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성폐질환에 미치는 FEV1/FVC 비율의 유전적 위험과 흡연 간의 상호작용: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자료를 이용한 단면 연구

        이수현,백지우,지선하 대한금연학회 2023 대한금연학회지 Vol.14 No.1

        연구배경: 폐기능과 흡연 모두 만성폐질환의 위험요소이지만 폐기능 관련 유전 위험 점수가 만성폐질환 유병률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연구는 충분치 않으며, 유전적 위험 점수와 흡 연 사이 상호작용의 유무는 불분명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능 지표 중 하나인 FEV1/FVC의 유전 점수가 만성폐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나아가 흡연이 이 연관성에 어떤 영향을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FEV1/FVC의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수행한 후 FEV1/FVC 관련 유전 변이들로 유전 위험 점수를 생성했다. FVC에 대한 유전 위험 점수와 흡연이 만성폐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오즈비(OR) 및 95% 신뢰 구간을 추정하기 위해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결과: 이 연구에는 8,166명의 대상자가 포함되었다(평균 연령 52.18세, 여성 53.45%). FEV1/FVC 비율에 대해 62개의 중요한 단일염기다형성을 포함하는 유전 위험 점수는 만성폐질환과 강한 연관성이 있었다. 유전적으로 높은 폐기능과 비교하여 유전적으로 낮은 폐기능의 OR은 2.57 (95% 신뢰구간 1.27-5.61) 이었다. 유전적으로 폐기능이 낮으면서 심한 수준의 흡연을 하는 대상자는 유전적으로 폐기능이 높으면서 심각한 수준의 흡연을 하는 사람보다 만성폐질환의 OR이 3.01배(95% 신뢰구간 1.07-10.7) 높았다. 만성폐질환에 대한 유전 위험 점수와 흡연상태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은 없었지만(상호작용에 대한 P=0.44), 유전적으로 폐기능이 높은 비흡연자와 비교하여 유전적으로 낮은 폐기능을 가진 과거 흡연자의 만성폐질환의 OR은 4.29배 높았다(95% 신뢰구간 1.20-17.1). 결론: FEV1/FVC에 대한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의 중요한 단일 염기다형성으로 구성된 유전 위험 점수에 따른 폐기능은 만성폐질환과 높은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유전적으로 폐기능이 낮은 대상자는 흡연에 노출되었을 때 만성폐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 KCI등재

        간접흡연이 성인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정윤령,윤창호,고혜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1 No.3

        Background: Passive smoking is an important worldwide public health issue. In many Korean studies, parental smoking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reduced pulmonary function in children. But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passive smoking on pulmonary function in adults. Therefore, we looked into this association in the study.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non-smoking, healthy men (n=46) and women (n=326) from rural Korea enrolled from June to December 2006. Exposure to passive smoking was assess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standardized pulmonary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s i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 of predicted) and forced mean expiratory flow rate 25-75% (%) among the men exposed to passive smoke compared with those not exposed (55.7 vs 75.8, P=0.010; 33.9 vs 58.6, P=0.029,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s in FEV1 among men exposed at both workplace and home compared with men exposed only at either workplace or home (42.8 vs 49.3, 64.6; P=0.034).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ulmonary function was found between women exposed to passive smoke compared those not exposed. There were, however, reductions in FEV1 and FEV1/forced vital capacity among the women exposed at workplac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ssive smoking negatively affected lung function, whic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particularly at the workplace, adversely affects pulmonary function in adults. 연구배경: 간접흡연이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 간접흡연이 소아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성인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2006년 6월부터 12월까지 일개 지역 35세 이상 성인남성 319명, 여성 688명, 총 1007명 중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수검자, 흡연자, 폐질환자를 제외한 남성 46명, 여성 3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기본 정보 및 간접흡연에 관한 사항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신체 검사 및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노출군과간접흡연군의 폐기능을 비교하고, 간접흡연 노출 위치에따라 폐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남성에서 간접흡연군과 비노출군의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 of predicted)는 각각 55.7, 75.8 (P=0.010)이었고, forced mean expiratory flow rate 25-75% (%)는 각각 33.9, 58.6 (P=0.029)이었다. 그리고 집이나 직장, 그리고 두 장소에서 다 노출된 군, 세 군으로 분류했을 때, FEV1이 집이나 직장 한 곳에서 노출되는 경우(집에서만 노출 시 49.3, 직장에서만 노출 시 64.6)보다 집과 직장 모두에서 노출된 경우 42.8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34). 여성에서는 간접흡연군과 비노출군에서 폐기능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FEV1은 집에서만노출 시 92.5, 회사에서만 노출 시 81.8, 모두에서 노출된경우 91.7 (P=0.019)이었고 FEV1/forced vital capacity (%)는 각각 73.2, 57.8, 63.3 (P=0.029)으로 회사에서 노출된 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간접흡연에 노출된 성인에서 폐기능이 의미 있는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직장에서 노출된 경우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 KCI등재

