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음악 청취, 문화자본 그리고 계급: 1980년대 한국 헤비메탈 형성의 문화정치

        조일동 ( Joe¸ Ildong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6 No.-

        한국에서 헤비메탈 음악은 주류 대중음악 시장에서 한 번도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음에도 지난 30여 년 간 끊임없이 실천되고 있는 장르 음악이다. 본 논문은 1980년대 한국에서 헤비메탈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에 관계하고 있는 인적, 제도적, 사회·문화·역사적 맥락을 살피고 그 의미를 모색한다. 특히 노동계급 젊은 백인 남성의 하위문화였던 영국이나 미국 헤비메탈의 기원과 달리, 학력자본과 문화자본을 가진 중산층 예비 대학생 집단의 고급 취향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기존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특정 문화가 세계 대중음악의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문화제국주의로 이해하곤 했다. 그러나 한국 헤비메탈 팬덤과 음악인들은 음악 형식에서 영미의 헤비메탈과 닮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바는 꽤나 다른 차원에서 작동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헤비메탈은 당대 한국의 주류 대중음악의 권위에 반하는 음악이었을 뿐 아니라, 앞선 세대의 한국 록 음악인들이 만들어 온 역사와 흐름에 대해서도 구별짓기를 시도했다. 한국 내부의 정치, 사회, 문화적 상황 변화에 따라 연주하는 음악의 형식이나 스타일을 바꾸길 주저하지 않았던 전세대 음악인의 행보도, 건전한 대학생이 만드는 아마추어리즘에 기반한 음악에 대한 압력도, 방송이나 음악 산업의 권력의 요구를 따르기보다 스스로 자신의 음악 문화를 개척하길 선택했다. 그렇다고 당대의 중요한 한국 대학문화의 일부였던 민중적이고 민족적인 성향도 거부했다. 1980년대 한국 헤비메탈 형성은 대중음악 장 안에서 학력자본과 문화자본을 소유한 새로운 세대가 한국 밖에서 도입한 음악 형식과 하위문화를 들고 사회적 헤게모니를 둘러싼 상징투쟁에 뛰어들었던 문화정치의 장이었다. In Korea, Heavy Metal music is a genre that has been continuously practiced for over the past 30 years, even though it has never achieved commercial success in the mainstream popular music mark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ext of institutional, social, cultural, historical and human resources related to the Korean Heavy Metal culture’s formation in the 1980s and to explore its meaning. In particular, I pay attention to the unlike of the origins of Heavy Metal in the British or the United States, which were subcultures of young white men of the working class, but in Korea it was the distinctive taste of the middle-class precollege students with cultural capital. Some previous studies have understood this situation as cultural imperialism, in which a specific culture dominates the hegemony of popular music all around the world. But in here, I reveal that the Korean Heavy Metal fandom and musicians were trying to achieve a different goal from British and American ones, although the Korean’s musical forms and styles were resemble to the West things. For young Korean Heavy Metal founders, practicing of that music was not only the way that went against the authority of mainstream Korean popular music at the time, but also attempted to distinguish the history and flow of Korean rock musician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ey wanted to carve out their own music culture by refusing to make music based on amateurism, rejecting the demand of the broadcasting system or music industry, and denying to follow the behavior of a previous generation’s rock musicians who turned over their form and style of music according to changes of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ower in Korea. They also did not follow the tendency of people’s democratic or ethnocentric nationalism which were important university culture in Korea of that time. In sum, the formation of Heavy Metal culture in Korea at the 1980s was a cultural political field, where the generation of new subculture with cultural capital participated in symbolic struggle over social hegemony in popular music scene.

