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화정책 발표가 외환선물 거래에 미치는 영향

        윤재선(Jaesun Yun)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3

        Fischer와 Ranaldo는 2011년 연구를 통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의 통화정책 발표가 글로벌 외환 거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거래되는 외환선물 시장에서도 통화정책 발표가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외환선물은 달러선물, 엔선물, 유로선물, 위안선물이 있으며, 네 가지 외환선물의 가격, 거래량, 그리고 미결제약정에 한국은행과 미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발표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 금융통화위원회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통화정책 발표 전일, 당일, 해당 주, 그리고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정기회의 일자를 시작으로 하는 짝수주(0, 2, 4, 6주)에 외환선물의 가격이나 거래량, 그리고 미결제약정이 다른 기간과는 다른지 확인한다. 이 연구의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통화정책이 발표되는 시기에 외환선물의 수익률 변동이 둔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통화정책 발표에 따른 정보가 공개되기 전에 투자자들이 거래를 보류하는 경향이 있음을 반영한다. 두 번째로, 통화정책 발표일에 외환선물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통화정책 발표 후 정보가 공개되면, 거래를 재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세 번째로, 통화정책 발표 시기에 외환선물의 미결제약정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통화정책 발표에 따른 불확실성이 있을 때, 투자자들이 외환선물에 대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노출된 포지션을 축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금융위기 전후의 영향을 비교해보았지만, 중요한 차이점을 찾아내지 못했다. 본 연구는 통화정책 발표 기간에 투자자들이 외환선물의 방향성 투자를 줄이고 정책 발표를 통해 불확실성이 해소된 뒤 거래를 재개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외환선물 시장에서도 통화정책 발표가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통화정책 발표가 외환시장의 불확실성 증가와 해소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를 찾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ses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announcements by the Bank of Korea and the U.S. central bank on the prices, volumes, and open interest of four foreign exchange futures listed and traded on the Korea Exchange: dollar futures, yen futures, euro futures, and yuan futures.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prices, volumes, and open interest of the foreign exchange futures differ from other periods in even-numbered weeks (weeks 0, 2, 4, and 6) beginning on the day before, day of, and week of the monetary policy announcements by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d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and the regular meeting dates of the Federal Reserve from 2005 to 2019.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ind that returns on foreign exchange futures slow down around the time of monetary policy announcements. This reflects the tendency of investors to hold off on trading before the information following the monetary policy announcement is released. Second, I observe an increase in foreign exchange futures trading volume on monetary policy announcement days.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investors resuming trading once the information is released after the monetary policy announcement. Third, I observe a decrease in open interest in foreign exchange futures around monetary policy announcements. This suggests that when there is uncertainty about the monetary policy announcement, investors reduce their exposure to manage their risk on foreign exchange futures. Finally, I compare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and do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 find that investors reduce their directional investments in foreign exchange futures during monetary policy announcements and resume trading after the uncertainty is resolved through the policy announcement, thus confirm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monetary policy announcements in the Korean foreign exchange futures market. This study ha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it supports that monetary policy announcem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and resolving uncertainty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 KCI등재

        통화정책이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비선형적 영향 분석

        이명수(Myung-Soo Yie),송승주(SungJu So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20 한국경제연구 Vol.38 No.1

        본고는 정책기조별, 금리수준별, 시기별로 정책 여건에 따라 통화정책이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달라지는지 여부에 대해 점검해 보았다. 분석 결과 정책기조별, 금리수준별, 시기별로 정책 여건에 따라 통화정책의 영향이 비선형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기조별로 보면 통화정책의 긴축충격과 완화충격 각각에 대하여 자본이 유입되는 경향은 통화정책의 긴축충격은 채권투자수지를 통해, 그리고 완화충격은 주식투자수지를 통한 자본유입의 확대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화정책의 긴축충격은 주로 국내 채권시장의 투자수익률 상승을 통해, 완화충격은 주로 미래 경기 상승에 대한 기대감(signaling effect)을 통해 주식시장의 자본유입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수준별로 구분해 보면 저금리 수준에서는 자본유출입에 대한 통화정책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간 중에는 통화정책이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고는 자본유출입에 대한 통화정책의 영향을 직․간접 영향으로 분해하고 누적적으로 나타나는 간접적 영향이 통화정책의 비선형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경로를 일부 확인하고 있다. 또한 통화정책의 자본유출입에 대한 영향이 비선형성을 보인다는 분석 결과는 정책 수립과 분석에 있어 이의 비선형성까지도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monetary policy has nonlinear effects on flows of international capital. We find that tightening monetary policy causes international capital inflows by raising the returns on investment in the bond market, and that easing monetary policy also leads to international capital flows by affecting investors’ optimistic expectations of future return in the local stock market. Additionally, we find that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are not so large during the period of low interest rates, and monetary policy effects have weakened in the low-interest-rate regime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se findings imply that, if policy rates are normalized to the previous level in the future, policy effects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could be strengthened more effectively.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we decompose policy effects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to the direct and indirect components and investigate the nonlinear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to international capital Inflows. Although there are methodological limitations in estimating a behavioral equation, the finding that monetary policy has nonlinear effects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mplies that nonlinear effects of monetary policy should be closely considered in the monetary analysis.

