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통일문학사 기술의 과제와 전망

        이영미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0 No.-

        통일문학사에 대한 논의의 문제제기를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그 전망을 탐색해 보았다. 김성수의 경우, 오랜 기간 이 부분에 대해 문제제기해왔으나 그의 주장을 통해 볼 때, 남북한 통일문학사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였다. 또한 한인디아스포라 문학사를 포함하는 통일문학사 형태를 주장하는 김종회의 경우 외에, 해외에서의 통일문학사의 가능성을 모색해 본 이로 일본지역을 탐색한 장사선, 중국지역을 탐색한 이승윤 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통일문학사 기술이 대단히 힘든 문제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 성과들에 경의를 표하면서, 해외에서의 논의들이 좀 더 분석되고 수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점을 강조하였다. 현 시점에서 몇 가지 해결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문학의‘역사’ 그 과정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먼저 요구된다. 둘째, 통일문학사를 쓰기 위해서는 우선문제시될 수 있는 여러 쟁점들을 도출해서 논의를 활성화하는 것이 우선이다. 특히 쟁점들을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하는 기술적 방법론에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셋째, 한국내 남북한‘통합문학사’를 둘러싼 진지한 공론의 장이 우리 내부에서 학파를 가리지 않고 먼저열려야 한다. 즉 우리 내부의 통합이 가장 먼저이고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넷째, 한국 내의논의들이 어느 정도 합의점에 이르면, 이를 영어로 해외에 알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해외에서의 관심 증대가 시급하다 하겠다. 다섯째, 우선 이러한 한국통합문학사의 논리(시각)가 만들어진 후 북한과의 내용 조정은 통일 즈음에 진행해도 사실상 그다지 늦지는 않다. 결국, 우리내부에서 문학사 통합의 체계를 세우는 작업을 먼저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한 번더 강조하고 싶다. 내부의 의식 변화와 행동만이 통일문학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quiry into the way of writing for uni-Korean literary history after looking through previous findings. Through Kim Jong Hoi, Chang Sa-sŏn, Yi Sŭng-yun, and Kim Sŏng-su’s articles, we can recognize how much the writing of the literary history is difficult. Looking up to their magnificent works of scholarship, thus I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strong complements and prospects. First, we need to elaborately re-inquire into the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for its own sake. Second, we need to call out many controversial issues from two Korean literary histories in order to write the uni-Korean literary history. Especially, it has to be focused on the technical writing method of how these issues can be integrated into a realizable alternative. Third, we should thus propel sophisticated conferences with civic journalism in South Korean academia, which would be the most crucial factor in this paper’s prospects. Forth, we have to introduce the uni-Korean literary history to foreign countries, after coming to mutual consent. In the long run,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preparation is to make changes within South Korean academia.

