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코비드(COVID)-19 팬데믹과 평화

        허만형 한국평화종교학회 2021 평화와 종교 Vol.- No.11

        본 연구는 설문조사기법을 활용하여 코비드-19의 대유행으로 나타난 “반평화” 현상에 대해 분석했다. 설문조사는 구글 기반의 온라인 조사를 2021년 3월 10일부터 20일까지 10일간 실 시하였고, 응답자는 304명이었다. 평화를 갈등과 전쟁이 없는 조화로운 상태로 정의하고 분석 을 실시한 결과 코비드-19 이전의 조화로운 상태는 무너져 내렸다. 예컨대, 기회는 줄어들었 고, 신뢰는 불신, 교류는 단절, 그리고 공정은 불공정으로 회귀하는 등 “반평화” 현상이 뚜렷했 다. 또한 코비드-19 대유행 이전보다 사회적 갈등 현상이 높아졌고, 정치적 통제와 사회경제적 통제 수준 또한 높아져 사회구성원 사이에 갈등이 높아지는 현상도 파악되었다. 응답자들은 코 비드-19가 종식되더라도 코비드-19 이전의 평화 상태에 회귀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었다. 그리고 정부를 신뢰하지 않고 있었다. 정부, 민간경제, 시민단체, 그리고 시민사회와 같은 4개 의 영역을 놓고 탐색했는데 정부가 가장 낮았고,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온 영역은 시민사회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anti-peace phenomenon emerg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y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via Google drive for 10 days from March 10 though 20, 2021. For this study, peace was defined as a state of harmony without conflict and w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state of harmony has worsened since the 2020 COVID-19 pandemic. Due to the COVID-19, opportunity has diminished; trust has gotten worse; social interaction has been recuced; and social equity has been weakened. In addition, social conflict has grown, socioeconomic and political controls have been tightened since the 2020 COVID-19.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we may not go back to the state of peace we used to be, although the COVID-19 pandemic ends in the future. The respondents were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and did not trust government. Out of four sectors including market, government, NGOs, and civil society, the expectation of governments was lowest, and that of the civil society was the highest.