        비흡연 성인남성에서 대사증후군과 폐기능간의 관련성

        신경아(Kyung-A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폐기능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명확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흡연 성인남성에서 폐기능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련성과 폐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정도에 따른 폐기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J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폐기능 검사와 체성분 분석을 실시한 20세 이상 70세 이하의 남성 3,3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기능 검사항목 중 FEV1과 FEV1/FVC는 대사증후군 전단계군 및 대사증후군 진단군이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이 없는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p<0.001),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폐기능을 평가하는 FEV1, FVC, FEV1/FVC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은 허리둘레로 나타났다(각각 p<0.001). 허리둘레와 FEV1 및 FEV1/FVC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p<0.05, p<0.01),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비만지표는 폐기능과 관련성을 보였다.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Reports on literature concerning the effects of this disease on pulmonary function have been inconclus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and variable factors from the diagnostic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and effect of risk factors on pulmonary function. According to the degrees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were compared in lung fun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3,333 non-smoking males aged 20-70 years old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a J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2.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FEV1), FEV1/FVC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tabolic syndrome was lower in the pre-metabolic syndrome group and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than the normal group(p<0.001). Waist circumferenc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FEV1, forced vital capacity(FVC), FEV1/FVC(p<0.001, respectively). Waist circumfer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V1, FEV1/FVC(p<0.05, p<0.01). Lung function was associated with obesity indicators.

      • KCI등재

        대학생의 폐활량에 대한 기초체력과 신체활동량의 관계

        배주용(Ju Yong Bae),박경진(Kyung Jin Park),김지영(Ji Young Kim),이율효(Yul-Hyo Lee),김지선(Ji-Sun Kim),하민성(Min-Seong Ha),노희태(Hee-Tae Roh)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량이 폐기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건강한 참여자 312명(남성 150명[평균연령: 19.29±1.72세], 여성 160명[평균연령: 19.05±1.17세])은 신체조성, 기초체력, 신체활동량 설문지, 그리고 노력성폐활량 (FVC)과 1초간 강제호기량(FEV1)의 폐기능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폐기능은 우악력과 좌악력, 그리고 배근력과 관련이 있었고, 여학생의 폐기능은 모든 기초체력 하위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여성의 폐기능은 중강도 신체활동량과 관련이 있는 반면 남성의 폐기능은 신체활동량의 모든 하위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발견은 폐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남학생은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고, 여학생은 기초체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대학생들의 폐기능을 유지하고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폐기능 관련 인자에 대한 성별의 차이를 이해하고, 성별에 맞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ulmonary function, basic physical fitness (PF), and physical activity (PA),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gender in Korean college students.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basic PF, PA (questionnaire), and pulmonary function tests of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using a Quark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carried out on 312 healthy participants (150 males [mean age: 19.29±1.72 years] and 162 females [mean age: 19.05±1.17 years]). The pulmonary function of male students was related to right-handedness, left-handedness, and back strength, and the pulmonary function of female students was related to all basic PF. The pulmonary function of male students was related to all PA variables, whereas the pulmonary function of female students was related to middle-intensity P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le students need to increase PA, and female students need to improve basic PF to sustain a healthy pulmonary function. Understand gender differences for pulmonary function-related factors and the gender-specific educational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and maintain pulmonary capacity in college students.