      • KCI등재

        여성의 음악후원과 그 역사성: 17세기 합스부르크 황후들의 음악후원의 경우

        나주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音樂論壇 Vol.41 No.-

        This study explored the musical patronage provided by two empresses with the same name, Eleonora Gonzaga, of Habsburg in the 17th century with the intention of approaching the field of women’s musical patronage, which has been a neglected research area, by revealing the achievements of female patrons wh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beginning, spread, and development of Western modern music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ey are originally from Mantua, Italy, they played a major role in introducing and settling down ‘new’ musical styles and genres in the palaces of Vienna, making them became the identity, essence, and tradition of the court music culture. At that time, as the ‘ambassadors’ of music, they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the major style and genre of the time, baroque, by propagating the innovations of Italian music and to the ultimate transition of music to modern era, which is why their achievements must be included in the historical narrative. 본 논문은 서양 근대음악의 출발과 전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여성 후원자들의 공적을 드러내어 ‘여성의 음악후원’이라는 소외된 연구 분야에 유의미하게 다가가 보려는 목적하에 17세기 합스부르크 가문의 두 엘레오노라 곤자가 황후에 의해 행해진 음악후원을 탐구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이탈리아 만토바 출신으로서 이들은 고향의 새로운 음악 양식과 장르들을 빈 궁정에 정착시키고, 그것이 궁정 음악문화의 정체성으로, 본질로, 전통으로 자리 잡게 했다. 그리고 이때 이들은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여인들이었다. 동시에 음악의 ‘대사’(大使)로서 이들은 이탈리아 음악의 혁신들을 이동시키고 전파함으로써 바로크 음악의 주요 양식 및 장르가 확산하는 데,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음악이 근대로 옮겨가는 데 기여했다. 이들의 업적이 역사 서술에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 KCI등재

        프랑스 바로크 음악의 ‘좋은 취향’과 ‘혼합 취향’: 지역적, 정치적, 세대적 갈등

        권송택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音樂論壇 Vol.47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and the rivalry between France and Italy in music prevalent during the Ancien Régime. These were examine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regional, cultural and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from the angle of political and generation conflicts that resided within France by investigating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the contemporary literature. Controversy over Italian music existed from the 17th- to the middle of the 18th-century in France. The changes of the tastes in French music were unfolded in two directions: ‘Le bon goût’ developed from the tradition of describing the influence of French literary classicism on music and ‘Les goûts réunis’ developed after reconciliation between the French and Italian music. It was shown that the changes in French music at that time were primarily due to cultural, regional, and aesthetic differences. Still, the contribution by the political instrument of the Absolute monarchy and the generational conflict of the Lullistes, Préramistes, and Ramistes could not be ruled out.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초 구체제 시기의 프랑스에서는 자국의 음악과 이탈리아 음악을 비교하고, 이탈리아 음악을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이에 대한 경쟁의식이 일어났다. 본 논문은 당대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문헌들을 참조하여 이러한 현상을 지역적, 문화적, 미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이 시기의 과도기적인 정치적 또는 세대 간 갈등에 초점을 맞춰 살펴본 결과이다. 이탈리아 음악을 폄하하고 배척하면서도 프랑스 바로크 음악에서는 취향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는 프랑스 문학의 고전주의 미학에서 발달하여 음악의 취향으로까지 확장된 ‘좋은 취향’과, 이탈리아 음악의 영향으로 나오는 ‘혼합 취향’으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드러난다. 이 변화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본질적인 기질의 차이, 즉 문화적, 지역적, 미학적 특징은 물론, 그 과정에 숨어있는 절대왕정의 정치적 의도, 그리고 륄리 세대, 륄리 사후 세대(라모 전세대), 그리고 라모 세대를 거치면서 일어나는 세대 간 갈등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역사를 재현한 서양과 한국 작곡가들의 21세기 예술음악 비교 연구: 세월호 사건과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손민경 ( Son Mingyeong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音樂論壇 Vol.48 No.-

