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명(天命)에 대한 조선유학의 주목과 퇴계(退溪)해석의 철학사적 의의

        강경현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One of the main academic issues in the 16th century Chosun is Heavenly Mandate. They explained the good nature of the human being related to Heavenly Mandate. This is of course a very traditional Confucian idea, but the elaboration of this thought is made by Chosun Confucianism. Toegye participates in that discussion dominantly. He modifies the existing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emphasizes the concept of Li based on Heavenly Mandate through it. In the 16th century Chosun academia where Zhuxi’s philosophy was being adopted at a full scale, such an attempt by Toegye can be evaluated as an effort to differentiate from the understandings of the past and contemporary scholars. This analys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he had no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agram of Supreme Ultimate and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Specifically, he explained Li as Heavenly Mandate with the condition that Li and Gi are wondrously united and consolidated. In that way, while he found the basis of morality from the Heavenly Mandate which is a kind of moral imperative, he definitely claimed that the Heavenly Mandate is Li only when it is combined with Gi. In other words, When combined with Gi, Li exerts the power to intervene with the world just like a kind of moral command. This means that rather than explaining morality of humans through the Supreme Ultimat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basis of human morality through the Heavenly Mandate. The division regarding these two concepts is distinguish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scholars in the past. Through this differentiation, I can say that Toegye reconstructed the theory on morality systematically. 16세기 조선 학술계의 주요 주제 가운데 하나는 천명(天命)이다. 당시 발표된 「천명도(天命圖)」의 공통 문제의식은 인간의 선함을 천명 개념과 결부시켜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유는 비단 이 시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도덕성의 근거를 천(天)에서 찾고 명령 개념을 통해 양자 간의 연결을 밝히는 것은 물론 전형적인 유학적 성찰이지만, 그에 대한 이론적 정교화 작업은 조선유학을 통해 이루어졌다. 퇴계(退溪)는 이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천명 이해에 따라 기존의 「천명도」를 수정하고, 그를 통해 천명에 입각한 리(理) 해석을 강조한다. 주자학이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16세기 조선 학계에서 퇴계의 이와 같은 시도는 당대 학자들은 물론 기존 주자학 해석자들의 천명 이해와의 차별화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퇴계가 「태극도(太極圖)」와 「천명도」의 차이점을 부각시킨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퇴계는 “리와 기(氣)가 신묘하게 응결[理氣妙凝]”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리를 천명이라 설명함으로써 주자학적 인간의 선함, 즉 도덕성의 근거를 일종의 도덕명령과도 같은 천명에서 찾으면서도, 그 천명은 기와 결합된 상태에서야 비로소 자신의 능력을 드러낸 리임을 분명히 하였다. 다시 말해 리는 신묘하게 기와 응결된 상태에서 일종의 도덕명령처럼 이 세계에 개입하는 힘을 발휘한다는 것으로, 이를 통해 퇴계가 기와의 결합 이전 단계의 리의 의미까지 포괄하는 태극(太極)을 통해 인간의 도덕성을 해명하기보다는, 천명의 함의를 갖고 있는 “리기묘응(理氣妙凝)” 상태에서의 리를 통해 인간 도덕성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음을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이 가능하다면, 퇴계는 태극과 천명의 개념적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도덕에 대한 이론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수운의 ‘천명(天命)’에 대한 인식과 동학사상

