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江戸時代日本に残された漂流記

        池内 敏(IKEUCHI, Satoshi)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2 島嶼文化 Vol.0 No.40

        에도시대에 유포한 「표류기(漂流記)」와 메이지이후에 여러 번 편찬된『표류기집(漂流記集)』에 수록된 「표류기(漂流記)」와의 사이에는 그것을 「표류기(漂流記)」로서 평가하는 관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어떤 표류사건에 관해서 사료가 어떤 시점에 처음에 「표류기(漂流記)」로 읽히게 되었는지에 유의하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표류기록(漂流記録)」과 「표류기(漂流記)」의 명확한 구별은 쉽지 않지만「표류기록(漂流記録)」으로 유지해야 하고 때로는 그것을「표류기(漂流記)」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점에 유의하면서 근세 일본인의 조선표류기를 통해서 에도시대 일본에 남겨진「표류기(漂流記)」의 특징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최근, 근세후기 일본의 특징 중 하나가 「표류의 시대(漂流の時代)」라고 지적되었지만, 그 경우의 주된 관심은 구미(欧米)와의 관계에 초점이 있다. 즉, 18세기 당시 일본과 정식으로 외교관계를 갖지 않고, 외교루트에 의해 해당지역의 정치정세와 문화의 상태를 알 수 없는 경우에 표류민을 통한 정보수집에 관심이 모아졌다라고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한편, 근세 동아시아 특히 조선․일본․중국의 세나라 사이에서는 표류민의 상호무상송환제도(相互無償送還制度)가 기능하고 있었고 유독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는 표류기가 많이 남아 있지 않다. 즉,「듣고 쓰기(聞書)」형식의「표류기(漂流記)」는 정식 외교관계가 없는 지역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갈망한 지배권력과 지적 호기심으로 가득찬 사람들이 관여해서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반대로 말하면, 근세에 있어서 일본과의 사이에서 표류민상호무상송환제도(漂流民相互無償送還制度)가 기능한 지역에 관해서는 「듣고 쓰기(聞書)」형식의「표류기(漂流記)」가 만들어지는 것은 드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표류기록(漂流記録)」이 널리「표류기(漂流記)」로 폭 넓은 독자를 확보할 수 있게 된 것은 많은 경우 근대 이후에 일이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If you compare records of drifting across the sea from th Edo era with the ones in the journal collection, which was published several times after the Meiji period, there seems to be different points of views in perceiving just what a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is.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time the document on the adventure stories was read as a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is critical to analyzing them. It is not easy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written records of drifting across the sea” and “journals of drifting across the sea.” However, part of such records, sometimes, evolved into a journal of drifting across the sea. Bearing this in mind, this paper discusses the unique features of “records of drifting across the sea” from the Edo era based on the drifting across the sea in the Joseon Dynasty by the Japanese in the modern era. Recently, the late modern era in Japan has been recognized as “the era of drifting across the sea”. However, the focus l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Western countries. That is because since Japan did not have an officcial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ose countries, there was no way for the Japanese to understand the geopolitical situation and the culture of those countries in the 18th century. Thus, it seems Japan was interested in gathereing information from drifters. Unlike this, modern East Asian countries, Japan, China, and the Joseon Dynasty in Korea in particular had a system of sending the drifters to their home country for free. That is why there are not many records of drifting across the sea left. As such, records of drifting across the sea in the form of Kikigaki were written for the needs of the ruling power and those who were full of intellectual curiosity about the region that Japan did not have a formal relationship with. That means, the Kikigaki journals were not commommly written about regions where a free mutual repatriate system was in place in modern times. In many cases, only in late modern times, the records of drifting across the sea became widely popular as a journal of drifting across the sea.

