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지역과 읍·면지역 간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

        황의갑(EuiGab Hwang) 한국형사정책학회 2009 刑事政策 Vol.21 No.2

        Our rural communities have suffered from social disorganization due to a rapid decrease of young population and a lack of proper development Research in criminal justice has also ignored rural problems focusing on urban issues To fill this void, this study compared the level and the factors of fear of crime across big city, midsize city, and rural communities using the survey data gathered from 2,056 residents throughout the country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contrary to the expectation, residents in rural communities expressed higher levels of fear of crime than their counterparts in midsize and big citie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fear of crime between rural and urban communities For example, elderly residents in rural communities expressed higher fear of crime that their counterparts in urban cities As well, confidence in police was helpful in reducing fear of crime among residents in rural communities, which was not the case in urban cities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based on the current gap in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rural and urban communities Th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in light of previous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quality of life especially in rural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수형자 사회복귀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의갑(Hwang, EuiGab),박선영(Park, Sunyou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1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6 No.2

        범죄자들의 재범을 줄이기 위한 실무와 학계의 노력은 출소하는 수형자들의 성공적인 사회 재진입을 목표로 하는 수형자 사회복귀(prisoner reentry)를 강조하고 있다. 수형자 사회복귀라는 형사정책이 지역사회의 지원과 협력을 필요로 하며 연계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대중의 수형자 사회복귀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진단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미래 형사정책의 공급과 수요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될 대학생들의 수형자 사회복귀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수형자 사회복귀에 대한 영향요인을 개인특성, 정치·종교적 신념, 제도·기관에 대한 인식, 범죄피해와 두려움, 그리고 범죄원인론에 대한 인식으로 분류하여 대학생들의 수형자 사회복귀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였다. 수도권의 대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용서에 대한 개인적 신념이 강할수록,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과정적 범죄이론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수형자 사회복귀를 지지하는 정도가 높았다. 반면에, 가족의 수입이 많을수록,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그리고 심리·생물학적 실증주의 범죄이론에 대한 확신이 강할수록 수형자 사회복귀에 대한 수용도가 낮았다. 분석결과는 석방되어 돌아오는 수형자에 대한 대중의 반감을 감소시키며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수형자 사회복귀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효율적 관리,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제고, 그리고 범죄원인론에 대한 적절한 교육 등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prisoner reentry in one of th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Based on previous research, political ideology, major, religion, family income, the value of forgiveness, victimization experience, fear of crime, trust of criminal justice system, and perceptions of crime causation theories were examined as predictor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prisoner reentry. Multiple regres 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value of forgiveness, family income, trust of criminal justice system, fear of crime, support for social process theory, and support for pyschological/biological theory were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attitudes toward prisoner reentry. A respondent with a higher family income, higher level of fear of crime, higher value on psychological/biological positivism as a cause of crime was less likely to support prisoner reentry. On the other hand, a respondent with a strong confidence in criminal justice system, support for social process theory as a cause of crime, a higher level of value of forgiveness was more likely to support prisoner reentry. Thes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addressing the issues of public's fear of crime and distrust of criminal justice system as well as enhancing education on the value of forgiveness and the proper understandings of the cause of crime are some of the strategies to improve attitudes toward prisoners and to establish effective prisoner reentry programs.

      • KCI등재

        살인범죄의 원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정진성(Cheong, Jinseong),황의갑(Hwang, EuiGab) 한국형사정책학회 2010 刑事政策 Vol.22 No.1

        Every single social phenomenon including crime has a spatial aspect and it is spatially dependent, in general. The spatial dependence causes spatial autocorrelation in macro-level crime analysis, which in turn makes the standard errors of regression coefficients inflated and biased. Eventually, the property of best linear unbiased estimate (BLUE) of the 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es does not hold any more. To solve this problem, spatial regression modeling is required. In Korean criminal justice area, however, no spatial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attempted yet. Thus, this study tried the spatial regression modeling of homicide rates in 241 districts within the past three years. The result of Global Moran's I showed that homicide rates are spatially dependent. The spatial lag model discovered that divorce rate is the most important homicide indicator within Korean communities, which implied that greater social bond (collective commitment to community well-being) as well as the presence of an extended support system could be responsible for lower homicide rates. More spatial analyses for diverse neighborhood sizes and characteristics, various crime types, and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s are to be made for effective crime prevention policies that fit each neighborhood's unique feature.

