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채소 산지유통구조에 대한 연구

        윤석곤(Yoon, Seok-Gon),이홍기(Lee, Hong-Ki),김선구(Kim, Seon-Gu)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1 No.1

        오늘날 채소 산지유통시스템은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즉 소비·수요 변화의 관점에서 농식품의 수요는 다양화되고 있으 며, 소비의 성향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농식품의 소비는 고품질, 안전성, 편의화, 다양화, 고급 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소비자의 선호도가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가공식품의 소비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지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산지의 유통시스템도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 가운데 채소 소비 유통 구조의 변화 측면에서는 소비자 중심으로의 유통체계가 전환 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 대형소매상의 유통 지배현상은 매우 커다란 변화로 여겨지고 있다. 유통변화의 흐름 속에 일본 산지유통구조 뿐 만 아니라 한국의 채소 산지 유통구조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의 구축은 채소의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 사료되어 유통선진국인 일본의 채소산지 유통구조를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본의 경우 정부차원에서 산지의 주요채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여 채소가격의 등락과 관계없이 채소농업을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채소농가에 대한 정부 지원 제도가 전무한 실정으로 채소농가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일본의 경우처럼 채소농가에 대한 다양한 지원 제도 도입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Nowadays, the vegetable distribution system is facing great change. That is,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ructures are changing. In the perspective of change in consumption and demand, food demand is diversifying as well as propensity to consume is changing. By the result, consumer preferences are changing to pursuit of high quality, safety, comfort, variety and elegance. Particularly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increases rapidly. By such environmental change, the producer distribution system faces change. In terms of change in the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distribution structure, it is considered that the trend is conversion to the consumer oriented distribution system.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distribution dominance of the large retail distributers is a very big change. From such viewpoint, the efficient system for logistics flow in the fruit and vegetable distribu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task in the demand and supply aspect of fruits and vegetables not only in Japan but also in Korea.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In Japan, government has introduced the system for stable supply of producers major vegetables and has developed vegetable agriculture. However, in Korea,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no support system for vegetable farmers at all. Therefore, it presents that it is the time that introduction of the support system for vegetable farmers is very much needed as like in Japan.

      • KCI등재

        송대 채소 재배업과 채소 가격 연구

        조복현(曹福鉉)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송대에 도시의 성내에는 많은 인구가 각종 직업에 종사하면서 생활하였다. 이러한 거주민들 가운데 적지 않은 사람들이 토지를 경영하지 않고 상품성 양식에 의지하여 생활하였다. 따라서 채소 재배업은 전국에 광범위하게 존재하여 농촌에서는 채소를 변방의 城寨나 심지어 바다 위에 떠 있는 葑田에 이르기까지 최소한의 경작 조건만 갖추어졌다면 전국의 어디에나 경작하였다. 그리고 농촌에서는 양식 작물을 위주로 경작하고 잉여생산품이 있으면 상품화시켰다. 또한 도시 주변 지역은 대규모의 소비시장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채소의 생산이 가장 활발하였다. 반면에 城郭의 내부에는 토지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대규모로 생산하여 전문적으로 시장에 공급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리고 송대에 채소 판매자들의 존재는 여러 문헌들에서 적지 않게 볼 수 있지만 그 규모는 대체적으로 영세하였다. 그리고 北宋代의 開封에는 전문 시장으로서 菜市에 관한 기록은 없고, 南宋의 수도인 杭州에는 최소한 2개 이상의 전문적으로 채소만 판매하는 시장이 존재하였다.채소를 판매하여 획득한 수입이나 채소의 가격과 관련된 자료들을 많지 않아서 명확한 액수를 얻기도 어렵다. 다만 인구가 밀집된 대도시의 인근에서는 채소를 재배하여 판매한다면 양식 작물을 경작하는 것보다는 더욱 많은 수입을 획득할 수 있었다. 반면에 소비자의 입장에서 채소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한 가격은 국가에서 일부 계층에게 최소한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경비를 지급할 때의 액수를 통해서 그 일면을 볼 수 있다. 그 액수는 성인 한 사람이 하루에 신종과 철종 시기에 10文내외, 남송 초년에는 20文 정도, 그리고 南宋 後期에는 26∼43文 정도의 범위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宋代의 일부 계층에게 鹽菜錢 혹은 醬菜錢을 지급하였는데 그 액수는 眞宗代에는 6∼7文, 神宗代에는 10文 내외, 徽宗代에는 20文 정도였다. 국가에서 일부 계층에게 지급한 최소한의 생계비용과 鹽菜錢의 액수는 비슷한 추이를 보인다. 두 가지 자료는 송대에 빈곤한 일부 계층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격이 저렴한 채소만을 소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부식비용은 보여주고 있다. 두 가지의 자료를 종합해보면, 眞宗代에는 1인당 하루에 6∼7文, 신종과 철종 시기에 10文내외, 徽宗代와 남송 초년에 는 20文 정도, 그리고 南宋 後期에는 26∼43文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在宋朝的城市裏, 許多人口從事各種行業而生活下去了。 當這些住民中, 不少人沒有經營着土地, 依靠商品性糧食維持生活。 因此, 蔬菜種植業在全國範圍內廣範地存在。 在農村裏, 如果具備起码的種植條件的話, 甚至于邊境地域城寨或者造成在大海上的葑田等, 全國各地都耕作了蔬菜。但是在一般的農村, 大槪以糧食作物爲主耕作, 然後如果有剩餘生産品, 就投入市場販賣了。 城市附近地區, 因爲已經形成了大規模消費市場, 所以蔬菜生産最爲活潑。 與此相反, 在城郭內部, 由于地價太高, 大規模生産和專門供給市場是較爲困難的。關于宋代蔬菜販賣者的存在, 已經有不少的文獻記載, 但其規模是比較零細的。 有關北宋首都開封的專門性蔬菜市場, 目前沒有文獻記載, 而南宋國都杭州, 至少有二處以上的專門性蔬菜市場了。在現存文獻記載裏, 很少見經營菜蔬販賣業而獲得的具體收入以及有關蔬菜價格, 所以考察明確的蔬菜價格是非常困難。 只能推測爲, 在人口稠密的大城市附近栽培蔬菜而販賣, 就比種植糧食作物, 能獲得更多的收入。 反而, 通過宋政府爲了一部分特殊階層維持生活, 支給過的錢物額數,能看到了一般消費者爲購買蔬菜花錢規模的一面。 成人一人每天需要的購蔬菜費用是, 在神宗和哲宗朝大槪10文左右, 南宋初年20文左右, 南宋後期從26到43文左右。宋政府還給一部階層支給過鹽菜錢或者醬菜錢, 其大槪的數額是, 在眞宗朝每人一天6∼7文, 神宗朝10文左右, 徽宗代20文左右。 如此, 宋政府給部分特殊階層, 支給過的生活費和鹽菜錢或者醬菜錢數額差不大。 而且這兩項資料, 都是在宋代較貧困的一部階層爲了生活最起码的生活費。 再說, 他們利用這批錢只能買到價格比較低廉蔬菜, 反映出每天需要的至少副食費用。 綜合而言, 宋代爲了維持生活購買最便宜的副食蔬菜時, 一人每天需要的經費是, 大槪在眞宗朝6∼7文, 神宗和哲宗朝10文左右, 徽宗和南宋初年20文左右, 南宋後期26∼43文左右。

