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팩트체크 현황과 이슈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코로나19를 중심으로

        류승희,정정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2

        The global COVID-19 pandemic has created a brutal reality check for mankind. Organizations and media around the world are fact-checking misinformation about the coronaviru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xisting oversight of fact-checking is limited among related organizations and media, this research examin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fact-checking by focusing on COVID-19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117 issues fact-checked by at least 3 media outlets or 2 media outlets along with the SNU FactCheck from a total of 547 issues fact-checked by 52 media outlets and the academic organization. The results indicated how those services in Korea fact-check mis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onavirus pandemic in the nation. The new age of fact-checking could be interpreted as journalism adapting to the needs of its digital environment. This research suggests fact-checking as a source for comparing results with future studies. 팩트체크가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슈에 대한 사실 여부를 판단하는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많은 매체가 팩트체크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현황과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 본 연구는 형식적 객관주의에서 팩트체크로 전환된 현재의 저널리즘 연구의 토대가 되기 위해 코로나19 사태를 중심으로 어떠한 기관이나 매체가 팩트체크 생태계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이 팩트체크 하는 이슈는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팩트체크를 주도하는 기관이나 매체는 누구이며, 팩트체크 이슈를 기반으로 관련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계의 SNU팩트체크를 비롯해 총 73곳의 기관이나 매체가 팩트체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코로나19와 관련해 팩트체크 이슈를 제기한 기관 및 매체는 53곳이었다. 주요 방송사, 신문사, 통신사 및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매체가 팩트체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이는 팩트체크가 하나의 새로운 저널리즘 기반 서비스이면서, 누구나 플레이어로 ‘팩트체크’ 행위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지금의 팩트체크 생태계에서 SNU팩트체크가 차지하는 구조적 위상과 역할이 상당했다. 기관과 매체의 팩트체크 현황과 특성 및 이슈 기반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은 팩트체크 대상 유형(출처), 판정결과, 검증근거(소스) 연구 등 다양한 심층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특징

        정은령(EunRyung C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4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언론계에 새로운 흐름으로 대두된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성격을 팩트체크를 수행하는 언론인들의 사실 인식과 사실 검증 과정에 대한 탐색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팩트체크 저널리즘을 1년 이상 수행한 기자 10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연구결과,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추구하는 사실이 기존의 발표기사, 발생기사가 다루는 사실과는 다른 층위의 사실이며 현재의 뉴스 생산 환경에서는 이중 층위의 사실이 뉴스룸 안에서의 역할분담을 통해 동시에 추구될 수밖에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객관성을 추구하지만, 검증대상을 선정할 때 소속사나 기자 개인이 갖고 있는 편향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진술했다. 팩트체크 기사의 서술양식으로는 기존의 역피라미드 구조와는 달리 기승전결의 맥락을 가진 해설형 기사가 채택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언론 상호간의 교차검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상호 견제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한국 언론의 관행에 제기하는 함의를 검토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fact check journalism, a rising trend in the Korean news industry, with a focus on investigating fact check journalists’ perception of facts and the processes they use to verify fact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journalists who have experienced fact-checking for at least one year. This study found that fact check journalists perceive the “facts” that fact-checking journalism aspires to obtain as belonging to a different level from the facts that conventional event centered reporting provides. The fact check journalists insisted that in the current news production environment, journalists ought to simultaneously provide both levels of facts by distributing roles within the newsroom. While fact check journalists aimed to maintain objectivity, they stated that, when selecting items that they will fact check against, they are not free from their personal biases or their company’s policies. With regard to the form of fact-checking articles, many fact check journalists chose the interpretive style that provides the conclusion at the en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inverted pyramid style. Lastly, fact check journalists predicted that fact check journalism will create a positive effect of checks-and-balances among news outlets by enabling cross verifications of news article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fact check journalism against the conventions of the Korean news industry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팩트체크 뉴스 노출, 영향력 인식, 공유 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백영민,김선호 한국언론학회 2017 한국언론학보 Vol.61 No.6

