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용 지식재산보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유현,정정숙,임윤진,문대영,이동원,이진우,이승원,정영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지식재산태도 함양을 위한 초등학생용 지식재산보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합한 지식재산보호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지식재산보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지식재산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 적용과정에서 지식재산태도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를 활용하였고,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및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지식재산보호교육 프로그램은 지식재산보호의 핵심영역인 지식재산창출, 지식재산보호, 지식재산활용에 대하여 기초적이면서 전반적으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교재로 타당하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테마여행 형식의 실천중심 활동이 학생들에게 지식재산보호교육 활동에 흥미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발된 지식재산 보호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지식재산태도(지식재산 가치평가, 지식재산 흥미, 지식재산 행동경향)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tection learning in Intellectual Propert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Attitud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For conducti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tection learning in Intellectual Property program, previous studies extract the elements of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that i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find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we conducted a pre-test and post-test through field application process. we used SPSS22 for frequency analysis,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Intellectual Property program i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be easily applied in the field to extracted the key elements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education. Second, developed Intellectual Property program of the theme travel type ro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s interest. Third, The positive changes took place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attitude through this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program.

      • KCI등재

        무용교육 참여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선영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ance program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32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school grade and participation of dance progra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the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d on self-esteem significantly. Third, the self-efficacy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Forth, the self-esteem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significantly. Fifth,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o sum up the above results,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dance influenced on peer relationship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through self-esteem. 이 연구는 무용 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및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의표집 방법으로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8개교 초등학교 학생 320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무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효능감이 자아존중감 중 가정적존중감과 총체적자아존중감에, 자기조절효능감이 사회적자존감에, 자신감효능감이 학교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효능감이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중 가정적존중감, 사회적존중감, 학교존중감 및 총체적자존감이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무용교육을 받은 초등학생이 무용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보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가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현장과 교육관련 관리자들은 무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학습과 향상을 위하여 무용교육을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현장 지도자는 무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이상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무용교과 특성에 대한 이해 및 적합한 교수방법 등으로 초등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구현하도록 이바지 할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영미 ( Young Mi Chun ),박선희 ( Sun Hee Park ),박상연 ( Sang Youn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2

