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행> 시리즈를 통해 본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산업적 특성

        이현중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2 현대영화연구 Vol.18 No.3

        In culture contents, the term ‘Korean style or type’ refers to the features of content with Korean specificity arising from the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Industrial factors are also important in creat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model of media contents. Due to the nature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which several media are combined, factors related to the industry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conceptualize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The story with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production issues from the industry, and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contents as a “region” are linked to the enjoyment culture to establish an universe of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Train to Busan and Seoul Station are in the form of trans-media storytelling completed through the follow-up film Peninsula and the webtoon Peninsula Prequel 631. Through the Peninsula series, the media is expanded by adding webtoons to movies and animations, and the universe is shared with Train to Busan, but a new story is provided. As a result, the series has the aspect of a franchise story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entire narrative.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are found in the Train to Busan series. It is the use of webtoons, the important genre of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And family-melodrama narratives that contradict the zombie genre are used. In the Train to Busan series, you can find the effect of industrial limitations on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The industrial structure of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is not dominated by large entertainment companies like the U.S., but rather by collaborating with media. As a result, IP problems, story and media expansion limitations occur. In the phenomenon that Korea’s “regional” identity and enjoyment culture meet to define Korean culture contents, it can be analyzed by linking K-zombies and the trans-media storytelling of the Train to Busan series. As such, Korean trans-media storytelling shows features in which industrial limitations strengthen the intrinsic elements of content, and the locality of industry and production also affects content. 통상적으로 문화콘텐츠에서 ‘한국형’이란 용어는 한국이라는 지역적⋅문화적 특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한국적 특수성을 지닌 콘텐츠의 변별성을 의미한다. 하지만 산업적 요인 또한 미디어콘텐츠의 ‘한국형’ 모델의 정체성을 만드는데 핵심이 된다. 다수의 미디어가 산업적으로 결합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상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변별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산업과 관련된 요소가 필수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문화적 특성으로부터 비롯되는 스토리 내재적 요소와 산업적 제한 요소로부터 비롯되는 제작의 문제, 그리고 ‘지역’으로서의 한국 콘텐츠의 정체성은 향유 문화와 긴밀하게 연계돼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세계관을 확립하게끔 한다. <부산행>, <서울역>은 후속작 영화 <반도>와 웹툰 <반도 프리퀄 631>을 통해 완성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형태를 갖춘다. 영화, 애니메이션에 웹툰을 더해 미디어를 확장했고, <부산행>과 세계관은 공유하지만 새로운 스토리를 담은 <반도> 시리즈를 통해 전체 서사체의 규모를 키움으로써 프랜차이즈 스토리의 면모를 갖춘다. 동시에 <반도> 시리즈의 확장을 통해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이성이 발견된다.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주요 장르인 웹툰이 활용되는 점을 비롯해, <부산행>부터 이어지는 좀비 장르의 외피와 상반되는 가족애 중심의 서사와 주제 의식 등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 특성이 드러나는 것이다. 무엇보다 <부산행> 시리즈에서는 산업적 한계요소가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미치는 영향성을 살펴볼 수 있다. 거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총괄하는 형태가 아닌 미디어별로 협업하는 형태로 이뤄지는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산업 구조를 취하고 있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IP 문제, 스토리 및 미디어 확장 제한성 등이 발견된다. 한국이라는 ‘지역’ 정체성과 향유문화가 만나 한국형 콘텐츠를 규정짓는 현상에서 K-좀비와 <부산행> 시리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연계해 살펴볼 수도 있다. 이처럼 한국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산업적 한계가 콘텐츠의 내재적 요소를 강화하는 양상을 보이며, 산업과 제작의 지역성이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이 발견된다.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생성 원리와 국내 연구 동향

        김희경(Kim Hee-kyung)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각 연구자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생성원리를 웹툰과 드라마, 영화의 사례를 들어 설명한 책이다. 국내의 경우, 2000년대 중반 이후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혹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논문과 책의 출판은 양적으로 조금씩 늘어나고 있지만 기존의 스토리텔링과는 생성구조가 다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책이 출판되었다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두 책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생성 원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나아가 미디어를 트랜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두 책을 통해서 알아봄으로써 국내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Webtoon, the structure and possibility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transmedia storytelling” are the basic concepts of trans media storytelling and the cre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is is the book I described. In Korea, since the mid-2000s,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books on transmedia content or transmedia storytelling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but the publication of a book on transmedia storytelling that differs from that of existing storytelling It is quite encouraging. In both books, we will look at the current state of transmedia content research in Korea by exploring how to understand the creation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what it means to transform media.