      • KCI등재

        연구논문 : 학교 내 공식처벌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희 ( Sohee Kim ),황의갑 ( Euigab Hwang ) 대한범죄학회 2015 한국범죄학 Vol.9 No.3

        최근 들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비행 및 범죄를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다시금 강력한 처벌이 그 수단으로써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초기의 낙인이론가들은 사회의 공식적 기관이 비행행동을 저지른 사람에게 낙인효과를 주는 방식의 처벌을 가할 경우, 이를 통해 얻어지는 사회적 반응에 행위자가 적응하게 되면서 비행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고, 결국 또 다른 이차적인 일탈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아, 공식적 처벌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경고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청소년들에게는 학교는 가장 강력한 사회적 낙인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학교에서 공식적 처벌을 통한 낙인을 부여받을 경우 비행자로서의 정체성 형성이 불가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기의 낙인이론이 제시한 바와 같이 공식처벌과 자아낙인, 비행의 시간적 인과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날 것인지, 나타난다면 공식처벌의 비행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감안하고서도 자아낙인을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학교환경 속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시행한「한국청소년패널」의 중2패널 자료 중에서 3차(고1), 4차(고2), 5차(고3)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시행 하였다. 분석결과, 공식처벌과 자아낙인, 비행의 시간적 인과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자아낙인이 학교로부터 받는 공식 처벌과 비행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청소년정책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zero tolerance type of tough policy has been prevailing in our society and has gained popularity among researchers and the public alike. Such anapproach is based on the notion that tough punishment prevent delinquent adolescents from committing additional delinquency and crime, which is based on the deterrence theory. However, labeling theory insists that the unintendedprimary delinquency may be developed into secondary deviance through self-labeling after those juveniles having been punished by official agencies. Considering juveniles’ situation in school, it is natural to assume that official punishment in school may bring strong self-labeling related to delinquent identity as the youth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It appears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attempt to investigate these causal relationships in our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early labeling theory, current study attempted to fill this void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official punishment, self-labeling, and delinquent behavior of adolescents in high school. By using the three waves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we employ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hich considers time effects and causal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The result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from official punishment to delinquencies via self-labeling.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abeling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 of Modernization Developments on Criminal Victimization throughout Nations: A Multilevel Approach

        김현정(HyeonJung Kim),황의갑(EuiGab Hwang),엔크볼드뱃지벡(Enkhbold Batzeveg) 한국테러학회 2013 한국테러학회보 Vol.6 No.4

        본 연구는 근대화가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국가의 교육수준, 보건수준, 경제수준 등 근대화 지표가 범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근대화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전개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범죄피해에 있어서 국가수준의 영향요인을 탐구하여 범죄예방을 위한 국가수준의 지표를 고려한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국제범죄피해조사, 인간개발지수, 유엔마약범죄사무국 자료 등을 통합하여 활용하였으며 위계선형모형분석을 통해 국가수준의 범죄피해요인을 찾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즉, 24개 국가 32,816명에 대한 설문자료와 국가수준의 근대화 지표를 연결한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통해 몇몇 근대화 지표가 일부 범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근대화이론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인들이 강력범죄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근대화이론의 가정과 어긋나는 측면이 있었다. 즉, 범죄를 강력범죄, 재산범죄, 총범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국가수준 변인이 강력범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반면, 재산범죄와 총범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주목할 만한 수준이었다. 특히 국가수준의 교육발달의 수준과 살인율이 재산범죄와 총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근대화 과정을 거쳐 고도성장을 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시사점은 국가수준의 교육발달 정도와 살인율에 영향을 주는 교육정책과 범죄정책이 각각 다른 목적으로 시행되지만 시민들의 범죄피해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국가 간 거시지표를 범죄피해의 요인으로 지목하여 검증해 보고자 시도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level of modernization or development on criminal victimization. Modernization theory is used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as the level of education, health, and economy of a nation may influence the level of cr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ation level factors of criminal victimization and help find strategies to solve crime problems. This study used multi-level analysis. Data were drawn from the International Crime Victim Survey(ICVS), Human Development Index(HDI), and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UNODC) and were combined for HLM analyses. The sample was 32,816 citizens nested in 24 countries. The effect of the country-level variables on criminal victimization was very low for violence victimization but high for property and total victimizations. In general, country-level variable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education development and homicide rates. They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operty and total victimizations. This study partially supports the modernization theory in that modernization based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operty and total crime victimization. The findings on the victimization of violent crime, however, were quite unlike what was theoretically expected. Policies based on modernization perspectiv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COVID-19 팬데믹에서의 미국 내 범죄 동향과 한국의 범죄 정책제언

        한성일 ( Sungil Han ),황의갑 ( Euigab Hwang ),노기윤 ( Keeyoon Noh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2