      • KCI우수등재

        코비드 19와 계약법

        권영준 한국민사법학회 2021 民事法學 Vol.94 No.-

        The emergence of COVID-19 offers a momentum to revisit traditional framework of contract law. In the wake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contractual obligations, force majeure or hardship clauses are drawing significant attention. Doctrines regarding the change of circumstances or impossibility, which seemed to have little presence in practice, are back on the stage again. Non-performance doctrines are more often highlighted. Meanwhile, emergency legislations in response to COVID-19 have us critically rethink the flexibility of the above traditional contract legal doctrines. In addition, the extent to which governments are justified to paternalistically intervine in the existing contractual relationship becomes another critical issue. Swift transition to a non face-to-face contractual environment is another byproduct of COVID-19, thereby facilitating the transformation of classical contract law that was once premised on the face-to-face internactions. In short, COVID-19 is providing considerable stimulation to the current contract law regime. Against this backdrop, I intended to make observation on the responses of the current contract law doctrines, especially in terms of risk allocation, and to find some future implications on contract law. First of all, I categorized risk allocation mechanisms into the internal allocation (meaning that such allocation is done by virtue of contract itself such as a force majeure clause) and the external allocation (meaning that such allocation is done by virtue of law such as the doctrine of change of circumstances), and further analyzed respective mechanisms. I also provided general overview on how major jurisdictions are responding to this crisis, in terms of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measures specifically tailored to COVID-19. Further, based on such observation and analysis, I endeavored to find implications that might facilitate current contract law to appropriately transform itself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a society under the shade of COVID-19. I mentioned the need for rigidity of current contract law doctrines, focusing more on contract design ex ante, and systematic relation between contract law and community value in consideration of social costs of contract. 코비드 19는 계약법을 되돌아볼 계기가 되었다. 평소 존재감이 크지 않던 불가항력(force majeure) 또는 이행곤란(hardship) 조항은 코비드 19로 존재감을 발산한다. 실제로는 별로 활용되지 않던 사정변경 원칙이나 불능 법리도 관심을 끈다. 급부장애법도 전반적으로 다시 주목받는다. 한편 코로나 19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의 특별법들을 지켜보며 전통적 계약 법리가 이러한 비상사태에 충분히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경직성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질문도 던지게 된다. 또한 생존과 안전의 엄중한 요청 앞에서 계약의 신성함(sanctity)이 후퇴하는 현상을 목도하며 계약법에서 자율과 후견의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비대면 거래가 급격하게 확산되면서 비대면 계약법리에 대한 수요도 비약적으로 늘고 있다. 요컨대 코비드 19는 계약법에 자극을 주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필자는 코비드 19에 대한 계약법의 대응을 위험배분의 관점에서 관찰하고,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우선 불가항력 조항처럼 당사자들이 자율적으로 마련한 계약 조항에 따라 이루어지는 위험배분과 사정변경 원칙처럼 당사자들의 합의 없이도 적용될 수 있는 계약 법리에 따라 이루어지는 위험배분을 살펴보았다. 또한 코비드 19 확산 이후 이에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마련된 특별법이나 그 밖의 고권적 조치로 이루어지는 위험배분도 살펴보았다. 그 후 이러한 관찰 내용을 토대로 코비드 19가 계약법 분야에서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지 검토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은 계약 법리의 경직성 완화, 계약 설계적 관점에 대한 관심 제고, 계약의 사회적 비용을 염두에 둔 계약법과 공동체적 가치의 유기적 연결이라는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KCI등재

        국제항공운송법상 여객운송인의 책임요건에 관한 연구 : 코비드19가 사고(Accident) 및 신체 상해(Bodily injury)와 정신적 상해(PTSD)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김훈범(Kim, Hun-Beom),신창섭(Shin, Chang-Sop)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의생명과학과 법 Vol.26 No.-

