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태적 투입산출모형을 활용한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경제성장 구조분해분석

        박승규 한국지역경제학회 2024 韓國地域經濟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금융위기 전・후로 시점을 구분하고, 수도권 및 비수도권 산업의 차별성을 반영하여 산업별 산출량 변화 요인을 IO-SDA 모형으로 구조분해하였다. 특히, 산업을 12개로 구분하고, 최종수요를 세분화함으로써 산업 전체에 대한 효과 외에 개별 산업에 대한 산업별 산출량 기여정도 및 최종수요 변화를 도출하였다. 또한, 인구변화에 따른 산업별 산출량 분해요인의 변화를 산업별 산출량, 고용, 인구, 최종수요, 정부지출, 민간지출 상호관계를 고려한 패널연립방정식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인구변화에 의한 산업별 산출량의 구조요인을 IO-SDA로 분해한 결과, 인구감소는 인구효과 및 최종수요 변화로 산업별 산출량이 감소하였지만, 고용효과 및 기술변화효과로 인한 대체효과로 산출량 감소가 상쇄되었다. 특히, 수도권은 인구효과로 산업별 산출이 유발되며, 비수도권은 인구효과 감소에 비해 고용효과 및 기술변화효과로 산업별 산출이 유지되었다. 수도권 인구집중은 인구효과를 증대시켜 산출이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저출산・고령화 및 수도권 인구유입으로 비수도권은 인구감소에 의해 산출량이 감소하는 실증적인 영향이 파악되었다. This study decompose factors of output by industry in the metropolitan area(SMA) and non-metropolitan area(Non-SMA) at 2005-2010 and 2010-2015 using the IO-SDA model. In particular, by dividing the industry into 12 and subdividing the final demand, the contribution of each industry to the change of output and changes in final demand were derived in addition to the effect on the entire industry. Also,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changes of decomposition factors in output by industry due to population changes by constructing a panel simultaneous equations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mong industry-specific output, employment, population, final demand, government expenditure, and private expenditure.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structural factors of output by industry due to population change, which results in a decrease in output by industry due to population effect. However, decrease in output is offset by employment and technological change effects. In particular, although output by industry was induced due to the population effect in SMA, it was maintained due to the employment and technological change effect compared to Non-SMA.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the SMA increased the population effect and output in the SMA, while it was opposite in Non-SMA. Therefore, the low total fertility rate (TFR), aging, and population inflow to the SMA simultaneously, Non-SMA were experienced to decline in output change.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활용한 한국 제조업의 고용구조와 노동연관효과 추이 분석

        장지용 ( Ji Yong Jang ),박재운 ( Jae Un Park ),정도영 ( Do Young Jung ) 한국산업조직학회 2011 産業組織硏究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 부속 고용표를 이용한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해 한국 제조업의 고용구조 및 최종수요 항목별(소비, 투자, 수출)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제조업의 취업자, 피용자, 그리고 자영업자 수는 최근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취업자, 피용자 수는 감소한 반면 자영업자의 수는 증가한 결과 제조업에서의 고용창출 효과가 감소하였다. 둘째, 최종수요를 소비, 투자, 수출수요로 분해하여 고용유발인원의 구조를 살펴보면, 제조업에서는 수출수요에 의한 고용유발인원이 가장 많았다. 수출수요는 직접고용유발인원이 다른 부문에 비해 매우 높았다. 이는 제조업의 고용유발유인원은 수출수요 증가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제조업의 고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고용유발계수를 살펴보면 최종수요에 의한 고용유발계수는 직접유발계수와 간접유발계수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소비수요, 투자수요, 수출수요에 의한 고용유발계수는 직접유발계수의 비중이 조금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제조업은 다른 부문, 특히 서비스부문에 비해 간접유발효과의 비중이 높은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향후 서비스 부문의 수요증가에 의해 제조업의 고용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균형성장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bor-induced effect of the manufacturing sectors by using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otal number of employment in manufacturing sector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until 2005. However, this trend of increase has been reversed after 2005. It means that although the production of manufacturing sectors has been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growth, those employment has not been followed this process, particularly since 2005. Second, the coefficient of labor-inducement effect in manufacturing sectors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ed. Particularly, this trend is so certain in the case of export demand. It means that the increase of export in manufacturing sectors would not be a solution to resolve the domestic employment probl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ollowing policy directions are required; 1) to decrease the import-dependency ratio of intermediate products; 2) to develop related services setors including ICT services sectors; 3)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sectors and newly-emerging sectors such as electricity car, digital solution etc.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분석을 바탕으로 본 우리나라 정보통시산업의 고용구조 변화

