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리교의 조직과 제도 -현재적 관점에서 본 한계와 가능성-

        김태훈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1 No.-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현재까지 일본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키워드는 ‘재해와 복구’라고 할 수 있다. 종교계에서도 재해지역과 피해 지역민들에 대한 각종 지원사업들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학계에서는 이른바 사회적자본이라는 측면에서 종교의 사회공헌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 이 논문은 이러한사회적 자본론에 입각한 현대 일본종교연구의 한 흐름을 참조하면서 천리교의 조직과 제도를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적 자본으로서 가지는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검토한다. 천리교는 포교자 양성 교육제도를 통해 매년 100명이 넘는 새로운 포교요원을 배출하고 있고 학교교육법에 따른 일반학교로서 천리대학과 천리고등학교, 천리중학교, 천리소학교의 교육을 통해서도 사회적 교육에 공헌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의측면에서도 사회복지재단천리를 중심으로 아동보호시설의 운영, 가정위탁제도의 실시, 장애인포교와 보호에 관한 연구, 인권교육활동 등 사회 여러 문제에 대한 연구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역사도 길다. 그리고 천리교의 신앙치유와 현대의학을 접목하여 운영되는 천리요로즈상담소는 지역 거점 종합병원으로서 전문적 의료서비스와 신앙치유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천리교재해구원히노키싱대는 대원 6,000명 규모의 일본 최대 민간구원단체로서 재해구원의 전문성과 재해시 사회적기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신자 수의 감소는 자연적으로 천리교가 가지는 인적물적 자원의 감소를 의미하며 그것은 사회적 공헌의 능력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천리교의 조직과 제도를 통한 사회적 공헌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는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지적이 가능할 것이다. 천리교의 활발한 사회적 공헌이 공동체와개인을 연결하고 개인의 사회적 생존을 유지하는 사회적 자본으로서 기능하고 있는가, 또한 개인에 대한 신앙적 구제가 개인의 사회적 활동으로 연결되고 있는가, 천리교의 조직적 또는 신자 개인에 의한 사회적 공헌 활동이 신앙적 신념을 드러내는천리교적 실천에만 그치는 ‘부가적 활동’으로 비치는 측면은 없는가, 천리교의 계통적 수직적 교회조직이 지역 교회와 신자의 지역공동체 활동을 저해하는 측면은 없는가, 교구제도는 교회본부와 지역교회를 연결하는 기능에서만 벗어나 계통을 초월한 지역 내 교회들의 연계활동을 통하여 신자들의 지역공동체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로서 기능할 수 있는가, 교회본부의 여러 사회적 공헌 활동은 교회본부의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지역 교회의 연대적 지역활동을 지원하고 있는가 등 신자들의 사회적 관계성에 입각한 포교와 구제의 모델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본론에서 살펴 본 천리교의 조직과 제도가 가지는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한계임과 동시에신자들 개인과 지역 사회를 연결시켜 나가기 위한 미래적 가능성이기도 할 것이다.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which occurred on March 11, 2011, the keyword that has lain in Japanese society so far is “Disaster and Recovery”. In the field of religion, various support project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or the disaster areas and people there, in the field of academy, they have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social contribution of religion in terms of so-called social capital.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organization and systems of Tenrikyo as social capital by referring to the flow of present Japanese religious studi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enrikyo has nurtured more than 100 new missionaries every year through the education systems and has contributed to social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Tenri University, Tenri High School, Tenri Middle School, and Tenri Elementary School. Also, in terms of social welfare,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Tenri conducts research and support projects on various social issues, including the operation of child protection facilities, the implementation of family foster care, the mission to the Impaired, and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history is also very long. Tenri Yorozu-sodansho which combines the Tenrikyo faith healing and modern medicine provides professional medical services and faith healing experience as a regional general hospital, and Tenrikyo Disaster Relief Hinokishin Corps as Japan’s largest private salvation organization with 6,000 members is recognized for its professionalism and social func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Nevertheless, the drastic reduction in the number of believers will naturally mean the reduction of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enrikyo, which will lead to a decrease in the capacity of social contribution. The following points can be pointed out about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social contribution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systems of Tenrikyo. Is Tenrikyo’s active social contribution functioning as a social capital that connects communities and individuals and maintains their social survival? Are religious salvation for individuals linked to individual social activities? Isn’t there any limited aspect that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y Tenrikyo’s organized or individual believers as “additional activities” that are merely reveling their faith practices? These points are not only the limits as social capital of Tenrikyo’s organization and systems, but also the future possibilities for connecting believers with their communities.