        국제항공운송 산업은 관련 시장의 양적 성장을 기반으로 과거 바르샤바체제 이후 법제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그러나 몬트리올협약은 바르샤바협약을 현대화하면서 기존의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하는 오류를 범함으로써 여전히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코비드19 판데믹(COVID-19 pandemic)이라는 전세계적 감염병에 따라 항공운송업계는 유례없는 타격을 입었다. 이와 같은 협약상 문제점과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여객의 상해에 관한 바르샤바협약과 몬트리올협약상 ‘사고(accident)’의 정의가 첫 번째 쟁점이다. 미국과 유럽의 법원은 ‘사고’를 정의함에 예기치 못한, 비정상적인 외부적 사건이라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유럽사법재판소(CJEU)는 항공과의 연관성을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관행적 해석에서 벗어났다. 이를 통해 ‘사고’의 범위를 확대하여 여객의 이익 보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시대의 흐름에 맞는 매우 환영받을 판결로 생각된다. 또한 항공기 내 코비드19의 감염은 ‘여객 외부의 비일상적이거나 예기치 못한 사건’에 해당하기 때문에 협약상 ‘사고’를 구성할 수 있다. 두 번째 쟁점은 ‘신체 상해(bodily injury)’에 관한 정신적 상해의 인정 여부이다. 신체 상해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관련 학설과 판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특히 순수한 정신적 상해에 관하여 법원은 항공운송인의 책임을 부정하였다. 따라서 순수한 정신적 상해의 유형에 해당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근거로 항공운송인의 책임을 인정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반면 많은 미국 법원에서 신체상해로부터 초래된 정신적 상해는 그 인과관계의 인정을 통해 배상책임을 긍정하고 있었다. 나아가 신체상해와 정신적 상해 사이의 인과관계를 요구하지 않는 최신 판례까지 등장함으로써 항공소비자 보호를 위한 몬트리올협약의 명문상 개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동 판결은 현재의 코비드19 상황에서 항공기내 코비드19 감염에 관한 정신적 손해배상과 관련하여 기초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사건으로 포스트 코비드 시대의 준비를 위해 이 연구가 더욱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ternational air carriage industry has undergone many changes in legal systems since the Warsaw system in the past based on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related market. However, the Montreal Convention(1999) still had the same problems as it made the error of repeating the existing problems while modernizing the Warsaw Convention. In such a situation, the aviation industry has been hit unprecedentedly by the global infectious disease called the COVID-19 pandemic. The first issue is the definition of ‘accident’ in the Warsaw Convention and the Montreal Convention on Passenger Injury under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U.S. and European Supreme Courts define an “accident” as an unexpected, unusual, external event to the passenger. However,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CJEU) deviated from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by not requiring a risk of air travel or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Presumably, this is a judgment that will be very welcome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s it focuses on protecting the interests of passengers by expanding the scope of ‘accidents’. In addition, since infection of COVID-19 in an aircraft corresponds to an ‘unusual or unexpected, external event to the passenger’, it can constitute an ‘accident’ under the Convention. The second issue is whether mental injuries are included in “bodily injury”. In order to examine this issue, the changes in related theories and precedent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bodily injuries by type. As it turns out, especially with regard to pure mental injury, the court denied the air carrier s liability. Therefore, it seems difficult to accept liability for air carriers on the basi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which is a type of pure mental injury. On the other hand, in many US courts, the liability for compensation was affirmed by acknowledging the causal connection for mental injury flowing from physical harm(bodily injury). Furthermore, the latest precedent does not require a causal connection between bodily injury and mental injury, thus confirming that an amendment to the provisions of Article 17 of the Montreal Convention to explicitly stipulate ‘mental injury’ is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air passengers. In addition, this case is an important case that can be the basis for compensation for mental damages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in aircraft in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and this study is judged to be more meaningful for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 KCI등재

        포스트 코비드 시대 디지털 패션디자인 교육 -해외패션교육기관 사례 중심으로-

        박옥미,이운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made the world isolated, has also entered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what changes the fashion industry has made since Covid-19. It analyzes changes in fashion industry and fashion education during the pandemic and focuses on survival strategies after Covid-19. The transformation of the times due to Covid-19 was set as the basis for theoretical technology. Based on this situation analysis, changes in fashion paradigm and cases of fashion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oriented trend study, and prior studies and technology trend reports, corporate trend reports, and public data on the corporate and research institute websit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of the times due to Coviod-19 demanded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while passing through Covis-19,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converted to non-face-to-face education, and famous fashion schools established an online education system. Third, the direction of fashion design education was derived to adapt and advance to this era, focusing on technology derived in the post-Cviod 19. 전 세계를 고립 상황으로 만든 코비드(Covid)-19 대유행은 패션 산업에도 큰 변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코비드19 이후 패션산업은 어떤 변화를가져왔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팬데믹 기간 동안의 패션업계과 패션교육의 변화를 분석하고 코비드19 이후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코비드19로 인한 시대의 변혁을 이론적 기술 근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상황 분석을 바탕으로 패션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해외 패션디자인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중심의 동향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와 기술 동향 보고서, 기업의 트렌드 보고서, 기업 및 연구소 홈페이지의 공개 자료를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비드19로 인한 시대의 흐름은 디지털 변혁을 요구하게 되었다. 둘째, 코비드 19를 지나는 동안 교육환경은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되었고 유명 패션학교는 온라인교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셋째, 포스트 코비드 19 시대에 도출된 기술 중심으로 이 시대에 적응하고 앞서나가기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COVID-19 팬데믹에서의 미국 내 범죄 동향과 한국의 범죄 정책제언

        한성일 ( Sungil Han ),황의갑 ( Euigab Hwang ),노기윤 ( Keeyoon Noh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2

