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와 비평의 상호진화를 위하여

        최원식(Choi, Won-shik)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1

        The Shin Kyung-suk dispute seems to mark an end of an era of the Korean literary circles for m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modern literature has been ‘Another Government’ agains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 the Korean dictatorships. But the democratization, as we know, led to the weakening of Korean literary stature. During the noisy debate the Korean literary world has been almost invisible and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iterary study as same. In fact a problem in the plagiarism is not simple. It is more compex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or three works, which is especially crossing the borders. Even to solve the Shin Kyung-suk issue collaboration of literary critics and literary scholors is needed primarilly. In a word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iterary study try to enhance its reality, stopping to surrender him/herself to crisis. Perhaps it will be the first step that we produce the readable papers. Recently the Korean readers and writers has been so completely lost in the foreign works, because Korean literary critics and literary scholors almost abandoned his/her responsibillity of the literary education. Where can we find a path to innovate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Co-evolution of criticsm and study is an answer. When the researchers make every effort to gain critical sense or reality, and the critics endeavor to obtain the historical sense, it shall be on exit, I wonder.

      • KCI등재

        근대계몽기 문예운동의 시각 ; 1910 년대 친일문학과 근대성 - 최찬식 (崔瓚植)

        최원식(Won Shik Choi)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1999 민족문학사연구 Vol.14 No.-

        Choi Chan-sik(1881∼1951), one of the major writers of 1910`s, succeeded Lee In-jik(1862∼1917) who as a pro-japanese had played an active part in politics and literature in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ment(1905∼10). Unlike Lee who was subjectively pursued how to adapt himself to new colonial circumstances, Choi was objectively situated in the colonial life and was to find out modernity in the new way. In his work, through the simulation of various marriages, Choi experimented the making of the colonial modern based on the disintegration of traditional society. But modernity of his literature was limited to surface level because of the lack of tension toward Captial. So, after the brief heyday, he and his literature fell to the ground abruptly

      • KCI등재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 ; 문학의 정치 문사연의 새로운 20년을 위하여

        최원식 ( Won Shik W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이 글은 민족문학사연구소(약칭 ``문사연``)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는 4차 심포지엄(부산대, 2010.12.22)에 제출된 발제문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알다시피 ``문사연``은 학문을 통해서 나라의 민주화와 민족의 통일에 기여하고자 한 진보적 학술운동의 일환으로 창립되었다. 그런데 약칭에서 ``문``이 강조되듯이 ``문학``의 근본적 차원을 중시한 ``문사연``은 문학연구를 제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운동에 기여하고자 하였으니, 통일문학사를 준비하는 전망 아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양자를 아우르는 ``한국문학통사 다시 쓰기``라는 공동작업을 추진함으로써, 분야를 넘어, 학연(學緣)을 넘어, 민족문학론 내부의 차이를 넘어, 하나의 학파로 발전하기를 기대한 것이다. 그런데 문학성과 운동성을 동시에 추구하였던 ``문사연``의 균형이 최근에 이르러 흔들리는 경향이 보인다. 다시 말하면 전문성의 강화에 비해 운동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당연히 관여해야 할 민족문학론을 둘러싼 논쟁이나 목하 진행중인 ``문학과 정치`` 토론에 ``문사연``은 짐짓 비켜나 있다. 이 방관상태는 ``문사연``의 고유업무인 문학연구에도 일정하게 반영되었거니와, 비통합적 경향이 증가되는 것은 그 단적인 예로 된다. 이 분산된 전문성을 학파로 들어올릴 구심점을 다시 구축하기 위해서, 정치의 과잉과 정치의 실종, 이 두 가장자리를 여읠 중도(中道)를 지향한 창립정신을 새로운 상황에 비춰 복원하는 일이 요체다. 첫번째 고리가 ``문사연``을 다른 학단과 결정적으로 차별짓는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합이다. 둘째 고리는 북한 및 통일에 대한 토론이다. 셋째 고리는 일국주의의 극복이다. 널리 인정되다시피 이제 통일은 왕년의 일국주의로부터 오지 않는다. 남에 의하건 북에 의하건 일방통일의 가능성은 반도를 둘러싼 4강의 길항이란 조건에 비춰볼 때 더욱더 실현되기 어렵다. 민족주의를 활용하되 그를 넘어서는 훈련이 실천적으로 요구되는데, 이 세 고리를 축으로 연구소 내부를 다시 정비함으로써 새로운 20년을 향해 출범하는 ``문사연``의 정치를 다시금 작동시켜야 할 때다. This essay is a revision of the manuscript submitted at the symposium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0.12.22) to hold a celeb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Institute of Korean Literary History(IKLH). IKLH which was established in 1990 as part of the progressive academic movements to mprove the democratizati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however a little different from other progressive academic societies. Stressing academic expertise as well as practical activeness, we have been trying to take the golden mea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Recently the middle-of-the road course is in motion as the latter weakens. In fact the former is also problematic. Increasing separative tendency, the convergence, the core organizing principle of IKLH is getting little by little less meaningful. To rebuild a solid foundation for the next two decades what to do next? By securing 3 sources, namely, joining of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xamining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overcoming the doctrine of one country, we do give life to politics of IKL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고전비평의 탄생 ; 가람 이병기의 문학사적,지성사적 위치