      • KCI등재

        특집 : 송명유학 수양론에서 "미발"(未發) 설의 형성과 전개 ; 도남학(道南學)의 미발설과 "천리체인(天理體認)"의 수양론

        이천승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9 철학연구 Vol.0 No.38

        이 논문에서는 미발상태에서 천리의 기상을 체인하려는 도남학(道南學)의 수양론을 살펴봄으로써, 주자학 형성 이전의 도남학풍이 지닌 주요한 특징을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이다. 주자에게 반면교사로 깊은 영향을 주었던 도남학의 전통은 주자학의 형성과 전개양상을 이해하는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미발기상을 통해 천리를 체인하려는 도남학자들은 `정좌`라는 다소 불교와 유사한 듯한 방법을 통해 유교의 정체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다. 본연을 향해 끝없이 순수자아를 찾아가면서도 구체적 현실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균형감을 유지하려는 그들의 자세는 천리에 대한 인식을 명료히 하려는 수양론으로 이어졌다. 미발에서의 중을 구함으로써 천리를 체인하려는 양귀산의 경우는 언어문자에 사로잡히지 않고 온몸으로 그러한 기상을 체험할 것을 강조했다. `구중(求中)`을 향한 그러한 노력이 이연평에 이르면 `묵좌징심(默坐澄心)`을 통해 천리를 체인하려는 것으로 방향이 선회하게 된다. 연평은 중에 대한 집착대신에 변함없는 함양의 노력을 강조하고, 점진적으로 누적된 공부를 기반으로 가슴속이 저절로 툭 트이는 쇄연(灑然)한 경지를 도모했던 것이다. 불교와 차별화된 유교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려는 노력의 일단에서 나온 도남학풍은 주자에게 있어 구중의 공부법에서 나올 수 있는 장단점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계기였다. 그리고 그러한 내면을 향해 순수의식을 지향하려는 마음과 수양자세는 학파나 시대를 막론하고 언제든 되살아날 수 있는 불씨로 남아있다. 本論文的目的主要在於通過硏究未發狀態中體認天理的道南學的修養論,而檢討朱子學形成以前道南學的主要特征。因爲作爲朱熹的反面敎師的道南學傳統乃是理解朱子學的入手處。以未發氣象體認天理的道南學者們通過與佛敎修養方法흔相似的`靜坐`試圖保持儒家整體性。他們一方面爲了達到本然的狀態尋求純粹自我,而령一方面力圖不脫離具體的現實。他們的這種保持平衡的態度,自然而然引起明確認識天理的修養論。楊龜山主張求未發之中而體認天理,故他强調不能困繞於言語文字而以身體驗未發氣象。楊氏的`求中`態度到李延平之後變爲通過`默坐澄心`體認天理的修養態度。延平比`求中`的執著更强調的是平時涵養。他想通過這種長期的平時功夫能구達到灑然境界。這種道南學修養態度乃是重建근佛家不同的儒家整體性的努力之一,却就朱熹而言充分地檢討求中修養功夫之得失的背景。不過,尋求內面純粹意識的這種心態及修養態度,則在任何時代任何學派的功夫態度中不可淹沒。

      • KCI등재

        우환의식과 주자의 存天理 滅人欲의 의미 재고 ―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우환과 공존의 유토피아 ―

        윤민향 동양철학연구회 2023 東洋哲學硏究 Vol.113 No.-

        In anticipation of the end of the pandemic, various sectors of society are actively discussing what has been termed the “new normal” and post-corona society. As an inflection point, the social, public, and ecological values emphasized due to COVID-19 are indeed values that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through global reflection and solidarity. 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se values, the problem of desire needs to be considered more directly than ever. In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review reconsiders the insight into the dystopia of desire and the utopia of the heavenly principle(天理) to overcome it, focusing on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Heavenly Principle viewed in Confucianism First, I reviewed the Dae-dong(大同, a great union) society and the Consciousness of Anxiety(憂患意識). Subsequently, I attend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venly principle and human desire in Cheng-Zhu(程朱)’s theory. Here, I think the core meaning of “preserving the heavenly principle and eliminating human desire(存天理 滅人欲)” is the revelation of the heavenly principle. Therefore, I tried to explore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heavenly principle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us’s “desire for humanity(欲仁)” instead of that of precarious human desire. The Confucian utopia, which tries to directly link the ideal of heaven with the self of reality, is characterized by a firm goal of “realizable ideal,” not “where it is nowhere,” as Thomas Moore said. The dystopia of human desire can be converted into a utopia of coexistence, not catastrophe or lethargy, through “preserving the heavenly principle and eliminating the human desire.” It is practiced with empathy and coexistence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heavenly principle needs to be treated more importantly than ever at this inflection point of post-pandemic society facing the problem of coexistence today. No matter what era we live in, there has been no way to exist other than living together, so even if etiquette changes, efforts to explore the nature of coexistence should not be stopped. Therefore, the modern reconstruction of “preserving the heavenly principle and eliminating human desire” can look at the problems of selfishness and fragmented society caused by the pandemic as “human desire’s dystopia” and reflect on the mind in the process of seeking a new ritual for the post-pandemic society.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seeking the post-pandemic society as a “utopia of coexistence,”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heavenly principle can be found. 팬데믹의 종식에 대한 기대로 사회 각계에서 뉴 노멀, 포스트 코로나에 관한 담론을 활발하게 이어나가는 가운데, 코로나19가 경고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 공공적 가치, 생태적 가치는 실로 전 지구적인 성찰과 연대를 통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가치들의 실현에 있어 근본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탐욕의 문제 또한 어느 때보다 직접적으로 숙고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위태로운 인간의 마음’에 주목해온 유학이 우려하는 욕망의 디스토피아와 이를 극복하는 천리(天理)의 유토피아에 대한 통찰을 천리의 실천적 의의를 중심으로 재고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진시기 우환의식(憂患意識)과 대동사회(大同社會)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어서 정주학(程朱學)에서 본 천리와 인욕의 소장 관계에 주목하여 존천리 멸인욕의 핵심으로써 천리의 실천적 의미를 숙고해보았다. 사욕의 디스토피아는 존천리 멸인욕을 통해 파국이나 무기력이 아닌 공존의 유토피아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천리에 대한 인식은 현대사회의 공존 담론에 중요한 의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천리의 실현이란 체험되는 것으로서 일상성을 내포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어떤 시대를 살아가든 인간에게 더불어 살아가는 것 이상의 다른 방도는 나오지 않았기에, 예법은 바뀌더라도 공존의 의미를 밝히는 천리에 대한 탐색 노력은 중단없이 지속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존천리 멸인욕의 의미 재고는 첫째, 팬데믹으로 불거진 이기심 및 파편화된 사회의 문제들을 ‘사욕의 디스토피아’로 조망하고 둘째, 포스트 팬데믹의 새로운 예법을 모색해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마음을 돌아보게 하며, 나아가 ‘공존의 유토피아’로 전환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천리로 유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천리(天理)’ 관념

