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태풍 차바 (2016)의 강수에 대한 지형 효과와 해수면 온도의 영향 분석

        조우진,문지홍,이민규,박진영,차동현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4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은 동아시아 주변 많은 국가들에 사회경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강풍, 집중호우 그리고 폭풍해일을 동반하여 재산과 인명피해를 발생시킨다. 2016년 태풍 차바는 부산을 스쳐 지나가면서 영남지방에 피해가 집중되었다. 태풍으로 인한 강수는 태풍의 중심에 가까웠던 부산보다는 울산이 많았는데, 이는 울산 지역의 복잡한 산악지형에 인한 지형 효과와 더불어 평년보다 높았던 동중국해의 해수면 온도로 인해 태풍의 상륙강도가 보다 강하게 유지되면서 강수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가지 원인들에 대한 검증을 위해 고해상도 WRF 모델을 이용한 수치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총 4가지로 WRF 모델이 실제 태풍을 잘 모의하는지와 다른 실험과의 비교를 위한 CTL 실험, 울산 지역의 산악 고도를 낮춘 TOPO 실험, 동중국해의 해수면 온도를 평년값으로 대체한 CSST 시험 그리고 지형과 해수면 온도를 모두 변경한 CSST_TOPO 실험을 진행하였다. 울산 지역의 누적 강수량은 CTL>TOPO>CSST>CSST_TOPO 실험 순으로 나타났으며, CTL 실험에서 TOPO 실험보다 풍상 측 강수가 많았고 풍하 측 강수는 TOPO 실험에서 많았다. 두 실험의 연직단면을 비교했을 때, CTL 실험에서 태풍의 습윤하고 불안정한 흐름이 높은 산악지형에 막히고 상승하면서 풍상과 정상부에 강한 강수를 유발하는 것이 확인되나 TOPO 실험에서는 약하게 나타났다. CTL 실험과 CSST 실험의 태풍 강도는 동중국해를 지나는 시점부터 CTL 실험이 더 강한 강도를 유지하였고 누적 강수 또한 CSST 실험보다 많았다. CSST 실험에서 낮아진 해수면 온도로 인해 태풍의 강도가 약해졌고 태풍이 머금은 수증기량 또한 감소하면서 강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중국해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한반도로 북상하는 태풍의 강도가 유지되어 강한 태풍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 KCI등재

        태풍 ‘나리’(2007)와 ‘차바’(2016) 내습 시 제주지역 언론 중심으로 본 자연재난대응 매뉴얼의 비교분석

        강영훈,고인종 한국지방행정학회 2019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6 No.1

        This research, first of all, analyze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saster Safety Measures Bureau of emergency responding action tips for preparing natural disaster according to the Petak’s 4 steps of disaster manual during the coming typhoon ‘Chaba(2016) which caused lots of damages in Jeju island. And then applied same check items to the typhoon ’Nari(2007)’. This analysis revealed that not only mis-reported weather forecast and non working of emergency responding systems caused the lack of preparations but also localized heavy rain brought overflowed main rivers in downtown which also made miserable damages. Therefore, the Bureau has to prepare very detailed disaster reaction systems which will be manageable any conditions of weather change. 본 연구는 차바(2016) 내습 시 단계별 점검사항이 보도내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태풍 나리(2007)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상특보에 따른 비상 대응시스템 가동계획, 인명피해 최소화 대책 실행계획, 재산피해 저감대책 실행계획을 단계별로 대응 시나리오를 만들었으나 예비대비단계에서부터 기상 오보로 인한 준비부족,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 범람 등으로 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하자 유관기관의 일관성 없는 대처로 비상대응 시스템 가동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으며, 대응단계에서는 상습 취약지에 대한 주민대피를 유도하고, 사고 우려지역에 대한 출입을 신속히 통제를 하지 않아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복구단계에서는 긴급지원요청에도 장비와 인력부족, 민간단체와의 거버넌스 구축 부재, 자동음성시스템 등 기본적인 사항이 구축되지도 않아 태풍 나리와 차바 내습 시 반복되는 동일한 재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기후변화에 따른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세부적인 매뉴얼에 따른 재난대응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2016년 태풍 차바 내습 전후의 해운대 해빈의 침식과 회복 과정