        박재민 ( Jae Min Park ),전주용 ( Joo Yong Chon ) 한국응용경제학회 2008 응용경제 Vol.10 No.1

        외환 위기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후반 정보통신산업은 급속한 성장세를 구가했다. 1995~2000년 정보통신산업의 총산출액은 연평균 22.5%씩 증가해 산업 평균인 10.6%를 크게 앞질렀다. 또 정보통신산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1995년 25.4%에서 2000년에는 36.6%로 높아졌다. 그러나 이 같은 정보통신산업의 성장이 경제 전반의 고용수요를 크게 증대시킬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고용은 정체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통신산업의 성장과 수출 증가가 극점에 달했던 1990년대 후반 전산업의 취업자수는 오히려 감소했고, 이러한 감소현상은 모든 제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산업의 성장과 고용간의 불협화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고, 특히 투입산출모형을 바탕으로 정보통신산업의 고용효과에 관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들 연구가 투입산출모형이 제공하는 유발계수를 기반으로 산업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함으로써 고용감소의 원인과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는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의 투입산출표를 활용하여 1990년대 후반 우리나라 경제와 제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나타났던 고용감소의 원인을 구조분해분석모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보통신산업을 ICT제조업과 ICT서비스업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통신산업의 성장이 경제 전반의 일자리 창출로 연계되지 못했던 원인이 급속한 노동생산성의 증대와 함께 최종수요와 중간재투입수요의 성장이 국내 산업에 내재화되지 못함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dustry enjoyed tremendous growth during the late 1990s. However, the growth of ICT industry has not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Particularly, in the late 1990s the nation`s employment level was stagnant, a trend that was mirrored in the most manufacturing sectors. Using the input-output data,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causes of employment decline in the ICT sectors based on an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It proved that the deficiency was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of labor productivity and the failure to internalize the growth of the final demand and intermediate input demand into the creation of jobs.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해 본 자동차산업의 성장기여율 분석

        원희연,박재운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투입산출 구조분해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를 통해 자동차산업의 요인별 성장기여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조분해 분석결과 요인별 성장기여율은 2003-2005년 기간 중 수출수요(38.2%), 기술변화(38.2%), 최종수요(24.5%)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소비와 투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최종수요 성장기여율이 최근 들어 급격히 낮아졌는데, 동 기간 중 국내소비 및 투자액 감소에 기인한다. 이는 자동차산업에 있어서 국내소비나 투자가 활성화 되지 않을 경우 최종수요의 성장기여율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동차산업에 대한 소비활성화 및 중기적 관점의 투자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수출수요 성장기여율 역시 최근 들어 이전기간의 성장 폭을 훨씬 밑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완성차의 수출확대뿐만 아니라 자동차용엔진 및 부분품에 대한 수출활로를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최종재수입대체 성장기여율의 경우 가장 최근의 두 분석기간 모두 마이너스를 보여 수입최종재로의 대체가 나타났다. 이는 국산최종재로의 대체비율이 낮아져 최종재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아졌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국산자동차에 대한 인지도 제고 및 품질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또한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ntribution to the main growth factors on the Korean motor vehicles industry by the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motor vehicles industry's demand for export (38.2%), technological change(38.2%), and final demand(24.5%) play key roles among the growth factors. In conclusion, a growth contribution to the final demand has decreased sharply during the Year 2003-2005. This is due to the decreasing of domestic consumption and investment. Thu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Korean motor vehicles industry, it is required to Promote the motor vehicles industry-related domestic consumption and to enlarge the midterm-based relating R&D investment. It is required not only to expand the motor vehicles-related export, but also to enlarge the motor vehicles-related parts and components aggressively, because the growth contribution to the demand for export has decreased or stagnated since the Year 2000-2003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분석을 통한 SW산업의 산업구조 변화 및 성장요인 분석

        강승규,이재홍,이승현,장성용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output of SW industry in 2010-2014 by five factors using the input-output structure decomposition analysis(IO-SDA). In addition, SW industry were subdivided by two sectors, and we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W development·supply sector and the computer management service sector. As a result, the business of the SW development·supply sector was based on the final demands such as domestic consumption and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 of the computer management service sector was composed of intermediate demands. In addition, the positiv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output of SW development·supply sector were the increase in domestic final demand, export, substitution of foreign final and intermediate goods. However, changes in technical structure offset its growth. The growth of the computer management service sector was mainly based on the increase in domestic final demand and export. But, the dependence of final and intermediate goods on import and technical structure changes were negatively affected.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소프트웨어산업이 성장하며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배경에서 수행된 본 연구는 투입산출 구조분해분석을 통해 2010-2014년 사이 소프트웨어산업의 산출액 변동을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해 파악하는 한편,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과 컴퓨터관리서비스업으로 대상을 세분화하여 그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분석결과,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의 생산활동은 국내 소비 및 투자를 중심으로 한 최종재 판매에 기반하고 있는 반면, 컴퓨터관리서비스업은 중간수요 위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의 산출액 성장에 기여하는 요인으로는 국내 최종수요 증가, 수출수요 증가, 최종재 및 중간재의 수입대체효과가 긍정적이었으나 기술구조의 변화가 이를 상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관리서비스업의 성장은 주로 국내 최종수요 증가, 수출수요 증가에 기반하고 있었으나 최종재 및 중간재의 수입의존도 심화와 기술구조 변화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한 한국 제조업 고용변동구조 분석