      • KCI등재

        漂流의 발생과 역할에 대한 탐구 -동아시아 해역을 배경으로-

        윤명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8 No.-

        東아시아 역사는 육지와 해양을 하나의 틀 속에서 유기적인 관계로 파악해야 한다. 즉 海陸史觀이란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는 선사시대부터 해양활동이 활발했으며, 그 능력에 따라 지역 또는 국가의 발전이 영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표류현상이 발생했다. 표류란 바다와 강 등에서 특별한 이유로 배가 방향을 잃고 위험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황을 의미한다. 해양문화와 역사상을 이해하려면 농경민의 인식과 생활방식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해류 조류 바람은 해양활동과 문화가 만들어지는 틀과 성격에 강력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표류는 자연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해양교류는 육지교류에 규모가 작고 비조직적이다. 뿐만 아니라 不規則的이고 連續的이지 못하다. 특히 표류는 더욱 그러하다. 표류는 한국의 남해안인 대한해협, 동해, 황해 그리고 동중국해의 전 해역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항해조건이 나쁜 동해에서 많이 발생했다. 표류의 기능을 정치, 문화, 경제, 항로문제와 연관시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표류는 航路의 발견과 계발을 촉진시킨다. 선사시대에는 주로 이러한 역할을 했다. 둘째, 표류는 漂着 해역 및 지역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계기가 됐다. 고대국가가 완성되면서 조직적으로 활용하였다. 셋째, 표류는 민간인의 移住(settlement)를 낳고 이어 植民活動(colony)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고대 한국지역에서 일본열도 진출할 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 넷째, 표류와 표착은 진출과 정복이라는 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계기로 활용됐다. 다섯째, 표류와 표착은 국제질서의 변화를 가져오는 변수의 역할도 하였다. 漂流는 정상적인 항해에 비해서 일상적이지 못했고, 역사와 문화현상에 대한 파급력도 약했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 외에 역사적으로 긍정적인 역할도 했다. 때문에 시대에 따라서는 국가가 표류현상에 대하여 일정한 관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표류의 현상과 기록은 전근대시대의 航路와 航海의 메카니즘을 파악하는 데 유효한 자료를 제공했다. The history of East Asia should be examined based on organic relationships in a single framework of the land and the seas. Namely,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seas and land. East Asia has showed vital ocean activities since the prehistoric age and they have influenced regional or na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apacity. During the process, the phenomenon of drift occurred. Drift means the situation that a ship on the sea or river was in danger, losing control caused by specific reasons. In order to understand ocean cultures and history,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 recognition and lifestyle of farmers. An ocean current, a tide, and wind have a strong effect on the framework and characteristics in which ocean activities and cultures develop. Especially, drift is directly influenced by natural environment. Ocean trades are relatively smaller and less unorganized than land trades. Furthermore, they are irregular and discontinuous. Especially, drift is much irregular and discontinuous. Drift occurred in South Coast of Korea includes the Straits of Korea,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and all ocean areas in East China Sea. Especially, it occurred frequently in the East Sea which had a horrible voyage condition.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function of drift related with politics, cultures, economy, route issues, the roles of drift are shown bellow. Firstly, drift speeds up the discovery of new routes and development. That was a major role in the prehistoric age. Secondly, drift paved the way for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covery of drifting ashore and regions. It was applied systematically as ancient nations were established. Thirdly, drift allows people to build settlement and tends to develop to colony. Such phenomena occurred while advancing from ancient Korean regions into the Japanese Islands. Fourthly, drift and drifting ashore were applied as a moment to achieve political purposes such as advance and conquest. Lastly, drift and drifting ashore played a role of a variable to change an international order. Drift was less usual than ordinary voyage and had little influence on history and cultural phenomena. However, In spite of negative aspects, drift played positive roles. With regard to times, it can be observed that a nation manages the phenomena of drift. The phenomena and records of drift provided useful data to examine routes and voyage in the previous era.

      • KCI등재

        <<朝鮮漂流日記>>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문경호 진단학회 2020 진단학보 Vol.- No.135