        신상구 동학학회 2012 동학학보 Vol.0 No.24

        This paper looks into the relation of Confucian and Donghak from the perspective of Heaven’s order. ‘Heaven’s order’ is the important issue because it is the first and the last for practicing of morality in Confucian. The word of ‘Heaven’s order’ is referred to several times while reading scriptures of Donghak. Therefore, I could find that this word, Heaven's order, is a major cause of creating Donghak. So, I scrutinized Heaven’s order and tried to connect it to ‘Seonggyeongsin’, which is the important concept of self-discipline in Suwoon’s thought. And also, I searched to connect it to the monistic world-view of Su-woon. First of all, this paper found the basis of the concept of ‘Heaven’s will’ from Joongyong. Heaven’s order is ‘Human nature[性]’, ‘Human nature[性]’ is good, being good is human’s virtue and good virtue can find heart. Therefore, Heaven, ‘Heaven, Will, Good, Virtue, Mind, and Gyeong’ are all the same. From this basis, Su-woon drew a conclusion that the cause of chaos of Choseon Dynasty was that people didn’t follow Heaven’s will. And he said that if people take a good look at and follow the Heaven’s order, the country’s chaos will end. And then, what can we do to take a good look at and follow the Heaven’s order?This answer is ‘Seonggeyeongsin,’ ‘Mooweeleehwa,’ and ‘Soosim jeonggi.’And these all concepts which Su-woon referred can be understood in the monistic world-view of ‘Cheoninhabi’. 본고는 수운의 ‘천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동학사상의 사유의 일단을 살핀 것이다. ‘天命’은 유학에 있어 도덕실천을 위한 출발점이면서 종착점이 되는 아주 중요한 문제다. 이렇듯 중요한 문제인 ‘天命’은 동학의 경전에서 여러 번 등장한다. 그리고 이 말[천명]이 동학창도에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심정기’는 ‘천명’에 대한 논의의 가장 구체화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천명’에 대한 인식을 수양의 중요한 개념이 되는 ‘성경신’과 관련짓고, 또 이를 수운의 일원론적인 세계관과도 연결지어 살펴보았다. 수운은 ‘천명’의 개념을 『중용』에서 찾았다. 하지만, 수운은 이를 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였다. 수운에게 있어 ‘천명’은 군자가 될 수 있는 근거였다. ‘천명’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군자는 ‘도를 밝히고 덕을 닦아 기미를 잘 아는 사람’이라고 하였고, 사람들이 ‘천도[천명]라는 이치를 떠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공자나 옛 선비들의 가르침이었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천명은 시간이 흘러가는 것과 같이, 순환하는 것과 같이 자연은 변화하고 또 순환한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모든 사람은 하늘 이치인 천리를 지니고 있으며, 이 천리를 담는 그릇인 기를 바르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임을 말하였다. 수운은 이를 근거로 조선 후기의 혼란은 ‘천명을 돌아보지 않는 것’에 그 원인이 있다고 진단하였고, ‘천명을 돌아보고 천리를 따라야’ 나라의 혼란이 종식될 것이라 말한다. 그러면, 천명을 돌아보고 천리를 따르기 위해서는 어떠하여야 할까? 이에 대한 대답이 곧 ‘誠敬信’이며, ‘無爲而化’이며, ‘守心正氣’였다. 그리고 수운이 말한 이 모든 개념은 天人合一이라는 일원론적인 세계관 속에서 해석될 수 있다 하겠다.