        이 글은 21세기 글로벌 시대 한국 음악가들이 세계무대에서 약진하는 가운데 한국 역사를 중심으로 자국과 서구 음악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이다. 서양 작곡가에게는 한국음악 활용의 진정성이라는 과제가 있는 데 비해, 한국 작곡가에게는 서양음악 영향 속에서 한국 문화 추적이라는 과제가 주어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역사를 바라보는 서양 작곡가와 한국 작곡가의 서로 다른 접근 방향을 전제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서양 작곡가가 공통적으로 다루었던 세월호 사건과 일제강점기 역사를 택하여 음악적 재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전자의 경우 정태봉의 ≪진혼 II: 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며≫(2014)와 마이클 팀슨(Michael Timpson)의 색소폰과 국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시나위 교향곡 ≪심박≫(Heartbeat, 2014), 후자의 경우 한일 관계의 실태를 조명한 김택수의 ≪국민학교 판타지≫(2018)와 코어드 마이어링(Cord Meijering)의 타악 솔로 심포니 ≪마르시아스≫(Marsyas for Percussion Solo Symphony, 2018/19)이다. 분석 결과, 각 역사적 사건은 한국 작곡 양식과 서양 작곡 양식으로 구분되어 일반화된다기보다는 창작자 개인의 교육 배경과 현지 문화 경험의 정도에 따라 상대적인 문화적 거리 차가 존재했으며, 여기에는 문화 내부자와 외부자 시선이 내재해 있었다. 서양 작곡가들의 작업에서는 동양을 하나의 동질적인 문화로 표상한 과거 오리엔탈리즘과는 달리 한국적 요소의 진지한 접근과 세밀한 재현으로 현시대 진일보한 면이 발견된다. 이러한 창작 방식은 동양 문화와 서양 문화라는 이분법을 넘어, 한국 내 지역적이고 토착적 소리를 국제무대에 점점 울림으로써 한국이 보다 주체적 위치에서 예술작품에 수용될 가능성을 드러낸다. 즉, 동양을 비롯한 비서구권 타문화에 대해 서구 주체가 구축해온 헤게모니 체계를 전복시키는 ‘탈식민주의’(decolonization)의 미학적 의의를 창출한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Western music with a focus on Korean history. The research assumes that there are different approaches to Korean history in the context of the authenticity of Western composers’ use of Korean music and the task of tracing their own culture amid the influence of Western music by Korean composers. To this end, this paper selects musical pieces by Korean and Western composers that draw on specific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Sewol ferry incident and Japanese colonialism: composer Tae-bong Chung’s Requiem II for Percussions (2014), American composer Michael Timpson’s ‘Heartbeat’ - Sinawi Symphony for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2014), and composer Taxu Kim’s Koomin Fantasy (2018) and German-Dutch composer Cord Meijering’s ‘Marsyas’ for Percussion Solo Symphony (2018/19) respectively. As a result of music analysis, each case presents histor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e composer’s background and aesthetics, rather than being generalized into Korean and Western compositions. Nevertheless, Korean and Western composers contain differences between insider and outsider perspectives concerning genuine local experiences from Korean history. Western composers present advanced discoveries of the present era through their serious approach and detailed reproduction of Korean elements these days, unlike the orientalists who collectively represented the Orient as a homogenous culture. With a thorough attention and elaborate representation of the elements, this compositional method goes beyond the dichotomy of East and West culture and uncovers the possibility that Korea will be accepted into musical works from a more overriding position by gradually resonating with local and indigenous sounds in Korea on the international stage.

      • KCI등재

        일제시기 서양음악문화와 일본인의 영향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1 音樂論壇 Vol.25 No.-