      • F-89 Sarcopenia 와 폐기능 감소의 연관성에 대한 종적 연구

        허은영,정고은,윤지완,오소희,이정규,김덕겸,정희순,최승호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0

        목적: sarcopeina는 노화 과정으로 골격근육의 퇴행으로 인한 골격근량이 감소하는 상태이다. 만성 호흡기 질환자에서 호흡근의 강도는 폐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검진 받은 수검자를 대상으로 sarcoepnia가 연속적으로 측정한 폐기능과 관련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대학교 병원 강남센터에서 2012년 체질량 분석 및 폐기능 검사를 포함한 검진을 시행하고 2016년 폐기능 검사를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시행한 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Sarcopenia의 기준은 ASM/Height^2의 값이 남성은 7.09Kg/m2, 여성은 5.27Kg/m2 이하일 때로 정의하였다. 성적: 총 2,038 명의 수검자들이 분석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 중 161명에서 sarcopenia 기준을 만족하였다. Sarcopenia 가 있는 군은 2012년 폐기능 검사에서 FEV1 은 2.88 ± 0.67L 로 대조군의 3.12 ± 0.69L (P <0.01) 에 비해 유의하게 떨어져 있었다. 년당 FEV1 감소 속도를 보았을 때 Sarcoepnia 군은 0.07 ± 0.41 ml/year , 대조군은 0.07 ± 0.05 ml/year 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P=0.436), BMI로 보정하였을 때 Sarcopenia 군이 BMI 가 25Kg/m2 이상인 비만이 동반된 경우 대조군에 비해 매년 0.011ml/year 씩 유의하게 폐기능이 감소하였다. (P=0.003). 결론: 비만이 동반된 Sarcopenia 가 있는 경우 폐기능 감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SCOPUSKCI등재

        전산화 폐관류주사를 이용한 폐절제술후 폐기능의 예측

        오덕진,이영,임승평,유재현,나명훈,Oh, Duck-Jin,Lee, Young,Lim, Seung-Pyeung,Yu, Jae-Hyun,Na, Myung-Ho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8

        폐절제술후 발생할 수 있는 호흡부전증을 예방하고 수술후 사망율을 줄이기 위해 수술범 위를 조정하 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술전에,수술후의 폐기능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술후 폐기능을 예측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폐관류주사법이 편리하고 환자에게도 위 험도가 작으며 또한 비교 적 정확하고 비용이 적게드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충남대 학교병 원 흉부외과에서 폐절제술을 시행한 34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폐관류주사법을 이용하여 수술후 폐기능 예측치를 계산하고 수술후 평균20일에 폐기능검사를 실시하여 예측치와실측치의 관계 를 비교분석하였다. 폐엽절제술후 폐기능 예측치가 일측전폐절제술후 폐기능 예측치보다 훨신 더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1초내 강제호기량이 상관계수 R=0.693으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 타내었다. 폐실질의 손실없이 개흉술만 시 행한 대조군에서 수술전후의 상관관계는 1초내 강제호기 량이 상관계수 R=0.871 이 었으며 강제폐활량이 R=0.896으로 폐 절제수술을 시 행한군에 비해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보아 수술후 폐기능검사치는 개흉술 자체만으로도 영향을 받 嗤\ulcorner폐절제수술을 시행한군에서 휠신 더 영향을 받는것을 알수 있었다. A preoperativ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after the pulmonary resection should be made to prevent serious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mortality.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predict postoperative lung function but the 99m7c-MAA perfusion lung scan is known as simple, inexpensive and easily tolerated method for patients. We studied the accuracy of the perfusion lung scan in predicting postoperative lung function on 34 patients who received either the resection of one lobe(17 patients) or 2 lobes(2 patients) or pneumonictomy(15 patients). We performed pulmonary function test and lung scan immediately before the operation and calculated the postoperative lung function by substracting the regional lung function which will be rejected. We compared this predictive value to the observed pulmonary function which was done 20 days after the surgery. We also compared the data achieved from 12 patients ho received open thoracotomy due to intrathoracic disease that are not confined in the lu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observed value of FEVI .0 was 0.423, FVC was 0.557 in the pneumonectomy group and FEVI . 0 was 0.693, FVC was 0.591 in the lobectomy group. The correlation coefnclent between the'postoperative value and preoperative value of FEVI .0 was 0.528, FVC was 0.502 in the resectional group and FEVI .0 was 0.871, FVC was 0.896 in the comparatives. We concluded that the perfusion lung scan is accllrate in predicting post-resectional pulmonary function.