        본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은 나이, 학년,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본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는 1년 이내 교육유무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지식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2009년부터 초등학교 5,6학년의 보건교육이 의무 재량화(Health Education Forum, 2008)됨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교육 기회가 이전보다 증가하여 초등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정도와 교육에 따른 지식에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Jeon (2008)의 연구에서는 지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가 없었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Ahn과 Cho (2009)의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제공자, 심폐소생술 교육 후 경과 기간, 심폐소생술 교육 후 평가방법, 교육 이수증 또는 자격증 소지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여 각 연구마다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를 종합해 보면, 각 연구들이 교육과 관련된 변수를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식을 측정한 것으로 대상자의 나이와 환경 및 개인적 경험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각 대상자별 특성에 맞는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교육기회를 확대하여 심폐소생술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겠다.태도에서는 교육경험과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본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심폐소생술에 대해 많이 들어본 경우가 몇 번 들어본 경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는 정보습득, 정보습득방법, 심폐소생술 경험유무, 1년 내 교육유무, 향후 교육의향, 교육희망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ark, Kim과 Cha (2010)는 학년, 성별, 종교유무, 교육경험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부 유사하였다. 이와 같이 태도에 유의한 변수는 각 연구마다 측정도구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을 인식한 경우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으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준에 맞는 알기 쉽고 체계화 된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자기효능감에서는 종교유무, 교육경험,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본 정도가 유의하였다. Park 등(2010)의 연구에서는 학년, 성별, 교육경험이 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도 1년 내 교육유무, 정보습득유무, 정보습득방법 등에 따라 자신감에 차이를 보여 본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는 성인에 비해 초등학생은 동기유발이나 교육의 연속성 유지가 쉽고(Park et al., 2006), 교육에 대한 이해도나 관심도, 지식, 술기 평가에서 고등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Kwon, 2005) 등으로도 설명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교육효과의 지속성과 높은 자기효능감 유지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교육 일정을 통한 반복학습이 중요할 것이다.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정도는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55.8점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 대상자와 특성이 유사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는 남학생 78.6점, 여학생 75.2점으로 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가 개정된 2010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것으로 아직 변경된 부분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이전에 알고 있던 지식과 혼동되어 생긴 결과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전에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던 학생이더라도 2010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변경된 부분에 중점을 둔 재교육이 필요하겠다.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점수는 평균이상이었으나 표준 점수로 환산하여 비교했을 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Lee & Park, 2010; Park et al., 2010) 결과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있어서도 평균수준을 보여 선행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태도나 자기효능감은 주관적인 것으로 대상자의 개별적인 상황이나 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실기 수행능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Kim (2008)의 연구결과를 고려한다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지속적인 학습이 궁극적으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수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태도는 자기효능감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Lee와 Park (2010)과 Park 등(2010)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 등(2008)의 연구에서도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정확한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대상자 수준에 맞는 교육이 요구된다.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종교,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본 정도, 지식으로 나타났다. 즉,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 본 경험이 많을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종교는 없는 경우가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없어서 직접적인 비교는 할 수 없지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는 태도가 심폐소생술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하였고, Park 등(2010)은 태도와 인식을 수행자신감의 영향요인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과 Lee (2011)는 심폐소생술 실습교육이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이를 종합해 보면, 초등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도록 하며 심폐소생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 on self effic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6 to August 27, 2013 using a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WIN 19.0 using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affecting on self efficacy to CPR were attitude (β=.54), religion (β=-.16), recognition (β=.15) and knowledge (β=.13). These factors explain 47.0% of the variance in self efficac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ttitude to CPR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customized programs and further research by using 2010 guideline are needed to develo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김동현(Dong-Hyun Kim),김형균(Hyung-Gyun Kim)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敎育論叢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를 분석하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충청권의 3개 지역(대전, 세종, 충남)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06명을 임의로 표집하였고, 진로포부 검사와 진로성숙도 검사를 학년 및 학생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이용하였으며, 지도교수와 경력교사들의 검토 등을 거쳐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통계 자료는 2020년 12월 1일부터 12월 11일까지 온라인 및 직접 배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3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 회수하였다. 활용 불가능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6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유효율 98.7%). 본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SPSS 21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유의수준 p<.05에서 t-test, F-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포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인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6학년 학생들이 5학년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그 하위요인들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소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진로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진로교육에서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수준을 높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현재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및 진로성숙도와 관련한 학습 및 체험 프로그램이 미비하므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rade and gender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mong th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30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3 regions (Daejeon, Sejong, and Chungnam) were randomly selected and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tes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grade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tatistics were collected online and directly from 1 to 11 December 2020, and a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ept for unavailable questionnaires 30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the effectiveness 98.7% efficiency The questionnaire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21 program with significance levels p<.05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p<.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aspiration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ixth-grade students higher than fifth-grade students. Fourth,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it was analyzed that groups with high levels of career aspirations and their sub-factors also have high career maturity. Sixth,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un a program that can rais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s a way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learning and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주연 ( Lee Ju-yeon ),최성열 ( Choi Sung-yeol ),임경숙 ( Lim Kyoung-suk ),장성화 ( Jang Sung-hwa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와 대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6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57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계수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은 서로 상관이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여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to develop interven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This researcher selected 572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 or Daejeon. The data collected here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PASW 20.0. This author has formulated following study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ego-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how does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ego resilience?, Third, how does ego resilie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how does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and lastly, does ego resilience have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lementary Perceived health of familie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djustment, self-resilience. Second,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hird, ego resilie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Lastly, ego resilience is found to have partly mediating effect working as a parameter in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life adaptation.