      • KCI등재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박기수(Ki Soo Par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3

        본고는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가능성을 모색하고 최적화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은 향유를 지속·강화·확산하기 위하여 복수의 매체와 장르를 가로질러 스토리월드(story world)를 확장적으로 구축해나가는 스토리텔링 전략 혹은 그러한 세계를 의미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장 큰 특징은 ⓐ 향유의 지속·강화·확산, 즉 활성화를 지향함으로써 콘텐츠의 가치를 늘 현재진행형 상태로 유지하려 한다는 점이다. 향유의 활성화는 생산자와 향유자라는 전통적인 경계를 붕괴시키고, 향유 행위 자체가 생산의 잠재태인 동시에 구체태로서 기능하며, 향유 공동체를 통하여 향유자들 간의 향유와 인정이 생산의 기반을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은 향유의 활성화라는 영원한 유예의 상태를 궁극의 지향으로 삼기 때문에 ⓑ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의 실천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 스토리월드를 구성하는 핵심의 정체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개방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 그 결과 ⓓ 텍스트는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모듈로서만 완결될 뿐이며 ⓔ 끊임없는 자기 증식과 구현 매체 및 기술, 그리고 주변 장르와의 융합(convergence) 가능성을 열어놓게 된다. 가장 역동적인 장르인 웹툰이 급부상하는 이유는 독립적인 콘텐츠로서의 가치만큼이나 원천 콘텐츠로서의 잠재적인 역량 때문이다. 본 논의에서는 개방성·확장성·역동성·유목성을 지향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월드와 웹툰이 생산적으로 만날 수 있는 지점으로 스토리텔링에 주목했다.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웹툰을 실체적으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역동적인 ‘장(field)’으로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웹툰의 장’은 향유를 동력으로 생산과 소비의 경계를 넘어서는 개방성과 유목성을 지향하며, 참여·가치·즐거움·공유·체험이 연쇄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함께 즐기는 놀이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작품 수에서나 구현 양상 면에서 미완의 모색기라 할 수 있다. 향후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① 스토리월드 구축 양상과 전략적 구축 방안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요구하고 있으며, ② 비즈니스적 전개와 팬덤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③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상호 텍스트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의 마련이 요구되고, ④ 향유의 기반이 되는 참여의 수준과 지속 정도에 대한 세분화된 논의가 필요하고, ⑤ 탈중심화에도 불구하고 선도하면서 다른 콘텐츠 창작을 자극하는 콘텐츠 간의 구도와 층위에 대한 탐구가 요구되며, ⑥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활성화에 적합한 스토리의 성격 및 필요 요소에 대한 실천적 탐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the transmedia storytelling and researching the optimization strategy of webtoon. Transmedia storytelling is either a storytelling strategy or the world that crosses the multiple media and genre by expansion of story world to extend, strengthen and spread the enjoymen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storytelling are ⓐ Tend to stay current and in continuos status by focusing on extending, strengthening, and spreading the enjoyment. Stimulating the enjoyment demolishes the traditional barrier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user, while enjoyment itself becomes both potential and concrete status of the producer. Also, user acknowledgement build the foundation of production by building the enjoyment community. ⓑ Acknowledge the practical involve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 Guarantee the oneness and autonomy of rest of the story world other than the core identity. As a result, ⓓ it would be completed as a module not as a complete text, and ⓔ open the possibilities for continuous self breed, realization medium, technology and convergence with other genre. The reason for sudden rise of webtoon is the potential capability as a source content as well as the value of a independent content. This article focuses on oneness, expansion, dynamic, and nomad aspect of storytelling where transmedia story world and webtoon can meet productively. Dynamic ‘field’ rather than nature of webtoon was understood to find the potential transmedia storytelling of webtoon. ‘Field of webtoon’ aim for oneness and nomad with power of enjoyment that crosses the border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Further it will be the playground that involve, value, fun, share, and experience through series of interactions. Transmedia storytelling of webtoon is at incomplete status considering the realization aspect and number of work. In the future ① Webtoon transmedia storytelling require practical discussion for story world building aspect and strategic building plan. ② Specific plan to create business development and fandom synergy must be considered. ③ Storytelling strategy on mutual text revitalization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is needed. ④ Break down discussion of participation and extension degree basing on enjoyment is needed. ⑤ Leading creation while decentralization of other content stimulating structure and level must be examined. ⑥ Lastly, practical search for right story characteristics and needed element to activate transmedia storytelling must be studied.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부산행>, <서울역>의 확장 가능성