      • KCI등재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체질량지수 변화와 폐기능의 관련성

        손은경,윤창호,고혜진,김효민,문경민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1 No.3

        Background: Obesity is linked to a wide range of respiratory diseases.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body weight at baseline and weight change were related to pulmonary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body mass index (BMI) and pulmonary function in adults. Methods: Of those aged 40-64 years at baseline who had initially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one university-level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2, 499 (men: 309, women: 190) patients revisited the center over a 5-year period up to December 2009 and were enroll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group 1: normal-normal, group 2: normal-obese, group 3: obese-normal, and group 4: obese-obese,based on their BMI at baseline and follow-up.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EV1/FVC were measured by spirometry. Results: Change in FEV1/FVC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ange in BMI for men in all 4 groups. Change in FEV1/FV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1 and 3 and between group 1 and 4. Changes in FEV1,FVC and FEV1/FVC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ange in BMI for women in all 4 groups. Change in FEV1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3 and 4, and change in FV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1 and 3.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hange in BMI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ange in pulmonary function. Obesity itself can be a risk factor for pulmonary dysfunction, and a decrease in BMI through weight reduction could reduce pulmonary dysfunction or improve pulmonary function in adults. 연구배경: 비만은 호흡기 질환과도 연관성이 높으며, 현재의 체중이나 체중의 변화가 폐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나, 연구마다 이견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성인 남녀에서 체질량지수의 변화와 폐기능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의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폐기능 검사를 포함한 건강검진을 시행한 40-64세의 수진자들 중에 5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009년 12월까지 다시 건강검진을 받은 499명(남자 309명, 여자 19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검진과 추적검진 시의 체질량지수에 따라 남녀를 각각 Group 1 (정상-정상), Group 2 (정상-비만), Group 3 (비만-정상), Group 4(비만-비만)의 4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폐기능 지표로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EV1),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FEV1/FVC을 측정하였다. 결과: 남자의 경우, FEV1/FVC의 변화는 4 그룹에 따라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EV1/FVC의 변화는 Group 1과 Group 3, Group 1과 Group 4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FEV1,FVC, FEV1/FVC의 변화는 4 그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EV1의 변화는 Group 3과 Group 4 사이에, FVC의 변화는 Group 1과 Group 3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체질량지수 변화와 폐기능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비만 자체가 폐기능 저하의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며, 체중 감량을 통한 체질량지수감소가 폐기능 저하를 줄이거나 호전시킬 수 있음을 알 수있었다.

      • KCI등재

        한국 남성에서 흡연에 따른 폐기능과 신기능의 연관성: 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정하지,최창진,최한나,윤현수,여의향,은영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5 No.4

        연구배경: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폐기능 저하와 신기능감소가 관련이 있다는 근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신기능 저하 환자가 아닌 일반 흡연자를 대상으로 폐기능과신기능 감소의 연관성을 평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한국 남성에서 흡연 여부에 따라 폐기능과신기능의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 5기 2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암을 진단받은 자를 제외한 40세 이상 성인 남성 1,246명을대상으로 폐기능의 지표와 신기능의 연관성을 흡연상태에따라 나누어 조사한 단면연구이다. 폐기능과 신기능의 관련성은 Pearson correlation analysis로 확인하였고, 비흡연자군와 흡연자군에서 알부민뇨 동반유무, 추정 사구체 여과율(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에 따른 1 초간 노력성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과 노력성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의 차이는 공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흡연자군과 비흡연자군 모두에서 FEV1과 FVC는소변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eGFR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흡연자군에서는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당뇨, 고혈압의 유무, 운동, 음주인자를보정한 후에도 알부민뇨에 따라 유의하게 FEV1과 FVC가감소하였다(각각 P=0.012, P=0.001). 결론: 한국 남성 흡연자에서 알부민뇨가 동반되는 경우폐기능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일차 진료 현장에서는 흡연자의 관리에 있어 폐기능뿐 아니라 신기능이 함께 저하될수 있음을 인지하고 신기능 저하를 조기 진단할 필요성이있음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Several studies have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decreased respiratory function and renal impairment in thos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The relationship has not been investigated for healthy smok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function and renal function according to smoking status in Korean male population. Methods: From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 enrolled 1246 male participants who were 40 years or older. As a cross‐sectional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function and renal function were analysed depending on the ’ smoking statu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function and renal impairment. Covariance Analysis allowed to compare renal function (albuminuria, eGFR) with respiratory function (FEV1, FVC) according to smoking status. Results: Regardless of smoking statu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piratory function (FEV1 and FVC) and urinary albumin to creatinine ratio (LogUACR),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piratory function (FEV1 and FVC)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Smokers have lower FEV1 and FVC in case they have albuminuria, after adjusting for covariant (P=0.012, P=0.010, respectively). Conclusions: Respiratory fun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le smokers with albuminuria. Primary care physicians need to recognize that albuminuria may accompany with decreased respiratory function and to detect renal function impairment earlier in male smokers.