        최근 확산되고 있는 팩트체크 저널리즘은 사실보도라는 전통적 객관주의 저널리즘을 넘어 언론이 사실검증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수용자의 규모와 특징, 그리고 팩트체크 기사의 영향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난 19대 대통령 선거 기간 팩트체크 기사를 접했던 유권자의 특성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3자 효과’ 연구를 기반으로 자신에 대한 팩트체크 뉴스 영향력 인식(제1자 인식)과 다른 유권자에 대한 인식(제3자 인식)을 비교했다. 또한 제1자 인식과 제3자 인식이 담론적 정치참여라고 할 수 있는 팩트체크 뉴스 공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 관계가 팩트체크 수용자의 정치성향과 가짜뉴스 심각성 인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팩트체크 뉴스를 접해본 사람들은 더 젊고, 정치지식과 정치참여도가 높으며, 뉴스를 더 자주 접하며, 정치적으로는 진보적 성향을 띄며 가짜뉴스를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특징들을 갖고 있었다. 한편, 제3자 인식이 제1자 인식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제3자 효과’가 나타났지만, 제3자 인식보다 제1자 인식이 팩트체크 뉴스공유 행동에 더 큰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효과의 경우, 제1자 인식과 팩트체크 뉴스 공유행동의 관계는 정치적으로 보수적 응답자에게서 더 약하게 나타났다. 반면 제3자 인식과 팩트체크 뉴스 공유행동의 관계는 가짜뉴스의 심각성 인식수준이 높고 정치적 보수주의 성향이 높은 응답자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어떠한 학술적․실천적 함의를 갖는지 논의했다. Fact-check journalism is diffusing into newsrooms along with growing concerns about fake news. Despite its popularity and importance, empirical studies on audiences’ reception of fact-check news have been scant. This study, by analyzing national survey data of voter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attempts to explore socio-economic status of fact-checking news consumers, and their perceptions of presumed influence and sharing behaviors. First, we found that fact-checking news consumers are younger and more progressive, and tend to think fake-news more threatening. Second, we found that fact-checking news consumers’ perception on presumed fact-checking news’ decision effect on other people (i.e., presumed effect on others) is smaller than that on themselves (i.e., presumed effect on self), which attests the third person effect with fact-check news. Third, our findings indicate that sharing of fact-check news is more driven by the presumed effect on self rather than the presumed effect on others. Interestingl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umed effect on self and sharing behavior becomes augmented among those who have progressive ideology, and shrinks among those who have conservative ideology. Additionall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umed effect on others and sharing behavior becomes stronger, when people perceive fake-news as threatening to democrac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사람들은 언제 팩트체크를 믿는가?: 검증 주체와 확증 편향의 영향

        이은주,김현석,이종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3 언론정보연구 Vol.60 No.3