        이현중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Train to Busan> and <Seoul station> are planed trans-media storytelling contents which set for the Korean films market environment. In fact, it hard to conclude that <Train to Busan> and <Seoul station> are trans-media storytelling proper. However, the stories, that each media develops, contribute to the whole story in independent way. It is different with existing Korean trans-media contents cases which were the extend of web contents and media converting. So those two texts have potential as trans-media storytelling. This is also a very unique perspective franchise storytelling of the director's previous animation production, which can be called the "Yeon, Sang-ho brand". The two texts share some stories and characters. In time order of narrative, <Seoul station> is prequel of <Train to Busan>. But the part where the two works are valued as trans-media storytelling is not just sharing stories. Each content of film and animation uses a storytelling strategy that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 media. This gives a richer meaning to the whole story. And the two texts have the potential to expand into additional media. Expansion here means the expansion of the story and the media as a trans-media storytelling. <Trains to Busan> and <Seoul station> have the character of a vivid genre film, seemingly called zombie movies, regardless of the social themes. Both films have narrative characteristics focusing on specific space and movement. This allows the story to be expanded as a game, a series of TV dramas, and an AR content. In case of Train to Busan, the unique characters carry out the story process of continuing 'quest'. This is a significant part of the game's storytelling style. These points provide insight into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storytelling into games. TV genre dramas can be used through storytelling strategies that complement major characters that are not explicitly explained in movies and animations. Also, the appearance of real space and possibility as shooting game have the potential to expand as AR contents. 본 연구는 <부산행>, <서울역>을 한국의 영화 시장 환경에 맞춰 기획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이해하고 분석한다. 이는 디지털과 뉴 미디어라는 기술적 관점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개념화하는 기존의 연구 시각에 이야기를 중심으로 미디어 확장 가능성을 파악하는 텍스트 내적 분석을 접목시키는 방법을 통해 이뤄질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가 확산될 수 있는 기술적 제반과 향유 문화가 갖춰졌다는 측면은 두 작품을 넘어 한국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의 잠재성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연구될 것이다. 사실 <부산행>과 <서울역>은 완전한 의미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다만 이 작품들에는 웹 콘텐츠의 확장 중심이었던 기존의 한국적 사례와 다르게, 매체전환적인 의미를 넘어 각각의 매체가 전개하는 스토리가 전체 스토리에 독립적으로 가치 있게 기여하는 지점들이 발견되기에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두 작품을 넘어 이른바 ‘연상호 브랜드’로 칭해질 수 있는 감독의 이전 애니메이션 연출작들과 일종의 연장선상에서 전체 스토리를 유추할 수 있는 매우 특이한 관점의 프랜차이즈 스토리텔링으로서의 가능성 또한 보인다. 두 작품은 일부 스토리와 캐릭터를 공유하며, 서사의 시간성으로 볼 때 <서울역>이 <부산행>의 프리퀄에 해당한다. 하지만 두 작품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가치를 갖는 부분은 단순한 스토리의 공유가 아닌 개별 매체에 특성화된 스토리텔링 전략을 각각의 콘텐츠가 구사하며 이를 통해 전체 서사체에 보다 풍성한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작품은 다른 미디어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닌다. 여기서의 확장이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스토리와 미디어의 확장을 의미한다. <부산행>과 <서울역>은 내포된 사회적 주제를 떠나 표면적으로 좀비 영화라는 선명한 장르 영화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특정한 공간성과 이동을 중심 매개로 하는 서사 특성을 지닌다. 이를 통해 게임, 시리즈형 TV 드라마, AR 콘텐츠로서의 스토리 확장을 생각해볼 수 있다. <부산행>의 경우는 개성화된 캐릭터들이 지속적인 퀘스트를 수행하는 형태로 서사가 진행된다는 측면에서도 게임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상당 부분 접목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점들은 게임으로의 스토리텔링 확장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것이고,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명확히 설명되지 않은 주요 캐릭터들을 보완하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통해 웹툰이나 TV 장르 드라마를 활용하는 방식 또한 시도가 가능하다. 또한 실존 공간의 등장과 슈팅 게임으로서의 가능성은 AR 콘텐츠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역동적 참여와 융합 그리고 공유의 즐거움: 콘텐츠IP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박기수(Park, Ki-Soo)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2

