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표제음악의 현대적 접근

        박은희(Eunhee Park)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표제음악을 현대적으로 접근하여, 대중을 위한 서양음악 콘텐츠 기획의 가능성 및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19세기 표제음악은 문학의 영향을 받은 음악으로써, 특별히 문학의 '각색'을 통해 전달된 다양한 스토리를 음악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음악적 장르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향곡, 예술가곡, 춤곡, 오페라 등 다양한 음악적 형식이 발전하였다. 특히, 교향시는 문학을 음악가의 관점으로 새롭게 각색하여, 문학의 스토리를 음악으로 표현하였으며, 이것은 서양음악을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는 방법이 되었다.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도 스토리를 각색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이동하며 하나의 새로운 스토리 세계관을 이룬다. 이러한, 스토리의 각색기법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표제음악의 콘텐츠 기획을 통해, 대중이 쉽게 서양음악을 접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제음악을 문학의 '각색'과 현대의 융합 미디어 기법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접근하여, 현대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괴테의 <파우스트(Faust)>를 스토리 설계, 미디어 선택, 콘텐츠 제작, 상연 그리고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등의 창작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대중도 쉽게 서양음악을 접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창작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ies and prospects of planning western music content for the public through a modern approach to 19th century title music influenced by literature. 19th-century title music is a representative musical genre that is influenced by literature and expresses various stories conveyed through music, especially through literary 'adaptations'. Based on this, various musical forms such as symphonies, art songs, dance songs, and operas developed. In particular, symphonic poetry is a new adaptation of literature from a musician's perspective, expressing the story of literature in music, which became an easy way to deliver Western music to the public. Modern “transmedia storytelling” also adapts stories and moves them to various contents to form a new story worldview. In this way,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Western music through the content planning of title music using story adaptation techniques and transmedia storytelling techniques.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d title music as a literary adaptation and transmedia storytelling, a modern convergence media technique,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 modern approach. By presenting the creative process of Goethe's “Faust,” including story design, media selection, content creation, performance,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the audience,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resource for creating cultural contents that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Western music.

      • KCI등재

        ‘파우스트’ 모티브의 음악적 현상학

        장미영(Chang, Mi-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5

        음악과 문학의 상호관계에서 나타나는 상이한 경향들에 대한 논의에서 ‘문학의 주제나 이념이 과연 순수 기악음악에 반영될 수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반영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문학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흥미롭다. 이러한 문제제기에서 19세기 표제음악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된다. 표제음악이야말로 소위 문학의 시대에 활성화 되었던 음악적 담론의 산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괴테의 희곡 『파우스트』를 토대로 한 리스트의 <파우스트 교향곡>을 다룬다. 그러나 특정 음악에 내재하는 문학적 의미론의 원칙을 찾아내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아니다. 보다 근본적인 목표는, 19세기 표제음악을 통해 문학과 음악, 이 두 장르의 형식적 발전사가 보여주는 역사적 연관성에 주목하면서 소위 ‘시대정신’이 이러한 장르 접목에 어떻게 투영되는가를 조명하고, 이 문화적 결합현상이 보여주는 문화사적·사회사적 의미를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데 있다. 이 목표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첫째, 낭만주의 문학의 음악관과 낭만주의 음악의 문학관을 상호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둘째, 문학과 음악의 접목을 추상적인 형태로 시도하는 표제음악의 미학적 배경과 이론을 고찰하며, 셋째, 문학작품의 형식과 내용, 즉 구성과 메시지가 어떻게 음향적 수단을 통해 음악으로 전이되는가를 <파우스트 교향곡>의 구조 및 화성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보고자 한다. Vom literarischen Blickwinkel her gesehen, bietet bei der Diskussion um unterschiedliche Tendenzen der Wechselbeziehung zwischen Musik und Literatur insbesondere die Frage, ob und in wieweit sich ein literarisches Thema bzw. eine literarische Idee in einem rein instrumentalen Musikstück widerspiegeln kann, interessante Einblicke. Bei dieser Fragestellung handelt es sich in erster Linie um die Programmmusik des 19. Jahrhunderts, ist die Musik dieses sog. literarischen Zeitalters doch als Produkt des damaligen musikalischen Diskurses zu verstehen. In ihr als Erbe der poetischen Romantik im weiteren Sinne wurde der ‘Zeitgeist’ in eine genial kunstvolle Form wie die der symphonischen Dichtung oder der Programmsymphonie transformiert. Die Grundidee dieser poetisch-musikalischen Symbiose ist insofern plausibel, als das wunderbare Geheimnis der Musik nach der ästhetischen Auffassung der literarischen Romantik darin besteht, dass die Musik dort, wo die Rede versagt, erst eine unerschöpfliche Quelle der Ausdrucksmittel eröffnet. Ziel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ist es also, die geistesgeschichtliche, aber auch die kulturhistorische Bedeutung der Programmmusik hinsichtlich des sich gegenseitig beeinflussenden Verhältnisses von Musik und Literatur aufzuzeigen. Dabei ist der Schwerpunkt dieser Arbeit unter folgenden Gesichtpunkten zusammenzufassen: erstens, die Musikauffassung der frühromantischen Literaturtheorie und die Literaturauffassung der romantischen Musik aus gegenseitiger Perspektive zu rekonstruieren; zweitens, ästhetische Grundideen und Theorien der Programmmusik zu verfolgen; drittens, die Semantik der Programmmusik anhand einiger Beispiele der Verbindungsmöglichkeiten zwischen Dichtung und Musik herauszustellen. Der Rahmen des an sich umfangreichen Gegenstandes beschränkt sich jedoch aus Platzgründen auf die Faust-Symphonie von Franz Liszt, wobei nur knappe Erläuterungen in Bezug auf die musikalische Analyse geliefert werden.