        The “Diary on Drifting to Joseon” was the writing on the events taken place for 3 warriors including Yasda and their 22 men from Sasma Prefecture for 6 months across the arrival of the ship flagged under Kwisoohwan at Bein Prefecture, Chungcheong Province by drifting and returning to Japan. Yasda recorded and left the drawings on the events happened at Joseon in details from their departure till returning except the terms of no writing the diary due to illness. The drawings described specifically the terrain at the port where they stayed and ships seen to them as well as the clothes, food and houses of Joseon people. Even though there is much folklore genre paintings at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but the drawings of Yasda contain the scenes in variety which is not easy to find from the genre paintings. In this respect, the diary on the drifting can be said has big meaning of historical records. This study looked into how to use the “drifting diary” through analyzing the descriptions and paintings in it and confirming its historical value. The records in the diary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 with the records made by Joseon. The matters missed in the diary remained at “Gak-Sa-Deung-Rok (Local Official Credentials)” or “Seung-Jung-Won Diary”, and the missed ones in Joseon’s records remained at the “drifting diary.” The records show the different positions on the same events as they were written in different viewpoint. But Yasda and the governor of Bein Prefecture, Yoon Young Gyu formed very close relation at the shortest period. The dialogues shared between the governor of Bein Prefecture, Yoon Young Gyu and a Japanese warrior, Yasda at Maryang seaport 200 years ago echo to contemporary Koreans and Japanese. It is expected for the “Diary on Drifting to Joseon” to contribute to Korea-Japan relation not as “the countries closest and afar” but “countries of win-win cooperation’. 『조선표류일기』는 1818년 사쯔마 번의 무사 3명과 그들의 수하 등 25명이 조선의 마량진에 표류한 이래 일본으로 떠날때까지 약 6개월 간 조선에서 있었던 일들을 기록한 책이다. 저자인 야쓰다(安田)를 비롯한 일본인들은 주로 표류처인 충청도 비인의 마량진에서 머물며 조선인 관료들에게 조사를 받고 식량과 각종 물자를 공급받았다. 『조선표류일기』에는 표류민들을 조선에서 어떻게 조사하고 대우하였으며, 어떤 절차를 통해 귀환시켰는지에 대한 내용들이 비교적 자세히 글과 그림으로 기록되어 있다. 특히, 관료들과 백성들의 모습, 상투와 모자, 각종 의복, 선박, 포구의 모습 등을 그린 그림은 마치 당시의 사진을 보는 듯 정교하다. 흥미로운 점은 조선 측의 공문서인 『충청병영계록』, 『충청수영계록』을 비롯하여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등에도 야스다의 일기에 수록된 내용들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그러한 점에 주목하여 야스다의 일기와 조선측 자료를 상호 비교ㆍ검토함으로써 일기의 사료적 가치를 밝히려 하였다. 양측의 자료를 비교한 결과 야스다의 『조선표류일기』는 일부 사적인 감정이 가미되기는 하였으나 매우 사실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조선 측의 기록 또한 야스다의 일기에 빠져있는 정보들이 수록되어 있어 두 자료는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인현감 윤영규는 표류민인 야스다 일행에게 법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각종 호의를 베풀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표류일기』에 따르면 세도정치 시기에 각종 제도가 문란해졌었다는 기존의 통설과는 달리 19세기 전반에도 조선의 통치 체제는 매우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음이 확인된다. 야스다 일행이 마량진에 표착하자 비인현의 하급 관리들과 충청수영에서 파견된 조사원들은 수차례의 반복 조사를 통해 표류민들의 진술이 사실인지 파악하였고, 조사를 통해 알아낸 사실들을 곧바로 조정에 보고하였다. 표류민들은 육지에 내려서는 안된다던가, 조선인들이 표류민들의 물건을 훔치거나 선물로 받아서는 안된다는 규정 등도 매우 철저히 지켜졌다. 끝으로 맺음말에서는 표류민들이 도착한 마량진 일대를 유적으로 지정하는 방안, 야스다의 그림을 활용하여 이미 건립된 성경전래기념관과 함께 표류유적박물관을 건립하는 방안 등 『조선표류일기』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표류(漂流)와 중개(中介) : 『표류대만초푸란도지기(漂流台灣CHOPURAN島之記)』를 통해 본 19세기 대만

        장원쉰 ( Chang Wen-hsun ) 연민학회 2018 연민학지 Vol.29 No.-

        본 연구는 『표류대만초푸란도지기(漂流台灣CHOPURAN島之記)』에 대한 검토를 통해 ‘표류기(漂流記)’의 연구방법과 학술적 가치에 대해 탐구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류기’ 자료는 해양사(海洋史)와 동아시아 해역의 경제활동 가운데 있던 개인의 행적이라는 면에서 표류 경험 중의 개인과 민족의 관계, 제국과 번속(藩屬), 중앙과 변경의 관계 및 민족 강계(疆界) 인식 문제를 드러내는 중요한 사료이다. 특히 어부나 선원 등 하층민의 표류 기록의 경우 직접 체험하고서 얻은 견문이 문인 사절(使節)들이 본 것보다 더욱 풍부하다. 그런데 문인들이 그들을 대신해 쓰고 여러 차례 구술(口述)과 번역을 거치고 난 뒤 서로 다른 세계관이 중첩되고 뒤섞여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표류대만초푸란도지기』는 대만 동부 원주민의 생태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있는데, 이는 동시대 대만 서부와 중국 연해의 관원들조차 전혀 알지 못하던 것이었다. 일본에서 대만으로 표류해 온 다른 기록이나 조선에서 대만으로 표류해 온 다른 기록들과 대조해 볼 때 이러한 기이한 견문의 내용은 확실히 살펴볼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기록자의 신분 및 언어ㆍ문자의 체계적 개입과 변형이 표류 견문 사료의 지식화(知識化)를 이루어낼 수 있었음을 밝혔다. ‘표류기’는 다른 시대의 독자들이 이동과 여행의 경험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바탕이 되며, 전근대 개인의 신분과 주체성 및 세계관의 문제를 탐구할 수 있게 해 주는 자료이다. This study examines A Drifting Record of Chopuran Island of Taiwan with the goal of investigating the scholarly significance and research methods of “drifting records” (漂流記). Such records are valuable for raising issu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ethnicity, empire and tributary states, center and periphery, and the perception of a country’s boundaries through an individual’s actions economic activities of the East Asian seas and in maritime history. In particular, drifting records from the lower class such as fishermen and sailors are far richer in description than those of literati envoys as they directly experienced such matters. However, as these literati wrote in their stead, their different world views overlapped and blended together after being told orally and translated several times. A Drifting Record of Chopuran Island of Taiwan describes the ecology of the aboriginals in the eastern part of Taiwan. Those in western part Taiwan and Chinese government officials on the coast were completely unaware of this ecology at the time. Comparing drifting records by those who drifted from Japan to Taiwan with those of Choson to Taiwan describing this strange ecology are thus valuable sources. This study observes how the writer’s status and systemic interventions and changes through language and written characters converted these drifting records into knowledge. “Drifting records” became the foundation of how readers in other ages explored and analyzed migration and travel experiences, and are a source for studying the issues of premodern individuals’ statuses and subjectivities, as well as their worldviews.