        임부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This dissertation seeks to illuminate the idea of Heavenly Principle (天理) in Dasan (茶山) Jeong Yag-yong (丁若鏞, 1762-1836)’s thought. First, he proposed the natural and necessary relation between mind as spiritual body and heavenly principle by defining the human nature as the ethical appetite for the good of mind. He rejected the Neo-Confucian view that human nature was the immanence of heavenly principle as cosmic substance and inherited the Mencius tradition looking for the possibility of good action in the mind. Second, Dasan regarded the dualistic conflict between tao mind and human mind, heavenly principle and human desire as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In this existential condition, the task of following the heavenly principle was based on his spiritual awareness that tao mind is the Heaven’s mandate with transcendent authority. Third, he defined the benevolent responsibility (仁) as subjective practice of exhausting one’s duty in mutual human relation and presented the natural murmuring against others who did not do his ethical duty as the heavenly principle. Thus he added the new meaning of the otherness of human ethics to the heavenly principle. In conclusion, the heavenly principle in Dasan’s thought, losing the status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the metaphysical substance of the mind, maintained its position as the highest moral principle and the ground of moral order under the Lord on High as the ultimate reality. 본 논문에서는 궁극 실재를 ‘이치[理]’에서 ‘상제(上帝)’로 전환시킨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천리(天理)’ 관념을 분석하였다. 우선, 다산은 선을 좋아하는 윤리적 욕구로 본성을 정의함으로써 영체(靈體)의 마음과 천리 사이에 자연적이고필연적인 욕구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그는 우주적 본체인 천리나 덕이 형이상학적 본성, 곧 성리(性理)로 내재한다는 도학-성리학의 관점을 거부하면서 동시에 선행(善行)의가능성을 심성(心性)에서 찾는 맹자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둘째, 인심(人心)과 도심(道 心), 천리(天理)와 인욕(人欲)의 대립을 인간 실존의 기본 조건으로 인식한 정약용은 도심을 ‘천명(天命)’으로 자각하였으며 격물(格物)과 궁리(窮理)를 인륜적 실천의 문제로 귀결시켰다. 특히 다산에게 천리에 순응하는 공부의 과제는 순선(純善)한 성리(性理)의발현이 아니라 ‘도심이 곧 천명’이라는 영성적 자각(spiritual awareness)에 기초한다. 다산에게 선을 좋아하는 본성의 발현인 도심은 초월적인 권위를 수반하는 상제의천명이기 때문이다. 셋째, 다산은 인(仁)을 인륜적 본분을 다하는 주체적인 실천으로새롭게 정의하고, 자신의 본분을 다해도 타인의 인륜적 호응을 얻지 못해서 생기는‘원망[怨]’을 천리로 제시함으로써 인륜의 타자성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약용의 사상 속에서 천리는 우주 만물의 근원이나 마음의 본체라는 지위를 상실하였지만 궁극 실재인 상제 아래에서 최고의 도덕 원칙이자 도덕적 인륜 질서의 근거로서 지속되었다.