      • KCI등재

        두 「천명도(天命圖)」의 제작 배경과 김안국⋅김정국 형제

        최영성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This article studies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influences between the teachers Kim Ahn Kook and Kim Jeong Kook brother and their students Jeong Jee Woon (鄭之雲: 1509∼1561) and Kim Yin Hoo (金麟厚: 1510∼1560) on the creation background of each Drawing of Heaven’s Order written by Jeong Jee Woon and Kim Yin Hoo focusing on the point that the teachers must have influenced their students of such. Jeong Jee Woon’s Drawing of Heaven’s Order is a historic work that showed the direction that Neo-Confucianism of Joseon should take. It is widely known that Neo-Drawing of Heaven’s Order made by Lee Hwang though revision and supplement work with Jeong Jee Woon of Drawing of Heaven’s Order triggered the dispute of SaDanChilJeong (四端七情: a famous Neo-Confucianism dispute about the nature of Heaven and human in Joseon era). Jeong Jee Woon and Kim Yin Hoo were alumni, so they must have communicated each other academically. Jeong Jee Woon was likely to ask Kim Yin Hoo about his opinion while creating Drawing of Heaven’s Order. However, Kim Yin Hoo’s Drawing of Heaven’s Order has rarely been made public so far because he did not expose it to the public thinking that it was not completely made whereas Jeong Jee Woon’s Drawing of Heaven’s Order was known in the society early. Such two pieces of Drawing of Heaven’s Order were made under the same purpose but not same in basic viewpoint. Jeong Jee Woon followed the theories claimed by the Confucians of Sung dynasty while Kim Yin Hoo strictly stood on the theory of Golden Mean (中庸). That could be why Kim Yin Hoo made Drawing of Heaven’s Order again after Jeong Jee Woon’s Drawing of Heaven’s Order came out to the public. However, the fact that such outstanding Neo-Confucians as Kim Yin Hoo and Jeong Jee Woon grew under Kim Ahn Kook and Kim Jeong Kook brother and they made Drawing of Heaven’s Order respectively as if they promised each other shall not be thought of nothing and not considered coincidence.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hat such two scholars’ academic position be re-estimated thinking of the academic influences of Kim Ahn Kook and Kim Jeong Kook on them. 이 글에서는 정지운(鄭之雲: 1509∼1561)과 김인후(金麟厚: 1510∼1560)의 「천명도」가 제작된 배경에 이들의 스승인 김안국(金安國)⋅김정국(金正國) 형제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스승과 제자 사이의 학문적 사상적 영향 관계를 고찰하였다. 정지운의 「천명도」는 조선 성리학의 방향을 제시한 기념비적 저술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정지운과 상의하여 수정 보완한 「천명신도(天命新圖)」가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의 발단이 되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정지운과 김인후는 한 스승 아래서 배운 동문(同門)으로서 학술상으로 상호 교류하였을 것이다. 정지운이 「천명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김인후에게 견해를 물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그러나 정지운의 「천명도」가 일찍 세상에 알려진 데 비해 김인후의 「천명도」는 미완성의 것이라 하여 세상에 내놓지 않음으로써 그동안 존재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두 「천명도」는 같은 목적에서 제작되었으나 기본 관점이 다르다. 정지운의 경우 송대(宋代) 성리학자들의 학설을 따랐고, 김인후는 철저할 정도로 중용(中庸) 의 이론에 입각하였다. 정지운의 「천명도」가 나온 뒤 김인후가 「천명도」를 다시 만든 것은 이런 이유에서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김안국⋅김정국 형제의 문하에서 김인후⋅정지운 같은 걸출한 성리학자가 배출되었고, 또 두 제자가 서로 약속이라도 하듯이 「천명도」를 각각 제작한 것은 예사로 보아넘기거나 우연이라 할 수 없다. 두 「천명도」의 제작에 담겼을 김안국⋅김정국의 학문적 영향 관계를 고찰하여 두 학자의 학문적 위상을 다시 세울 필요가 있다는 점이 본고의 주지(主旨)다.

      • KCI등재

        선진시대 중국 天命사상의 변화 (I)

        김성재(Kim, Seong-Jai) 고조선단군학회 2020 고조선단군학 Vol.43 No.-

        한국에서 천손의 건국신화가 전승되고 있는 동안, 중국에서는 천명사상이 태어나 변화를 지속하고 있었다. 천명이란 처음 하늘로부터 유일하게 명을 받은 천자=왕이 천하의 통치자가 된다는 생각이며, 이 관념은 상말주초 주나라에서 태어나, 동아시아세계에서 역성혁명을 반복하는 수천년간 지속되었다. 하지만 이 개념은 태어난 순간부터 조금씩 변화하여 많은 굴절을 겪어왔다. 이 글에서 필자는 전래문헌과 출토문에 나타난 천명용어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내용이 변화해왔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천명의 화자와 청자를 나누어 살펴보고, 그때 사용된 의미를 살펴보는 방식이다. 서주 건국 당시 이 용어는 천자=왕과 그 대리인이 사용하였는데, 동주시대 왕의 권위가 추락하였을 때 제후가 제후국을 통치하는 권력을 획득하는 것을천명이라 하였고, 제후국 군주의 목숨까지를 천명이라 일컬었다. 이때 동주왕실에서는 천명이 천으로부터 위임받은 의미로부터 변화하여, 부왕으로부터 계승받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이후 상당 기간 패권국의 군주가 천자의 통치를 위임받는 것을 천명이라 일컬었고, 다음은 제후국의 집정(경대부)가 제후국 통치의 전권을 행사하는 것을 天命이라 일컬었고, 춘추시대 후기에는 제후국의 실권을 행사하는 대부에까지 확대되었고, 나아가 사계급들도 천명이란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 시기는 공자가 생존한 시대였으며,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천명이란 용어에서 엄숙성은 사라지고 속화되었다. 한나라가 통일국가가 세웠을 때 이 용어는 다시 서주초의 개념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이 글은 서주가 동천한 후 패권국이 천명을 칭하는 상황까지를 다루었고, 이후 서한의 통일국가 수립 후 천명 용어가 서주 탄생 때의 개념으로 재정착하는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 KCI등재