      • KCI등재

        조선시대 표류 지식인층에 대한 표착 국가의 송환 우대 양상 - 제주도에서 이국(異國)으로 표류해 간 사례를 중심으로

        김나영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3 탐라문화 Vol.- No.74

        조선시대 제주도로부터 중국⋅대만⋅일본⋅유구 등지의 이국(異國)으로 표류해 간 3,681명을 송환하는 과정에서 유독 지식인층, 즉 한문을 사용할 수 있었던이들이 동승한 16건의 사례를 추적한 결과, 동승했던 여타의 표류인과는 차별적으로 표착 국가의 구호 및 송환 과정에서 후한 대우를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그 대우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로, 표류 지식인층은 이국으로의 표착 후 구조되는 과정에서 여타 표류인들과는 다르게 별도의 숙식 제공 및 전별연(餞別宴) 개최 등의 후한 대접과 함께옷과 물품 등을 지급받았음이 확인된다. 두 번째로 조선으로 송환되는 과정에서도 표류인의 신분이 관인임이 확인되면이국의 현지 관리들은 이들을 별도의 사자(使者)[특송사ㆍ대차왜(特送使ㆍ大差倭)] 들로 하여금 배정시켜 별선(別船)을 태워 호송하는 등 차별적 모습을 보였다. 특히이러한 모습은 일본으로 표류해 간 관인이 부산으로 이송되기 이전인 쓰시마[對 馬]로부터 송환되는 과정에서 유독 확인된다. 세 번째로 보통의 표류 사례와는 다르게 그 송환기간이 매우 단축되어 신속한송환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중국과 유구인 경우 대략 3년이란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지만, 표류 지식인층의 송환인 경우 이보다 훨씬 빠른 5-6개월 만에 송환되었음이 확인된다. 그렇다면 표착국에서는 어떠한 이유에서 다른 동승 표류 제주인들과 달리, 표류 조선 관인에 대해 차별적 대우를 실시했을까? 이와 같은 모습은 중ㆍ근세시기동아시아의 보편 문명으로써 예(禮)와 인(仁)으로 대변되는 유가사상(儒家思想)과관료제에 기반한 계층적 위계질서로 말미암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중국중심의 중화적(中華的) 세계관 속에서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운용되었던 인도주의적 차원의 표류인 무상 구호 및 송환체제에 적용됨과 동시에 표류인들의 귀천(貴 賤)에 따라 분별하여 차별적으로 대우하는 양상을 낳았던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한문(漢文)’이라는 동아시아의 공통 문어(文語)는 표류 후 이국인들과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는 간접 매체로 작동하여 표류인과 현지인들 간의 동질감 및공감대를 형성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표류인들 대부분은 뱃사람이나상인들로 비문자층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표착지에서의 현지인들과 언어 장벽에 부딪혀 소통의 부재를 불러왔다. 이에 상대적으로 표착 국가의 현지인들은 한문 필담(筆談)이 가능했던 표류 조선 지식인들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쏟았을지모른다. 이러한 가운데 특히 현지 문사(文士)들과의 시문창화(詩文唱和)를 통한 교류는 개인적 우의를 다지는 소통의 기회가 되었음에 따라 여타 표류인들과 다른특별 대우를 받았던 것이라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16 repatriation cases in which government officials who could read and writ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were on board out of repatriation cases, in the Joseon Dynasty, taking 3,681 individuals from Jeju Islands who drifted onto foreign countries, including China, Taiwan, Japan, and the Ryukyu Kingdom. The cases show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treated well compared to others when being rescued and repatriated. Treatments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received in foreign countri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Firstly, the cases show that the foreign countries provided the officials with separate room and board and other offerings, such as clothes, after being drifted ashore and rescued. In addition, they held Jeonbyeolyeon (a farewell banquet). Secondly, if an individual was identified as an official in repatriating to Joseon, the local officials assigned protocol officers such as Teuksongsa and Daechawae to escort them on separate ships. In particular, these cases are shown in the repatriation cases when government officials of the Joseon who had been adrift in Japan were brought to Tsushima Island before they returned to Busan. Thirdly, the cases demonstrate that the amount of time it took to repatriate the government officials of Joseon was shorter, unlike other repatriation cases of individuals. In the cases of China and the Ryukyu Kingdom, the repatriation of an individual took approximately 3 years, which is quite a lengthy process. The research, however, demonstrates that the repatriation of a drifted official took only 5 and 6 months. A question arises of why the local people treated government officials differently, unlike other ordinary drifted people from Jeju Island who were on board together. Such difference in the attitudes toward people who drifted ashore was caused by a hierarchical social system based on the moral doctrine dubbed Confucianism and feudalism for the people of Medieval and modern East Asia. These social values, which people in East Asia shared, also applied to humanitarian aid and repatriation of the people washed ashore, based on Sinocentrism. It consequently influenced how foreign countries treated the drifted people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ir social classes. In addition, as classical Chinese was the universal written language of countries in East Asia, it played an indirect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the local people and those from other countries, which helped them build community spirit and social consensus. People thrown ashore were mostly seafarers and merchants, who were often illiterate, so they had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local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washed ashore from Joseon were able to communicate by writing in Chinese characters, which probably made the local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the officials. More particular, poetic exchanges and brush talks between officials of Joseon and local literary scholars could be an opportunity to form closer connections, which also influenced the different attitudes of the locals toward the officials who washed ashore in their countries by accident.