      • KCI등재

        Contents of the Bank of Korea’s Monetary Policy Instrument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Rho Chul Woo ) 한국금융법학회 2019 金融法硏究 Vol.16 No.1

        통화정책이란 한 나라에서 화폐의 독점적 발행권을 지닌 중앙은행이 경제 내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나 가격(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화폐의 가치, 즉 물가를 안정시키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루어 나가려는 일련의 정책을 말한다. 한국은행법 제1조 제1항은 “한국은행을 설립하고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하여 물가안정을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동법의 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이 추구하는 최우선 목표는 물가를 안정시키는 일이다. 한국은행이 채택하고 있는 통화정책 운영체제는 통화량 등의 중간목표를 두지 않고 정책의 최종 목표인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이를 달성하려 하는 통화정책 운영방식이다. 한국은행은 한국은행법 제6조 제1항에 따라 정부와 협의하여 물가 안정목표를 설정하고 있는데, 2019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기준 2%이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로서 간단히 ‘기준금리’(base rate)라고도 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다. 이렇게 결정된 기준금리는 초단기금리인 콜금리에 즉시 영향을 미치고, 장단기 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 등의 변동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실물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수단은 공개시장운영, 여ㆍ수신제도, 지급준비제도 등이다. 공개시장운영이란 한국은행이 금융시장에서 금융기관을 상대로 국채 등 증권을 사고팔아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나 금리 수준에 영향을 미치려는 가장 대표적인 통화정책 수단이다. 먼저 한국은행은 공개시장운영을 통해 금융기관 사이의 일시적인 자금과부족을 조정하는 콜시장의 초단기금리(콜금리)가 ‘한국은행 기준금리’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은행은 금융불안 시 공개시장운영을 활용하여 시중에 유동성을 확대 공급하는 등 금융시장 안정을 도모하는 기능도 수행하는데, 공개시장운영은 증권매매, 통화안정증권 발행·환매, 통화안정계정 예수 등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중앙은행의 여ㆍ수신제도는 중앙은행이 개별 금융기관을 상대로 대출을 해 주거나 예금을 받는 정책수단이다. 현재 한국은행이 상시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대출제도에는 ① 금융기관의 자금수급 과정에서 발생한 부족자금을 지원하는 ‘자금조정대출’, ②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등에 대한 금융중개기능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중개지원대출’, ③ 금융기관의 일중지급·결제에 필요한 일시적인 부족자금을 당일 결제마감시까지 지원하는 ‘일중당좌대출’ 등이 있다. 이밖에도 한국은행은 자금조달 및 운용 불균형 등으로 유동성이 악화된 금융기관에 대한 긴급여신을 할 수 있으며,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자금조달에 중대한 애로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금융기관이 아닌 영리기업에 대하여도 특별대출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한국은행은 금융기관이 자금수급 과정에서 발생한 여유자금을 예치할 수 있는 “자금조정예금”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지급준비제도란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지급준비금 적립대상 채무의 일정비율(지급준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으로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을 조정하여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고 금융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급준비제도 적용대상 금융기관에는 일반은행 및 특수은행이 있는바, 이들 금융기관은 예금종류에 따라 현재 0~7%로 차등화되어 있는 지급준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준비금으로 보유하여야 한다. 한국은행법 제64조는 금융기관에 대한 여신을 은행금융기관으로 한정하고 담보증권 및 대출기간에 제한을 두고 있으나, 금융위기 시에는 이러한 제한들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 은행법 제65조에 따른 금융기관에 대한 긴급여신도 은행금융기관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금융위기 때에는 일시적으로 대상금융기관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법 제68조에 금융 통화위원회가 정한 유기증권도 공개시장운영 대상이 될 수 있으나 현재 이를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바, 미국의 경우처럼 금융위기 시에는 공개시장운영 대상증권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한국은행법 제103조에 따라 한국은행은 직접 또는 간접을 불문하고 영리행위를 하거나 영리기업의 소유 또는 운영에 참여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비영리 기업에 대한 출연이 가능한지 불분명하다.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행에 필요한 경우에는 금융산업에 속하는 기업과 금융관련 비영리기업에 출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KCI등재