        202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비드-19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의 결과 시민들의 삶의 많은 부분에서 큰 변화를 있어왔다. 범죄 측면에서 살펴보면, 코비드-19 이후 보편적으로 범죄가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소수의 연구들이 코비드-19의 범죄에 대한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으며, 한국적 맥락에서의 형사 정책적 논의는 제한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뉴욕의 범죄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의 형사 정책적 논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코비드-19 이전과 이후의 범죄율의 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코비드-19 이후 모든 범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전의 수준으로 회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의 형사정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The widespread of COVID-19 virus became a national disaster across the world in 2020 and resulted in tremendous loss of lives. In response to the pandemic, governments have taken all the actions to reduce conviction cases and curb the spread. Many parts of the everyday life of citizens als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andemic and massive government policies designed to combat COVID-19. Crime is not an exception. Sizable studies have reported that crime has decreased since COVID-19.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 in crime patterns since the COVID-19 pandemic in order to suggest criminal policies based on study findings. We analyzed publicly available arrest data from the New York Police Department between January 1st, 2019, and March 31st, 2021, using mean comparison and interrupted times series analysis. We divided each year into 52 weeks for the times series analysis and categorized crime as property crime, violent crime, and crime in total.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categories of crimes decreased by 20 percent on average since March 2020, when stay-at-home restrictions were issued. However, they started to rise again up to March 2021, as the restrictions were eas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국내 총기난사 사건의 범행과정에 대한 범죄 스크립트 분석

        이용일 ( Yongil Lee ),신지희 ( Jihui Shin ),황의갑 ( Euigab Hwang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2

        우리나라는 총기 소지에 대해 법적으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기와 관련된 총기난사와 같은 범죄는 많은 수는 아니지만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동안 국내에서 총기난사 사건에 대한 연구는 개별적인 사건에 대한 연구이거나 군부대 사건에 대한 연구 혹은 개별 사건의 생존자에 관한 연구로 비교적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의 범주에서 한발 더 나아가 그간 국내에서 발생한 모든 총기난사 사건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범죄 스크립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총기난사 사건의 범죄 스크립트 분석은 ‘범행 준비 단계’, ‘범행 실행 과정 단계’, ‘범행 실행 이후 행동 단계’와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렇게 세 단계로 분류되는 범죄 스크립트 각각의 단계마다 합리적 선택 이론의 관점을 기초로 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단계별로 발생하는 총기난사 범죄에 대하여 예방할 수 있는 개입 포인트를 식별하고 총기 소지에 대한 제도적 보완을 통해 총기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국내 총기난사 사건의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 shooting rampage can be defined as an event that involves an individual opening fire indiscriminately with the intention to kill or injure as many lives as possible in public settings. South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strictly controlling the possession of firearms.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numerous shooting rampage cases. Shooting rampage case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media, but not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from academician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shooting rampage cases occurred since 1970 in South Korea. The crime script analytic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rational choice theory. A total of 22 cases of shooting rampage cases was utilized for analysis. Based on the initial involvement model of rational choice theory, our analysis revealed three general reasons for committing shooting rampages. As well, findings showed that shooting rampage cases were divided into three general scripts (i.e., planning, execution, and after crime stage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might add to a body of literature on shooting rampage cases.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이 비행피해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홍명기 ( Myeonggi Hong ),조정윤 ( Jungyun Cho ),황의갑 ( Euigab Hwang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1

        한국 사회가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다문화 가정, 특히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질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다문화 청소년 관련 선행 연구들은 사회 적응, 생활 만족도 등과 삶의 질의 관계에 관심을 보였으며 대부분 교육학 혹은 사회복지학의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다.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삶의 질에 큰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적극적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과 비행피해 두려움의 관계와 이 둘의 관계를 매개하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분석의 틀로 상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분석결과(N=787),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이 비행피해 두려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사회적 지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비행피해 두려움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어 능력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비행피해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매개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한국어 능력이 원활한 사회적 관계를 촉진하여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비행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수립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As South Korean society rapidly changes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quality of life issue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among social science researchers. Existing research has mostly been conducted in terms of pedagogy or social welfare points of view focusing on general immigrants.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quality of life issues of juveni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in fear of crime research. Giving attention to the problems related to language ability and social support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language ability has an effect on both social support and fear of delinquency, whether social support has an effect on fear of delinquency, and whether social support mediates the effect of language ability on fear of delinquency. The analys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787 juveniles in multicultural families revealed that Korean language abilit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fear of delinquency. However, language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which had a negative effect on fear of delinquency, hence showing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fear of delinquency. That is, language ability was linked to fear of delinquency via social support. Implications for policy and future research for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