      • KCI등재

        1810년 일본인의 청국표류 체험과 강남지역의 사회상 : 『청국표류도淸國漂流圖』를 중심으로

        박화진(Park, Hwa-J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5

        본 논문은 1810년 청국 강남지역에 표류한 일본인 표류민의 청국표류 체험 및 여정, 그들이 체험한 청국 강남지역 사회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청국표류도』는 1810년 7월 22일 류큐국 나하를 출항한 일본 사쓰마번 백성 등 29명이 청국 강남지역에 표착하여 동년 12월 23일 나가사키에 귀항할 때까지의 체험을 기록한 것이다. 나가사키를 거쳐 사쓰마번으로 귀향한 이후 그들의 청국 표류체험을 작성하여 사쓰마번에 제출한 표류일기인데, 수정을 거쳐 다시 그림 등을 작성·추가한 것으로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청국표류도』의 회화자료는 당시 청국 강남지역의 풍경과 생활상, 시가지 모습(전원·성곽·거리·가옥·상점·항구 등) 등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어 19세기 초 청국 사회와 서민생활상은 물론, 전근대 한·중·일 삼국의 해양교류 양상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모리야마 데이지로를 비롯한 일본인들은 표류 과정 중에 ‘한 줄기 갈대처럼 쓰러져 전복될 찰나의 곤궁과 진실로 목숨을 건 위험, 극한 상태의 슬픔 등등, 이루 다 말로는 표현할 수 없었던’ 고난 속에 1810년 9월 5일 장쑤성 하이먼 지역에 상륙하여, 동년 12월 5일 귀항 선박에 탑승할 때까지 청국 강남 여러 지역을 경유하면서 매우 다양하고 즐거운 청국 사회 견학·체험을 하였다. 『청국표류도』는 험난한 바다에서의 표류체험을 비롯하여 일본인 표류민들이 청국 강남지역에서 받았던 구휼접대, 일본으로 출발하는 항구의 자푸에 이르는 여러 경유지의 명승절경과 명산지 풍경 등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리하여 일본인 표류민들은 작별할 때, 청국인이 베푼 따뜻한 인정과 접대에 대해 ‘실로 천년에 한 번 만날 수 있을까 말까 하는 매우 귀중한 만남이었다.’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향후 19세기 전반 한·중·일 3국 해양교류사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바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t out the Drifting Experience of Japanese and journey, the Social Situation of Jiangnan of the Qing in 1810. 『The Picture of drifting to the Qing Dynasty淸國漂流圖』 was written by Japanese castaway which were aboard the ship. They started at Naha of Ryukyu in July 22th of 1810 year and floated to Jiangnan of the Qing Dynasty. The Japanese castaway of 27 person landed at Haimen(海門) of Jiangnan of the Qing, and stayed for 87 days in China. They returned to their country and submitted a story of their experience about folating of the Qing to Sastuma-Han. Sastuma-Han editted the story and added 43 sheets of paintings. 『淸國漂流圖』 were formed with three volumes, the preface wa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the main text was writtten by Hentaigana[変態仮名] which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ocial situation of Jiangnan of the Qing of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was described very intimately in 『淸國漂流圖』. Therefore 『淸國漂流圖』 is very important materials to come near the society and the ordinary folks of Qing, and the situation of exchange at sea of three countries such as Korea and China and Japan in 19th century. Japanese including Moriyama Deyiziro had much difficulty at wandering, they expressed their danger such as ‘as if they were broken down such as a branch reed and overthrown to the bottom of the sea’. But they were rescued with fish ship of Chinese, landed at Haimen of Jiangnan of the Qing on September 5, 1810. Also they stayed for 87 days, and had diverse and unique experience. The relief system of Qing was very excellent to Japanese drifter, Japanese estimated very highly such as ‘one meeting in a millennium occurrence’. Japanese drifter appreciated very much for the kindness of Chinese.