      • KCI등재후보

        표제 음악의 감상 지도

        김성지 ( Seong Ji Ki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7 예술교육연구 Vol.5 No.2

        음악을 듣는 활동은 음악 경험의 과정 속에서 가장 기초적인 활동이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음악을 듣기 좋은 소리로 받아들이는 것은 시작 단계의 일이며, 좀더 깊이 있는 수준의 감상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한 초석일 뿐이다. 음악 감상이 거듭 되는 동안 음악과 관련된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됨은 당연한 일이며, 음악적 상상력과 더불어 음악 내적, 외적 지식들이 음악을 이해하고 그 아름다움을 더 깊이 경험할 수 있게 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더욱이 음악 감상곡 중 표제 음악은 음악 외적인 문학적 또는 회화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음악 내적 표현만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표제와 관련된 여러 정황의 이해가 감상곡의 이해와 느낌의 공감에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리그의 「페르 귄트 모음곡」의 음악적 표현을 시극 「페르 귄트」와 연관 지어 고찰하고 지도방법을 찾는 과정을 통하여 표제 음악의 표제성이 음악 작품의 표현과 그 이해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었다. 학생들에게 표제 음악을 감상 지도하기 위해서는 그 감상곡 자체에 대한 연구만이 아니라 표제가 되는 대상에 대한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 스스로 능동적인 감상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음악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음악적 느낌을 공감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usic listening is very crucial and the most fundamental activity to gain experience in that field. But it`s just a beginning stage to view music as a pleasant sound, and students should go beyond that by learning how to appreciate it. They naturally find it necessary to study knowledge on music while repeatedly listening to that. Internal and external knowledge on music as well as musical imagination make a big contribution to hav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music and enjoying its beauty better. Among different types of music to be appreciated, program music couldn`t be understood well by having some knowledge about music itself only, as there are some literary or artistic background in this type of music. Listeners should be aware of the specific context of program music to understand it and have sympathy for it. This study looks into the musical expression of the 「Peer Gynt Suites」 and seeks teaching methods about that by linking it to the poetic drama 「Peer Gynt」. The effort by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the attribution of the programmatic dimension of program music played a great role in understanding it. To successfully teach how to listen to program music, it`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not only music itself but what`s described by it. And in order to stimulate students to enjoy listening to music on their own, More teaching methods should carefully be studied for motivating musical imagination and having sympathy for music.