        An online experiment (N = 504) investigated how fact-checking agents (artificial intelligence [AI] agent vs. experts vs. crowdsourced individuals) and confirmation bia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fact-check messages, in terms of acceptance of verdicts, perceived credibility of fact-check messages, and intentions to share fact-check messages. Results demonstrated the robust operation of confirmation bias, such that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accept the verdict, evaluated the message as more credible, and were more willing to share the fact-check message that was politically congruent (vs. incongruent) with their political ideology. Moreover, the effects of fact-checking agent on perceived message credibility and sharing intention varied depending on the message congruence. With incongruent verdicts, AI-generated fact-check messages elicited more favorable reactions than those by experts, whereas no agent effect was observed with congruent verdicts. Furthermore, a three-way interaction among message congruence, fact-checking agent, and belief in AI heuristic emerged for the acceptance of verdict and perceived message credibility. Specifically, AI fact-checker (vs. crowdsourced fact-checkers) attenuated the confirmation bias in the acceptance of verdict, but such a tendency was found only among those with stronger belief in AI heuristic. For perceived message credibility, however, the tendency for AI fact-checker (vs. experts) to mitigate the confirmation bias was more evident among those with weaker belief in AI heuristic. 이 연구는 팩트체크 검증 주체와 확증 편향이 팩트체크 메시지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온라인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N = 504). 구체적으로, 동일한 팩트체크 메시지에 대해 팩트체크를 사람(전문가 혹은 크라우드소싱)이 수행했다고 안내받았을 때와 인공지능이 수행했다고 안내받았을 때 이용자들의 판정 결과 수용 정도, 메시지 공신력 평가 및 공유 의도가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일치하는 판정 결과를 제시하는 팩트체크 메시지에 대해 우호적으로 반응하는 확증편향이 언제 강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봤다. 연구 결과, 첫째, 팩트체크 메시지의 효과성과 관련해 확증 편향이 견고하게 작동했다. 참가자들은 팩트체크 메시지의 판정 결과가 자신의 정치 성향과 일치할 때 그렇지 않을 때보다 판정 결과를 더 잘 받아들였고, 메시지의 공신력을 더 높게 평가했으며, 메시지를 다른 사람들과 더 적극적으로 공유하고자 했다. 둘째, 팩트체크 주체가 메시지 공신력 평가와 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판정 결과의 정치 성향 일치도에 따라 달라졌다. 판정 결과가 자신의 정치 성향과 불일치할 때는 전문가 팩트체크 메시지보다 인공지능 팩트체크 메시지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일치할 때는 팩트체크 주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판정 결과의 정치 성향 일치도, 팩트체크 주체, 인공지능 휴리스틱에 대한 믿음 사이의 삼원상호작용이 판정 결과 수용 및 메시지 공신력 평가에 영향을 미쳤다. 판정 결과 수용에 있어서는 확증 편향이 팩트체크 주체가 인공지능 혹은 전문가일 때 크라우드소싱일 때보다 약화되는 경향이 인공지능 휴리스틱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두드러졌다. 반면, 메시지 공신력 평가와 관련해서는 확증 편향이 팩트체크 주체가 인공지능 또는 크라우드소싱일 때 전문가일 때보다 약화되는 양상이 인공지능 휴리스틱에 대한 믿음이 약할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팩트체킹 인공지능 기술과 사실성의 역학 : 현장 참여자의 심층 인터뷰 분석

        박소영,이정현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4

        ‘Fact-check’ has drawn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false or misleading information that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nd rapidly distribut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response, the number of fact-checking organizations as well as news outlets that try to emphasize fact-checking practices in the news production process has also increased in Korea. Since the late 2010s, attempts to automate fact-check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have developed with government-backed financial support. However, up to date, the social discourse on the necessity, limitations, prospects, and direction of AI-based fact-checking technologies has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Facing this issu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prospects of national AI fact-checking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takehold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two representative fact-check institutes. This study also conducted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government policy documents and published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Korean AI fact-checking technology is currently stuck in an unfriendly research environment, including a lack of national research support and a lack of high-quality Korean data, which has turned into a politicized debate. Participants also emphasized that social efforts are needed to find consensus among various stakeholders on the role and scope of AI in the fact-checking process. They also suggested that the factcheck 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 should be accompanied by a mature social discourse given the subjectivity and politics inherent in fact-checking, a domain of social interpretation with embedded values and contextual inform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explore alternative governance systems to ensure an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of fact-checking, and calls for self-reflection by all members of society to establish the fact-checking process as a virtuous cycle. This means that we all need to establish the correct perception of what constitutes a "fact," implement appropriate practices in the actual fact-checking process, and most importantly, respect and accept the fact-checking results presented without being bound by partisanship to further solidify the socio-cognitive foundation for a healthy social debate. All in all, our findings contribute to restructuring the sociotechnical discourse within the topography of various actors in the realm of the fact-checking ecosystem, thereby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AI fact-checking technologies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ocumen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rial and error of national AI-based fact-checking technology and raises the issue of overly politicized or blindly focused development of AI fact-checking research and regulation in Korea without mature social deliberation. 디지털 환경 속에서 잘못되거나 왜곡된 정보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빠르게 유통, 소비되면서 ‘팩트체킹(fact-checking, 사실 확인)’이 대응책으로 주목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팩트체크 전문기관이 등장했고 팩트체크 관행을 뉴스 생산 현장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언론사 수도 증가해왔으며, 201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팩트체킹을 자동화하려는 시도가 발전해 왔다. 하지만 정작 국내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 개발의 필요성, 한계, 전망, 방향성 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는 사회적 담론으로 충분히 생산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이에 문제 의식을 갖고 팩트체크 현장에의 참여 경험이 있는 이해관계자를 인터뷰함으로써 국내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팩트체크 기술의 현황, 과제 및 전망을 제시하고자 했다. 국내 팩트체크 전문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7인의 주요 이해관계자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고, 한국형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팩트체킹 기술 개발과 관련된 정부기관의 기술개발 지원 현황과 학계 발표 연구 등을 현상 분석했다. 연구 결과, 현재 한국형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은 국가적 차원의 연구지원이 소모적 정쟁 속에서 정치적으로 변질되고, 양질의 한글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비우호적인 연구환경 속에서 연구가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음이 드러났다. 현장 참여자들은 팩트체킹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역할과 범위에 대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합의점을 찾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치와 맥락 정보가 내재된 사회적 해석의 영역인 팩트체킹에 내재된 본질적인 주관성과 정치성을 감안해 기술 개발 과정에 사회적 합의가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팩트체크 생태계 내에서 실제 활동 중인 참여자들의 시각을 사회적 담론으로 재구성하는 데 일조하고, 다양한 행위자의 지형도 안에서 한국형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인공지능 기반 팩트체크 기술 개발 과정과 시행착오를 기술사의 일부로 기록하여 남기고, 사회적 숙의 과정을 거친 인공지능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 KCI등재