      • KCI등재

        실선에 의한 표류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이창헌,김광일,유상록,김민선,한승훈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4 수산해양기술연구 Vol.60 No.1

        표류 예측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표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상치 및 영향점을 검증한 후 회귀분석을 하였다. DFFITS, Cook’s distance 분석결과, 표류속도의 경우 데이터 index 1, 27, 28, 72, 73, 74번째, 표류방향의 경우 index 2, 8, 68, 70, 71, 73, 74번째에서 회귀모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귀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척도를 나타내는 DFBETAS 분석 결과, 표류속도에서는 index 1번째에서만 풍향의 DFBETAS 절대값이 임계값인 1을 초과하지만, 1에 가까우며 예측값에 대한 적합도에는 크게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81개 샘플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하는 데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측 표류속도 및 표류방향의 예측값과 잔차의 분석 결과, 선형성과 독립성을 만족하였다. 독립변수의 다중 공선성은 10이하로 나타나 공선성이 전혀 없었으며, 잔차의 왜도 및 첨도에서도 임계값 이하로 나타났으며, omnibus 및 kolmogorv-smirnov 검정통계량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잔차의 독립성을 나타내는 Durbin-Watson 검정통계량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지만,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1에 가까우므로 큰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었다.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 상관계수는 표류속도에서 유속이 0.49, 표류방향에서 유향이 0.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비율을 나타내는 표준회귀계수에서 표류속도는 유속이 47.1%, 표류방향에는 유향이 58.1%로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로 나타났고, 도출한 다중회귀예측모델의   는 표류속도 69.3%, 표류방향 79.3%이며,    는 67.6%, 78.3%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결과로 나타난 독립변수에 의한 표류속도/표류방향의 다중선형회귀모델을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예측 정확도가 높은 모형 도출이 필요하다. In order to present a predictive drift model, Jeju National University's training ship was tested for about 11 hours and 40 minutes, and 81 samples that selected one of the entire samples at ten-minute intervals were subjected to regression analysis after verifying outliers and influence points. In the outlier and influence point analysis, although there is a part where the wind direction exceeds 1 in the DFBETAS (difference in Betas) value, the CV (cumulative variable) value is 6%, close to 1.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would be no problem in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n samples. The standard regression coefficient showed how much current and wind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It showed that current speed and direction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for drift speed and direction, with values of 47.1% and 58.1%,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atistical values indicated the fit of the model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indicating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were 83.2% and 89.0%, respectively. The determination of coefficients were 69.3% and 79.3%, and the adjusted determination of coefficients were 67.6% and 78.3%, respectively. In this study, a more quantitative prediction model will be presented because it is performed after identifying outliers and influence points of sample data befo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fore, many studies will be active in the future by combining them.

      • KCI등재

        조선후기 표류(漂流) 소재 기사(記事) 연구

        정난영(Jeong Nanyou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0 No.-

        본고는 기사(記事)라는 장르에 담긴‘표류’라는 경험의 취재 양상과 성격 등을 파악하여, 표류를 소재화하고 있는 기사 작품의 총체적인 면모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기사 장르의 내용․서술․서사적인 측면의 다양한 국면 중 한 지점을 파악하고, 표류문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표류를 소재화 한 기사 작품으로는 신즙(申楫, 1580~1639)의「기유구국왕사(記琉球國王事)」와 송정규(宋廷奎, 1656~1710)의 「기안남표환인사(記安南漂還人事)」, 유만주(兪晩柱, 1755~1788)의 「기흑도인사(記黑島人事)」,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서이방익사(書李邦翼事)」, 조수삼(趙秀三, 1762~1849)의「기문가상사(記文可尙事)」가 있다. 이 작품들을 통해 표류 소재의 기사들은 각각 당대의 이슈를 포착하거나, 쉽게 가볼 수 없는 나라의 지리․풍토 등에 대한 특정정보를 전달하거나, 표류라는 경험이 자아내는 흥미와 환상을 함께 엮어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 작품에 구현된 표류에 대한 인식도 새로움과 두려움이라는 측면으로 양분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은 여타의 표해록류의 기록들이 표류로 인해 생긴 1차적인 사건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데에 반해, 기사작품들은 표류라는 소재 를 취재함에 있어 그로인해 생긴 2차적인 문제들까지 포섭하여 다루고 있다는 데에서 기인한 것이다. 소재에 대한 이러한 관심의 확장은 표류 소재 기사작품들이 가진 서술․서사 등의 문학적인 측면을 훨씬 풍부하게 빚어내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표류 소재 기록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표해록류 등 한정적인 방면에서 주목해 왔다. 또 지금까지는 표해록류에 담긴 사건의 사실관계와 서술 방식, 그리고 지식화 양상 등에 집중하여, 문학작품으로서의 다층적 면모는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표류에 대한 기록에서 그 성격의 분화를 확연히 보여주는 표류 소재 기사를 함께 다룬다면, 표유록류 작품들의 기록양상에 따른 소재·서술·서사적 측면의 다양한 특성을 규정하는 작업이 훨씬 더 명확하고도 수월하게 진행될 것이라 기대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hole aspects of article works by use of the drift by identify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overage on the ‘drift’ experience contained in the genre‘article’. This is intended to grasp a point out of diverse phases in content, descriptive, and narrative aspects of the article genre unrevealed, and identify a new prospect of understanding on drift literature. The article work that materialized the drift includes Sin Jeup (申楫, 1580~1639)’s Giyugugukwangsa (記琉球國王事), Song Jeong-gyu (宋廷奎, 1656~1710)’s Giannampyohwaninsa (記安南漂還人事), Yoo Man-ju(兪晩柱, 1755~1788)’s Giheukdoinsa (記黑島人事), Park Ji-won (朴趾源, 1737~1805)’s Seoibanbiksa (書李邦翼事), and Jo Su-sam (趙秀三, 1762~1849)’s Gimungasangsa (記文可尙事). Through these works, the articles that used the drift are found to acquire issues of the age, deliver specific information on geography and climate of the country easily not traveled, or create interest and fantasy together arising from the drift. Further, awareness on the drift implemented in the work is divided into novelty and fear. These characteristics are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of article works in that whereas other the record of drift mainly focused on primary incidents arising from drift, the article works covered secondary issues arising from coverage of the drift. The extended interest in material served as a factor that enables the article works based on drift stories to create literary aspect more abundant, in terms of description and narration. The research on the record based on drift stories has emphasized on a restricted field such as the record of drift. Further, until now, it has focused on factual relationship, description method, and intellectualization patterns of incidents conveyed in the record of drift, which does not fully reveal multiple aspects of the literary works. Further research on the article based on drift stories distinctively shows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in the record of drift is anticipated to lead more specific, smooth investigation on divers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description, and narrative aspects derived from recording patterns of the record of drift.