        본고는 콘텐츠IP(Intellectual Property)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주목하고, 그것의 구현 전략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콘텐츠IP의 가치와 중요성이 강조되고 다양한 방식의 비즈니스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콘텐츠IP 활성화의 구현 전략으로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출발하지만, 개념적 파악 보다는 구체적인 구현 및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현재적 의미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현재 콘텐츠 현장에서 대상, 구현방식, 수익구조, 전개 양상 등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콘텐츠IP를 중심으로 한 개방적인 연계와 융합의 역동적 양상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그 개념 역시 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접근으로 변화 양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콘텐츠IP 비즈니스에서는 확장 가능성과 지속 가능성이 중요하다. 이를 전제로 한 콘텐츠의 융합 및 전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재적 의미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현 동력에 주목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그것을 ‘역동적 참여와 개방적 융합 그리고 자발적 공유의 즐거움 창출’로 파악하였다. 콘텐츠IP 비즈니스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개별 콘텐츠의 독립성과 트랜스미디어스토리월드의 통합성을 전제로 하며, 그것의 역동적인 지속-강화-확장의 동력은 향유자의 참여와 연계 그리고 공유의 즐거움을 통해 창출되는 까닭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pay attention to Transmedia storytelling as specific methodology and investigate its materialization strategy, with the purpose of vitalizing contents IP. Whil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contents IP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nd diverse methods of the business have been embodied, the reality is that research about its specific strategy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article paid close attention to Transmedia storytelling as a specific materialization strategy for contents IP vitalization. While starting from the discussion over existing Transmedia storytelling, this article concentrated on the specific aspects of materialization and development; it focused more on identifying the features of today’s Transmedia storytelling than its conceptual understanding. Contents IP is diversely developed in contents fields nowadays; if its dynamic aspect of open affiliation and convergence can be understood through Transmedia storytelling, the change of its notion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more flexible and open approach. Moreover, because extensibility and sustainability are the two key elements in the business of contents IP, both universe building based on affiliation and convergence and users’ constant engagement and sharing are essential. In order to seek methods to vitalize contents IP, this article paid great attention to the motivity of Transmedia storytelling’s materialization, identifying it as ‘dynamic engagement, open convergence, and pleasure of voluntary sharing’ in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business of contents IP or Transmedia storytelling presuppose both the independibility of individual contents and integrity of the story world, and that motivity of its dynamic sustenance-reinforcement-extension is created through engagement, convergence and pleasure of sharing.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 개념과 분석 방법에 관한 시론

        권호창(Kwon Hoch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복수의 미디어와 장르 그리고 생산 주체를 가로질러 스토리 세계를 확장적으로 구축해나가는 스토리텔링 전략 혹은 그러한 세계를 의미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일관성은 콘텐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수용자들의 몰입과 참여를 끌어내는 데 있어 핵심적인 속성이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통합적인 논의와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혼동이 있으며, 분석 방법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도 부족한 형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에 관한 개념 체계와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관련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에 관한 개념 체계를 만들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에 관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 분석 항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개념 체계와 분석 항목을 연결하여 구체적인 분석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분석과 관련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ransmedia storytelling is a storytelling strategy or a world that expands the story across multiple media, genres, and subjects. Consistency in transmedia storytelling is a key attribute in maintaining the content identity, contributing to recipients’ immersion and participation. However, the concept causes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integrated discussion and defini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accompanied by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analysis methods.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ual system and analysis method to achieve the consistency in transmedia storytelling. First, related studie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o create a conceptual system for the consistency in transmedia storytelling, and the analyzed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discussions on the components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addition, specific analysis contents and methods were proposed by linking the conceptual system and analysis items. Thus, this paper is a foundation study on the consistency in transmedia storytelling,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planning and analysis of transmedia contents and related education.