        한국 언론의 팩트체크

        이나연(Na Yeo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4

        이 연구는 국내 언론의 팩트체크가 세계 주요 팩트체크 기관이 공유하는 국제 팩트체킹 네크워크(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의 검증 준칙을 어느 정도 준수하는지를 분석하여 국내 팩트체크의 현 주소를 진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대 팩트체크(SNU FactCheck)와 제휴하여 2017년 19대 대통령선거에서 후보자들의 발언과 공약을 검증한 국내 주요 12개 언론사의 팩트체킹 기사 174건을 내용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IFCN의 5대 준칙을 토대로 투명성과 불편부당성을 주요 검증 원칙으로 도출하였다. 투명성은 투명 취재원 사용, 익명 취재원 사용 및 이유 공개, 수정내용의 공개등 3개 항목으로, 불편부당성은 언론사별 판정 결과의 일치도, 발언 내용에 대한 찬반주장을 모두 포함하였는가를 측정한 이견(異見)의 수용 등 2개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팩트체크 기사당 포함된 투명 취재원과 익명 취재원은 각각 평균 2.69개, 0.89개였다. 또한 팩트체크 초고를 수정한 기사는 124건(71.3%)이었으나 수정 내용을 밝힌 기사는 4건이었다. 불편부당성 중 판정결과 일치도의 경우 서로 다른 언론사에서 같은 발언을 검증한 55건의 기사 중 22건의 판정결과가 완전히 일치하였다. ‘이견의 수용’ 기사는 166건(95.4%)이었다. 한편, 팩트체크에 비판적인 관점에서 제기하는 ‘선택편향’과 ‘검증오류’의 가능성에 대해 검증한 결과 선택편향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검증오류와 관련된 미래예측, 인과관계, 정치적 수사의 내용이 각각 10.3%, 18.4%, 25.2%의 팩트체크 기사에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 what extent Korean news organizations followed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 as part of their routine practices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s in South Korea. To that end,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of the fact-checking news stories provided by 12 major news organizations that are strategically affiliated with the “SNU Fact-Check Center,” Korea’s first fact-check organization, loc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outh Korea. The two main fact-checking principles of IFCN are - transparency and impartiality. With regard to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the Korean news media were found to fall short transparency, for example, in the frequent use of anonymous sources. By contrast, the news media were found to do well in upholding the principle of impartiality. Adherence to the principal of impartiality is measured in terms of whether more than two news organizations that fact-check the same issue arrive at the same conclusion - true, mostly true, false. In addition, results showed that selection bias, which is one of the criticisms directed toward Fact-Checkers, was not mixed. These suggest the direction that fact-checking practices by Korean news organization need go to remedy their shortcomings.

