]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audit quality only for the case of "One Firm" type Non-Big 4 auditors compared to other Non-Big 4 auditors. These results generally supports the propositions of this study that auditors` requirement for (1) FSS`s quality control review, (2) registration with foreign regulatory authorities and (3) auditors` profit-sharing scheme types would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better audit quality, and also provide certain policy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FSS`s auditor quality control review program to consider voluntary quality control efforts of auditor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find that the auditors` quality control factors have positive association with deterrence of earnings management of the audited clients. Especially, the above three variables used in this paper are different from the ones test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include the results of quality control peer-reviews conducted by the AICPA or the KICPA(Casterella et al. 2006; Gunny and Zhang 2009; Kwon et al. 2010), the results of independent investigations by PCAOB as well as peer review(Hilary and Lennox 2005) or the third party governmental division`s quality control review(Deis and Giroux 1992). Similarly with this study, Krishnan and Schauer(2000) used peer-review dummy variables, but it is still different from this study in a sense that I used public regulator dummy such as FSS`s quality control review or foreign regulatory authority registration. Accordingly, this study`s results would potentially provide another auditor quality proxies for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품질원가시스템의 도입운영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정명환(Myung-Hwan Chung) 한국관리회계학회 2006 관리회계연구 Vol.6 No.2

        우리나라 기업현장에서의 품질원가관리에 관한 조사연구들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들은 90년대 들어 현재까지 품질원가시스템의 도입단계라고 볼 수 있고, 도입되었더라도 아직은 미흡한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일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D사에 대한 이 사례연구에서는 우선 사례기업의 품질에 대한 인식 및 품질관리시스템의 관리수준을 확인하고, 사례기업의 품질관리시스템의 운영수준을 확인하며, 확인된 품질관리시스멍에 상응한 품질원가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품질 및 원가관리부문의 관리자에 대한 면담조사 자료와 현장근무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그 결과는 품질원가 이론과 선행연구들에 비추어 평가하였다. 이 사례연구의 함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품질원가를 품질관리의 핵심지표로 인식한다는 점을 다시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종업원들이 TQM관점의 품질관리방식을 높게 인식할수록 (초)예방원가 중심의 품질원가관리를 높게 인식한다는 점이다. 셋째, 그러나 한편, 현실적으로 품질원가의 관리는 측정이 용이한 실패원가 중심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D사의 임원이나 관리자, 종업원들의 품질이나 원가에 대한 인식은 상당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나, 실제 구현되고 있는 품질원가시스템의 수준은 아직은 미흡한 수준이었다. 품질원가시스템의 개선에 대한 가장 큰 장애요인은 최고경영자의 관심부족과 전문인력의 부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e of the quality cost system in a Korean company D. D company is a medium size manufacturing company that acquired ISO9001 certificate in 1995. So it was expected that the quality cost system of the company would be implemented in a good level enough for managing quality costs effectively. This study was executed first through interviews with a director and managers who are responsible for cost and quality management. And the data about actual state of quality cost management in the front lines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s to employe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y perceive that quality cost management is a key issue in quality management. Second, they also perceive that TQM approach is better for minimizing quality costs rather than AQL approach. Third, though they perceive as above, actual quality cost system is not implemented well enough for meeting the needs. Only failure costs are accumulated and reported actually in D company, so much development is needed. In summary, though they perceive that the management of quality costs is very important for competitiveness. they don't implement such a good system for meeting the needs. The major obstacle of improving the system is the lack of CEO's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cost system. It may be necessary to show through empirical studies that the quality cost system would give more benefits than the costs to the compan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re exists a wide gap between education and actual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in the field. It is one of the issues that should be studied in management accounting.

      • KCI등재

        어린이 해열진통제 리콜 사례를 통해 살펴본 국내 의약품 품질관리시스템 현황과 선진국형 의약품품질관리시스템의 국내 도입방안 연구

        김정연(Jeong Yeon Kim)(金靜延),권경희(Kyeng Hee Kwon)(權京希)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1