      • KCI등재

        한슬릭 절대음악 미학관의 재조명

        이혜진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연구 Vol.32 No.-

        Eduard Hanslick argues in his ‘Vom Musikalisch-Schӧnen’ (1854) that “Music should be understood and enjoyed by itself.” He is known as a musician pursuing the formal aesthetics and the absolute music. In the mid-19th century when he was championing the absolute aesthetics, the revolutionary movement for freedom and democracy failed in Vienna, and thus, the former government was reinstated. Then, his aesthetic position was closely related not just with the pure music but also the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Vienna. Namely, Hanslick’s absolute music aesthetics was rel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Vienna’s bourgeoise arena in the late 19th century. He encouraged the Vienna citizens to have a valuable and noble taste of music and thus, wished them to help form a public debate arena, and here, the music required was ‘the absolute music.’ It was beyond the Vienna Classicism instrumental music featuring ‘universality’ and ‘public nature,’ continuously ‘progressing’ music in both modal and aesthetic forms like Brahms’ symphony, and the ‘play of the sounds ringing simply; it provided for something to think, while it harbored a spiritual meaning. 한슬릭(Eduard Hanslick)은 형식미학과 절대음악을 추구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그는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Vom Musikalisch-Schӧnen, 1854)에서 “음악은 음악 자체로 이해되고 향유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전개시켜 나갔다. 그런데 한슬릭이 절대음악 미학을 표명하던 19세 중반의 빈은 자유·민주주의를 향한 혁명 운동이 실패하고 옛 정부가 재집권하던 시기로, 그의 미학적 입장이 순수 음악적이 측면 외에도 당대 빈의 시대적·사회적 상황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당시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한슬릭의 절대음악 미학은 19세기 후반 빈 부르주아 공론장 구축과 관련을 맺고 있었다. 그는 빈 대중으로 하여금 가치 있고 고상한 음악 취향을 갖게 함으로써, 빈 음악계가 건강한 공론장 형성에 도움이 되기를 원했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 필요한 음악이 ‘보편성’과 ‘공공성’을 지닌 빈 고전주의 기악음악, 브람스의 교향곡에서와 같이 양식적으로나 미학적으로나 계속해서 ‘진보’된 당대에 생산된 음악, 그리고 ‘단순히 울리는 음의 유희’ 그 이상의,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며 정신적인 의미를 지닌 음악, 즉 ‘절대음악’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한국ㆍ북한ㆍ중국ㆍ일본의 전통음악 관련 사전의 편찬과 음악 연구

        권도희,이지선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22 동양음악 Vol.52 No.-

        이 글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음악 관련 사전, 나아가 Grove 사전과 MGG 사전을 검토하여, 사전 편찬과 음악 연구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한국의 사전 편찬 사업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전 편찬의 절차적 정당성에 관한 문제이다. 먼저 논저 해제의 검토를 통해 음악 지식의 산출물을 균형 있게 구성해야 한다. 사전 편찬에서 표제어 항목 간의 수평을 맞출만한 논리적 근거와 정당성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절차로, 표제어의 배분과 특정 이론으로의 편중을 막기 위해서는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사전 편찬의 원칙에 관한 문제이다. 제1세대와 2세대 학자들이 마련한 사전 편찬의 원칙, 논저 해제를 바탕으로 무엇을 표제어로 수용하고, 수용된 표제어 간의 지적 수평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원칙적 검토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국립국악원의 멀티미디어 사전은 매체적 속성을 고려한다면, 소통력이 강화된 사전과 열린 사전(wiki)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지적 대안의 문제이다. 전통음악과 관련된 사전을 편찬하기 위해서는 과거에서 벗어나 당대 및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국악에 대한 이념의 지향을 사전에 반영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북한 및 해외 한국인의 음악 유산에 대한 항목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아시아의 악기 및 음악사를 염두에 두면서 전통음악의 어법으로 된 각종 창작물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국악의 정의 재고와 사전의 활동에 대한 공공성의 확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간행될 사전에서는 편집의 기능을 심화시켜, 주제의 편중을 조정하고 기고자의 일방적 진술이나 주제 간의 기술적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편집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음악적 재현 논쟁 뒤에 숨은 신화

        정혜윤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0 音樂論壇 Vol.24 No.-

        Today, philosophical discussions on musical representation are almost exclusively focused on the issue of whether music can be representational or not. Philosophers consider pictorical representation as the paradigmatic case of representation and attempt to decide whether music satisfies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representation which are derived from pictorical representation. This essay reviews each of those necessary conditions and investigates the arguments which deny representation in music. It reveals the category fallacy involved in the negative arguments about musical representation and discloses the myth of the “autonomy of music” lurking behind it. Ultimately, this essay argues that discussion on musical representation can be meaningful only when it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music by identifying the nature of music which is newly illuminated through the prism of representation. This essay suggests that, for this purpose, it is not “whether music can be representational as paintings do” but “in what unique ways music can be representational” that should be at the core in discussion of musical representation. 오늘날 음악과 재현에 관한 대표적인 철학적 논의들은 재현의 핵심 조건들을 회화적 재현으로부터 이끌어내어 음악이 이러한 요건들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음악의 재현가능성 여부를 판가름하는 데 일차적 관심을 갖고 있다. 이 글은 음악은 재현일 수 없다는 근거로 흔히 제시되는 ‘재현의 필요조건들’을 조목조목 비판하고, 음악의 재현가능성을 부정하는 논증들이 흔히 범하고 있는 범주적 오류에 대해 지적하며, 이러한 오류 뒤에 도사리고 있는 ‘음악적 자율성’의 신화를 파헤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음악적 재현에 관한 논의는 재현이라는 프리즘을 통해비로소 새롭게 드러나는 음악의 고유한 본성에 대한 확인과 검토를 통해 음악에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는 데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글은 이를위해 음악적 재현에 대한 논의는 “회화가 재현적이듯 음악도 재현적일 수 있는가”가 아니라 “음악은 어떤 독특한 방식으로 재현적일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표제음악의 융합과 변용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법을 중심으로