      • KCI등재

        율곡의 공공성 리더십 이념과 천리 구현의 정치 및 언론소통의 문제

        이종성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5 No.-

        이 글은 율곡의 공공성 리더십 정신을 그 이념과 천리(天理) 구현의 정치 및 언론소통 의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이 글의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1) 율곡의 공공성 리더십의 이념은 성리학적인 보편적 천리의 구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율곡에게서 성인은 이 보편적 천리를 구현한 인간으로서, 공공성 리더십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현실군주가 성인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성인이란 ‘수기치인’을 자신의 임무로 받아들여야 하는 존재이다. 그런데 아직 성인이 되지 못한 현실군주는 자기 자신을 닦는 공부에 게을러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율곡은 군주에게 철저한 자기 절제를 요청하며 도덕적 책무를 부여함으로써 공공성 리더십의 필요성을 각인시킨다. (2) 율곡은 공공성 리더십을 실현하는 궁극목표로 천치(天治), 즉 천리 구현의 정치를 제창한다. 그것은 사랑을 실천하는 어진 정치(仁政)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이기심을 배제 한 공공성 확보를 실현하는 정치이다. 이른바 동양적 왕도정치를 현실화하는 것이 천리 구 현의 정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군주는 자애 또는 인이라고 표 현되는 사랑을 비롯한 검약, 겸허의 정신을 적극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된다. (3) 율곡은 언론소통 문제의 공공성 리더십에 관해 주목한다. 이와 관련하여 율곡은 ‘국시(國是)’와 ‘공론(公論)’을 제창한다. 이들은 공공성을 담보한 언론이다. 공론은 모든 사 람이 옳다고 하는 의론인데, 이것의 소재는 국시에 있다고 한다. 이러한 규정은 다분히 유 학적 보편 인심론에 근거를 둔 것임을 알 수 있다. 유학적 보편 인심론은 천리에 맞닿아 있다. 이러한 점에서 율곡의 언론소통 문제는 천리 구현의 정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이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천리가 구현된 언론은 투명하고 개방적일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자연스런 소통이 가능하다. 율곡은 공공성에 기초한 이러한 언론소통을 제안한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Yulgok’s public leadership spirit focusing on the politics and media communication in the realization of its ideology and the Heavenly Principle( ). This article is roughly as follows. 天理(1) The ideology of Yulgok’s public leadership can be in the realization of Neo-Confucianism and the universal Heavenly Principle. In Yulgok, Saints embody this universal Heavenly Principle, and for public leadership to succeed, the real monarch must become a Saint. However, a Saint has to accept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修己治人) as his duty. Still, the real monarch, who has not yet become a Saint, must not be lazy to train himself. For this reason, Yulgok asks the monarch for thorough self-control and gives him moral responsibility, thus imprinting the need for public leadership. (2) Yulgok proposes the Politics of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rinciple(天治) as the ultimate goal of realizing public leadership. It is a politics that realizes the Philanthropic Politics(仁政), realizing the secure of publicity excluding selfishness. The realization of the so-called oriental Royal Road Politics(王道 政治) can be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rinciple. To realize this, the monarch must actively practice frugality and modesty, including lovingkindness or benevolence. (3) Yulgok pays attention to public leadership in media communication. Yulgok proposes the “National Policy”(國是) and the “Public Opinion”(公論). These media guarantee publicity. The “Public Opinion” is that which everyone considers right, this being in the “National Policy”. These regulations can be largely based on the universal Human Mind Theory of Confucianism. The theory meets the Heavenly Principle. In this respect, the issue of Yulgok’s media communication is confir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s of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rinciple. As a result, the media where the Heavenly Principle is realized must be transparent and open, natural communication being possible. Yulgok proposed this media communication based on publicity.