      • KCI등재

        메타이야기적 상상력과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 모델

        이동은(Lee, Dong-Eu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2

        최근 스토리텔링 기술은 서사 중심에서 캐릭터 중심으로 변모하고 있다.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이란 캐릭터가 하나의 스토리에 국한되지 않고 탄생의 기반이 되었던 원작 세계관을 뛰어 넘어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인물을 만나 새로운 사건을 경험하며 또 다른 이야기로 확장되는 현상을 총칭한다. 심지어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은 탈서사적, 탈장르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캐릭터를 고정점으로 하여 다양한 미디어로 전개되고 스토리 세계를 넓혀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미디어 발달사와 서사 진화론의 관점에서 규명하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캐릭터를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는 스토리텔링 기술은 미디어 발달사와 서사 진화론에서 그 등장 배경을 고찰할 수 있다. 미디어 발달사의 측면에서 고려되는 네 가지 요인은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으로 인한 큰 이야기의 소멸과 작은 이야기의 등장, 둘째 팬덤 문화의 출현과 캐릭터의 자율화, 셋째 데이터베이스 시대에서 비롯된 캐릭터의 공공재화성, 넷째 창작 주체의 변화이다. 반면 서사 진화론의 관점에서 캐릭터 스토리텔링은 최근 등장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담론과 조우하면서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캐릭터 스토리텔링은 전통적인 서사 이론에서 역할론과 성격론으로 나뉘어 연구되었다. 대립각을 세우며 연구되었던 캐릭터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패러다임의 도래로 캐릭터의 자율화와 공공재화성을 확보하게 되고 플롯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게 되면서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 특히 이 현상은 캐릭터가 여러 플랫폼에 걸쳐 나타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가속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 중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두 가지 모델로 성격 전이형과 역할 전이형을 제시하고 그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특징과 구조를 도출해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스토리텔링 모델을 규명하고 그 유형별 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character is not dependent on an original story world any more. It is not limited to it’s own story, but gets out and expands the other story with new character, background story, and event regardless of genre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y should this phenomenon happen from the media perspective and to build a character storytelling mode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s.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paradigm the storytelling model is emphasized character storytelling. Character is no longer limited to just one narrative and extended beyond the boundary narrative, media and genre. There are four background. First, disappearance of the big story with the advent of postmodernism and the emergnece of small story. Second, the emergence of fandom culture and charater’s liberalization. Third, character as public goods with database. Fourth, changes in author’s position. In fact, in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ory there has been discussion about the character all the time. But character storytelling meets transmedia storytelling, discussions were accelerated. The character was preceded by a narrative independent existence. Even if that character has occurred even while leading cause narrative. In this paper, we suggest two model as specific methodology to expand the story world fixed character. One is phychology transition, another is roll transition. This study get the value to build the new storytelling model with digital paradigm.

      • KCI등재

        청소년서사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나타나는 가족과 개인

        정혜경 대중서사학회 2021 대중서사연구 Vol.27 No.2

        본고는 김려령 작가의 소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 이한 감독의 영화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을 대상으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변형 과정을 분석하여, 포스트IMF시대 가족해체 및 ‘개인화’를 둘러싸고 상이한 서사적 대응이 공존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개념에 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원작에서 출발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마리-로르 라이언의 서사학적 관점인 ‘트랜스픽셔낼러티(transfictionality)’를 참조하였다. 소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은 가족해체라는 실존적 조건을 받아들이는 ‘개인화’의 두 가지 양상을 드러낸다. 소설 『완득이』는 ‘자기 발견’을 통해 가부장 중심의 가족로망스를 벗어나 친밀한 개인들의 동행과 같은 느슨한 가족 유대를 보여주었다. 소설 『우아한 거짓말』은 철저히 고립된 자신을 발견하는 청소년의 이야기를 통해 ‘고통의 개인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남겨진 자들의 애도가 불가능함을 서늘하게 그려냈다. 한편, 영화로 전환된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은 가족 해체에 직면한 가족 구성원들이 이에 맞서 가족을 재발견하고 복원하는 서사를 보여 주었다. 영화 <완득이>는 다문화 정체성을 통해 가족공동체의 확장을 도모하였고, 영화 <우아한 거짓말>은 남겨진 가족들이 슬픔 속에서도 ‘자살생존자’로 살아남아 자신들의 애도를 완성하였다. 위 소설의 스토리월드는 청소년 개인의 ‘자기 발견’에, 영화로 전환된 스토리월드는 ‘가족을 재발견’하는 데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스토리텔링의 변형, 특히 서사구조의 재구성(‘수정 modification’)을 통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매체 전환 텍스트들 간의 관계를 ‘충실한 재현’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은 물론 상반된 주제와 세계관을 보여 주고 있다. 즉 ‘인물의 등장’이라는 기준점을 제공하되, 원작에서 출발하여 매체를 전이하면서 스토리텔링을 변형시킴으로써 원작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이질적인 목소리들을 생성하여 다성적 스토리월드로 개방하였다. 가족해체와 개인화를 둘러싸고 불확실성이 증폭하는 포스트IMF시대에, 이와 같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의해 생성된 다성적(多聲的) 스토리월드는 개인의 자유/위험과 공동체에의 안주라는 이질적인 욕망을 경험하도록 이끈다. 이는 ‘횡단, 초월, 변형’을 근간으로 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문화정치적 함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브랜드 캐릭터의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일렉트로맨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