        통화정책과 은행 리스크간의 연관성 연구

        서지용(Ji-Yong Seo)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통화정책이 최근 긴축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통화정책 변화가 은행권 리스크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은행 리스크 관리측면에서 통화정책 효력이 은행의 자본확충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최근 선행연구 결과에 주목하였다. 해당 연구결과는 자본력이 약한 은행의 경우 긴축통화정책 발효시 은행 리스크 감소에 있어 통화정책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주장을 제기하는 등 기존 연구결과와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통화정책이 은행 리스크에 미치는 효과가 자본확충 수준에 따라 어떻게 차별적인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긴축적 통화정책은 은행 리스크 관리에 효과적이다. 즉, 통화정책과 은행 리스크간에 유의한 부(-)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은행 리스크 수준에 미치는 은행 특성요인은 규모, 자본확충수준이며, 국내 은행의 경우 규모가 작을수록, 자본력이 약할수록 리스크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은행 자본력이 약할수록 긴축통화정책 발효시 리스크 수준의 감소가 나타나는 등 은행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통화정책의 효과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후 긴축적 통화정책이 은행 리스크 감소에는 효과적이나, 규모가 크고, 자본력이 강한 국내은행 특성상 통화정책 효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the change of monetary policy on bank risk as the stance of monetary policy changes from a tight-monetary policy to an easing-monetary one. Especial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recent literatures that suggest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on bank risk is depending on retained capital capacity in terms of bank risk management. The recent literatures studies show the different results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a tight-monetary policy is not effective for reducing risk what if bank has a weak capital capacity. Thus, this study examines in priority how the effect of a monetary policy on bank risk is different according to retained capital capacity.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ight-monetary policy is effective on risk management. There i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netary policy and bank risk. Second, bank characteristics affecting risk are size and retained capital capacity, and risk is high in case of bank with small size and a weak capital capacity. Third, a tight-monetary policy is effective because risk reduced as capital capacity is weak. As a result, a tight-monetary policy will be effective for reducing risk, but the effectiveness is of no great due to Korean banks with big size and sufficient capital.

      • KCI등재

        통화정책과 증권시장의 이상현상

        김재거 ( Jae Geo Kim ),김동회 ( Dong Hoe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16 금융공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통화정책의 신용경로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작동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통화정책 변화가 주식시장의 이상현상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인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규모, B/M비율, 투자, 수익성, 과거의 수익률 등 주식시장 이상현상의 변수들을 기준으로 분류한 포트폴리오들을 대상으로 통화정책의 충격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1999년 7월부터 2013년 12월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고 분석방법으로는 VAR모형을 기초로 한 GIR함수를 이용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B/M비율, C/P비율 및 E/P비율 등 가치변수를 기준으로 구분한 가치포트폴리오들에 대한 통화정책의 충격을 살펴보면, 금리인상시 가치주에 속한 포트폴리오가 성장주에 속한 포트폴리오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통화정책의 신용경로 중 대차대조표경로가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소형주가 대형주에 비해 통화정책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통화정책의 신용경로 중 은행대출경로가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투자(자산증가율)와 수익성(자기자본이익률)이 높은 포트폴리오가 더 큰 충격반응을 보여, 이러한 결과는 통화정책의 대차대조표경로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과거 수익률을 기준으로 구분된 포트폴리오에 대한 통화정책의 충격반응은 단기 및 중기에서는 과거 수익률이 낮은 포트폴리오가, 장기에서는 과거 수익률이 높은 포트폴리오가 더 큰 충격반응을 보임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일관된 모습을 보이지 않아 통화정책과 관련한 주식시장에서의 과잉반응현상 여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보여 주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대체로 통화정책의 신용경로가 작동하고 이를 통해 통화정책이 주식시장, 특히 주식시장의 이상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하나의 요인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We examine whether Korean monetary policy changes affect the returns of stock portfolios formed on the basis of their value, size and pas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a different manner, in other words, whether monetary policy is related with stock market anomalies in Korea, for the period from July 1999 through December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value based portfolios, value portfolios are more sensitive to growth portfolios, implying the significance of the balance sheet channel. Second, regarding market value portfolios, small size company portfolios are more sensitive to big size portfolios, implying the significance of the bank lending channel. Third, regarding investment and profits based portfolios, more investment and profits company portfolios are more sensitive to less company portfolios, implying the significance of the balance sheet channel. Fourth, regarding past performance characteristic portfolios, we cannot find the consistency of excess sensitivity mechanism. As a conclusion, we can find that the credit channel mechanism of monetary policy is in active and thus monetary polic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determining stock market returns and also closely related with stock market anomalies in Korea.