        김상춘,최봉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1

        This paper analyses the structure of employment chang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during year 2000 ~ year 2014 by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The proportion of the employment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relative to the total employment increase in the whole Korean economy during those periods is 8.4%. The sector which has the largest proportion is Transportation Equipment with 2.64%, which is followed by General Machine with 1.37%. Other than these sectors, all other sectors have less than 1%.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Electrics and Electronics sector, which has the largest employment among all manufacturing sectors, is only 0.42%. Moreover, the employments in the sectors such as Textile and Leather, Printing and Copying, Nonmetallic Minerals, and Oil and Coal were decreased. Meanwhile, the increase in export is the first source for the employment increase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second source is the increase in domestic final demand. But the export effect is dominant. The effect of technical change in intermediate input coefficient has relatively very small. On the other hand, increase in labor productivity is the first source for the employment decrease. The import substitution is a source for the employment decrease. A notable thing is that the negative employment effect of labor productivity is greater than the positive effect of export. In particular, in the sectors such as electrics and electronics, textile and leather, Metal, and Printing and Copying, the negative effect of labor productivity is far greater than the effect of export. 본 연구는 투입산출 구조분해분석법으로 2000년~2014년 제조업종의 고용변동구조를 분석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동 구조의 변화를 비교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당 기간 경제전체 총 고용증가 대비 제조업 비중은 약 8.4%이다. 최대 고용증가 업종은 비중 2.64%의 수송장비이며, 이어서 1.37% 비중의 일반기계이다. 이 외 대부분의 업종의 비중은 1% 미만이다. 특히, 제조업 최대 고용업종인 전기전자의 비중은 0.42%에 불과하다. 섬유가죽, 인쇄복제, 비금속광물과 석유석탄은 오히려 고용이 감소하였다. 제조업 전체의 고용증가 최대 기여요인은 수출증가이며, 이어서 국내최종수요증가이다. 이 중 수출증가의 영향이 압도적이다. 기술투입구조 변화의 고용효과는 매우 미미하다. 한편, 고용감소 최대 기여요인은 노동생산성 증가이다. 중간재 및 최종재 수입대체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고용을 감소시켰다. 주목할 점은 노동생산성 증가로 인한 고용감소효과가 수출증가로 인한 고용증가효과를 초과하였다. 개별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섬유가죽, 금속, 인쇄복제에서 노동생산성 증가로 인한 고용감소효과가 압도적으로 크다. 수송장비, 일반기계, 1차금속, 화학, 정밀기기 등에서는 수출의 고용증가효과가 더 크다. 음식료에서는 국내최종수요증가로 인한 고용증가효과가 가장 크다. 한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전체 고용증가에 대한 제조업 기여도는 금융이기 이전 대비 강화되었다. 기여요인별로는 노동생산성, 수출, 국내최종수요 각각의 긍·부정적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약화된 반면에 기술투입구조와 수입대체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강화되었다.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이용한 지역별 산업구조와 생산성의 연계성 분석

        김의준,이유진,장재원,최은진 한국지역학회 2011 지역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productivity growth. For this purpose, this paper uses three structural decomposition methods to analyse regional industry differences in 2005 Multiregional Input-Output table such as push-pull analysis, Q-analysis, and output decomposition analysis. This paper finds that the forward and backward effects of service sectors are substantially strong in Seoul Metropolitan, Kangwon and Jeju area in terms of Push-Pull analysis and Q-analysis. In addition, the output 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the above three regions could lead to high level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service sectors. However, the result cannot confirm any causality between the service intensive growth and the productivity level for Baumol's paradox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이용하여 지역별 산업구조와 생산성 증대효과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5년도 지역 산업연관표의 압출-흡입 분석(Push-Pull Analysis)과 Q-분석을 통해 지역 간 산업구조의 차이를 규명하고, 생산량 변화 분해 분석(Output Decomposition Analysis)을 통해 지역별 생산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압출-흡입 분석에 있어서는 수도권, 강원권 및 제주권의 서비스업 연계효과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수도권, 강원권, 제주권의 서비스업 전방연계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강원권, 제주권은 후방연계효과에서도 높은 값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화와 생산성 변화 간의 연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전 산업의 기술 수준에 따른 생산량 순위를 살펴본 결과, 지역의 서비스화와 전체 산업의 생산량 순위는 일치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국내에서는 보몰의 역설이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한 한국 해양산업 성장기여요인 분석