        이영윤,장태수 한국지구과학회 201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0 No.1

        In spite of continued nourishments, Haeundae Beach in Busan has been suffering from erosion, this being caused by the increased wave energy due to global warming and intermittent typhoon reported by previous works. In the meantime, the typhoon Chaba hit Basan in October 2016.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yphoon in beach erosion and how fast the beach recovered after the typhoon, repeated beach profiling using a VRS-GPS system was carried out, and the grain size analyses for surface sediments sampled on the beach we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he typhoon invasion, Haeundae beach was eroded by 1.4 m in average height. The mean high tide lines were retreated back by 12 m, and beach slope became gentler from 3.8° to 1.7°. The mean grain sizes of surface sediments became coarser from 1.6Φ to 1.2Φ after two months, and the sorting well sorted. After two months of typhoon landfall, the mean high tide lines have recovered by 85%, and the beach topography almost recovered. Thi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typhoons on Haeundae beach erosion is negligible, and the relaxation time is shorter than that of other beaches. 부산의 해운대 해수욕장은 양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침식이 일어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파랑 에너지 증가와 간헐적인 태풍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2016년 10월 태풍 차바는 부산을 내습하였는데, 태풍이 해빈침식에 있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태풍 전과 후 VRS-GPS 시스템을 사용해 해빈 측량과 표층 시료를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침식 후 복원이 어느 정도 되는지 주기적으로 해운대 해빈 지형을 측량하였다. 조사결과, 태풍 내습 직후 해운대 해빈은 평균 약 1.4m 침식되어 낮아졌고, 평균 고조위선은 약 12 m 후퇴했으며, 이에 따라 해빈 경사는 3.8° 에서 1.7°로 완만해졌다. 퇴적물 평균입도는 평균 1.6Φ에서 2개월 후 1.2Φ로 조립해졌으며, 분급은 상대적으로 좋아졌다. 태풍 내습 2개월 만에 평균 고조위선은 약 85% 정도 회복되고 해빈 단면은 대부분 복원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운대 해빈 침식에 있어 태풍의 영향은 크지 않으며, 다른 해빈과 비교할 때 회복기간이 매우 짧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설계빈도의 지속시간별 강우강도를 고려한 침수피해 특성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이정민(Lee Jung-Mi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의 증가는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발생으로 수공구조물 및 사회기반시설의 침수피해를 발생시킨다. 강우사상에 대한 규모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설계빈도와 강우강도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편적인 설계빈도 및 강우강도의 제시는 하천 및 하수관거 등에서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발생시 침수피해에 대한 정량적인 크기를 확인할 수 없다. 설계빈도 및 강우강도의 기준으로 침수피해의 규모나 범위를 단정 짓기에는 복합적인 원인으로 피해의 양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태풍 차바 내습시 침수피해가 발생한 울산광역시 중구를 대상으로 지속시간별 강우강도와 설계빈도를 산정하였다. 침수피해지역 인근에 위치한 하천 및 우수관거의 설계빈도, 태풍 차바의 설계빈도와 강우강도를 비교하여 침수피해와 지속시간별 강우강도 및 설계빈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Rainfall events that exceed the design frequency of the latest climate change cause flood damage on hand structures and infrastructure. When describing the magnitude of typhoon or extreme rainfall events, the magnitude of rainfall event is shown through design frequency. However, presenting these short design frequencies is a value that exceeds the design frequency of rivers and drains and can not identify quantitative sizes or risks. In this study, rainfall intensity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esign frequency of continuous time in Jung-gu, Ulsan, where flood damage occurred during the typhoon Chaba. The Ulsan Rainfall Observatory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flood damage by reviewing the difference in rainfall intensity by duration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estimated rainfall intensity by design frequency.