      • KCI등재

        동아시아 표류서사(漂流敍事) 서설(序說) ―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단서(端緖)로써

        정환국 ( Jung Hwan-ku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이 글은 동아시아 초기서사, 그 중에서도 불교 영험서사로 구축된 漂流談에 주목한 것이다. 일개인이 바다에서 조난을 당해 표류했다가 佛力의 구원을 받아 生還하는 패턴을 보이는 이야기群이다. 이런 소재가 한·중·일 초기서사에 공히 등장한 점에 착목하여 그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분야가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성격을 규명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전근대동아시아 문화 권역으로써 대륙문화에 상응한 해양문화권을 설정하고, 향후 양자가 對稱性의 차원에서 균형 잡힌 동아시아 문화담론으로 수렴되기를 기대하면서 그에 관한 一端의 사례를 피력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記標인 표류서사를 본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前史로써 우선 초기 표류담에 주목한 것이다. 향후 이를 통해 구체적인 표류서사의 양상과 그 성격을 밝혀보고자 한다. 그런데 동아시아의 해양과 거기서 산생된 표류담은 흥미롭게도 불교의 東漸에 따른 불교영험담의 형태로 처음 등장한다. 바다에서 표류했다가 ‘觀世音’을 염송한 끝에 기적적으로 생환한 내용들이다. 표류 주체들에게는 대개 강과 바다가 생업의 공간이었던 바, 항상 이런 위난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를 불력이 개입하여 해결해 준다는 이들 이야기는 해양에서의 고난 과정보다는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어떻게 구원되는가 하는 쪽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런 사례가 처음 등장한 중국의 육조시대부터 唐代, 한국의 나려시대, 그리고 일본의 헤이안시대의 대상 작품들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동아시아 삼국의 이런 표류담은 대개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으나 조금씩 다른 점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표류담은 향후 불교적인 색채를 벗고 색다른 방식으로, 즉 표류 경험인의 체험과 욕망이 드러나는 쪽으로 변화하는 지점들이 포착되는데, 이는 앞으로 더 고구해야 할 사안이다. 아무튼 동아시아 해양문화라는 측면에서 표류서사를 앞으로 여타 다른 해양문화적 요소들과 결부시킬 수 있다면 좀 더 생산적인 논의가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rifting records of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s in early East Asian narratives. These records have a pattern of narrative where a person adrift on the sea is being saved by Buddhist power to return home al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of this type of material in early East Asian narratives. In addition, a special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Marine Culture could be indexed. A case is being discussed for East Asian Marine Culture to be symmetrically balanced with East Asian Continental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spects of drift narratives. Interestingly, most East Asian Marine narratives appear in a form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where a person miraculously returns home alive by reciting 'Gwan-se-eum(觀世音)'. Many people then were endangered by the sea or the river because these places were where the people could make a living. However, these stories of people being saved by Buddhism do not always focus on 'where' people suffer, which is mostly the ocean, but 'how' the are being saved in a difficult situation. The case appeared in the Six Dynasties and followed. The narratives of China's Tang Dynasty, Korea's Silla-Goryeo Dynasty and Japan's Heian Period were chosen to be investigated. The narratives of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showed similar form but some differences were noticed in the form of stories. The narratives of drifting in East Asia change their nature subsequently in order to show the experience or desire of the adrift person. This change needs to be researched later on. On the other hand, the drift narratives could be linked with other marine cultural elements for more productive discussions.