        <P>&nbsp;&nbsp;본 논문은 지금까지 기존 한국음악학 연구에서 강제와 통제의 시각, 친일이냐 아니냐의 관점에 편중되었던 와중에 도외시되었던 식민지 음악문화 속의 일본인의 존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이 지배 권력이었으므로, 식민지 조선 음악문화에 일본의 영향이 컸으리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 것이지만, 실제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했었던 것이 사실이다. 1920-40년대 한반도에서 서양음악의 수용상황과 양악문화를 조선인의 테두리에만 국한한다면, 당시의 상황을 이해하기 힘든 점이 많았다. 먼저 일본인 청중의 존재는 매일신보 , 동아일보 , 조선일보 , 경성일보 등에 광고된 당시 쌀 한가마니에 육박하는 비싼 유명 외국인 음악가의 연주회와 티켓예매 장소들에서 유추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식민지조선에서 활동한 일본인음악가들의 존재에 대해서는 조선인 수용자의 반응이나, 신문과 잡지에 소개된 활동을 통해 접근했다.</P><P>&nbsp;&nbsp;한 걸음 더 나아가 조선에 들어와 주인행세를 하며 ‘그들만’의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문화로 담을 쌓았던 일본인들이 정치적 권력 뿐 아니라, 음악문화의 권력도 장악하였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 예로 성악가 히라마 분쥬를 들었다. 음악적, 교육적 능력이 탁월하여 일본과 조선에 수많은 제자를 거느렸던 그는 전쟁말기 조선총독부의 새로운 정책에 따라 조직을 개편하고 실행하는 데 유리한 인물로서, 수준 높은 프로파간다를 했으리라 사료된다.</P><P>&nbsp;&nbsp;결론적으로 식민지 조선의 서양음악문화연구는 일본인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으며, 당시 한반도에서 구분되었던 조선인 음악문화와 일본인문화 (더 나아가 외국인음악가의 존재)를 전체로 바라보는 ‘다문화적’인 측면과 식민지 음악문화의 ‘정치사회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P>

      • KCI등재

        디지털 음악 플랫폼에서 창발하는 음악 생산과 수용의 새로운 모델: 에이펙스 트윈의 사운드클라우드 계정 ‘user18081971’을 중심으로

        정명철,오준호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音樂論壇 Vol.37 No.-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new model of music production and reception emerging in digital music platforms focusing on user18081971, an account of SoundCloud by Aphex Twin. First, it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n digital music platforms. The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digital music platforms as tools satisfying desires of listening music without limit or standardizing listeners’ preference and exploiting musicians. However, Aphex Twin shows that the new model of mus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an emerge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various actors ; copyright law, recording companies, fan, algorithm, Youtube, instruments, voting websites. The paper analyzes the cases caused by the account of Aphex Twin based on Actor Network theory. Through the analysis, it suggests that users of digital music platforms in Korea consider the process of music production and reception as a game made by producers and consumers. 본 논문은 에이펙스 트윈의 사운드클라우드 계정 ‘user18081971’을 중심 으로 디지털 음악 플랫폼에서 창발하는 음악 생산과 수용의 새로운 모델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디지털 음악 플랫폼에 관한 선행연구 들을 검토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디지털 음악 플랫폼을 다양한 음악을 무 제한으로 듣고 싶어하는 청자의 욕구를 실현하는 꿈의 도구로 보거나 청차 들의 취향을 획일화하고 음악가들을 착취하는 도구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에이펙스 트윈은 저작권법, 음반회사, 팬, 알고리즘, 유튜브, 악기, 투표 웹 사이트 등의 행위자가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음악 생산과 배급 모델이 얼마든지 출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기반해서, 에이펙스 트윈의 계정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사건들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국내의 디지털 음악 플랫폼의 사용자들에게 음악 생 산과 수용의 과정을 창작자와 수용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게임’으로 사유 해 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서양음악사 용어의 한글화 통일을 위한 연구 : Definition and Suggestion of Korean Term(Medieval Period) 정의 및 한글 용어 제시(중세편)

        金文子 漢陽大學校 音樂硏究所 1995 音樂論壇 Vol.9 No.-

        서양음악 용어를 한글화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은 그동안 학계의 관심사가 되어 왔고, 이를 위한 연구발표 및 심포지엄도 여러 차례 개최된 바 있다. 특히<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주관으로 개최된 두 차례의 음악용어 심포지엄에서<趙善字>교수와, <洪正守>의 논문을 중심으로 이 문제점에 관한 토론이 있었고 한양대 음악연구소 <朴在成>교수가 작성한 대위법, 화성학, 음악형식 용어 및 중. 고등학교 교과서에 사용된 서양음악 용어를 정리한 “용어 목록자료1”은 주목할 만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하여 필자는 그동안 서양음악사 부문에서의 용어들을 목록으로 작성하고, 이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기하였었는데, 본 연구는 이들 연구의 후속 작업이다.