      • KCI등재

        東塢 曺毅坤의 처사적 삶과 天理 志向 양상

        이형성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2

        19세기에 활약한 동오(東塢) 조의곤(曺毅坤)은 16세 때 기정진(奇正鎭)에게 수학하면서 과거공부를 지향하지 않고 성현을 독실하게 믿고 의리를 추구하였다. 특히 “총명은 둔한 붓만 못하다”는 격언을 그대로 발휘하여, 스승에게 보고 들은 언행과 가르침 등을 기록하며 학문에 매진하였으니, 75조목으로 이루어진 『강상차록(江上箚錄)』이 그것이다. 조의곤은 사변적 이론보다는 향리에 세운 동오정에서 처사로서의 삶을 지향하며 노사학 보급에 힘썼다. 그의 처사적 삶은 “선을 좋아하여 게을리 하지 않고 편안히 천리(天理)를 행하면서 바른 도로 돌아간다”는 신념에 의한 것이다. 그 신념이 바로 천리를 중시하는 태도는 향도적(向道的) 처사의 삶이었다. 특히 그의 천리(天理)와 지리(地理)가 동일하다는 논지는 산의 혈과 맥의 정기에 의거하여 부귀복수(富貴福壽)를 누리고자 하는 풍수지리의 잘못된 관행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그 이론의 근저에는 이치를 궁구하면서 ‘정성[誠]과 신실함[信]’이란 내면적 자각을 통해 천리를 실현하려는 자세가 깃들어 있었다. 그는 이러한 학적 체계와 삶으로 향리에서 후학을 양상하였다. 이 글은 동오 조의곤의 처사적 삶과 천리(天理) 지향에 대한 양상이다. 본 글의 전개는 그의 저서 『동오유고(東塢遺稿)』를 최대한 원용하여, 종사차록(從師箚錄)과 처사의 주체적 삶, 성리학 기저(基底)와 천리 중시, 향도적 실천과 후학 양성 등이다. Confucian ideas of Confucius and Mencius in Jin period were systematized as Neo-Confucianism in Song dynasty and it compatibly established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human nature, attitude of cultivation, etc. The desirable human character in Neo-Confucianism is to reach truly cultivated self in harmony of education and learning(敎學) and practice(實踐). The secluded scholar, one of Neo-Confucian human characters, is one who does not take up a public office but put his efforts into study and foster younger scholars in the wilderness. The life of that secluded scholar is to face up squarely to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 and pursue true cultivation, faithfully fulfilling his duties as a scholar. Dongo Jo Eui-gon(東塢 曺毅坤)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19th century followed study of Gi Jeong-jin(奇正鎭) but did not seek speculative theories. He led his life as a secluded scholar and strived to propagate Nosa study in his hometown. His secluded lifestyle is particularly based on a principle that “fond of goodness and thus no neglect of it, pursuing the law of nature at ease and returning to the righteousness.” This principle firmly demonstrates his attitude to fulfill the natural law by investigating the reason and realizing ‘sincerity and faithfulness’ through his internal self-awareness. This study is on Dongo Jo Euigon’s life as a secluded scholar and his pursuance of the natural law. Making the most of quotations from 『Dongoyugo(東塢遺稿)』, the paper examines his scholarly attitude, secluded lifestyle, stress on the Neo-Confucian basis and natural law, directivity towards cultivation and righteousness and; teaching to younger scholars. This study will be a little help to look into Jo Euigon’s ideas and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Nosa School in Gochang region.

      • KCI등재

        정지궤도 기상위성 활용의 사회경제적 가치 평가 : 천리안위성 2A 사례를 중심으로

        김주희(Ju-Hee Kim),임한철(Han-Cheol Lim),유승훈(Seung-Hoon Yoo)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1

        우리나라는 2010년 천리안위성을 발사하면서 기상관측위성 보유국이 되었으며, 2018년 기상 탑재체가 실린 천리안위성 2A호와 2020년 해양 및 환경 탑재체가 실린 천리안위성 2B호가 각각 발사되었다. 특히 천리안위성 2A호는 미국⋅일본에 이은 차세대 정지궤도 기상위성으로 기상예보의 정확도 개선에 기여함으로써 다양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천리안위성 2A호의 활용으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가치를 구하되 비용 감소 및 가치 창출의 2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각각 추정한 후 이것들을 합하고자 한다. 천리안위성 2A호의 임무수명 10년과 사회적 할인율 4.5%를 고려하여 천리안위성 2A호 활용으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가치의 현재가치를 구하면 2019년 말 기준 1조 8,715억원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천리안위성 2A호 사업의 투자비 및 운영비도 반영하면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용편익 분석 결과, 천리안위성 2A호 사업의 편익/비용 비율, 순현재가치, 내부수익률은 각각 2.38, 1조 862억원, 17.25%이었기에 각각 1.0, 0, 4.5%를 상회하였다. 즉 천리안위성 2A 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므로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After Korea launched the Chollian Satellite in 2010 and became a meteorological observation satellite holder, in 2018, the GEO-KOMPSAT-2A with a meteorological payload and GEO-KOMPSAT-2B with a marine and environmental payload were launched. In particular, GEO-KOMPSAT-2A, is expected to create various socioeconomic values b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accuracy of weather forecast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ocioeconomic value generated by the utilization of GEO-KOMPSAT-2A is estimated, divided into two viewpoints of cost reduction and value creation. Considering the 10-year lifespan of GEO-KOMPSAT-2A and 4.5% social discount rate, the present value of the socioeconomic value was analyzed to be KRW 1.851 trillion as of the end of 2019. In addition, cost-benefit analysis was carried out by reflecting investment and operation costs of the GEO-KOMPSAT-2A project. As a result of the cost-benefit analysis, the benefit/cost ratio, net present value, and internal rate of return of the GEO-KOMPSAT-2A project were 2.38, KRW 1.86 trillion, and 17.25%, respectively, exceeding 1.0, 0, and 4.5%,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EO-KOMPSAT-2A project is socially desirable because it ensures economic feasibility.