        202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비드-19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의 결과 시민들의 삶의 많은 부분에서 큰 변화를 있어왔다. 범죄 측면에서 살펴보면, 코비드-19 이후 보편적으로 범죄가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소수의 연구들이 코비드-19의 범죄에 대한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으며, 한국적 맥락에서의 형사 정책적 논의는 제한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욕의 범죄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의 형사 정책적 논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코비드-19 이전과 이후의 범죄율의 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코비드-19 이후 모든 범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전의 수준으로 회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의 형사정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The widespread of COVID-19 virus became a national disaster across the world in 2020 and resulted in tremendous loss of lives. In response to the pandemic, governments have taken all the actions to reduce conviction cases and curb the spread. Many parts of the everyday life of citizens als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andemic and massive government policies designed to combat COVID-19. Crime is not an exception. Sizable studies have reported that crime has decreased since COVID-19.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 in crime patterns since the COVID-19 pandemic in order to suggest criminal policies based on study findings. We analyzed publicly available arrest data from the New York Police Department between January 1st, 2019, and March 31st, 2021, using mean comparison and interrupted times series analysis. We divided each year into 52 weeks for the times series analysis and categorized crime as property crime, violent crime, and crime in total.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categories of crimes decreased by 20 percent on average since March 2020, when stay-at-home restrictions were issued. However, they started to rise again up to March 2021, as the restrictions were eas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범유행병과 국제협력: 에이즈의 사례를 통해서 본 코비드-19의 함의와 국제협력의 전망

        김영수(Young Soo Kim)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20 평화연구 Vol.28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 새롭게 범유행병(pandemic)으로 등장한 코비드-19를, 20세기 후반 폭발적으로 확산되었으나 방역과 통제에 성공한 에이즈(후천성 면역결핍증, HIV/AIDS)의 사례와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초국가적 보건 위기가 국제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 가능성을 전망해 보는데 있다. 국가 간 협력은 어떤 조건에서 창발하는가? 초국가적 이슈를 놓고 국가들이 협력하는 조건에 관해서, 먼저 국제정치학에서 논의된 협력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에이즈의 협력 사례에 적용하였다. 에이즈의 경우, 이를 “인도적 위기”로 재정의하고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윤리적 책무로 규정한 규범의 형성을 통해 협력이 가능했다. 이어 동일한 이론적 맥락에서 코비드-19에 대한 협력의 가능성을 에이즈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전망해 보았다. 이 두 감염병은 감염학적으로(epidemiological), 그리고 확산 당시의 국제정치적 환경의 측면에서 상이하다. 2000년대 초 패권국인 미국은 국제주의적 외교정책 노선을 바탕으로 에이즈에 대한 협력을 주도했다. 그러나 2020년 현재, 미국은 기존의 예외주의적 정체성을 포기하고, 협력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현실주의적 외교정책으로 선회하는 중이다. 이처럼 협력을 이끌어낼 주체가 부재한 상황 속에서, 코비드-19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력적 대응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처럼 코비드-19는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불확실성을 덧칠하는 동시에, 변화를 노정하는 국제정치의 민낯을 드러내며, 그 변화에 속도를 더하는 촉진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The research seeks to contemplate the prospec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r lack thereof) in responding to the newly emerging pandemic, COVID-19. First off, a se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on cooperation is examined as a framework, based upon which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where cooperation amongst states becomes viable. The research proceeds to the juxtaposition of COVID-19 with HIV/AIDS, which was one of the deadliest epidemics since the late 20thcentury, but also being recognized as a success cas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its prevention and treatment. Can the concerted efforts to grapple with HIV/AIDS be epitomized for the fight against the new pandemic? The author rejoinders with a gloomy prognosis considering the varying epidemiological traits between the two epidemics. More importantly,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2020 differs from that of the early 2000s; the US has been recently relinquishing its exceptionalist identity and the concomitant roles it had played as an anarchitect and advocate of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where collaboration amongst states was more attainable under the auspices of the US. In the absence of the centripetal power of the US, more disintegrated and nationalistic landscape of international disorder looms large, which insinuates that the collaborative responses to COVID-19 is less likely feasible.