        제후들의 천명: 춘추시대 증나라 청동기 명문을 중심으로

        성시훈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4

        본 논문은 춘추시대 청동기 명문에 보이는 제후들의 천명(天命)에 관한 탐색을 주요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증(曾)나라에서 제작된 청동기 명문 3점을 주로 다룰 것이다. 여기에서 다뤄지는 천명은 천(天)이라는 신적 존재가 부여하는 지상 세계 통치의 정당성으로, 정치적 천명이라고 말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다. 전래문헌에 입각한 기존 상식에 비춰보면, 정치적 천명을 제후들이 가진다는 말은 선뜻 이해하기 쉽지 않다. 천명은 한 시대를 지배하는 왕자(王者)에게 독점적으로 부여되어 승계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춘추 청동기 명문 중에는 제후들의 천명 소유를 말하는 것이 있다. 그 수량은 많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수 있는 정도도 아니다. 이에 이 현상을 선진시대의 천명에 관한 논의에 추가될 필요가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이러한 춘추시대 제후들의 천명 소유는 춘추시대의 역사를 기록했다고 여겨지는 좌전 , 국어 , 나아가 선진시대의 문헌들을 종합하여 서술한 사기 와 같은 전래문헌에서는 찾을 수 없다. 도리어 동주 왕실이 서주 왕실을 이어서 여전히 천명을 소유했다는 기록만을 다수 찾을 수 있을 뿐이다. 본 논문의 먼저 춘추시대 제후들의 천명 소유 현상에 새로이 증의 사례를 더하여 고찰할 것이다. 근 몇 년 사이에 발굴된 춘추 청동기인 <증공구편종(曾公編鐘)>, <내가편종(嬭加編鐘)>, <증후여편종(曾侯與編鐘)>이 그것이다. 나아가 제후들의 천명 소유라는 현상과 대조되는 좌전 「선공3년」의 에피소드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유덕자수명”을 포함하는 선진시대의 정치적 천명이 재창출되었을 것임을 말할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lord’s mandate of Heaven (天命) as depicted in inscriptions on bronze vessels, focusing on the three vessels produced in Zeng (曾) state. In these inscriptions, Heaven (天) bestows political authority upon the lords to govern plebians on Earth, representing a divine grant of political rights. The lords’ acquisition of the mandate of Heaven is distinctive from conventional texts that restrict this mandate to the king. In addition, while not numerous, the quantity of inscriptions is substantial. This raises the significant question of who held the mandate of Heave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inscriptions suggest otherwise,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texts such as the Zuozhuan (左傳), the Guoyu (國語) and the Shiji (史記), which do not record that the lords could possess the mandate of Heaven. Thus, these inscriptions deviate from ordinary narratives by attributing the mandate of Heaven from the royal lineage of the Western Zhou to the Eastern Zhou. First, this article explores the thoughts of lords’ mandate of Heave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drawing examples from the inscriptions, such as the Zenggongqiubianzhong (曾公編鐘), the Naijiabianzhong (嬭加編鐘), and the Zenghouyubianzhong (曾侯與編鐘). Furthermore, the article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an event in the third year of Duke of Xuan (宣公) in the Zuozhuan. Through this study, I argue for the recreated political mandate of Heaven, indicating that a virtuous individual procures the mandate (有德者受命) later in the pre-Qin period.