      • KCI등재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방과후 체육활동과 정서발달 및 비행행동과의 관계

        조욱연,심윤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방과후 체육활동와 정서발달 및 비행행동 차이에 따른 관계를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27명(남학생 1,113명, 여학생 1,0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인은 소득계층 수준에 따라 저소득층 초등학생과 일반 초등학생으로 구분하였으며,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 여부를 추가하였다. 종속변인은 정서발달과 비행행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들 변인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SPSS(ver 18.0)를 이용하여 교차분석과 t검증 등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초등학생은 일반 초등학생에 비해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층 초등학생은 일반 초등학생에비해 정서발달이 낮고 비행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체육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정서발달과 비행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participation with emotional development and delinquency behavior of lower-inco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2127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boy: 1113, girl:1014) data were used which surveyed by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in 2012. For the data analysis, using SPSS series of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family income level and after school program participation on emotional development and delinquency behaviour.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ower-income group showed lower participation rate than other-income level students' participation rate. Second, lower-income group students showed lower emotional development and higher delinquency behavior than other income groups' emotional development and delinquency behavior. La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development and delinquency behavior between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and students did not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among lower-inco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수영(Lee, Soo-Young),정재은(Jung, Jae-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초등교실 공간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초등교실 공간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 인식의 차이, 교사와 학생의 성별 간 인식의 차이, 학생의 학년 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초등교실 공간에 대해 이미지를 조사⋅분석하기 위해 의미변별법을 사용하였고, 교실 이미지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차이와 성별의 차이는 t-검정을, 학년에 따른 차이는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실 이미지에 대한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교실 공간은 ‘다양성’, ‘안락함’, ‘즐거움’, ‘포용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다양성 요인에서는 ‘활기찬’에, 안락함 요인에서는 ‘안전한’에, 즐거움 요인에서는 ‘행복한’에, 포용성 요인에서는 ‘협력적’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다양성 요인에서는 ‘활기찬’에, 안락함 요인에서는 ‘안전한’에, 즐거움 요인에서는 ‘즐거운’에, 포용성 요인에서는 ‘개방적’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교사와 학생의 교실에 대한 이미지의 차이는 다양성, 즐거움, 포용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보다 학생들의 교실에 대한 이미지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사와 학생의 성별에 따른 교실에 대한 이미지의 차이 분석 결과 남녀 학생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사의 경우에는 안락함과 즐거움 요인에서 여교사의 인식이 남교사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섯째, 학년에 따른 학생 응답 평균의 차이는 다양성, 안락함, 즐거움, 포용성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4학년이 5학년이나 6학년보다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교실 공간을 만들고 교실 공간을 평가하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학생의 인식이 교사보다 높지만 약간 긍정의 수준으로, 매우 긍정의 수준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만큼 초등교실 공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초등학교 교실 공간을 다양성을 충족하면서 새롭고 창의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교실 공간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저학년 교실 위주의 현 학교공간혁신 사업의 대상을 고학년 교실에 대한 개선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through the image of the current elementary classroom spa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gender, and between students grade levels. Methods To find the image of the current classroom spac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use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classroom image.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image of the classroom space were verified through t-test,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were confirmed through ANOV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classroom image, the classroom space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diversity’, ‘comfort’, ‘pleasure’, and ‘inclusiveness’. Second, for the image of classroom spa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most positively to ‘vigorous’ in the diversity factor, ‘safe’ in the comfort factor, ‘happy’ in the pleasure factor, and ‘cooperative’ in the inclusiveness factor.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most positively to ‘vigorous’ in the diversity factor, ‘safe’ in the comfort factor, ‘fun’ in the pleasure factor, and ‘open’ in the inclusiveness factor, regarding the image of the classroom space.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images of the classroo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diversity, pleasure, and inclusiveness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the classroom than the teachers(p<0.01).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age of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tudents, but in the case of teachers, female teachers perceptions of comfort and pleasure factors were more positive than male teachers(p<0.05.) Sixth, the difference in the mean according to grad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factors of diversity, comfort, pleasure, and inclusiveness. Overall, the 4th grader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the current classroom space than the 5th or 6th grade(p<0.05). Conclusions In order to restructure the classroom space and evaluate the classroom space,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s essential. As a basic study for such particip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although students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teachers , they were at a slightly positive level, somewhat far from a very positive level of elementary classroom space. Efforts for improvement are required continuously. In particular, efforts to change the classroom space new and creatively while satisfying diversity are required, and since the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was relatively low toward the upper grades, improvement of the classroom space in the upper grades should also be considered.