      • KCI등재

        코비드 팬더믹 시대 토지공법의 변화

        길준규 한국비교공법학회 2022 공법학연구 Vol.23 No.2

        Das Virus SAR-CoV-2 (Covid-19), das seinen Ursprung im Dezember 2019 in China hatte, hat sich in kurzer Zeit weltweit beispiellos brasant verbreitet. Dementsprechend haben die Weltgesundheitsstandards (WTO) COVID-19 als „Pandemie“ deklariert und sich auf die „globale Epidemie von Infektionskrankheiten“ bezogen, die das sechste Stadium der Epidemie darstellt. Als Quarantänemaßnahme zur Verhinderung der Ausbreitung der COVID-19- Infektion hat jeder Staat eine strenge Sperrung (hard rock down) zur sozialen Distanzierung auf der Grundlage einer Grenzblockade eingeführt. Daher wurden in der Pandemie, in der die soziale Bewegung ausgesetzt wurde, verschiedene Gesetze in verschiedenen anderen Bereichen als der Quarantänepolitik umgesetzt, und dies sind universelle Phänomene auf der ganzen Welt, sodass vergleichende Untersuchung erforderlich sind. Insbesondere Bundesrepublik Deutschland, die viele Gesetze im Zusammenhang mit COVID-19 erlassen wurden, wurde ausgewählt und Änderungen des öffentlichen Baurechts berücksichtigt. Als Sondergesetz lockerte Deutschland die Baugenehmigungen und Nutzungsänderungen für Unterbringungseinrichtungen wie Infizierte gemäß der Pandemie und ersetzte das Online- Bewohnerbeteiligungsverfahren in verschiedenen Stadtplanungen. Während der Pandemie entstand das Problem der Wohnungsfürsorge, als die Immobilienpreise in die Höhe schnellten, da aufgrund der expansiven Fiskalpolitik zur Ankurbelung der Wirtschaft Geld vom Markt freigegeben wurde. Als Reaktion darauf stärkte Deutschland durch die Novellierung des Baugesetzbuchs die Befugnisse der Kommunen zur Sicherung von Baugrundstücken, führte ein Ausweisungssystem für Gebiete mit stark steigenden Wohnungspreisen und eine Kommunalverwaltung für Grundstücke mit stark steigenden Wohnungspreisen ein der Kommunen wurde gestärkt. Insbesondere in der Stadt Berlin wurde ein Volksentscheid verabschiedet, der die Verabschiedung eines Gesetzes (Entwurf) zur Sozialisierung der Mietwhonungen privater Immobilienvermieter mit 3.000 Mietwohnungseinheiten unter dem Marktpreis fordert. Darüber hinaus wurde im Zusammenhang mit dem Klimawandel die Green-Deal -Strategie der Europäischen Union im Einklang mit den stagnierenden wirtschaftlichen Impulsen während der Pandemiezeit vorgestellt, und es gab kontinuierliche Gesetzesänderungen zur Gebäudeenergieeinsparung. In Korea wurden Krankenhauseinrichtungen als Reaktion auf ein ähnliches Covid- Quarantäneproblem ohne Änderungen an Gesetzen und Vorschriften eingeführt, und