      • KCI등재

        19대 대선 기간 후보자 간 의혹제기에 대한 팩트체크 뉴스의 설득효과

        김선호(Sonho Kim),백영민(Young Min Bae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1

        본 논문에서는 대통령 선거기간 특정 후보자가 다른 후보자에 대해 제기한 의혹에 대한 유권자의 태도가 팩트체크 뉴스 보도를 접한 후 어떻게 변하였는가를 온라인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은 다음과 같은 과정과 설계를 통해 진행되었다. 우선 실험참여자에게 후보자가 제기한 의혹을 제시한 후, 제기된 의혹에 대한 주관적 동의수준을 측정하였다. 이후 해당 의혹을 검증한 팩트체크 뉴스를 제시한 후 제기된 의혹에 대한 주관적 동의수준을 반복측정하였다. 제기된 의혹에 대한 주관적 동의수준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요인으로는 (1) 팩트체크 뉴스의 판정방식(‘사실’, ‘거짓’, ‘사실반 거짓반’), (2) 의혹 제기상황(‘문재인 후보의 홍준표 후보에 대한 의혹제기’, ‘문재인 후보의 안철수 후보에 대한 의혹제기’, ‘홍준표 후보의 문재인 후보에 대한 의혹제기’, ‘안철수 후보의 문재인 후보에 대한 의혹제기’), (3) 미디어 이용자의 지지후보(‘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기타후보’)를 설정하였다. 3원분산분석 결과, 제기된 의혹에 대한 미디어 이용자의 판단은 의혹제기상황, 지지후보 여부에 상관없이 팩트체크 뉴스가 판정결과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팩트체크 뉴스가 제기된 의혹을 사실이라고 판정한 경우 제기된 의혹을 신뢰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거짓이라고 판정한 경우 제기된 의혹을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사실반 거짓반’으로 판정한 팩트체크 뉴스를 접한 미디어 이용자는 제기된 의혹을 불신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실’ 혹은 ‘거짓’으로 판정한 팩트체크 뉴스는 팩트체크 뉴스의 설득효과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고, ‘사실반 거짓반’으로 판정한 팩트체크 뉴스를 접한 미디어 이용자의 모습은 ‘부정성 편향(negativity bias)’ 경향을 실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팩트체크 뉴스의 가능성과 잠재적 한계도 아울러 논의하였다. This study, relying on a randomized experimental design,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fact-checking news influences voters’ perception on a candidate’s allegation on opposing candidates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Basically, our experiment consists of two stages. At the first stage, after being exposed to a candidate’s allegation on a competing candidate, participants’ perception on the allegation was measured: (1) candidate Moon’s allegation on candidate Ahn, (2) candidate Moon’s allegation on candidate Hong, (3) candidate Ahn’s allegation on candidate Moon, and (4) candidate Hong’s allegation on candidate Moon. At the second stage,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one of three types of fact-checking news, (1) “half true,” (2) “true,” and (3) “false”; and then their perception on the allegation was repeatedly measured. With these two manipulated factor, we consider one observed factor, that is, “chosen candidate,” (1) candidate Moon, (2) candidate Hong, (3) candidate Ahn, and (4) other minor candidates. Results of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explaining the change score of participants’ perception on the exposed allegation revealed that fact-checking news succeeded to change participant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t-checking news judgment. Interestingly, participants exposed to fact-checking news judging “half true” thought the allegation was “false” rather than “true,” indicating news audience holds strong negativity bias towards fact-checking news’ judg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팩트체크 뉴스의 품질이 뉴스의 상호작용과 팩트체크 효과에 미치는 영향

        황현정,고문정,최지수,부소야,이철주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4 언론정보연구 Vol.61 No.2