        박은희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u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19th century title music with the modern cultural aspect of 'transmedia storytelling' to confirm whether the title music in the 19th century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modern digital covert culture. Title music has a similar purpose to transmedia storytelling in that it is an attempt to popularize music and communicate with various audiences through convergence and transformation. As a specific example, as a result of selecting and analyzing Debussy's 'La Mer', Liszt's three piano Nocturnes and 'Faust Symphony' among the title music, Debussy's 'La Mer' is well suited to painting, music and literature. It has each content of and constitutes a worldview with the same goal, and the three piano nocturnes form a unified worldview by independently spreading various contents such as poetry, art songs, and piano songs, and Faust It was found that the symphony was integrated into a single character, Faust, while expressing the story of a different character for each movement, and these components are all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erefore, cultural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s of genre and time and space have a long historical tradition dating back to the 19th century title music, and it is considered that new cultural planning that goes beyond transmedia storytelling and demonstrates various imaginations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19세기 표제음악의 융합과 변용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현대 문화적 양상과 비교하여 19세기의 표제음악이 현대의 디지털적 커버전스 문화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표제음악은 융합과 변용을 통한 다양한 청중과의 소통과 음악의 대중화 시도라는 점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 사례로써 표제음악 중 드뷔시의 ‘바다(La Mer)’, 리스트의 3개의 피아노 녹턴과 ‘파우스트 교향곡’을 선곡하여 분석한 결과, 드뷔시의 ‘바다(La Mer)’는 회화, 음악 및 문학 등의 각각의 콘텐츠를 가지면서 동일 목표를 가지는 하나의 세계관을 구성하고 있다. 3개의 피아노 녹턴은 시와 예술가곡 그리고 피아노 곡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독립적으로 확산하면서 하나의 통일된 세계관을 이루고 있으며, 파우스트 교향곡은 악장별로 다른 캐릭터의 스토리를 표현하면서 하나의 캐릭터인 파우스트로 통합되었음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모두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 특징이다. 따라서 장르적, 시공간적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문화적 시도는 19세기 표제음악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뛰어넘는 다양한 상상력이 발휘되는 새로운 문화기획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 KCI등재

        영화음악이 영상에 미치는 효과-영화 「인생은 아름다워(Life is beautiful)」를 중심으로-

        강효욱(Kang, Hyow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1

        이 글은 영화음악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일련의 기준을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영화음악이 영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영화음악의 역할과 기능이 가장 적절하게 드러났다고 평가되어지는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에서 적용된 몇몇 주요 음악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영화 전반에 거쳐 영화음악이 영상과 영화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영화에 삽입된 음악의 경우 원곡과 비교·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스토리 전달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독창적인 측면은 선행 연구를 통해 자주 언급된 ‘유도동기(Leitmotif)’와 함께 ‘표제음악(Program music)’을 영화에 적용하여 이를 새롭게 조명했다는 점이다. 영화음악이 갖는 다양한 역할과 기능은 영화의 텍스트가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만드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관객은 영상을 통해 이미지를 떠올리기도 하지만, 영상은 그 자체로는 이면에 있는 것들을 묘사해 내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영화음악은 영상이 갖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시 말해 영화음악은 영화 이면에 있는 본질을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른바‘표제음악’을 통해 영화 전체의 주제를 전달하고, ‘유도동기’를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이미지를 형성하고, ‘소스음악’을 통해 영화의 흐름에서 관객의 정서를 이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영화음악이 갖는 역할이 음악을 통해 감동을 선사하기 때문에 영화를 보다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측면도 있겠지만, 보다 근본적인 역할은 영상을 통해 보여줄 수 없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영상을 대신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how the film music influences the film based on a set of criteria which was built by theoretical analysis of the roles and the functions of film music. First of all, in this study I identify how film music influence the film and format by analyzing several music from the movie, “Life is beautiful”, which is the mostly well- evaluated film for revealing the roles and the functions of music. Moreover, I showed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oundtracks of the film and the original piece and represented that the soundtracks play a crucial role in the film to deliver the story effectively. The original aspect of this research is the way to apply “Program music” along with “Leitmotif” which have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shedded new light. The various roles and functions of the soundtracks decisively contribut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texts from the film. Although spectators conjure up the image through film, it has a limitation to describe what is behind by itself but the soundtracks help film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n other words, soundtracks play a role as a supporter to understand the essence behind the film. Thus, the film is conveying whole theme through “Program music”, forming consistent image by applying “Leitmotif” and importing spectators’ sentiments at the flow by “source music”. Therefore, the roles of these series of film music have an aspect to give the additional impression and enrich the story of the movie, but the fundamental role of the music is the replacement effect againt film itself