die Immobilienpreise schossen aufgrund der expansiven Fiskalpolitik zur Ankurbelung der Wirtschaft in die Höhe, aber es gab keine scharfen Gegenmaßnahmen. In Koreas Stadtplanung ist die Beteiligung der Bewohner noch eine Formsache, daher wird auf die Pandemie keine Rücksicht genommen. In dieser Hinsicht scheinen Änderungen der Landbaumethoden während der deutschen Pandemie Auswirkungen zu haben. 2019년 12월 중국에서 발생한 SAR-CoV-2 (Covid-19) 바이러스는 짧은 시간에 급속한 속도로 전 세계에 전파되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비드19를 감염병유행의 6단계에 해당하는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을 말하는 ‘팬더믹’이라고 선언하였다. 코비드19의 감염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대책으로 각국은 국경봉쇄를 기본으로 강력봉쇄(하드 락다운)부터 사회적 거리 등을 행하였다. 따라서 사회이동이 정지된 팬더믹에서는 방역정책 외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법제와 정책이 시행되었고, 이러한 것들은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어서 비교법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코비드19 관련입법이 많이 제정된 독일을 선택하여 토지공법분야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독일은 특별법으로 팬더믹에 따라 한시법인 특별법으로 「감염병시설법」을 제정하여 감염자 등 병원시설에 대한 건축허가와 용도변경 등을 완화하였다. 팬더믹에 따른 주민의 외출제한과 관청에의 출입제한에 따라 도시계획에서 주민참여절차가 차질을 발생하자, 독일은 「계획보장법」을 제정하여 각종 도시계획에서 주민참여절차를 온라인 등으로 대체하였다. 우리나라는 도시계획법에서는 입법개정이 없고, 일반법인 「행정절차법」에서 행정계획절차를 규정하고, 형량명령 및 온라인 공청회제도를 도입하였다. 양국에서는 종전에도 주거난이 있었지만, 팬더믹 기간동안 경기부양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시중에 돈이 풀리면서 부동산가격이 폭등하면서 주거복지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이에 대하여 독일은 「건축부지활성화법」을 제정하여 「연방건축법전」을 개정하여 주택공급용 택지확보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을 강화하였고, 주택가격이 급상승한 지역에 대한 ‘주택가격상승지역 지정제도’를 도입하였고, 주택 등의 가격이 급상승한 토지 등에 대하여 기존의 지방자치단체의 선매권을 강화하였다. 특히 베를린 시에서는 3천 채의 임대주택을 보유한 민간부동산임대회사의 임대주택을 시장가격 이하로 ‘사회화’하는 법률(안)의 제정을 요구하는 국민청원이 주민투표에서 통과하였다. 그 밖에도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팬더믹 기간동안의 침체된 경기부양과 맞물리어 유럽연합 그린딜 전략이 제시되었고, 기존의 건물에너지 절약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입법개정이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사한 코비드방역 문제에 병원시설에 대하여는 법령개정없이 시행되었고, 최근 「국토계획법 시행령」에서 병원시설 증축에 대한 용적률 완화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부양에 따른 확장적 재정정책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였으나 실효적이 입법개정이나 뾰족한 대책은 없었다. 우리나라 도시계획은 아직도 주민참여가 형식적이라 팬더믹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고려도 없다. 이러한 점에서 독일의 팬더믹기간의 토지공법의 변화는 관련 국민들에게 법적 안정성과 신뢰를 제공하면서, 기존의 법체계를 유지하거나 개선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특히 주거부족에 대하여는 단순히 주택공급뿐만 아니라 저렴한 주택공급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고려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 KCI등재