      • KCI등재

        春秋時代 天命觀의 變化와 命運天 觀念의 生成에 관한 硏究 - 道德天과 命運天의 비교를 중심으로 -

        오청식(吳淸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7 No.-

        중국 고대 철학에서 ‘천명’에 대한 논의는 시대를 관통하여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은주(殷周) 교체기에 주인(周人)이 공포한 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덕(德)’인데, 이는 덕이 있는 군왕만이 천명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조건으로 제시되었다. 서주가 쇠미해짐에 따라 도덕적 천명도 날로 후퇴하였고, 급기야는 원천(怨天) · 한천(恨天)의 풍조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근본적 회의는 자연스럽게 천명관의 변화로 이어졌고, 명 관념에 세속적인 부귀빈천(富貴貧賤) · 생사수요(生死壽夭)와 같은 ‘명운(命運)’의 의미가 첨가되었다. 공자의 명론에는 도덕천과 명운천의 내용이 복합적으로 내재되어 있는데, “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다.”고 말할 만큼 지명(知命)이 강조된다. 공자는 한편으로는 ‘사문(斯文)’을 계승해야 하는 것도 천명으로 받아들였고, 한편으로는 ‘생사 · 부귀’와 같은 사람이 어찌할 수 없는 것도 천명으로 받아들였으나, 사람이 마땅히 취해야 할 태도는 불가능을 알면서도 적극적으로 행하는 진인사(盡人事)의 능동적 자세였는데, 이는 유가철학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명운천 관념의 생성이 갖는 학술사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천은 정권 차원의 정치철학이나 명운천은 개인 차원의 인생철학이다. 둘째, 정치유학과 심성유학을 구분짓는 이론적 단서를 제공한다. 셋째, 명운 관념은 특히 도덕 중심의 유가철학과 성점(星占) 중심의 음양오행학설의 발달을 촉진하였다. 넷째, 천명의 대상이 ‘천자에서 백성으로 · 왕조의 흥망에서 개인의 생사로’ 옮겨갔고, 내용은 ‘생사와 부귀’ 등과 같은 세속적 범주로 확장됨으로써, 후대의 명론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In ancient Chinese philosophy, the discussion of ‘Tian-Ming(天命)’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times. In particular,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the idea of Zhou(周)’s ruler during the period of the replacement Yin(殷) by Zhou(周) was ‘Virtue(德)’, and it was presented as the only condition that only the virtuous king could receive ‘Tian-Ming(天命)’. As the West-Zhou(西周) became debilitated, the ‘Tian-Ming(天命)’ was lost day by day, and the spirit of resentment · regret · abuse of Heaven(天) came to emerge. This fundamental doubt naturally led to the change of the Viewpoint of Tian-Ming(天命觀), and the secular meaning of ‘Ming-Yun(命運)’ was added to ‘Tian-Ming(天命)’ concept. In ‘Tian-Ming(天命)’ theory of Confucius(孔子), the contents of the ‘Dao-De-Tian(道德天)’ and ‘Ming-Yun-Tian(命運天)’ are intrinsically embedded, and it emphasizes ‘Knowledge of Tian-Ming(知命)’. Confucius, on the one hand, accept the need to inherit ‘This culture(斯文)’ as Tian-Ming(天命), and on the other hand, a man accept what he could not do like as ‘Life and Death(生死)’. In particular, the academic meaning of the creation of the idea of "Ming-Yun(命運)" is as follows. First, ‘Dao-De-Tian(道德天)’ is a government-level politics, while ‘Ming-Yun-Tian(命運天)’ is a human life science related to the individual"s luck. Second, it provides theoretical clues that distinguish between Politics Confucianism(政治儒學) and Moral nature Confucianism(心性儒學). Third, the concept of ‘Ming-Yun(命運)" promote the development of rational rationalism determined by morality, and at the same time promote the development of celestial determinism, such as the knowledge of Tian-Ming(天命) through the change of heaven. Fourth, the objects of Tian-Ming(天命) were moved ‘from emperor to people · from nation to individual, and the contents were regulated in categories such as ‘life and death · riches and honors’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later Tian-Ming(天命) theories.