      • KCI등재

        통일한국에 대한 문학교육의 대응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3

        이 글은 70 여 년 동안 분단된 한반도에 필연적으로 다가올 통일을 대비하여 통일 `이후` 문학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남북한이 하나의 공동체로 묶이는 통일한국이 도래하면, 그 공동체는 한동안 안온한 질서와 평화로운 분위기 대신 불안한 질서와 갈등과 긴장의 분위기가 지배적일 것이라는 예상을 피할 수 없다. 이 글은 바로, 사회적 혼란에 직면하게 될 통일한국 시대 문학교육의 방향과 실천 가능한 영역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통일을 위한 준비 중 `교육`은 중요성과 가치 측면에서 다른 분야보다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분야이다. 교육통합의 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진행한 통일교육원의 연구와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진행한 통일을 대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개별 교과 차원에서의 통일 교육 논의는 객관적인 지식체계를 지향하는 교과보다 사회·윤리 등 이데올로기적 교과들에서 활발하게 일어났다. 북한의 경직된 이데올로기에 대한 극복이 통일시대, 사회 및 윤리과목 교육의 핵심적 과제 중 하나가 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국어교육에 서는 북한교과서를 통해 북한교육의 경직성을 고찰, 비판한 연구, 교육이념과 목표, 내용과 체제, 교육 방법 차원에서 남북한을 비교하거나 남북한의 국어교육정책 방안을 제시한 연구 등에서부터 시대별 국어교육의 변화 양상, 특정시기의 우상화와 관련한 문학교육 내용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통일한국 시대 문학교육의 방향은 `이해`에서 `소통과 통합`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의 기반은 `동질성`에서 `다양성`으로 그 중심축을 정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통일한국 사회가 일종의 다문화 사회라는 전제하에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상호문화 교육정책을 수용하고자 한다. 현재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 정책 자체가 한계성을 노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방향은 휴머니즘이다. `인간다움`의 존중과 `참인간다움` 찾기를 휴머니즘의 본질로 이해한다면, 이는 통일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할 복잡 다양한 혼란과 무질서를 수습, 정리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통일한국 시대의 문학교육의 실천 덕목은 통일문학사 정립, 문학교과서의 제재 선정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제재 선정은 고전문학과 세계문학에 대한 수용을 염두에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일 이후 문학교육의 모형으로 재중조선족 학자들의 학문적 내용을 존중할 필요가 있으며 통합서사의 활용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search for the directions and methods of literary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of two Koreas in preparation of the inevitable event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had been divided for approximately 70 years. In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given a priority over other fields in terms of importance and value, which is demonstrated in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which conducted a research on the specific tasks of education integration, and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which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s” in preparation of unification. Discussion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level of individual subjects were more active among the ideological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and Ethics than objective knowledge system-oriented ones. Korean education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the topic including the researches that examined and criticized the rigidity of education in North Korean through North Korean textbooks, the ones that compared North and South Korea or made proposals for the Korean education policies of North and South Korea in educational ideologies, goals, content, systems, and pedagogical methods, and the ones that addressed the changing patterns of Korean education by the periods and the content of literary education related to idolization during certain periods. In the new era of unified Korea,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should take a central axis in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instead of “understanding” in the domain of goals and in “diversity” instead of `homogeneity“ in the domain of content. The society of reunified Korea should embrace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based on interculturalism on the premise that it would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of some sort since the multicultural policies currently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show their limitations. Another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humanism. If the essence of humanism includes respect for ”humanity` and search for “true humanity,” it will be able to serve as an ideological foundation to settle and arrange complex and diverse confusion and disorder that may happen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unification. The practical virtues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new era of unified Korea can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reunified literary history a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for literature textbooks. Acceptance of classical and world literature can be kept in mind when selecting those materials. Models of literary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need to respect the academic content of ethnic Korean scholars in China and can utilize integrated narratives.

      • KCI등재

        ‘코리아문학사’ 구상의 경과와 시각

        김현양 ( Kim¸ Hyeon-ya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4 No.-

        ‘코리아문학사’는 한반도의 분단으로 인해 야기된 민족문제인 ‘분단 문제’를 해소/해결하고자 하는 ‘탈분단’의 학술적 실천의 일환으로 서술되는 문학사를 의미한다. 이 논문은 1990년부터 지금까지 ‘코리아문학사’를 구상한 핵심적인 연구들을 대상으로, 이 연구들이 ‘코리아문학사’의 실천적 목표와 그 성격을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제안된 ‘코리아문학사 구상’은 대체로 ‘통일’을 목표로 한 ‘동질성의 문학사’였음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코리아문학사’는 ‘탈분단’을 목표로 한 ‘이질성의 문학사’로 구상되어야 하며, ‘미래의 문학사’가 아니라 ‘현재의 문학사’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refers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that is described as part of the academic practice of “dedividend” which aims to resolve the “dividend problem,” a national problem caused by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xamined in detail the practical goals of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how they designed its Characteristic, targeting key studies since 1990. Through th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roposed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was largely a “literature history of homogeneity” aimed at “unifica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should be conceived as a “literature history of heterogeneity” aimed at “de-division”. It also suggested that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should be “the present literary history”, not “the history of the future”.

      • KCI등재

        북한 고전문학사의 지향과 한계 남북한 : 고전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이 가능한가?