      •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인의 표류 발생 배경과 실태

        김나영 ( Kim Na-you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7

        본 논문은 조선시대 濟州島라는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濟州人들이 해상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가운데 예기치 않게 발생하였던 海難事故중 ‘漂流’라는 일련의 사건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사료 속에 단편적으로 산재해 있는 제주도 표류 관련 사례들을 우선 정리, 연표로 작성함으로써 보다 通時的이고 共時的인 안목을 기반으로 제주도를 중심으로 전개된 漂流史의 전체상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표류 제주인들의 항해 전말을 담은 問情기록을 통해 제주인들의 표류 발생 배경을 보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봄은 물론, 그 실태를 계량화하여 파악해 보았다. 본고에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로, 조선시대 제주해역을 둘러싼 표류가 어떠한 배경과 요인에 의해 발생되었는가를 우선 살펴본 결과, 제주도는 邈在海外·四海孤島의 火山島이자 强風多風의 섬, 육지에서는 대체 불가능한 進上品과 貢物의 생산지라는 자연지리적 입지조건과 더불어 그에 수반되는 護送등 조선조의 정치·사회·경제적인 복합적 제반 상황에 기인하여 제주인들은 자의적·타의적으로 바다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표류라는 일종의 우발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해난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컸다. 전근대 제주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諸國들의 해상교류에 있어 어느 정도의 해양환경을 이용한 경험과 지식이 축적되어 일정한 항로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礖’라는 제주바다 주변의 독특한 해저지형과 제주도를 둘러싼 바람(계절풍)·태풍·해류·조류 등이 기존 해상활동의 고정적 틀을 파괴시키는 變數로 작동하여 제주도 해역을 오고 가는 선박들의 표류를 유발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이러한 배경 속에 발생되었던 조선시대 제주인들의 표류 실태를 각종 사료를 통해 ‘出海-漂流-漂着-送還’이라는 표류 顚末을 역추적하여 그 발생 규모와 빈도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한 결과, 제주인들은 365건·4,427명[사망자 760명]이 해난사고와 직면하였고, 이들 중 82.8%에 해당하는 3,667명은 해난사고로 말미암아 일본·유구·중국·대만·안남 등지로 표류해 그곳 국가들로부터 구조·송환되어 본국으로 살아 돌아왔음이 확인되었다. 단편적으로 잔존해 있는 역사적 기록 자체에 의거한 통계이지만, 80%를 웃도는 높은 생존율을 본다면 전근대 시기 조선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 상호 호의에 입각한 표류인 송환체제가 작동되어지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요컨대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그동안 단편적으로 연구되어 왔던 제주도의 漂流史를 보다 넓은 시야에서 조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며, 향후 본고에서 파악한 제주인의 표류 실태를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표류 제주인의 존재적 의미를 해명함은 물론, 당시 제주인들의 해상활동 양상과 함께 제주사회의 경제구조 실태를 재조명해 나가고자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a chain of events, ‘drift’, among maritime accidents that had occurred while the Jeju Islanders were conducting maritime activity in a specific location, Jeju island. The cases related to drifting in Jeju Island, which were scatter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historical records, were summarized and chronologically organized. By doing this, the history of drift focused on Jeju Island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 With this reference, the background of drift occurrence of Jeju Islanders and its real conditions could ultimately be understood. Through a record of Munjeong, which includes full account of the drifted Jeju Islanders’ voyages, the aspect of Jeju Islanders’ maritime activities and an economic structure of Jeju societ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ccurrence of drifted Jeju Islanders was caused by the distribution of unique submarine topography such as coral reef around the Sea of Jeju. As the winds (seasonal winds), typhoons, ocean currents, and tidal currents surrounding Jeju Island, it acted as variables to destroy the fixed framework of existing maritime activities and caused the drifting vessels around the Jeju Island. Moreover, the tax collecting system became intensified after the 15th century and there were some local products that could not be replaced with products in land. To prepare local tribute and tribute to the King for each period and for its transportation, it became unavoidable for the Jeju Islanders to go out to the ocean. Due to this reason, they had high chance to be exposed to unexpected marine accidents such as drift. Second, through studying the actual situation of drifting of Jeju Islanders in the Joseon Dynasty from many references, the full account of drifting was back-tracked as ‘Go out to sea-Drift-Drifting ashore-repatriation’After examining its occurrence scale and frequency as time sequence, 365 times 4,427 Jeju Islanders [760 deaths] faced with the marine accidents. Among these, 82.8%(3,667) of Jeju Islanders came back alive because they were rescued and repatriated after they became drifted to Japan Ryukyu Kingdo m China Taiwan Annam because of the marine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