      • KCI등재

        퇴계 이황의 예술과 도학 세계 - “이도(理到)”의 의경(意境)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

        정도원 ( Jeong Do-w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도학은 인간을 전인적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논의 구조 역시 이성과 감성을 구분하지 않는다. 삶과 예술, 학문이 하나로 어울어진 종합적인 체계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현재는 이를 서구의 이성을 기준으로 한 범주에 따라 해체하고 있다. 본고는 이성적인 분석에 치중하여 서구적 기준에 따라 해체된 도학을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해야 한다고 보고, 이러한 관점에서 퇴계 이황의 천리시와 서예작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내린 본고의 결론은 퇴계의 이러한 예술작품이나 행위가 도학자로서의 일상과 예술이 하나로 일관된 결과이며, 고려말 포은 정몽주로부터 이어지는 보편적 정신사의 일부라는 것이다. 퇴계의 시나 글씨는 그의 삶과 학문, 예술적 감성 등이 집약된 것이다. 이에는 “이도”로 표현되는 퇴계의 도학적 성과 또는 학문 정수가 녹아있다. 퇴계는 자신의 내면에서 모든 존재에 편재하는 천리와 그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의 순수한 내면은 이 순수한 천리의 발현 결과였다. 그는 또한 대상 혹은 자연에 편재하는 천리를 느끼며 공명하였다. 대상의 천리와 내면의 천리가 하나임을 깨닫는 것, 그리고 둘이 하나 됨에서 느껴지는 자연 혹은 생명에 대한 심미적 경외는 그에게 큰 기쁨을 주었다. 그는 말년에 천리가 도처에서 드러나며 자신의 인식으로 들어오는 것을 느낀다. 이 단계에 이르러 본체와 완전히 하나 됨을 느꼈고, 자연에 노닐며 그리던 이상이 완숙해졌음을 토로하였다. 그러므로 “이도”는 이러한 퇴계의 정신적, 예술적 성숙의 최종 단계가 반영된 표현이었다고 할 수 있다. 퇴계에 의하면 이러한 기쁨은 스스로의 내면이 도덕적으로 성숙하면서 생긴 결과이다. 그는 일상을 경의 실천으로 일관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연 속에 있으며 “유어예”의 예술 활동을 아울렀다. 그리고 이러한 기쁨을 향유할 수 있는 전인적 자아를 성취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학문(學文)”과 “서법(書法)”을 정심(正心)의 차원에서 논의하면서도, 예술을 도덕 수양의 수단으로만 여기지는 않았다. 그는 예술 행위가 윤리적 성숙을 가능하게 해주고, 윤리적 성숙이 작품과 심미행위에 진실성을 보장해준다고 보았다. 퇴계의 예술은 “지어도(志於道) 거어덕(據於德) 의어인(依於仁) 유어예(游於藝)”이라는 길을 따르는 도학 실천의 결과 혹은 경의 일상에서 정심의 예술을 포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계나 우암은 퇴계의 이러한 세계, 특히 `즐거움[樂]`이 궁극적인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들의 도학은 “기발이승”의 일도 구조와 “심시기”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일상 감성을 떠난 본질적인 감성은 따로 있을 수 없으며, 인간의 실천은 이 일반적 일상의 감정을 절도에 맞게 조절하는 것뿐이다. 따라서 이를 벗어난 이발의 감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이 토대에서는 마음을 맑히는[澄心] 공부가 있을 뿐이며, “즐거움”은 이에 따른 깊이의 차이일 수밖에 없었다. 결국 퇴계는 만물일체적인 측은지심과 같은 이발의 정감과 편재한 리에 대한 인식에서 락이 이루어지고, 사계-우암은 징심의 상태에서 적의한 정감의 발출로서의 중절의 화를 주장하므로 락 또한 이에서 파악될 수 있다고 하겠다. 이는 각자의 철학 혹은 도학에 근거한 것이며, 나름의 내면적 변화가 수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계와 우암의 비판은, 이들이 바라보는 세계가 퇴계의 세계와 일치하지 않아서이며, 일차적으로는 퇴계의 삶과 예술에 대한 미학적 비판이라 하겠지만, 이후 벌어지는 여타의 도학 논쟁과도 다를 바 없는 쟁점을 가지고 있다 하겠다. 사실 도학과 미학의 구분이 따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사상사적인 분석과 예술세계에 대한 분석이 다를 수도 없는 것이다. 본고가 고려말 포은의 천리시를 분석하여 특징을 구분하고, 이를 기준으로 퇴계의 천리시부터 사계-우암의 비판까지 연속하여 살펴보려는 것도, 이처럼 도학자들의 미학 혹은 예술 세계가 주관적 감성 혹은 심미판단에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천리시란 결국 도학자의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며, 여러 문학적 수사를 넘어서는 보편적 사상성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도학적인 견지에서 고하와 이동을 논할 수도 있고, 동시에 독자의 내면에 강한 영적 감흥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는 서예 또한 같다. 그러므로 도학적 예술의 역사와 작품, 비판을 사상사와 일관시켜 봄으로써, 우리는 도학자들의 정신세계가 단절된 주관세계가 아닌 소통되는 보편적 세계이며, 이성과 감성을 아우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실 사계와 우암의 이러한 주자학 계승의식과 퇴계비판이 가능하다는 것 자체가 이들 정신세계의 보편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성과 감성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도학적 세계관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계와 우암은 퇴계의 `노님`이 궁극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에 상응하는 `참된 즐거움`이 무엇인지 구체화시킨 것은 아니다. 우리 역시 이들에 상응하는 정신세계 내지 예술세계를 구축하지 않고서는 이에 대한 입장을 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개인의 “닫힌” 감성의 충돌이 아님은 분명히 알 수 있다. 또한 이 충돌에서 문학 혹은 미학과 철학을 아우르는 정신세계의 모습과 그 사이의 길항도 읽을 수 있다. 그러므로 “미학과 철학을 아우르는 도학”이라는 전제에서의 사상 혹은 미학 검토는 우리가 `통일되고 정합적인 삶의 반영으로서의 도학`이라는 원래의 모습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함으로써, 도학 연구의 지평을 보다 넓혀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rying to reconstruct the Neo-Confucianism from Zhu xi`s doctrine(道學) back into its original shape. The Confucianism in Sung-Ming dynasty or Chosun dynasty was the result of holistic learning and practice. Therefore, all results of the Neo-Confucianism from Zhu xi`s doctrine should be searched in this way. The philosophical poetry and calligraphy of Toegye Yi-Hwang can be a model of this case, so I will explore his spiritual realm and the world of art. The conclusion of his philosophy is on revelation of the Principle in one`s inner world, and his art was the expression of it. The Omnipresent Principle always permeates human mind, and one can feel it and be one with it. It is the Joy[樂] beyond compare. Toegye`s poetry and calligraphy, especially trained in neo-Confucian category, sang this Joy. It means that he reached and found the world of the self-revealing Principle. He and the Principle are the One. Toegye`s poetry and calligraphy are the evidence of this neo-Confucian and aesthetic experience. His songs are the artistic declaration of this Joy, and his works of calligraphy are the results of his inner world and trace of self-cultivating itinerary. Sagye(沙溪 : 金長生) and Uam(尤庵 : 宋時烈) criticized that Toegye`s joy is not the Genuine Pleasure[眞樂], commented by Zhouxi, because they didn`t agree Toegye`s neo-Confucianism. They didn`t believe that the Principle can self-reveal. They asserted like this : `The Principle is just principle, it cannot be the omnipotent thing. And human being is just human being. Therefore one should control his feelings, and make his mind calm down to the end. There is no Joy, what Toegye said.` This was the conflict and controversy of different views of ideal neo-Confucian spiritual world. And it can mean that we can put the artistic worlds of neo-Confucianism to debate, and that is a kind of events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 thought. Of course, it is also a kind of aesthetical theme. So we can discuss Toegye`s poetry and calligraphy in the view of philosophy, and be moved in the point of aesthetics, too. In the point of neo-Confucianism, philosophy and aesthetics are the double-sideness of human being, that is paradoxical but harmonious.