      • KCI등재

        침수흔적도 기반 MD-FDA를 이용한 홍수피해액 평가

        이근상,이현석,정관수 한국지적정보학회 2017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9 No.3

        Korea has been damaged by floods due to heavy rainfall yearly and MD-FDA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ssessment) method was applied to evaluate flood damage assessment objectively. This study evaluated flood damage assessment of typhoon 'CHABA‘ by connecting with flood depth information of inundation trace map and GIS data. Firstly, as result of flood depth information based on inundation trace map of Uljin-Gun by typhoon 'CHABA', the ratio of flooding area show 46.3% and 28.1% respectively in range of flood depth as below 0.5m and 0.5~1.0m. And total flood damage assessment of Uljin-Gun by typhoon 'CHABA' based on MD-FDA was analyzed as 14,904,725,000 won and that of building and facility ranked high as 39.4% and 34.2% compared with total flood damage assessment. Also flood damage assessment of manufacturing industry, wholesale․retail store, transportation․warehousing․communication service ranked high as 26.2%, 21.3%, 21.1% in facility items. 우리나라는 매년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고 있으며, 이러한 홍수피해액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위해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방법(MD-FDA)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흔적도의 침수심 정보를 GIS 자료와 연계하여 태풍 차바에 의한 홍수피해액을 평가하였다. 먼저 태풍 차바에 의한 울주군의 침수흔적도를 기반으로 침수심 정보를 분석한 결과 침수심이 0.5m 이하와 0.5~1.0m 이하 구간의 침수면적 비율이 각각 46.3%와 28.1% 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MD-FDA 기반의 태풍 차바에 의한 울주군의 전체 홍수피해액은 14,904,725천원으로 분석되었으며, 건물과 산업체의 홍수피해액은 전체피해액의 39.4%와 34.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산업체 홍수피해액에서는 제조업, 도․소매업, 운수․창고․통신업의 피해액이 전체 산업체 홍수피해액의 26.2%, 21.3%, 21.1%로 높게 분석되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An Analysis of the Natural Disaster Response Manual in Jeju - Focusing on the Media in the Jeju Area during Typhoon Chaba -

        In Jong Ko,Young Hoon Ka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12

        본 연구는 태풍으로 인해 매번 반복되는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매뉴얼의 개선 및 보완이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재난대책안전본부의 2017년 자연재난 대응 매뉴얼과 실제 태풍 ‘차바’ 내습 시 제주지역 언론에 나타난 자연재난 대응 매뉴얼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예방⋅대비단계와 대응단계에서는 제주도의 자연환경을 비롯한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하여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복구단계에서는 피해복구 및 보상 등에만 중점을 두어 복구단계의 각 활동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이를 기초로 제주지역의 자연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매뉴얼의 보완을 위해서는 첫째, 제주도의 현실을 고려한 매뉴얼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예측할 수 없는 이상기후와 기후변화 등 장단기적인 재해와 환경을 고려하는 치수방재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재난 발생 이전의 예보단계의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제주재난대책안전본부(유관기관 포함), 언론, 자원봉사자 등 민간영역의 협업기능을 강화하는 수평적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 방송 및 언론이 방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임무가 부여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compared the contents of the official natural disaster response manual used by the Jeju government with those appeared in the media in the Jeju areaduring Typhoon Chaba.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the manual needs to be modified to incorpora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including its natural environment for the prevention and response stages. For the recovery stage, the modification should be necessary for every activity of the recovery procedure. The strategies for minimizing the damage of natural disasters in the Jeju areawere recommend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nual needs to reflect the reality of Jeju.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considering both short-term and long-term aspects of disasters and environment. Third, the horizontal governance should be arrangedto strengthen the collaborative function of the private sector. Fourth,the regional media should be given the mission of playing a role as an organization fordisaster pre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