      • KCI등재

        문학의 낭만주의가 <마탄의 사수>에 끼친 영향

        권정선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0 音樂論壇 Vol.24 No.-

        본고는 베버의 <마탄의 사수>가 당대 문학에서의 낭만주의적 현상과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본고의 전반부는 낭만주의 문학에서 음악이어떤 의미를 가지며, 또 어떤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장 폴의음악과 감정의 관계에 대한 사고를 거쳐 낭만주의 문학작품인 바켄로더의 「음악가 요세프 베르그링어의 기이한 음악적 삶」과 티크의 「프란츠 슈테른발트의 방랑」에 나타나는 문학의 ‘음악화’에 대해 토의한다. 후반부에서는 <마탄의 사수>와 「프란츠 슈테른발트의 방랑」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여기에서는 낭만주의 문학에서의 ‘음악화’ 현상이 낭만주의 음악의 ‘새로움’에 어떤 구체적인 기여를 하는지에 대해 집중한다. 본고는 <마탄의 사수>에 나타나는 베버의 유도동기와 관현악에서의 음색에대한 고려가 당대 문학과 철학에서의 음악에 대한 토론에 그 기반을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essay is based on the thesis that Weber’s <Freischutz> is closely connected to the Romantic phenomenon in literature. In the first part, the question that is central to the thesis is what role music plays in the Romantic period and in which way it appears in the literary work. After Jean Paul’s first thoughts about music and emotion the discussion of ‘musicalisation’ in Romantic literature is initiatied with Wackenroder’s 「Das merkwürdige musikalische Leben des Tonku¨ nstlers Josef Berglinger」and Tieck’s 「Franz Sternbalds Wanderungen」. The second part of the work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Franz Sternbalds Wanderungen」 and <Freischu¨ tz>. Here the examination concentrates on which concrete contributions Romantic literature under the heading ‘Musicalisation’ makes to the ‘New’ in the music of the Romantic period. This work shows that Weber’s considerations about leitmotiv and instrumentation in regard to the timbre in <Freischutz> are based on his examination of the discussion about music in the literature as well as is the philosophy of the time.

      • KCI등재

        리스트의 교향시에 나타난 주제와 음악적 구상

        이성률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4 音樂論壇 Vol.31 No.-

        An artist’s work is said to be related to what he or she hasexperienced in his or her life. In Liszt’s case, he was alsoaffected by his father in his childhood and educationalcircumstances. Although he didn’t work music nationalistically athis early period (or at the beginning of his career), there are lotsof nationalistic factors which reflect the influence of folk musicin his symphonic poems. In addition, the topics of all his thirteensymphonic poems are related to his educational experiences, therevolution and his political point of view. The topics used inLiszt’s symphonic poems are various. For example, they involvemeetings of music and literature, expressions of philosophicalthought through music, feelings about the arts and so on. Lisztwanted to translate his ideas into reality through his symphonicpoems as ‘the future music’ where all the hot issues at that timesuch as music, literature, drama, mythology, folks, arts andthought could be harmonized well. 한 작가의 작품은 개인적 삶에서 경험한 것들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 리스트의 경우도 어린 시절 아버지의 영향과 교육환경은 그의 음악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리스트의 음악성, 문학성 그리고 종교성도 모두 부모로부터 물려받았다. 리스트는 헝가리 민족주의 음악을 처음부터 작곡하지는않았지만, 그의 교향시에는 민족적 요소가 많이 표현되었다. 또한 음악교육과정, 혁명 그리고 그의 정치관등은 모두 그의 13개 교향시의 주제와 연관이 있다. 리스트의 교향시에 사용된 주제들은 매우 다양하다. 그의 주제들을 살펴보면 음악과 문학의 만남, 음악을 통해 철학적 사고의 표현, 역사와 혁며에 대한 음악적 표현 그리고 그림을 보고 느낀 감정 등이 있다. 리스트는 자신의 교향시를 통해 당대 음악가들의 주요 담론이었던 음악과 문학,희곡, 신화, 민족, 회화, 사상 등이 함께 어우러진 ‘미래음악’을 현실화 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