      • 조선조 지식인들의 천인관계론

        이해영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1 儒敎文化硏究 Vol.- No.18

        인간은 관계의 존재이다. 인간은 자연〔천〕과 관계를 맺고 인간끼리 관계를 맺으며 삶을 꾸려간다. 그 관계는 한편으로는 동반관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경쟁관계이다. 인간은 천을 끌어들여 자연과의 관계, 인간 사이의 관계를 한꺼번에 해결하려고 하였다. 이 천인관계는 천인합일, 천인분리, 천인감응 등으로 나타났다. 송대의 성리학자들은 천을 천리로 해석하고 천인관계를 기본적으로 천리와 인성의 합일, 천리와 인욕의 대립으로 파악하였다. 송학의 절대적 영향을 받은 조선조 지식인들 또한 천인관계를 그와 같이 파악하였다. 그들은 천리와 인욕의 대립을 주로 논의하였는데, 이는 인욕인 사욕을 극복함으로써 천리의 공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조선조 지식인들은 사욕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마음을 경으로 가다듬는 방법, 천리가 인간사회의 규범으로 드러난 예를 지키는 방법, 천리와 하나가 된 성인의 가르침을 따르는 방법 등을 모색하였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관심을 둔 부분은 경으로 마음을 가다듬는 일이었다. 그들은 때로 천인감응을 주장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정치적으로 공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나아가 천리의 이법성에 의하여 약화된 도덕의 생명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나타났다. 무한경쟁이 강요되어 인간은 파편화되고 모든 문제는 개인으로 환원되며 공동체 의식은 사라지고 있는 시대적 상황을 돌이켜 볼 때, 조선조 지식인들이 개인의 사욕을 극복하고 천리의 공공성을 회복하고자 했던 것은 관계의 존재인 인간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나름의 정확한 제시를 하고 있는 것이다.