      • KCI등재

        통화정책 체제를 고려한 재정승수 효과의 실증분석

        남광희 국제지역학회 2023 국제지역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체제에 따른 재정정책 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뉴케인지안 DSGE모형에 통화정책의 체제전환 가능성을 결합한 비선형 동학모형을 추정하였다. 먼저 통화정책 체제에 대한 마코프 스위칭 과정을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2009-12년)와 2015년 이후 기간을 제외하고 통화정책은 2000년 이후 인플레이션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체제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통화정책 체제의 전환 가능성을 고려한 동학모형에 대하여 재정승수를 시뮬레이션으로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화정책 체제에 따라 재정승수는 크게 차이가 났다. 수동적 통화정책 체제하에서 승수효과는 능동적 체제보다 두 배 정도 높았다. 둘째, 재정지출의 소비에 대한 구축효과도 통화정책 체제에 따라 차이가 났다. 능동적 통화정책 체제하에서 소비는 구축되었지만, 수동적 통화정책 체제하에서는 소비지출에서도 승수효과가 발견되었다. 셋째, 재정지출 과정이 지속적일수록 통화정책 체제별로 승수효과의 차이는 벌어졌다. 이는 기간간 대체효과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이자율의 변화 효과가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재정정책이 정부부채를 감안하여 세금부과를 하는 경우 통화정책 체제에 따른 재정승수의 격차가 강화되었다. 재정지출 증가에 따라 세금이 장기간에 걸쳐 부과됨에 따라 기간간 선택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이자율 변화가 중요해지고, 따라서 통화정책 체제에 따른 차이가 벌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통화정책 자료를 활용한 시장참가자의 기대금리에 관한 연구