        김준형 ( Kim¸ Joon-hye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4 No.-

        이 글에서는 북한에서 간행한 15권집 『조선문학사』를 분석함으로써 남북한 고전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이 가능한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 1990년대 초중반 소련의 붕괴로 야기된 세계사적 패러다임의 변환은 남북한 간에 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벌렸다. 남한에서는 문학사의 의미를 축소 및 해체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북한에서는 『주체문학론』의 등장으로 인해 문학사의 비중이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남북한 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을 마련하는 일은 더욱 요원해졌다. 그럼에도 이런 문제를 제기함은 민족사적 과업이나 통일운동과 같은 당위론적 답변이 아닌 상대방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대상에 대한 이해 및 소통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런 전제 아래 이 글은 15권집 『조선문학사』에서 중요한 두 지점, 즉 시대구분과 서술체계의 특징을 주체문학론의 지침과 연관하여 읽었다. 15권집 문학사의 시대구분은 세기별로 구획하였다. 그것은 일차적으로 북한 역사학계의 봉건사회를 염두에 두었지만, 그와 다른 시각으로 『주체문학론』에서 지침으로 제시한 혁명적 문화예술의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시대구분의 유용성을 배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술체계 역시 『주체문학론』에 근간을 두었는데, 선택과 배제의 원칙에 따라 일부러 현재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작품들로 문학사를 구성하였다. 그러다보니 다룰수 있는 대상 작품이 한정되었고, 문학사에 빈 공간도 많아졌다. 15권집 문학사에서 왜곡된 해석이 많아진 이유도 여기에 있다. 또한 이전 문학사에 없던 새로운 자료의 등장 및 이전과 달라진 해석 등도 정치가 문학에 관여한 결과다. 이런 양상은 남북한 문학사에서 접점 찾기를 어렵게 만들어 놓았다. 그럼에도 남북한 모두 문학사 기저에 ‘사람’을 두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물론 북한에서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사람으로 사회의 관계망에 주목한 반면, 남한에서는 인문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본연적 가치에 무게를 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렇다 해도 사람이라는 접점이 존재한다는 점은 낭만적일지언정, 결국은 ‘사람’이라는 축이 통일 문학사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열쇠로 작동해야 함을 말한다. 남북한 문학사의 접점은 결국 문학을 넘어서서 사람의 문제로 확산할 때 비로소 소통도 가능해질 터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ame orientation is possible in the technology of classical literary history in North and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15 books published in North Korea,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of world history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and mid-1990s wide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Koreas in viewing literature. In South Korea, the tendency to reduce and dismantle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has increased, while in North Korea, the importance of literary history has increased with the advent of “Juche Literature Theory.” In this situation, it has become even more difficult to prepare the same orient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technology. Nevertheless, raising these issue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suppose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party, not a justifiable answer such as a national historical task or the unification movement. Under this premise, this article reads two important points in the 15th volume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namely, the distinction of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be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guidelines of “Juche Literature Theory.” The period of literature history in the 15th volume is divided by century. It was primarily focused on the feudal society of North Korea’s historical and academic circles,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t can be seen as deliberately excluding the usefulness of the period division in order to emphasize the value of revolutionary culture and arts suggested as a guideline in the “Juche Literature Theory.” The describe system was also based on the “Juche Literature Theory”,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composed of works that could deliberately reinforce the current dominan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exclusion. As a result, the subject works that could be handled were limited, and the number of contents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literature increased. This is the reason why distorted interpretations have increas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15th volume.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that did not exist in previous literary history and interpretations that were different from before are the result of politicians’ involvement in literature. This aspect has made it difficult to find contact point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Nevertheless, it is interesting that both South and North Korea have ‘human’ at the base of literary history. Of course, the difference is that North Korea pays attention to the social network as a person as a social being, while in South Korea, it puts weight on the natural value of human beings as a human being. Even so, the fact that there is a point of contact with human means that although it may be romantic, in the end, the axis of ‘human’ should act as the key to open the possibility of unified literature history. When the contact poin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eventually spreads beyond literature to human problems, t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ecomes possible.