      • KCI등재

        리스트 교향시에 나타난 ‘음악과 언어의 관계변화’에 관한 미학적 고찰

        이혜진 한국서양음악학회 2016 서양음악학 Vol.19 No.2

        19세기에 이르러 순수 기악음악이 언어에 비해 사물의 본질을 더 잘 표현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사고가 형성되면서, 음악은 가사나 줄거리, 기능성에서 벗어나 독립적 존립이 가능해졌으며, ‘참된 본질 자체’로서의 예술의 ‘절대성’을 부여받게 되었다. 음악이 음악 외에 무언가를 ‘표현’할 수 있다는 이러한 사고는 19세기 표제음악 발전의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특히이 시기 표제음악 작곡가들은 음악의 표현 대상을 ‘비규정적인 것’(Unbestimmten)에서 ‘규정적인 것’(Bestimmten)까지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즉 이들은 표현어법을 계속해서 발전시키다보면 음악도 언어와 마찬가지로 대상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믿었다. 그리고 리스트의 교향시는 바로 이러한 표제음악의 발전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At the advent of 19th century, the thought that pure instrumental music could represent the true nature of things better than language had shaped, therefore music could survive independently of lyric, plot, or function, and was endowed with the absoluteness of art as a true nature of things itself. The idea that a music can represent things besides the music itself became the important starting point of the development of 19th century programatic music. Especially, the programatic music composers of that time tried to expand the object of representation from the the Unbestimmten to the Bestimmten. In other words, they believed that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idiom of expression would make music represent things as concretely and definitely as language. The symphonic poem of Listz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development of programatic music.

      • KCI우수등재

        음악저작 우선표제 기술 지침 개발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이미화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1

        본 연구는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개발시 고려사항을 제안하고자 RDA 규칙을 분석하고, 여러 국가 도서관의 지침을 분석하였다. 우선, RDA 규칙을 분석하고, 규칙의 별법 및 선택사항별로 자체적인 지침을 개발한 8개 국가도서관에서 RDA 적용 지침을 조사하여 주요 고려대상 규칙을 살펴보았다. 이후 규칙별로 MLA, LC-PCC, DACH의 지침 내용을 분석하여 고려사항을 실질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우선표제 선정과 관련하여 원어표제를 채택하도록 하되 원어표제가 국내 이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 다른 언어의 우선표제를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선표제 기술과 관련하여 한 파트 저작, 둘 이상의 파트를 가진 저작, 한 저자의 전집, 특정 작곡유형명의 전집, 불완전한 합집, 여러 작곡가의 합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추가요소로 연주수단, 숫자표시, 음조, 기타 식별특성을 우선표제 기록시 고려사항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작곡유형명과 연주수단을 위한 통제어휘집을 지정하거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RDA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개발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으므로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관련 규칙 개발과 도서관에서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recording a preferred title in musical works by analyzing the RDA rules and guidelines of several national libraries. First, RDA rules were analyzed, and the primary rules for consideration were examined by reviewing RDA application guidelines from eight national libraries that have developed their own guidelines for alternatives and options of RDA rules. The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each guideline, including MLA, LC-PCC, and DACH, practical considerations was to provide. First, the original language title should be adopted in the selection of preferred title, but if the title in the original language is not suitable for domestic users, the title in other languages should be used. Second, the preferred title was examined in aspects of works with one part, works with more than one part, the complete works of one author, the compilation of a specific type of composition, the incomplete compilation, and the compilation of several composers. Third, medium of performance, numeric numbers, key, and othe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as additional factors for consideration in the record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or present a control vocabularies for the types of compositions and the medium of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guidelines for recording the preferred title for RDA musical works, and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ules related to preferred titles for musical works and guidelines for recording the preferred title for musical works in libr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