        Verwaltungsakt in Korea als Mittel zur Bekämpfung in der Pandemie und Aufgabe in Korea

        강현호(Hyun-Ho Ka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22 土地公法硏究 Vol.100 No.-

        코로나19가 하나의 범유행전염병(Pandemic)으로 인정되었다. 국민들은 공포를 갖게 되었고, 이에 대한 대처를 위해서 행정적 조치들이 이루어졌다.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성과 관련하여 독일에서는 많은 토론의 장이 전개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코로나19의 위험성만이 강조되었다. 그래서, 코로나19를 대처하기 위하여 다양한 행정적 조치들을 근거지우는 규정들이 제정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조치들의 근거가 되는 코로나19의 위험성에 대한 분석 내지 토론은 등한시 되었다. 코로나19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함구한 채, 외출제한, 이동제한, 접촉제한 그리고 영업정지, 정보제공 등의 의무를 부과하는 법규정들이 집행되었다. 행정청은 다양한 행정작용을 동원하여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그런 과정에서 또한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였다. 코로나19를 대처하기 위하여 감염병예방법에 근거하여 발급된 행정행위를 중심으로 주체, 내용, 대응형식, 절차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주체적인 측면에서는 통일성이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고,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행정행위를 발급하기 위한 법적 요건의 명확성이 보완되어야 할 것과 행정행위의 내용에 있어서 과잉금지의 원칙이 중요하다. 대응형식으로는 주로 명령이라는 행정행위들이 많이 이용되지만, 코로나19의 대응에 있어서는 다수의 일반인들을 상대로 하여 발급되는 일반처분의 형식과 직접적으로 수범자를 향해서 강제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행정강제적 처분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절차적 측면에서는 일반법으로서의 행정절차법에 규정된 행정절차의 준수여부가 문제되는바, 원칙적으로 행정절차법상의 행정절차를 준수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감염병 대응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긴급한 경우에는 행정절차를 거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위기상황은 언제나 되풀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조치로서 야기된 문제점들은 되풀이 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COVID-19 wurde als Pandemie anerkannt. Die Menschen wurden ängstlich, und es wurde administrative Maßnahmen ergriffen, um damit fertig zu werden. In Deutschland wurde viel über das Risiko von COVID-19 diskutiert, aber in Korea wurde hauptsächlich nur die Gefährlichkeit von COVID-19 betont. Um mit COVID-19 fertig zu werden, wurden daher Vorschriften erlassen, um verschiedene administrative Maßnahmen zu stützen. Eine medizinische und auch juristische Analyse oder Diskussion über das Risiko von COVID-19, das die Grundlage dieser Maßnahmen darstellt, wurde jedoch sehr vernachlässigt. Unter Ignorierung des COVID-19-Risikos wurden Gesetze und Vorschriften tiefgreifend durchgesetzt, die Pflichten wie Ausgangsbeschränkungen, Bewegungsbeschränkungen, Kontaktbeschränkungen, Geschäftsaussetzung und Auskunftserteilung der Route auferlegten. Die Verwaltungsbehörde versuchte, durch die Mobilisierung verschiedener Verwaltungsfunktionen das öffentliche Wohl und die Ordnung aufrechtzuerhalten, verursachte dabei aber auch viele Nebenwirkungen. Zur Bewältigung von COVID-19 wurden die auf der Grundlage des Infektionsschutzgesetzes erlassenen Verwaltungsakte unter den Gesichtspunkten von Subjekt der Verwaltungshandlungen, Inhalt des VA, Handlungsform des VA und dessem Verfahren betrachtet. In Bezug auf Subjekt ist die Einheitlichkeit der Befugnis von Behörden stärker zu betonen, inhaltlich ist die Eindeutigkeit der gesetzlichen Vorgaben zum Erlass von Verwaltungsakten zu ergänzen und auch der Grundsatz des Übermaßverbots von Verwaltungsakten ist einzuhalten. Verwaltungshandlungen wie Befehle, Allgemeinverfügungen und Anordnungen werden hauptsächlich als Reaktionsform eingesetzt. Dazu sind auch verschiedene Verwaltungszwangsmaßnahmen, die unmittelbare Zwangswirkung auf Menschen entfalten, ohne Rücksicht auf die Nebenwirkungen eingesetzt. Aus prozessualer Sicht stellt sich die Frage, ob beim Erlaß von Allgemeinverfügung die vorgesehenen Verwaltungsverfahren gemäß dem koreanischen Verwaltungsverfahrensgesetz eingehalten werden sollen. M.E. sind grundsätzlich Verwaltungsverfahren nach dem koreanischen Verwaltungsverfahrensgesetz zu beachten. In Anbetracht der Besonderheit auf Infektionskrankheiten kann davon ausgegangen werden, dass es nicht einfach ist, in dringenden Fällen Verwaltungsverfahren durchzuführen, jedoch gibt es dann die Ausnahmeregelung, die in solchen Fällen anzuwenden ist. Krisensituationen wie COVID-19 können sich immer wiederholen, aber die durch Gegenmaßnahmen gegen COVID-19 verursachten rechtsstaatlichen Probleme sollten sich nicht wiederholen.