      • KCI등재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 ; 문학의 정치 문사연의 새로운 20년을 위하여

        최원식 ( Won Shik W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이 글은 민족문학사연구소(약칭 ``문사연``)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는 4차 심포지엄(부산대, 2010.12.22)에 제출된 발제문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알다시피 ``문사연``은 학문을 통해서 나라의 민주화와 민족의 통일에 기여하고자 한 진보적 학술운동의 일환으로 창립되었다. 그런데 약칭에서 ``문``이 강조되듯이 ``문학``의 근본적 차원을 중시한 ``문사연``은 문학연구를 제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운동에 기여하고자 하였으니, 통일문학사를 준비하는 전망 아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양자를 아우르는 ``한국문학통사 다시 쓰기``라는 공동작업을 추진함으로써, 분야를 넘어, 학연(學緣)을 넘어, 민족문학론 내부의 차이를 넘어, 하나의 학파로 발전하기를 기대한 것이다. 그런데 문학성과 운동성을 동시에 추구하였던 ``문사연``의 균형이 최근에 이르러 흔들리는 경향이 보인다. 다시 말하면 전문성의 강화에 비해 운동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당연히 관여해야 할 민족문학론을 둘러싼 논쟁이나 목하 진행중인 ``문학과 정치`` 토론에 ``문사연``은 짐짓 비켜나 있다. 이 방관상태는 ``문사연``의 고유업무인 문학연구에도 일정하게 반영되었거니와, 비통합적 경향이 증가되는 것은 그 단적인 예로 된다. 이 분산된 전문성을 학파로 들어올릴 구심점을 다시 구축하기 위해서, 정치의 과잉과 정치의 실종, 이 두 가장자리를 여읠 중도(中道)를 지향한 창립정신을 새로운 상황에 비춰 복원하는 일이 요체다. 첫번째 고리가 ``문사연``을 다른 학단과 결정적으로 차별짓는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합이다. 둘째 고리는 북한 및 통일에 대한 토론이다. 셋째 고리는 일국주의의 극복이다. 널리 인정되다시피 이제 통일은 왕년의 일국주의로부터 오지 않는다. 남에 의하건 북에 의하건 일방통일의 가능성은 반도를 둘러싼 4강의 길항이란 조건에 비춰볼 때 더욱더 실현되기 어렵다. 민족주의를 활용하되 그를 넘어서는 훈련이 실천적으로 요구되는데, 이 세 고리를 축으로 연구소 내부를 다시 정비함으로써 새로운 20년을 향해 출범하는 ``문사연``의 정치를 다시금 작동시켜야 할 때다. This essay is a revision of the manuscript submitted at the symposium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0.12.22) to hold a celeb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Institute of Korean Literary History(IKLH). IKLH which was established in 1990 as part of the progressive academic movements to mprove the democratizati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however a little different from other progressive academic societies. Stressing academic expertise as well as practical activeness, we have been trying to take the golden mea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Recently the middle-of-the road course is in motion as the latter weakens. In fact the former is also problematic. Increasing separative tendency, the convergence, the core organizing principle of IKLH is getting little by little less meaningful. To rebuild a solid foundation for the next two decades what to do next? By securing 3 sources, namely, joining of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xamining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overcoming the doctrine of one country, we do give life to politics of IKLH.

      • KCI등재

        한국문학사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 『조선-한국 당대문학사』를 중심으로

        이승윤(Lee Seung Yun)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1

        This article looked into "Joseon - Korean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published by the publication department of Yanbian University, which may be a third eye toward Korean literary history.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may be a noteworthy text in that it is literary history aimed at both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by utilizing data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as Korean literary history published in a third country. Concerning the period that this study aimed at, it ranges from the period after liberation in 1945 to the Korean War in 1950.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describes this period by classifying it into poetic literature, novel literature, and play literature along with an overview of the time. Among them, this study proceeded to a discussion limited to the poem genr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describes the entir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from 1945 to 1980 while indicating South Korea as "Hanguk (Korea)" and North Korea as "Joseon". It is also interesting that in the main body of the book, it uses neutral expressions that do not belong to either South Korea or North Korea, just as the literature of the "South" and the literature of the "North" aside from its use of "(North) Joseon" and "Hanguk" indicates the literature of the North and the South.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period of literary history, the book is classified into 10-year periods from the 1950s to 1980s, and only Chapter 1 covers about five years from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in 1945 to the period immediately before the Korean War under the title of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reason why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adopted such a classification of periods may be because the book was intended to be poised on the border that does not belong either to the South or the North. The fact that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emphasized in particular "mutual contact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and brought it to prominence while explaining the situation of literary circles during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enables us to glimpse the direction of the description of literature history aimed at by the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That may be read as a different expression of a consciousness of seeking "mutual contac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r aspiring to such contact and to be voluntarily in charge of its role under the special situation of being an "autonomous prefecture of the Joseon people in China", namely a third country. Meanwhile the "Literary History of the Joseon Race in China" (2007), which is used as a textbook for the Department of Joseon Literature at the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located in Beijing, China, may be a noteworthy text in that it is another literary history produced in the same China. The guidelines that they determined are the literature and history of the citize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also of the "Joseon race as a minority race" and they are not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people" who immigrated to China. Therefore, prior to mentio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country for literature of the Joseon race, it is defined in the semantic network with Chinese literary circles or Chinese society and history.