        김재필,박재진 한국지급결제학회 2023 지급결제학회지 Vol.15 No.1

        The contents of press release relating to the monetary policy decision of the central banks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the market participants for the future economic condition. In this respect, Moniz and Jong(2014) had studied the effect of the monetary policy communication of the Bank of England on the future market interest rate expectation of the market participants using the economic sentiment analysis. In detail, they had extracted the monetary policy themes, relating to economic growth, inflation, and market interests, from the minutes of the monthly monetary policy meeting of the Bank of England, and they had also extracted the economic sentiment words, such as positive or negative words among those monetary policy themes. Then they had created the economic sentiment index using these words. And with these data, they predicted the market interest rate, such as forward interest rates, using the various prediction models. Finally, they showed that the market interest rate prediction using these data reflected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future interest rates. This paper also tried to reveal the usefulness of the sentiment analysis for forecasting of the market interest rates, supposed that the market participants would predict the future market interest rates using those information. Therefore, based on the Moniz and Jong(2014)’s technique, we studied if Korean market interest rates in the future would properly reflect those economic senti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extracted five monetary policy themes from the press releases of the Bank of Korea relating to the monetary policy decision in the every month during the period of 15 years, using the text mining method of Park and Kim(2022). And secondly, we extracted economic sentiment words from each monetary policy themes and created each economic sentiment index. Lastly we forecasted the future interest rates of a Convertible Deposit(maturity of three months) and Treasury Bond rate(maturity of three years) in one month later just after the date of the monetary policy decision of the Bank of Korea. As a forecasting method, we used machine learning method, such as support vector machine and random forest, and a deep learning method using simple neural nets in addition to a general linear regression method. And we included the average of the above all predicted interest rates as a predicted data. For the test of forecasting power, we segregated the whole data into two parts. One part is 75% of the whole data for the training of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odels, and the other is 25% of the whole data for the test of the forecasting power.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found that the interest rate forecasting power were much higher when the economic sentiment information was included. Among the forecasting methods,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had much higher forecasting power. Especially the random forest method had the better forecasting power among all forecasting methods. Lastly, the average of all forecasting results of every forecasting methods had the best forecasting pow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implied that the usage of economic sentiment analysis would be a better way of forecasting the future interest rates and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would be also helpful to forecast future interest rates. In addition, it is also implied that the sentiment analysis may be helpful for the study of forecasting the other market variables such as exchange rates and stock prices.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관련 내용이 향후 시장참가자의 시장금리에 대한 기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Moniz and Jong(2014)은 경제적 감성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관련 커뮤니케이션이 시장참가자의 기대금리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매월 영란은행의 통화정책위원회 회의록(Monetary Policy Committee Minutes)에서 통화정책 주제(경제성장, 인플레, 시장금리)를 추출하고, 동 주제에서 경제적 감성(economic sentiment) 단어를 선별하여 경제적 감성지수를 산출한 다음, 이들을 합성한 시계열로 시장참가자의 미래 시장금리 기대 수준을 예측하였다. 다양한 모형에 의한 금리 예측과 함께 Ensemble 기법에 의한 예측치를 기대금리 수준으로 평가한 결과 예측력이 높아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Moniz and Jong(2014)의 연구 방법을 원용하여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관련자료를 사용하여 시장참가자의 향후 기대금리 수준에 대한 예측을 실시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효과분석에 관한 기존 연구(박재진‧김재필, 2022)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화정책관련 기자간담회 자료에서 통화정책 주제를 추출한 후, 이들 각 주제에서 경제적 감성단어를 선별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감성단어를 반영한 새로운 통화정책 주제 시계열을 작성하여 향후 시장 금리수준을 예측하였다. 예측모형으로는 일반선형회귀분석모형 이외에 random forest 등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형과 인공신경망(deep neural net) 모형도 사용하였다. 예측대상금리는 매월 통화정책결정 이후 1개월 후의 시장금리(CD금리, 3년만기 국고채금리)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총 15년간의 시장금리 시계열 자료 중 기계학습 모형의 학습을 위해 동 시계열의 75%를 사용하고 예측력 검증을 위해 나머지 25%를 활용하였다. 감성분석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감성분석기법을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여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감성분석기법을 사용한 경우의 예측력이 훨씬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예측 모형 중에서는 기계학습 모형에 의한 예측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예측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통화정책과 관련하여 시장참가자가 기대하는 향후 시장금리 수준을 예측하고자 하는 경우 통화정책 주제 외에 경제적 감성단어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금리 예측 시 일반선형회귀모형 외에 기계학습 모형도 적극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비추어 향후에는 금리 외에도 환율, 주가 등 시장변수 예측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경제적 감성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통화정책 유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자산지준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함정호,서병한 한국은행 2003 經濟分析 Vol.9 No.3

        통화정책은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조작 등을 통해 본원통화(은행지준)를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통화 및 신용공급 또는 금리를 조절함으로써 물가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거에는 은행․비은행간 업무영역 분리, 금리규제, 신용규제, 자본규제, 유동성규제 및 법정지준 등 거시건전성 규제 또는 양적관리 수단에 크게 의존하는 금융시스템을 바탕으로 통화정책이 효과적으로 파급되고 금융안정도 비교적 잘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금융혁신, 금융 자유화 및 규제완화가 급속히 이루어지면서 통화정책이 파급되는 금융제도적 환경은 현저하게 변화하였지만 공개시장조작, 대출 및 지준제도 등 통화정책의 주요 수단은 1930년대 이후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중앙은행의 통화 및 신용공급 또는 금리조절 능력이 크게 약화되어 통화정책의 유효성이 떨어지고 금융불안정 현상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은행이 단기금리 조절정책만으로는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화정책 수단을 금융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현대화함으로써 통화정책의 파급메커니즘을 재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역할과 유효성에 한계가 있는 현행 은행예금지준제도 대신 모든 금융기관의 자산에 지준을 부과하는 자산지준제도의 도입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Since 1980s, the financial environment in which monetary policy is implemented has changed dramatically. These developments include a relative decline in the banking sector's role in credit creation, reductions in the level of required reserves and the ascendency of market forces, particularly free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 determining the pace of credit expansion in a world of financial integration. This paper assesses the impact of these far-reaching changes on the process of monetary policy. The failure to modernize old policy instruments(conventional open market operations and bank deposit-based reserve requirements) significantly undermined the central bank's ability to influence credit expansion and thus put the central bank in the position of inadvertently contributing to, rather than combating, macroeconomic and financial instability. It also argues that a new system of reserve management based on the assets of all financial intermediaries rather than the deposits of banks would enhance monetary control and increase the central bank's ability to respond effectively to credit expansions and contractions due to international capital flows.