      •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교 공간 및 시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예원,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교육 주체인 초등학생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교 공간과 시간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서 춘천시 초등학교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교 공간(교실, 복도, 화장실, 급식실, 운동장)과 학교 시간(아침활동시간, 수업 시간, 쉬는 시간, 점심시간, 하교 시간)에 대한 문장완성형, 개방형 설문지를 제작하였으 며 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설문 결과는 귀납적으로 주제를 요목화하여 그 의미를 해석한 후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초등학생은 자신의 경험과 생각에 따라 학교 공간과 시간에 각각 3-4 개의 정의적 의미와 4개의 정서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또한 성별과 학년에 따라 화장실, 운동장, 아침활동시간, 수업 시간, 하교 시간에 그 의미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초등학생은 성인과는 다른 자신들만의 의미를 학 교 공간과 시간에 부여하며 생활하고 있으며 이러한 초등학생의 목소리를 들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생의 모든 공간과 시간에는 친구가 존재하기에 초등 학생의 교우관계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ag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regarding school spaces and times, based on the necessity of acknowledging the voices of elementary students as the primary recipients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targeted 1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City. Sentence completion and open-ended survey forms regarding the spaces within the school (classrooms, corridors, restrooms, cafeterias, playgrounds) and school times (morning activities time, class time, break times, lunchtime, dismissal time) were designed and administered offline. The survey results were interpreted inductively to highlight key themes, an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elementary students attributed 3-4 conceptual meanings and 4 emotional meanings individually to school spaces and tim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Furthermore, differences in meaning were observed in spaces such as restrooms, playgrounds, morning activities, class time, and dismissal time based on gender and grade level.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it is evident that elementary students assign unique meanings to school spaces and times distinct from adults, emphasizing the necessity to listen to their perspectives. Additionally, given the presence of friends in all spaces and times for elementary students, there is a greater need to focus on and educate about their peer relationships within the educational context.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

        최지향,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미래 자신의 직업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를 확인하고,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사전조사를 통해 질문지에 사용할 직업목록을 확정하였다. 이후 전문가 검토를 거쳐 질문지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거쳐 질문지를 최종 완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700부를 배포하여 624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엑셀과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t검증, F검증과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대체로 직업에 대해 보편적인 이미지를 공유하지만 몇몇 직업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은 전체적으로 보통보다 남성적인 직업, 지위가 높은 쪽으로 치우쳐서 영역이 형성되어 있었고 그 넓이는 비교적 좁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직업포부는 평균적으로 중간을 기준으로 다소 높고 남성적인 직업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학생들의 직업포부는 진로대안영역 내에 설정되어 있었다. 넷째, 학업성적, 성공욕구,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수준, 주변의 기대, 성역할인식 정도의 5가지 자아개념 중에서 성역할인식과 관련한 자아개념이 진로대안영역, 직업포부와 상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초등학생들의 진로대안영역을 다룬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진로대안영역을 넓히기 위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성역할평등과 관련한 교육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the process of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choose their future job. The research led to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ly share a common image about occupations, but some have different perceptions according to their gender. Second,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rmed higher and more masculine than middle, and its width was relatively narrow. Third, the averag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 and masculine.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perception of sex role.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variety of follow-up studies dealing with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n order to broaden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students, proper circumstances with various types of career information should be created. Thir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the school scene.