      • 二程의 ‘天理’ 擺念 硏究

        김상철(Kim, Sang Cheol)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7 No.-

        고대로부터 이어져온‘천(大)’의 의미가 송대(宋代) 신유학자(新儒學者)인 이정(二程)에 의해 성리학적 개념으로 탈바꿈하게 됩에 따라, 이를 중심으로 송대 이전의‘천’개념과 이정의‘천리(天理)’ 개념을 연장선상에서 조망해 봄으로써 이정 형제의 공통된 사유 아래 전개된 천리 개념의 의의를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천에 관한 해석은 시대마다 다양했는데, 특히 한대(漢代)의 동중서(董仲敍)와 왕충(王充)이 천관(天觀)에 대해 대립했다. 그들은 각자,‘천인감응론’과 ‘천인분이론’으로써 천과 인간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송대에 이르러 정호(程顥)와 정이(程頤)가 ‘천은 리(理) 임을 주장함으로써 천에 관한 관념은 천 시대와 구분되게 된다. 그들은 동중서와 왕충 등의 ‘천’개념을 부분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이정(二程)은‘천’을‘리’와 결부시킴으로써 선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게 된 선구자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비록 그들은 형제이나 후대 학자들로부터 학문적 색채가 이질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래서 그들의 동이성(同異性)에 대한 고찰을 선행 과제로 삼은 후, 이정이 동질적이라는 판단 하에 본문을 전개하였다. 이정이 궁극적으로 지향한바는 당시 만연했던 도불(道佛)의 영향력을 불리쳐 유학을 보다 강하게 정초(定礎)하는 데에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천인합일(天人合一)’적 사유를 공통적으로 회통함으로써 천리에 관한 개념을 강조하였으며, 이는 남송(南宋)의 주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천리는 제고전적(諸古典籍)에서 발견할 수 있으나, 이정이 주창한 천리는 그것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그들의 시대정신과도 맞닿아 있으면서도 성리학의 시원을 특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후에 이정은 천리와 인욕(人愁)을 이분법적으로 나눈 것에 대해 비판받기도 하지만 그들이“‘천리’개념을 자연의 법칙이자 정치의 기준으로 삼아야 할 바른 이치이며, 모든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도덕적 본질임을 분명히 정립한 점”과 당시 봉건사회의 구조를 이해한다면 그러한 해석학적 비판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nventional meaning of Heaven used in ancient times was changed by two scholars, Ch eng Hao and Ch eng I, who were working at the time of the Song Dynas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only to explore the idea of Heaven prior to the Song Dynasty but only to observe Ch eng Hao and Ch eng l principle of Heaven, whose generic concept initially evolved from that of one preserved in ancient times. As times went by, interpretation of the idea of Heaven varied, for example; a case in point might be found in an example that shows no consensus between Dong Zhonghu(董仲敍) and Wang Chong(王充), both of whom has a complete1y different idea of Heaven under discussion. Since Ch eng Hao and Ch eng I asserted that Heaven was nothing but a principle, the idea of Heaven became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one used in the previous times. ch’eng Hao and Ch’eng I partly introduced the idea of Heaven from Dong Zhongshu and Wang Chong. By connecting Heaven with principle, Ch eng Hao and ch eng I could initiate Neo-Confucianism and, eventually, became one of progenitors among the following new philosopical construct. Even though they are brother, their scholarly components were different each other and, it could be said,even heterogeneous. After embarking upon the both sides of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the brothers, I then shall investigate the essential problem of homogeneity expressed in their philosopical dimensions throughout my thesis. What Ch eng Hao and Ch eng I was ultimately seeking for was first to overcome the Taoist and Buddhist influence and whereupon to pave the foundation for Confucianism. As they were concemed with the ideal of unity of Heaven and man together, they emphasized the principle of Heaven, and finally this fact rendered to make direct influence upon Master Zhu during the time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words or phrases, that is the principle of Heaven verbatim, can be found among numerous classics, but the concept of principle of Heaven employed by ch eng Hao and Ch eng I was in sharply contrast with those words. Ch eng Hao and Ch eng l 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Heaven was in good harmony with his contemporary zeitgeist, and it served to figure ou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embroyonic stage of Neo-Confucianism. Since then on Ch eng Hao and Ch eng I s ideas was critically denied in the sense that the principle of Heaven was overemphasized that they could wage a considerable power over people in terms of norms, behavior or even everyday life. As Dai Zhen(戰震) put it,“ the principle is strong enough to kill people(以理殺人) by its connotation per se. AlI these considerations lead me to conclude that Ch eng Hao and Ch eng made distinction the fact that the idea of the principle of Heaven was the law of nature, a criterion of governing the world, ethical essence embedded all of human beings, and plus if we understand the feudal system, then hermeneutic criticism should be re-exarn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