        최종일 ( Jong Il Choe ),이영수 ( Young Soo Lee ),양현석 ( Hyun Seok Yang ),서환주 ( Hwan Joo Seo ) 한국질서경제학회 2021 질서경제저널 Vol.24 No.2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6년까지의 장기 해양수산표를 작성하여, 해양수산업의 총산출 증가에 대한 요인별 성장기여율을 국내 최종수요, 수출수요, 최종재 수입대체, 중간재 수입대체, 기술변화(국산 중간재 수요)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성장요인을 이처럼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해양수산업의 성장은 수출수요 증대가 주도하였으며, 이어서 국내최종수요와 기술변화가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종재 및 중간재 수입대체는 해양수산업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업 세부 산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해운항만업,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업, 해양수산기자재 제조업 부문에서는 성장요인 중 수출수요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산물생산업, 수산물가공업, 수산물 유통업, 해양레저관광업, 해양수산관련서비스업 부문에서는 국내 최종수요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출수요의 성장에 대한 기여가 큰 해양수산업의 총산출 성장을 위해서는 해운항만업,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업, 해양수산 기자재 제조업 부문의 경우에는 수출증가를 위한 국제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반면에 국내최종수요의 성장에 대한 기여가 큰 수산물생산, 가공, 유통업, 해양수산레저관광업,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업, 해양자원개발 및 건설업 등의 경우에는 내수 진작을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prepared an input-output table for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from 1995 to 2016, and analyzed the contribution rates of five factors for the increase in total output of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domestic final demand and export demand, import substitution for final goods, import substitution for intermediate goods, and technological change (demand for domestic intermediate good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was led by the increase in export demand, followed by the final domestic demand and technological change. However, import substitutions for final goods and intermediate good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the maritime and fisheries industry. Looking at the sub-industry of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export demand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ies, building and repair of Ship and offshore plant industries, and the marine and fishery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es. However, in the aquatic product industry, aquatic processing industry, aquatic distribution business, marine leisure tourism industry, and marine and fishery-related service industry, the final domestic demand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total output of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it is judged that the first industrial group needs a policy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increase expor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group,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policy to boost domestic demand.

      • KCI등재
      • KCI등재

        고용구조분해분석을 통해 바라본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고용변동요인 연구

        강승규,이승현,이재홍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gap between growth and employment in the SW industry. To do this, we decompose six factors of employment change and identify relative contributions through employment structure decomposition analysis. In 2010-2014, employment elasticity increased from 0.71 to 1.61 in the whole industry, while SW development and supply industry decreased from 0.79 to 0.13, and computer management services decreased from 0.53 to 0.35.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between growth and employment in the SW industry is increas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workers per unit production de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labor productivity. Second, as import dependency intensified, the employment effect created by the demand was leaked overseas and not internalized in the domestic industry. In addition, the demand effect of the SW development and supply industry was restricted to the domestic market, and the computer management services showed that both the final intermediate goods rely on imports. 본 연구의 목적은 SW산업에서 성장과 고용 간의 격차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용구조분해 분석을 통해 SW산업에서 나타난 고용변동을 6가지 요인으로 분석하고 상대적 기여도를 밝혀내었다. 2010-2014년 사이 총산출액과 피용자수로 본 우리경제의 고용 탄력성은 0.71에서 1.61로 증가했다. 그러나 동 기간 소프트웨어개발 및 공급업의 고용탄력성은 0.79에서 0.13으로 감소했으며 컴퓨터관리 서비스업 역시 0.53에서 0.35로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SW산업의 성장과 고용의 격차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분석결과, SW산업의 급속한 성장은 고용 창출로 연계되지 못한 것에는 아래의 몇 가지 이유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노동 생산성의 향상으로 인해 단위 생산 당 필요한 인원이 감소하였다. 둘째, 최종재 및 중간재의 수입의존도가 심화됨에 따라 고용이 상쇄되었으며 수요 효과가 해외로 누출되어 국내 산업에 내재화되지 않았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산업의 수요 효과는 내수 시장에만 국한되어 제한된 효과를 보였으며 컴퓨터 관리 서비스 산업은 최종재와 중간재 모두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