      • KCI등재

        통일문학사에서 「정읍사」의 시대 귀속 문제

        곽아람 ( Kwack Ah Ra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정읍사」는 남북이 분단 이전부터 함께 공유한 문학으로, 남과 북 모두 문학사에서 항상 다루는 중요한 작품이다. 하지만 분단 후에는 남북이 각자의 시각 차이로 인해 「정읍사」의 발생 시기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남한에서는 「정읍사」의 시대 귀속을 실증주의적 관점에 따라 백제 혹은 고려로 대립하고 있지만, 백제민이 남편의 무사귀환을 바라는 망부가적 성격으로 원문을 해석하며 대체적으로 백제의 노래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정읍사」를 분단 초기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분류하다가 사회의 압박과 불행 속에서 탄생한 사회비판적 성격을 띠고 있는 백제민의 창작품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고구려 중심주의를 표방하며 「동동」을 고구려의 노래로 소급하는 과정에서 이와 후렴구가 유사한 「정읍사」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백제의 노래로 규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학적 시각 속에서 남북을 비교해 보았을 때, 남한은 「정읍사」를 망부가적 성격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북한은 남한의 시각에 사회비판적 성격을 더하여 분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문학사에서는 북한의 지나친 주체문학론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러한 부분을 경계하고 소거한다면 「정읍사」에 대한 남과 북의 시대 귀속은 접점을 찾아 통일문학사를 서술하는 데 있어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Jeongeupsa is a valuable literary work to shared in South and North Korea`s literary and to handle in South and North Korea`s all literary before South and North Korea are divided. However, after the division,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different time periods of Jeongeupsa due to their visual differences. In the South korea, the opinions for division into periods of Jeongeupsa are sharply divided as Baekjae period or the Goryeo period according to the positivism. But the dominant view is Baekjae`s song to pray for the safe return of one`s husband by people of Baekje. And interpreted the feature of the late lamented husband. North Korea analyzed that Jeongeupsa is unified Silla period`s literary work at first, but now, Jeongeupsa is people of Baekje`s creative work as social critical thinking in the pressures of society and unfortunate. This claim to Goguryeo centricism and Jeongeupsa is similar to dong-dong`s chorus as Goguryeo`s song. Ultimately they need to define the Baekjae`s song to be influenced by Goguryeo. When we compare the North and the South in this literary perspective, South Korea interprets Jeongeupsa as a network personality, and North Korea analyzes South Korea`s viewpoint by adding social criticism. For this reason, in the history of unification literatur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North Korea`s excessive Juche literary theory, if we observe and erase these parts, it would be a good example to describe the history of unification literature by searching the contact points of.

      • KCI등재

        우리 문학사 기술에 관한 일 고찰

        김영택,김상수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12

        History of literature is a learning to research in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iterature, which means the arrangement micro-individual study on authors and works in the synchronized structure to stable consecutive system. History of literature takes its position at the terminal in that it includes individual study and grants organized meaning to it. In this aspect, the historical structure of synchronized and individual historical structure of literature can be variously assessed and organized depending on its meaning and times. It derives from the fact that the value of literary works falling under the materials of history of literature has to be dependent on the granter's subjective thought and method. For that reason, the order of history of literature fundamentally has variability in itself, on which history of literature is newly and described. The pending issue and its solution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can be possible based on sufficient consider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realities and objective vision. And in the process of reviewing and discussing such problems, our history of literature is expected to be a valuable indicator as the life and soul of Korean people.