      • KCI우수등재

        팬데믹 위기와 푸틴체제의 안정성

        우평균(Pyung Kyun Woo)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4

        본 논문은 푸틴체제의 성격과 2020년 코비드-19 사태로 인해 러시아가 겪고 있는 팬데믹 위기와의 상관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푸틴체제를 비자유주의적, 유사소비에트체제로 규정하면서, 푸틴 체제의 안정성을 좁게는 지지율로 대변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안정성을 강화하는 요인과 약화하는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강화요인으로는 리더쉽 신뢰와 대외 위신 제고를, 약화 요인으로는 선거 부정과 여권비리와 복지 축소를 제시하고 있다. 팬데믹 사태는 푸틴체제가 위기 시 문제 해결에 능동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드러냈다. 코비드—19 사태가 초래한 팬데믹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무능과 비효율, 푸틴 개인의 지도자로서의 역할 회피 등 코비드 상황을 통제하는데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로 인해 푸틴 집권기 크렘린식 통제 방식인 권력의 수직화 현상이 이완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준권위주의체제와 유사 소비에트 통치체제의 성격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지도자의 권위가 돋보이는 아젠더를 설정하여 지도력을 발휘하는데 능하지만, 불시에 발생한 위기 시 비판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정책결정에는 직접 참여를 회피하여 상황을 모면하려는 성향이 있다. 평시에 보여주었던 강력한 통제력을 발휘하는 통치 리더쉽을 지지하던 푸틴체제 지지자들은 위기 시에도 동일한 리더쉽 발휘를 기대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정부의 관리능력을 경험하면서 지지를 철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푸틴체제의 견고한 안정성 자체가 무너질 정도는 아니지만, 안정성을 일부 손상하는 작용을 하였다. 팬데믹 위기가 지속되고 정부의 대처능력이 떨어질 때 푸틴체제의 확고했던 안정성 기반도 결정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는 점을 팬데믹 위기는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presen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nature of the Putin’s regime and the Pandemic crisis that Russia is experiencing due to the 2020 COVID-19 crisis. To this end, this paper is defined to Putin’s regime as the “illiberal, pseudo-Soviet system. And also the stability of Putin’s regime could be represented by narrow approval ratings, and it was classified as a factor that strengthens and weakens stability. The main reasons for strengthening are trust in leadership and enhancing external prestige, election fraud and corruption in ruling party, and reduction of welfare benefits as factors of weakening. The Pandemics scandal revealed that the Putin regime was not active in solving problems in times of crisis. In the face of the pandemic crisis caused by spread of the COVID 19, the government’s incompetence, inefficiency, and the avoidance of Putin’s role as authoritative leader showed signs of lethargy in controlling the COVID situation. This has resulted in the loosening of the “power vertical”, the Kremlin-style method of control during Putin’s presidency. It is based on the nature of quasi-authoritarian systems and pseudo-Soviet regimes, and is good at exercising leadership by setting an agenda that highlights the leader’s authority, but it tends to avoid the situation by avoiding direct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s that are likely to be criticized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crisis. Supporters of the Putin regime, who supported the strong-controlled leadership they showed during peacetime, expected the same leadership in times of crisis, but tended to withdraw their support as they experienced the government’s poor management skills. As a result, the solid stability of the Putin regime itself is not to the point of collapse, but it has done some damage to stability. The pandemic crisis suggests that the firm stability base of the Putin regime could also be decisively weakened when the pandemic crisis continues and the government’s coping ability dec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