        이 연구는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팩트체크 뉴스의 품질이 뉴스의 상호작용 및 팩트체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코로나19와 관련된 다양한 오정보를 정정하기 위해 보도된 189개의 팩트체크 뉴스 기사의 품질을 내용 분석을 통해 평가하고, 각 품질 요인이 댓글, 좋아요, 공유, 추천 등의 상호작용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뉴스 기사의 상호작용 지표가 오정보의 팩트체크에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내용 분석 데이터, 네이버 뉴스의 상호작용 지표 데이터,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층 회귀분석을 활용해 이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팩트체크의 품질 요인 중 통계수치의 사용과 선정적 헤드라인 사용이 팩트체크 뉴스의 댓글 수와 추천 수, 좋아요 수를 증가시키고, 이 중 댓글 수와 추천 수의 증가가 팩트체크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수가 증가하면 오정보에 대한 인지된 정확성이 낮아졌으나, 추천 수가 증가하면 오정보에 대한 인지된 정확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뉴스의 품질 뿐만 아니라 뉴스 기사에 대한 상호작용이 팩트체크 효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온라인 뉴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상호작용 지표들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fact-check news quality on the news engagement and fact-checking effectiveness of the new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quality of 189 news articles fact-checking various misinformation related to COVID-19 was assess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study examined how each quality factor influenced engagement metrics such as comments, likes, shares, and recommendations and verified how those engagement metrics affected the fact-checking of misinformation. Content analysis data, engagement metrics data of Naver News, a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use of statistical figures and the use of sensational headlines among the quality factor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comments, recommendations, and likes on fact-check news articles. Moreov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ments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perceived accuracy of misinformation, whil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had a positive association.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not only of news quality but also of user engagement with the news in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fact-checking. It suggests the need for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functions and meanings behind the engagement metrics provided by online news platforms.

      • KCI등재

        언론의 자유와 ‘팩트체크’(fact check)

        장영수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In the responsible media, it is important to be confident in the content coverage and the credibility of the content to be reported as promptly as possible. Therefore, there is a strong interest in fact checking in media. However, there are a few cases where the facts are not properly checked in the contentious competition, and there is a lot of unverified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that fills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SNS, which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is also a blind spot for fact checks.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said that the korean government will lead the war against fake news beyond the autonomous fact checking of the media. That's because the fake news problem is so serious. However, there are also worries that it may seriously infringes the freedom of the speech. There are various prospects for how future war against fake news will be developed, how fact check will develop, and how the role of government and court will chang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spread of fake news through the Internet and SNS will not stop for the time being, and the fact check for catching up on fake news will also expand and strengthen. The front line of the war against fake news is the media, and the most important weapon of war is the autonomous fact check. Although there are examples of using legal action, such as the German “Network Enforcement Act”, its role is very limited and complementary. If the problem can not be solved through the fact check, it is inevitable to resolve it through the judgment of the court.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method beyond the fact check in order to promptly block the flaws of fake news in a short time. In the event that sanctions are imposed, there will be serious violations of freedom of speech. It is not desirable to stimulate the concerns of the press freedom infringement by bringing the government to the front in the war against fake news. The war against fake news should not undermin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should not assume any role other than indirectly supporting the autonomous fact check of the media. In order to avoid foolishness to undermine the freedom of the press in order to catch fake news that is parasitic on freedom of press, it is the right direction for the government to step back and strengthen the autonomous fact check of media. 책임 있는 언론매체에서는 치열한 취재 경쟁과 신속한 보도에 못지않게 보도하는 내용의 신뢰성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매체들에서는 팩트체크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하지만 분초를 다투는 취재경쟁 속에서 팩트가 제대로 체크되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으며, 더욱이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을 채우고 있는 정보들 중에서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이 무수히 많다. 또한 최근 그 비중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SNS 또한 팩트체크의 사각지대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언론매체의 자율적 팩트체크를 넘어서 정부-여당이 앞장서서 가짜뉴스와의 전쟁에 나서겠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오죽 가짜뉴스 문제가 심각하면 그럴까 싶으면서도, 과연 이런 일에 정부-여당이 나서는 것이 바람직할까, 오히려 언론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도 적지 않다. 향후 가짜뉴스와의 전쟁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팩트체크가 어떻게 발전될 것인지, 나아가 정부와 법원의 역할은 또 어떤 변화를 보일 것인지에 대해서 다양한 전망이 가능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앞으로도 당분간 인터넷과 SNS를 통한 가짜뉴스 확산은 멈추지 않을 것이며, 가짜뉴스를 잡기 위한 팩트체크 역시 확대⋅강화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가짜뉴스와의 전쟁을 치르는 최전선의 담당자는 언론매체이며, 전쟁을 치는 가장 중요한 무기는 자율적 팩트체크이기 때문이다. 비록 독일의 「네트워크 법집행 개선법」처럼 법적 조치를 동원하는 예가 있어도 그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고, 보충적이다. 팩트체크를 통해 문제가 해결되지 못할 경우에는 법원의 판단을 통한 해결이 불가피할 것이지만, 가짜뉴스의 폐해를 적기에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해서는 팩트체크 이상의 방법을 찾기 어려우며, 정부가 가짜뉴스를 판별하고 이에 대한 제재를 가하게 될 경우에는 언론의 자유에 대한 심각한 침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가짜뉴스와의 전쟁에 정부가 전면에 나섬으로써 언론자유 침해의 우려를 자극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가짜뉴스와의 전쟁이 언론자유를 위축시켜서는 안될 것이며, 언론매체의 자율적 팩트체크를 간접 지원하는 것 이외의 역할을 정부가 담당하려 해서는 안 된다. 언론자유에 기생하는 가짜뉴스를 잡기 위해 언론자유 자체를 훼손하는 어리석음을 피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한 발 물러서고, 언론매체의 자율적 팩트체크를 강화시키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팩트체크 뉴스에 대한 이용자 반응 분석 : 언어적 특성, 인지·정서적 반응 및 논쟁 댓글의 출현 양상을 중심으로