      • KCI등재

        순환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순환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비만 노인 여성 20명으로서 운동 집단과 통제 집단에 10명씩 무선할당 하였다. 운동 집단의 대상자는 12주간 주 3회, 회당 25~55분씩 순환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 집단의 대상자는 동일한 처치 기간 동안 평소 생활습 관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신체구성과 폐기능을 측정하였고, 이를 두 집단 간, 그 리고 두 검사 간 에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격과 신체구성과 관련하여 체중, 체지방량, 그리고 체지방률이 운동 집단 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폐기능과 관련하여 FVC, FEV1.0/FVC, FEF25~75%, 그리고 MVV가 운동 집단에서 유 의하게 증가되었다. 3) 운동 전․후 FVC와 MVV의 변화량은 체중과 체지방률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FEV1.0/FVC의 변화량은 제지방량과 정적 상관관계를 체지방률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FEF25-75%의 변화률 은 체지방률과 WHR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 실시한 순환운동 프로그 램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제지방량의 증가와 체지방률의 감소는 폐기능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rcuit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pulmonary function in obesity elderly women. Twenty obesity elderly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llowing two groups, i.e., circuit exercise training group (TR: n=10) and control group (n=10). The subjects in the TR group completed 25-55 min of circuit exercise program for three times a week during 12 weeks, whereas the subjects in the CON group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style during the same period of the intervention.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Regarding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fat mass, and % fat mas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TR group. 2) Regarding pulmonary function, FVC, FEV1.0/FVC, FEF25~75%, and MVV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TR group. 3) The change of FVC and MVV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body mass and % fat mass. the change of FEV1.0/FVC was positive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free-fat mass and negative correlated with change of % fat mass. the change of FEF25-75%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 fat mass and WHR.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12-week circuit exercise training would contribute on improving body composition in obesity elderly women. Especially, increase of free-fat mass and decrease of % fat mass would contribute on improving fulmonary function.

      • KCI등재

        흉곽 심호흡 스트레칭이 폐기능과 유산소성 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일기,윤진호,오재근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남자체육전공 대학생 집단 11명을 대상으로 흉곽 심호흡 스트레칭 적용 유무 간의 폐기능 검사와 운동 부하검사를 통하여 폐기능(노력성호기량, 최대흡기류속, 최대호기류속, 최대수의적환기량)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최대 산소섭취량, 호흡교환율, 분당환기량, 운동지속시간)을 비교 분석하여 유산소성 운동 전에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스트레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흉곽심호흡 스트레칭에 따른 결과로는 폐기능에 서 최대흡기류속(p=.046), 최대수의적환기량(p=.008)에서 유의한 증가가, 유산소성 운동능력에서는 호흡교환율 (p=.029), 분당환기량(p=.027), 운동지속시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흉곽심호흡스트레칭이 폐 기능과 유산소성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편하고도 의미 있는 단기 처치방법이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 of male university student in physical education major. Lung function(FVC, PIF, PEF, MVV) and aerobic exercise capacity(VO2max, RER, VE, Exercise Duration) were measured by pulmonary function test and Graded exercise testing before and after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program. All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ovided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stretching program that can be effectively.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improved the result of lung function(PIF(p=.046), MVV(p=.008)) and aerobic capacity(RER(p=.029), VE(p=.027), Endurance Time(p=.001)). Therefore, thoracic deep breathing stretching is a simple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 to improve lung function and aerobic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