      • KCI등재후보

        『중용(中庸)』의 천명지성(天命之性)과 달덕(達德)의 구별: 인격교육의 실천을 중심으로

        한상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5 인격교육 Vol.9 No.1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ture which Heaven confers” (天命之性) and “the Universal Virtues” (達德)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Zhū xī stated that “the Nature which Heaven confers” and “the natural laws of heaven” are homogeneous. According to the Theory of LiChi (理氣論), there is no emotion, will, reckoning, jud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natural laws. “The Nature which Heaven confers” is the foundation of the Tao, and therefore humans cannot manipulate it. On the other hand, “the Universal Virtues” are associated with the Five Relationships (達道) in that they are the ability to practice and manifest them. In the practice of “the Universal Virtues” there is emotion, will, reckoning, judgement and manipulation. These are the essence of self-discipline, and the ability to practice them depends upon their accumulation. In self-discipline, “the Nature which Heaven confers” should always be kept in mind, and “the Universal Virtues” should be held as the practical target of the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ature which Heaven confers” (天命之性) and “the Universal Virtues” (達德) to practice Saramdaum Education. 이 연구는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천명지성(天命之性)과 지·인·용(智仁勇)의 달덕(達德)의 구별을 통하여 인격교육의 실천에 있어 근거와 역량에 관하여 논한 글이다. 『중용』 1장에서 주희는 천명지성이 천지자연의 이치[理]와 같다고 하였다. 성리학의 이기론에 의하면, 이치에는 정의(情意), 계탁(計度), 조작(造作)이 없다. 『중용』에서 천명지성은 도의 존재 근거일 뿐, 인간에 의한 조작 대상이 아니다. 반면 달덕(達德)은 달도(達道)와의 관계 속에서 의미 지어지는 것으로 달도에 대한 실천의 역량이다. 달덕은 천명지성과 달리 정의·계탁·조작이 있다. 달도를 실천하는 힘은 달덕의 누적에 달려있기에, 달덕은 학문과 삶의 요체이다. 천명지성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고, 달덕은 실질적 공부 대상이다. 인격의 실천을 논하는 데 있어서, 천명지성은 실천의 근거가 되고, 달덕은 실천의 역량이다. 성리학의 인격교육적 측면을 논함에 있어, 천명지성과 달덕은 이론적 근거이고 실천 역량이기에 인격교육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천명지성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며 달덕은 이를 실현하는 실질적 공부 대상이기 때문이다. 인격교육은 실천 행위의 이론적인 토대를 갖추는 것뿐만 아니라 실천에 있어서도 힘을 붙여 나가는 공부이어야 한다. 따라서 인격의 실천을 논하는 데 있어서 천명지성과 달덕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천명도’와 ‘천명도설’의 판본문제에 대한 재검토

        김상현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6 No.-

        이 글은 ‘천명도’와 ‘천명도설’의 판본문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재검토한 후, 수정 ㆍ보완할 점이 있다면 새로운 근거를 통해 기존 주장을 수정 ․ 보완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였다. 정지운이 제작하고 이황이 수정한 ‘천명도’와 ‘천명도설’은 기대승과 이황 간의 ‘사칠논변’을 야기한 근원으로써 조선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도식과 도설은 권근의 『입학도설』을 이어서 이황의 『성학십도』로 나아가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권근으로부터 정 지운을 거쳐 이황으로 이르는 조선 성리학의 심성론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천명도’와 ‘천명 도설’의 저자 및 저작시기, 그리고 도식과 그에 대한 해설인 도설의 관계를 정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천명도’와 ‘천명도설’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어떤 것이 언제 쓰였는지, 무엇이 무엇에 해당하는 해설인지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지 않았고, 몇몇 주장의 경우 여전히 문제의 소 지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천명도’는 매우 다양한 이름과 판본을 가지고 있으며, ‘천명도설’ 역시 그렇다. 대략적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천명도’의 경우 『천명도해 본의 「추만정선생천명도」, 「퇴계이선생천명도」, 『천명도설』 본의 「천명구도」, 「천명신도」, 『퇴계전서 본의 「천명구도」, 「천명신도」, 『양선생사칠리기왕복서』 본의 「천명도」 등이 있다. ‘천명도설’의 경우 『천명도해』 본에 「천명도해」와 「천명도설」이 있고, 『천명도설』 본에 「천명도설」, 『퇴계선생속집』에 「천명도설」이 있다. 여기서 제기되는 문제는 먼저, 각 저작의 저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 저작물이 언제 작성 되었는지, 각 도설에 해당되는 도식은 무엇인지, 두 저작물을 짝 지운다면 그렇게 짝 지울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지, 그리고 만약 ‘정본’(正本) 및 ‘정본’(定本)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무엇인지 등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 선행연구를 수정 ․ 보완함으로 서 현재까지 미확인된 ‘천명도’ 및 ‘천명도설’ 관련 문서의 연대를 확인하고, 도설과 짝이 되는 도식이 무엇인지, 정본을 찾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issue of the editions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and to revise and supplement existing arguments on a new basis if there is anything to add to it. Produced by Jung Jiwoon(鄭之雲) and modified by Yi Hwang(李滉),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have a very important valu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Joseon as the source of the ‘Four-Seven Debate'(四七論辨) between Gi Daeseung(寄大升) and Yi Hwang. This explanation of Diagram and diagram serve as a bridgehead from Yi Hwang's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聖學十圖』) to Kwon Geun's A Study on Confucian Diagrams and Explain for Beginner(『入學圖說). While studying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to trace the stream of the simseonglon(心性論) in Joseon from Kwon Geun to Jung Ji Woon via Yi Hwang, I found that there was no clearly studied research. For this reason, We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reveal the year of the works. Currently, ‘Diagram of Heavenly Mandate' has a wide variety of names and editions, and so does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To list them, the following. First of all, We talk about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there are “ C h u m a n j e o n g s e o n s a e n g c h e o n m y e o n g d o " ( 「秋巒鄭先生天命圖」) , “Toegyeiseonsaengcheonmyeongdo"(「退溪李先生天命圖」) of The Cheonmyeongdohae(『天命圖解) edition, and there are “cheonmyeonggudo"(「天命舊圖」), “cheonmyeongsindo"(「天命新圖」) of The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edition, and there are “cheonmyeonggudo"(「天命舊圖」), “cheonmyeongsindo"(「天命新圖」) of The Toegyejeonseo(『退溪全書』) edition, there is “cheonmyeongdo"([天命圖]) of The Yangseonsaengsachilligiwangbogseo(『兩先生四七理氣往復書』) edition. Next, We talk about the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There are “cheonmyeongdohae"(「天命圖解」)",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of The Cheonmyeongdohae(『天命圖解』) edition, and there is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of The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edition, and there is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of The Toegyeseonsaengsogjib(『退溪先生續集』) edition. The issues raised here are as follows: Who is the author of each work? When was the work written and if it was possible to select the original, what is it? What are the explanation of Diagram corresponding to each diagram? By looking for answers to such questions, this paper tries to check the year of the works related to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Diagram of Heavenly Mandate' that have not been known to date, and to find out what the explanation of Diagram and matching diagrams are.