        고예나(Yena Ko),김우정(Woojeong Kim),한경식(Kyungsik Han),홍화정(Hwajung 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1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뉴스들과는 작성 목적, 형식, 내용, 구성 등에서 차별점을 가지는 팩트체크 뉴스에 대한 이용자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포털 사이트의 뉴스 기사 댓글을 통해 이용자들의 언어적 특성, 인지ㆍ정서적 반응 및 논쟁 댓글을 통한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유사한 주제를 가지는 일반 뉴스의 댓글을 비교군으로 설정한 후 각 집단 당 1,215개의 기사에 대한 총 33만개의 개별 댓글에 대해 자연어처리 및 휴먼코딩 기반의 사전 구축 방법을 사용하여 언어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어휘 기반 단어 분석, 구글 감성 분석 api를 사용한 감성 분석, 논쟁 지수 산출을 통하여 논쟁 댓글 출현 양상에 대한 회귀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적 특성으로는 팩트체크 뉴스 댓글에서 사실관계를 의심하거나 언론을 비판하는 단어들이 많이 등장했다. 둘째, 인지ㆍ정서적 반응의 특성으로는 팩트체크 뉴스 댓글에서 인지적 과정 범주에 포함되는 단어 사용이 많았고, 부정적 정서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특성으로는 팩트체크 뉴스 댓글란에서 상대적으로 논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의견이 천천히 수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연구는 자연스럽게 발생한 데이터를 통해 팩트체크 뉴스 이용자들의 언어적ㆍ인지적ㆍ정서적 특성을 규명하고, 논쟁 지수의 도출 및 논쟁 양상의 분석을 통하여 팩트체크 뉴스 이용자 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살펴보며, 이 과정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한국어 어휘 사전을 구축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가 팩트체크 뉴스 이용자 반응에 대한 탐색적인 단초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online news user comments to identify users’ linguitstic characteristic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and interactions between users toward fact-checking news that differed from the existing news in writing purpose, format, content, and composition. After collecting the user comments of general news with similar themes as a comparison group, we conducted lexicon-based analysis for linguistic characteristics, emotional analysis using Google Emotional Analysis API, and argument index calculation for identifying the emergence of controversial comments. First, words that question the facts or criticize the media were more observed in the user comments to fact-checking news. Second, more words related to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appeared in the user comments to fact-checking news. Third, controversial comments corresponding to fact-checking news were likely to last longer than those to general news. Overal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investigating linguistic,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fact-checking news users, examining fact-checking news users" interactions by calculating argument index and analyzing emergence of controversial comments and constructing a reliable Korean vocabulary dictionary through a hybrid method of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We hope this study provides exploratory clu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act check news comments and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