      • KCI등재

        외환위기 전후 통화정책 비교 : 최소거리 추정을 중심으로

        이준희(Junhee Lee),송준혁(Joonhyuk Song) 한국경제통상학회 2011 경제연구 Vol.29 No.4

        우리나라 통화정책은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통화량 중심 통화정책에서 금리 중심 정책으로 전환하는 등 커다란 변화를 겪었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통화정책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서 신 케인지안 DSGE모형과 VAR분석의 충격반응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신 케인지안 DSGE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외환위기 전후 우리나라 통화정책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신 케인지안 DSGE모형의 경우 McCallum(1983)의 방식으로 최소상태해를 구함으로써 금리 중심 통화정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모형의 비결정성 문제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금리 중심 통화정책의 경우 통화정책의 인플레이션 반응계수가 높게 추정되어 모형의 비결정성 문제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통화정책 효과와 관련하여서는 외환위기 이후 보다 높은 명목 가격 경직성으로 인하여 통화정책의 산출에 대한 효과는 뚜렷해진 반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효과는 지연되고 미약하게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전의 통화정책과 외환위기 이후의 통화정책을 경제안정화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외환위기 이후의 통화정책이 산출 및 인플레이션의 변동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Korean monetary policy before and after the currency crisis. For the purpose, we obtain empirical results from a structural VAR analysis and estimate a new Keynesian type DSGE model by minimizing impulse responses from the VAR and the DSGE model to a monetary shock. We find interest rate adjusting monetary policy after the currency crisis responds sufficiently large to inflation and does not cause an indeterminacy problem. The money growth control monetary policy before the currency crisis responded by lowering money growth when either previous money growth or inflation was relatively high. The effects of the monetary policy after the currency crisis are pronounced on output but weak on inflation due to higher price stickiness after the currency crisis. When we examine the stabilizing effects of the monetary policies on output and inflation, we find the monetary policy after the currency crisis performs better than the monetary policy before the currency crisis.

      • KCI등재

        은행그룹화와 통화정책

        양동욱,홍승제 한국은행 2004 經濟分析 Vol.10 No.2

        1980년대 중반 이후 세계 금융산업은 합병대형화 등으로 그룹화되는 추세를 지속하여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외환위기 이후 금융구조조정과 금융기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수합병 등으로 금융그룹화가 급속히 진전되었다. 이러한 금융그룹화는 금융기관의 효율성 및 경쟁력 제고 등 기대효과가 있는 반면 대형화된 금융기관의 시장지배력 강화와 금융시장의 집중도 상승 등으로 중앙은행의 효율적인 통화정책 운용을 어렵게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본고는 금융그룹화가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파급경로, 수행여건 및 환경 등 크게 세 부문으로 나눠 이론적 가능성과 연구결과를 각각 살펴본 후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그룹화가 통화정책의 유효성에 미친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직까지 은행의 그룹화가 통화정책 수행을 현저히 제약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화파급경로에 있어서 그룹화에 의한 금융시장집중도 상승은 금리경로를 통한 통화정책 파급효과를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은행대출경로와 대차대조표경로 효과에 대한 영향은 분명하지 않았다. 또한 은행그룹화가 시스템리스크 상승을 초래하여 통화정책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앞으로 초대형은행이 도산위험에 직면할 경우 정책대응의 어려움은 더욱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 은행뿐 아니라 금융산업의 그룹화 진전이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예의 주시하는 한편 금융그룹화가 통화정책의 효율적 수행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련 규제와 제도를 지속적으로 정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Since mid-1980's global financial industry has been consolidated via merger and enlargement. After financial crisis financial consolidation has been developed rapidly also in Korea due to merger and acquisition for restructuring financial sector and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financial institutions. It has been pointed that financial consolidation, in the form of reinforced market governing power and increased concentration in financial market, might harm efficiency in operating monetary policy by central banks while it has beneficial effects such as enhancing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financial institutions. This paper surveys recent theories and studies on the effect of financial consolidation on monetary policy in three aspects-transmission channel, performance condition and financial circumstances and then analyses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The result shows that financial consolidation has some adverse effects on monetary policy though not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through interest rate channel has been reduced due to the result while that through banking loan channel and balance sheet channel seem to be ambiguous. The effect of increasing financial market concentration through increased systematic risk on circumstances of monetary policy is also found to be ambiguous. However, the difficulty in conducting monetary policy confronted with huge banks' bankruptcy seems to be increasing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effect of consolidation in financial industry on monetary policy needs careful attention, and, at the same time, financial regulation and system must be improved so that efficient performance of monetary policy would not be hindered by financial consoli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