        국내 의약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은 그간의 제도적 보완으로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최근 '어린이 해열진통제' 리콜 사례 등 제도 운영상의 미비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와 같은 GMP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와 품질리스크관리(QRM) 시스템을 도입하여 정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GMP 규정에 많은 부분이 반영되지 않아 아직 국제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약품의 품질 제고에 필요한 리스크 관리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의 GMP 규정과 국제적 기준(ICH)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선진 품질관리 시스템의 신속 정착을 위한 추진 전략, 둘째, 국내 GMP 규정에 리스크 개념을 반영한 개정(안), 셋째, QbDㆍQRM 기반 품목 심사를 위한 허가규정 개정방향, 넷째, 식약처의 제약업체 실태조사를 위한 리스크 관리 관점 도입 필요성, 다섯째, 제약업체의 신속한 QbDㆍQRM 시스템 도입 등이다. 본 연구 결과로 제시되는 우리나라의 QbD 및 QRM 제도 도입(안)과 추진 전략 등은 의약품 품질확보를 위한 업체의 첨단 기술 도입과, 정부의 선제적 제도화 노력을 앞당길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Despite progresses since the Korea GMP in 1994, there still appears deficiencies such as the recent recall issue of children's antipyretic oral suspension.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ose countries like US have introduces Quality by Design and Quality Risk Management, which Korea needs to adopt yet. This study compared the GMP and the relevant regulations of Korea with those of US, EU and ICH. The result suggests as follows; first, strategy for establishing infrastructure for QbD and QRM, Second, draft GMP revision to adopt risk management. Third, draft approval regulation for QbD/QRM products, Fourth, the need for introducing risk-based approach, fifth, industry's early adoption of QbD/QRM.

      • 도시가스 사용자 품질 만족도 제고를 위한 규정열량 준수 및 품질관리

        이수형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한국가스공사는 지난 1997년 당시 Mobil사의 EHSMS를 벤치마킹하여 KOGAS 고유의 EHSQ경영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EHSQ경영시스템을 통하여 안전, 보건, 환경 및 품질이슈를 통합적으로 관리, 현장위험 최소화 및 생산성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품질경영시스템 운영으로 최고의 품질확보를 추구하고 있으며 품질관리 전담부서를 경영관리부사장 산하에 배치하여 천연가스 열량제도 운영, 천연가스 품질관리 및 기술지원 등 전반에 대해 책임 있는 품질경영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규정열량 관리는 2015년부터 정부경영평가 주요사업부문 계량지표로 선정되었으며, 「열량측정 총 수급지점 수 대비 기준열량 미달 수급지점 수 편차 2% 이내 유지」라는 지표목표를 설정하고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열량 관리 수급지점(발전소, 도시가스, 탱크로리)의 지속증가, 정부 에너지 복지정책에 따른 저수요 공급지역 증가, 공사배관의 공동이용에 따라 공사와 민간 전체물량의 기준 열량 미달방지 책임가중 등 내외부 환경여건의 변화로 규정열량 관리의 어려움이 가중된 상황에서 예고열량 고시 및 수급 지점별 유기적 관리체계 강화로 미달 수급지점 “0”를 달성하여 지역별 요금편차 최소화를 통해 국민편익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편, 천연가스 수입원의 다변화 등 품질관리 중요성 부각으로 2012년부터 법제화 시 행중인 도시가스 품질검사 제도에 따라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정기적으로 품질검사를 받고 있으며, 검사합격률 100% 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평가와 연계한 자체 품질 검사측정 및 기록관리, 품질관리 기준 합리화를 위한 협력연구용역 추진 등 다양한 자구 노력으로 도시가스 사용자 품질 만족도 제고를 위한 지속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무기체계 개발사업 최적 품질요구도 수립을 위한 품질기획활동 방안에 대한 연구

        손민정,김진우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방위력개선사업은 군사력 개선을 위해 무기체계를 획득하는 사업으로 연구개발사업과 구매사업으로 구분된다. 연구개발사업 중 체계개발사업은 소요군의 무기체계에 대한 소요기획(소요 제기·결정·검증)을 시작으로 사업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선행연구, 개발계획(중기계획-기본계획-입찰 및 계약), 체계개발 및 양산을 거쳐 개발 무기체계를 전력화하며 종료된다. 무기체계 전순기 품질관리 강화 필요성에 따라 양산단계에 국한되었던 품질관리 영역이 체계개발단계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국방기술품질원은 체계적인 개발단계 품질관리 기술지원을 위해 품질관리수준 평가, 품질통제점 검토, 품질관리지원계획 수립 등 체계개발사업 진행 간 개발품질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개발품질관리 프로세스는 최초양산과의 연계성에 집중되어 있고 체계개발을 착수 이후 품질관리지원계획을 수립하여 품질활동의 범위가 제한적이다. 또한, 사업에 최적화된 요구도의 수립과 개발품질확보를 위한 비용의 현실화가 미흡하여 개발품질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국방기술품질원의 개발단계 품질관리 활동과 그 한계점을 검토하고, 품질에 관한 요구도, 사업비용 및 착수 시기를 중심으로 선제적 개발품질관리활동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발단계 품질관리와 소요기획 연계성을 높여 개발 무기체계에 대한 사용자의 실질적인 요구도를 반영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