      • KCI등재

        영웅소설의 ‘天命’ 담론 연구 : <장백전>, <유문성전>, <옥주호연>을 중심으로

        정인혁(Jung, In-Hyouk)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5 No.-

        영웅소설에서 天命은 혁명의 근거로 제시된다. 덕을 갖춘 자에게 왕의 자격을 하늘이 명한다는 것이다. 절대적인 하늘의 天命에 따라 왕위에 오르거나 새 왕조를 창업하는 인물은 그 자격과 행위의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때로는 천명의 이러한 논리가 무색할 정도의 인물들이 왕위에 오르거나 왕조를 창업하는 경우가 있어, 과연 천명의 논리가 옳은지 의심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왕위를 계승하고 새 왕조를 열지만 그 주인공이 덕성은 말할 것도 없고 능력의 측면에서도 자격을 갖춘 인물이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소위 ‘천명’이 주어졌음을 근거로 왕위에 오른다. 그렇다면 과연 이때의 ‘천명’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천명’의 발신자는 하늘, 또는 천상적 존재인 천제이다. 그러나 수신자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발신자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때 ‘천명’은 하늘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도 아니고 천명을 받았다고 말하면서 왕위에 오르는 인물의 파송자로 기능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왕위에 오르는 인물을 중심으로 형성된 집단이 ‘천명’을 명분으로 헤게모니를 장악한다는 것이다. 결국 이때의 ‘천명’은 권력을 획득하기 위한 정치적 담론이다. 본고의 목적은 ‘천명’의 의미를 재확인하고 역성혁명이 발생하는 영웅소설 속에 드러나는 ‘천명’의 정치적 담론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나아가 영웅소설이 갖고 있는 정치적 함의를 재고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선한 영웅이 모진 고난과 시련을 이겨내고 집단의 가치를 수호하는 것이 영웅소설이다. 즉 영웅은 개인적 욕망을 달성하는 자가 아니라, 집단적 가치를 수호하는 인물로 이해된다. 영웅소설은 이들을 주목한다. 그러나 혁명이 이루어지는 소설에서 혁명의 주인공이 되는 자는 집단 내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한 정치적 승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영웅소설은 역사적 승자에 대한 정치적 담론의 문학적 수사라고 할 수 있다. The mandate of heaven [天命] is the basis of a revolution in the heroic novel. Heaven qualifies a virtuous person as a king. The new king is entitled to qualification and justification under the absolute command of heaven.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mandate of heaven is suspected. Because there are people who become a king but have not virtues. Rather, they do not look better than others who do not come to the throne. But nevertheless all of them are holding up the mandate of heaven. And they said that is a cause of the revolution of them. There are also cases which the mandate of heaven as a absolute command is unclear. If so, how can we understand the ‘mandate of heaven’ in this case? The sender of the mandate of heaven is heaven or Cheonje [天帝] who is a heavenly being. However, although the receiver clearly exists, there are cases where the sender is not clear. At this time, mandate of heaven [天命] is not a message sent from heaven. Of course, heaven does not act as a sender of a person who ascends to the throne. However, what is clear is that the group formed around the people who ascended the throne takes control of the hegemony under the pretext of mandate of Heaven. In the end, in this case, ‘mandate of heaven’ is a political discourse to acquire pow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ffirm the identity of the ‘mandate of heaven’ and to examine the political discourse of the ‘mandate of heaven’ revealed in heroic novels where the revolution occurs. Furthermore, I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hero narrative. In general, it is the hero narrative that a good hero overcomes hardship and disability and protects the value of the group. However, the truth is that the hero narrative may be a literary investigation of discourse on political winners. In other words, heroes are understood not as achieving personal desires, but as protecting the values of groups. However, in the novel where the revolution takes place, the protagonist of the revolution is the political winner who dominated the hegemony within the group. In this point, Heroic novels are the literary rhetoric of this political discourse.