      • 장애학생 초등교원 진입확대 방안 연구

        이성규,양숙미,전혜연,이종아,강선진,최성이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용역연구 Vol.- No.6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애초등교원의 임용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세 가지 차원 즉 현재고등부 장애학생, 장애인특별전형을 통해 교대에 다니고 있는 장애 학생, 그리고 2007년도에 임용된 신규장애교원과 기존의 장애교원을 대상으로 현재 초등교원의 의무고용 미충족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고, 장애교원의 교대 진입 과정과 장애학생의 교대의 수업 이수에 있어서 보안책 그리고 2007년 신규 임용된 장애 교원과 기존의 장애 교원을 통해 시험과정 및 일반 초등학교의 장애초등교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 나아가 장애교원진입확대를 위한 중·장기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I. 연구문제 1. 초등교원 의무고용인원의 미충족 원인은 무엇인가? 2. 초등교원직에 대한 장애학생의 선호 및 의견은 무엇인가? 2-1.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대학생의 초등교원에 대한 선호 및 의견은 무엇인가? 2-2.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고등학생의 초등교원에 대한 선호 및 의견은 무엇인가? 3. 장애인 당사자 및 관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 교원진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4.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장기 방안(지원체계)은 무엇인가? III. 연구방법 현재 장애인특별전형을 실시하고 있는 6개 경인·서울·전주·제주·춘천·청주교육대학교의 담당자의 도움을 받아 조사에 동의한 학생들 총 8명(청각장애 3급 1명·5급 2명, 지체 장애 3급 1명·4급 1명·5급 1명·6급 2명)과,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도움을 받아 2007년에 임용된 장애교원, 기존의 장애교원 총 10명(지체 2급 3명·지체 4급 1명·지체 6급 2명·시각 6급 2명·뇌병변3급 1명, 시각 1급 1명)을 심층면접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읽고 작성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없는 고등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초등교원 진입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155부(일반학교 13부, 특수학교 142부) 수집되었다. IV. 연구결과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심층면접 결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장애인 특별 전형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는 수능 본 후 원서 쓸 때, 부모님한테 들어서, 고등학교 때 알았다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후 교육대학교사이트에서 확인하거나 직접 연락하고 찾아가서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교대 진입 확대 방안에 대해 기본적으로 장애인 특별전형에 대한 홍보가 전체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보 방법으로는 공문 발송, 가정통신문, 장애학생의 진학 상담을 위한 카페 등이 있었고, 홍보 시기로는 중·고등학교 때부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장애초등교원의 경우 교육대학에 지원하기 전에 사전 심사 제도를 통해 지원 가능여부를 판단 한 뒤 이에 적합한 경우 지원을 하게 된다. 장애초등교원이 임용 후 교원으로서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대 진학, 과목이수, 임용 시험, 배치, 교원 활동에 대한 일련의 세부적 지원부터 마지막단계까지 장애교원이 낙오되지 않고 활동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첫 번째, 기본적으로 교육대학교와 일선 초등학교의 장애인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야 한다. 두 번째, 교대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전 심사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세 번째, 장애학생이 교과목을 이수함에 있어서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른 배려가 있어야 한다. 네 번째, 다양한 장애 유형과 등급에 따라서 시험 방법이 다양화되어야 한다. 다섯 번째, 장애교원을 배려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 번째, 장애교원의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교과전담제와 보조교사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일곱 번째, 장애인 교원 임용 확대를 위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단체가 조성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무엇보다 장애인 교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통해 나아가 중증장애인을 위한 초등학교 진입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V. 연구의의 본 연구는 초등장애교원의 진입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현재 고등부 장애학생들의 장애초등교원에 대한 생각과, 현재 교대에 다니고 있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대 진학 과정 및 교대 진입 확대 방안에 대한 선호 및 의견을 정리함으로써 장애학생들의 교대 진입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교대 진학 중인 학생들과 기존의 장애교원 및 2007년에 임용된 장애교원의 욕구 및 현재의 상황을 파악해 봄으로써 초등장애 교원의 진입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 및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