        최은실 ( Choi Eun Sil ),편정민 ( Pyun Jung Mi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새로운 창작 방법론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브랜드의 핵심가치가 부여된 브랜드 캐릭터 간의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차별화가 필요하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창작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브랜드 캐릭터 마케팅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치에 대해 논의한다. 분석을 위한 구체적 미디어로는 사용자들과의 상호작용에 적합한 뉴미디어인 SNS 중에서도 인스타그램을 선정하였다. 인스타그램 주 사용자인 20-30대 135명을 대상으로 브랜드 캐릭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징 중 기여도와 입구성을 제외한 미디어 다양성, 사용자 참여성, 자기충족성은 소비자의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 형성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브랜드 캐릭터의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전반적인 브랜드 태도 개선에 도움을 준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추후 더 다양한 미디어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효과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ransmedia storytelling, a new creative methodology. In order to survive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brand characters with the core value of the brand, differentiation through storytelling is needed. Transmedia storytelling is a creative methodology that can be utilized at this time.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value of transmedia storytelling by analyzing the impact of brand character marketing using transmedia storytelling on brand attitudes. As a specific media for analysis, Instagram was selected from SNS as a new media suitable for interaction with users. The impact of transmedia storytelling of brand characters on brand attitudes was analyz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135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he main users of Insta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media diversity, user participation, and self-fulfilling, excluding contribution and entranc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storytelling,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ositive brand attitudes by consumer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active use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the marketing strategy of brand characters helps improve overall brand attitudes. We look forward to active discussions on the effectiveness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rough further research on transmedia storytelling in more diverse media in the future.

      • KCI등재

        뉴미디어시대의 브랜드스토리텔링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윤혜진 ( Yoon Hye-jea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5 No.-

        스토리는 인간의 감성에 호소하는 가장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자 기억 요소이며, 브랜드스토리텔링은 이러한 스토리의 파급력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기억 속에 감성적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이다. 하지만 국내의 브랜드스토리텔링은 일방적인 전달방식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이 제한되어 있으며 더 많은 스토리를 재생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패키지디자인에 주목하였다. 패키지디자인은 일상에서 가장 쉽게 자주 접하는 매체이며 소비자가 직접 만지고 사용하기 때문에 스토리 전달이 용이하고 명확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들어 전통매체의 한계를 넘어 최첨단 뉴미디어 기술과 융합하여 스토리의 확장과 재생산, 그리고 즉각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매체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패키지디자인과 첨단 기술이 융합하여 브랜드스토리텔링하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 사례를 분석하여, 뉴미디어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브랜드스토리텔링도구로서 패키지디자인의 가능성과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에비앙, 앱솔루트, 켈로그, 프링글스, 레드불스는 모두 타겟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뉴미디어 기술을 패키지디자인에 적용하여 브랜드스토리텔링하고 있었으며, 단순한 스토리 서사 전달에 머물지 않고 소비자의 참여와 경험을 이끄는 다감각, 다차원적인 상호작용을 주도하며 브랜드스토리를 확장하고 있었다. 앞으로 국내의 브랜드스토리텔링도 뉴미디어 시대에 맞게 기술과 융합하여 진화된 패키지디자인을 통해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며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실행해야 할 것이다. Stories are the most powerful communication and memory elements that appeal to human emotions, and brand-stating is a marketing strategy to capture emotional images in consumers' memories based on the ripple effects of such stories. However, because current brand-styling remains a one-way delivery,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s limited and there is a limit to the reproduction of more stories. This led to the attention of package design. Because package design is the easiest medium to encounter in everyday life and it is easy and clear to tell stories because consumers touch them and use them. In addition, it has recently become a media that transcends traditional media's limits and integrates with state-of-the-art new media technologies to expand, reproduce, and interact instantaneously.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global brand case where package design and high-tech technologies are combined to create brand storytelling, suggesting the possibility and use of package design as a new branding tool suitable for the new media era. Based on the analysis, Evian, App Solut, Kellogg, Pringles, and Red Bulls all participated in the brand-storning experience of applying various new media technologies to package design and staying in simple story lines. In the future, local brand-styling will also need to implement storytelling that can interact with consumers and communicate with them through advanced package designs that converge with the technology for the New Media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