      • KCI등재

        儒家의 天命論고찰

        유상호,이명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3 동방문화와 사상 Vol.15 No.-

        이 논문은 西周시대의 天命論을 계승한 孔子의 天命論이 孟子와 荀子를 거치는 동안 어떻게 계승되고 변천되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특히 천명관의 가역성과 불가역성에 초점을 두고 孔孟荀의 차이점을 규명했다. 孔子는 仁을 통해 사람의 주체성을 강조했지만, 天命論에서는 여전히 西周시대의 天命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孔子의 天命論은 국가 차원과 개인 차원 모두 運命決定論이라 할 수 있다. 孟子는 孔子의 天命論을 대체로 계승했으나, 天命의 가역성 측면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가 차원의 天命을 보면, 孔子는 제한적인 조건에서 하늘을 주체로 하는 天命의 가역성을 주장한 반면, 孟子는 사람을 주체로 하는 天命의 가역성을 주장했다. 개인 차원의 天命을 보면, 孔子는 天命의 불가역성을 주장한 반면, 孟子는 사람의 의지와 노력으로 天命을 바꿀 수 있는 가역성을 주장했다. 苟子는 孔孟의 天命論을 일부 계승한 측면도 있으나, 보다 적극적으로 天命을 바꿀 수 있다고 보았다. 荀子의 天命論은 역성혁명론을 계승했다는 점에서 孟子의 天命論과 유사성이 있으며, 가역성을 더 강조했다는 점에서 국가 차원과 개인 차원 모두 運命可能論으로 볼 수 있다. 다만 天命의 가역성 측면에서 孟子보다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Confucius' fatalism, which inherited the fatalism of the Western Zhou period, was inherited and transformed through Mencius and Xunzi. Although Confucius emphasized the subjectivity of people through humanity, his fatalism still does not deviate much from the fatalism of the Western Zhou period. Therefore, Confucius' fatalism can be said to be a fate-determining theory at both the n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Mencius generally inherited Confucius' theory of fatalism, bu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reversibility of fatalism. At the national level, Confucius insisted on the reversibility of the fatalism of heaven under limited conditions, while Mencius insisted on the reversibility of the 命 of heaven under limited conditions. When looking at the fatalism of the emperor at the individual level, Confucius insisted on the irreversibility of the fatalism of the emperor, while Mencius insisted on the reversibility of changing the fatalism of the emperor with human will and effort. Xunzi inherited some aspects of Mencius' fatalism, but he also believed that one could actively change one's fate. Xunzi's Theory of Fate is similar to Mencius' Theory of Fate in that it inherited the theory of dynamic revolution, and can be seen as a fate-enabling theory with strong reversibility at both the n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