        최원식 ( Won Shik Cho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9 No.-

        가람 이병기(1891~1968)는 연구와 비평과 창작, 세 방면에서 우리 문학의 졸가리를 세우는 일에 기여한 드문 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냉전의 여파 속에 합당하게 평가되지 못했다. 민족의 해방과 새 나라의 건설을 위해서는 이념을 넘은 통합이 필요하다는 중도노선에 서서 어문운동을 바탕으로 지식인의 광범한 협동을 실천했지만, 특히 문학분야에서 더욱 뚜렷하다. 민족주의적 국학과 실증적 조선학을 아우른 가람은 또한 비평적 능력이 탁월했으니, 당시 국문학연구에는 우리 고전문학유산의 문학성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그 가치의 높낮이를 평가할 능력 즉 문학비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우리 고전 특히 한글문학유산에 대한 뛰어난 안목을 바탕으로 정전의 재편을 선구적으로 수행하였으니, 이 점에서 가람은 1세대 국학파와 2세대 실증파를 겸한 위에 3세대 미학파까지 아울렀던 것이다. 가람의 비평적 능력이 밝게 드러난 데가 바로 시조혁신론이다. 장르의 역사성을 무시한 1920년대의 복고적 부흥론과 달리 그는 "시조도 한 문학"이라는 명제를 세운다. 이 명제는 ``실감실정``과 ``읽는 시조``에 의해 지지된 바, 소리 중심의 시조를 말을 축으로 다시 파악함으로써 노래에 묻힌 시조를 리얼리즘에 입각한 근대문학으로 인도하였던 것이다. 수준 높은 비평안에 의해 시조를 비롯한 우리 한글문학유산은 마침내 고서뭉치에서 걸어나와 국민교양으로 되었으니, 그는 최초의 고전비평가였던 것이다. Inspite of Lee Byung-g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s a sijo poet and a literary critic and a scholar, he has been underestimated mainly due to the shade of cold war period in Korea. He thought that ideological confrontations between nationalism and socialism must have been overcomed for the sake of national liberat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but the Korean War made hie hope a wild dream. From today`s point of view even his failure was meanigful. As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he combined patriotism of Gukak school(國學派) with academism of positivists(實證派). Furthermore, he had an eye for the beautiful. This benefits made him a pioneer in organizing the canons of classic Korean Literature. Particularly the field of sijo gave him a chance to show his eminent critical talent. Basing on the thesis that sijo is a literature, he tried to reform traditional sijo into modern poetry. By his critical efforts, the old Korean literature including sijo becoming a living national culture, honorably he is the first critic of classic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통일시대의 국어국문학 패러다임

        최원식(Choi, Won-shik)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8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SKLL) gave me an honorable assignment to seek new methodologies of Korean linguistics and literature suitable to the unification era. Perhaps it"s contrary to the paradigm for the division era, which has been shared by the members of SKLL even untill now. The main problem with the latter is the general ignorance of North Korean achievements of Korean linguistics and literature ever since the Liberation. In 1970"s Kang Man-gil created the term ‘division era’ and in 1980"s Paik Nak-chung further proposed the discourse ‘division system’. They were alarm bells urging the paradigm shift. Now, we come to the fork of a road. To deconstuct the paradigm of the division era on the one hand and to reconstruct the paradigm of the unification era on the other. First of all the conversations with the North Korean scholors in the same areas should be done. But we must keep it in mind that they are not the simple specialists. North Korean scholors are similar to traditional ‘seonbi’ (士) who tried to combine the learning with the social welfare. Generally speaking South Korean scholors are locked in department system. So, we actively reform our academic traditions centered on positivistic appoaches, which resembles interdisciplinary studies. Ideas matter also. How to make big narratives for the unification paradigm, that is the question. Perhaps it will be the first step to change the meaning of the unification: from federation(one nation) to confederation(coexistence of South and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