      • KCI등재

        한겨레 문학사 기술(文學史 記述) 방법론

        이명재(Rhee Myung-jae) 중앙어문학회 2002 語文論集 Vol.30 No.-

        This thesis i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writ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at might restore and systemize heterogeneous national histories caused by having been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for sixty years. It is also about the concrete methods of writ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 have been searching for concrete approache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comparing modern literatur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until now. For we need to seek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with resuscitative and open-minded attitudes. The main discourse, which is the keynote and the outline of this thesis, gives three preconditions for writing a new history of literature. One of them is a serious attitude that destroy the wall of the long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Korea. And this attitude tries to seek true national unification literature. In this globalization era, we need to expand territorie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Koreans in China, old USSR, U.S.A., Japan, Australia as well as Koreans in South and North Korea. We could also expand literatures written in other languages. And we need to often hold seminars in domestic and overseas. We could make a informationalization of the literature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exchange information. Next chapter gropes and shows the description method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that are itemized discussions. First, it presents the writer's objectivity and autonomy. And it also presents the need to balance the authors and the eras focused by the main genres. Above all, it suggests Proletarian literature, Anti-Japanese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in 1930's be assessed and accepted together. It suggests that we should emphasize 'Donghok gasa' more than social activities achieved by certain people in sorting the origin point of new literature and the time of modern literature. It gives new opinion that we need to change contemporary literature which is long and has vague boundaries into current literature which existed after post-war literature in 1950's. Lastly, it sees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proletarian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as a dialectic development.

      • KCI등재

        중학교 현대 문학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고찰

        이동재 ( Dong Jae Lee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교과서 개정을 앞두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는 중요한 문제다. 이 논문에선 중학교 현대 문학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현행 제7차 중학교 교과서에서 현대 문학사에 관한 것은 3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는 「한국 현대 문학의 이해」란 단원이다. 이 단원에 실려 있는 조남현의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은 한국 현대 문학사의 흐름을 압축해서 간략하게 설명해놓고 있다. 방대한 문학사적 사실을 개괄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글이다 보니 다소 일관성이 없거나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사용한 문장, 앞뒤가 모순된 문장, 필자의 무리한 생각이 노출된 문장 등이 눈에 띄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리는 글은 되도록 모호한 단어나 용어 사용을 피하고 논쟁의 여지가 많은 사항이나 특정한 문학관이 노출된 글은 피해야 한다. 일관성 있는 합리적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하고 작품을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대 문학이라고 해야 하는지 현대 문학이라고 해야 하는지 언제까지 모호하게 설명하고 넘어갈 순 없는 문제이며, 사상시·자연시·저항시·생명시 등 기준과 개념이 모호한 장르의 분류는 학생들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혼란만 가중시킨다. 문학과 역사의 욕망과 지향점을 단순하게 일치시키는 것도 학생들이 문학과 역사의 변별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문장이나 단어 하나, 부호 하나라도 고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이 논문의 의의는 거기에 있을 것이다. Reviewing the problems regarding the textbooks currently in use is essential especially with the revision of the textbook just around the corner. This paper tells us the present state of current history of literature education for junior high school and the problems facing it. The unit 「The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ppearing in 『Korean』textbook studied by third graders in their first term is regarding the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seventh junior high school textbook. When it comes to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seventh middle school textbook currently in use, the unit 「The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 『Korean』textbook studied by third year students in their first term has it. 「The stream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Jo Nam-hyeon in that unit summarizes the current of the korean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and gives the brief and simple explanation. Since it describes massive or even bulky literary facts, it contains some sentences that have no consistent or appropriate words, make no sense or lack coherence, show the writer`s unreasonable thoughts. Obscure words or terms, disputable facts and writings that expose particular views of literature should all be avoided when studied by middle schoolers. Dividing the times and classifying the works with the consistent and reasonable standard are very important. We can`t always go on giving an ambiguous explanation on whether it is a modern literature or current(contemporary) literature,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re whose standard and concept are uncertain or vague such as ideological poetry, natural poetry, resistant poetry, life-giving poetry only adds confusion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works. Simply identifying the desire and intention(inclination) of literature with those of history is another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distinguish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If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the slight modification of single sentence, word or even a mark, I would say this would pay of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