      • KCI등재

        부산지역 중・고등학생의 채소 섭취에 대한 식습관, 기호도 및 섭취빈도 비교

        이경애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ating habit, preferences, intake frequency, nutrition knowledge, and self efficacy of vegetabl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Subjects were 550 middle school and 560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in May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About 68% of adolescents in Busan have eaten a variety of vegetables from a child. Less than 50% of them ate all vegetable dishes in school foodservice and ate three kinds of vegetable dishes at home. 40% of them did not like vegetables independent of gender and schools. They have low preferences for vegetables. More than 2/3 of them have rarely eaten green vegetables a month or twice. They have eaten more frequently white than green vegetables. They have eaten frequently yellow vegetables, but seldom purple or black vegetables. Middle school students have eaten more vegetables than high school students. Adolescents in Busan have low nutrition knowledge about vegetables. Middle school students have higher self efficacy of vegetables than high school students. Conclusively, adolescents in Busan have undesirable eating habit, low preference, and low nutrition knowledge of vegetables. Middle school students have more desirable eating habit, higher preference, more frequent intake, and higher self efficacy of vegetables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differentiated education is needed by middle and high school. It is needed urgently, especially vegetables targeted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부산지역 중학생 550명과 고등학생 560명 총 1,110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채소 섭취에 대한 식습관, 기호도, 섭취빈도, 자아효능감를 조사하여 중・고등학생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 맞는 바람직한 채소 섭취와 채소 편식 교정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지역 청소년들의 약 60%정도만이 어릴 적부터 채소를 골고루 먹고 있었고, 학교급식에서 채소반찬을 거의 다 먹는 청소년은 50% 이하이며, 가정에서도 한끼에 3가지 이상의 채소반찬을 먹는 청소년 역시 50%이하이었다. 연구대상자들은 학교급과 성별에 차이 없이 채소를 선호하지 않는 비율이 약 40%나 되었고, 그들의 채소 편식 원인은 섭취 경험 부족보다 자신의 기호에 의한 경우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대상자들은 중・고등학생 모두 채소별 기호도는 채소 색깔에 차이 없이 4점 만점에 2.6-2.7점 정도로 낮은 편이었고, 상추(녹색), 콩나물(흰색), 토마토(기타색)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자들의 2/3이상이 녹색채소를 월 1-2회 가끔 먹고 있었다. 주 1회 이상 흰색채소를 먹는 학생 비율이 35% 이상이었던 흰색채소는 10개 중 5개로 전반적으로 녹색채소보다 섭취빈도가 더 높았다. 연구대상자들은 노란색 채소(당근과 토마토)에 대한 섭취빈도는 높은 반면, 보라색 및 검정색 채소의 섭취빈도는 낮았다. 모든 색깔의 채소에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섭취빈도가 낮았고, 녹색채소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에서 섭취빈도가 낮았다. 부산지역 청소년들의 채소에 대한 영양지식 총 점수는 10점 만점에 중학생 6.55점, 고등학생 6.90점으로 낮은 편이었고, 남녀나 학교급간의 차이는 없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채소 섭취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부산지역 청소년의 채소 섭취 식습관은 바람직하지 못하였고, 채소에 대한 기호도와 영양지식도 낮았다. 채소 섭취 식습관, 기호도, 섭취빈도, 자아효능감에서 모두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바람직하지 못하였으며, 채소에 대한 기호도나 섭취빈도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학교급간,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채소 섭취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며 특히 고등학생 대상의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강원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채소류 섭취에 대한 인식 및 섭취태도 연구

        김미경,오혜숙,이명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3

        Current study aimed to evalu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and eating attitude towards vegetables and analyz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it. Surve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Gangwon district, 410 subjects each(Total 742, 391 students, 351 par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Both the children(64.3%) and the parents(84.9%) showed high concern over health. 46.6% of children and 52.4% of parents admitted unbalanced eating behavior, and commonly avoided foods were mostly vegetables such as mushroom, carrot, garlic, sweet pepper-green, welsh onion, kimchi, pumpkin, or beans. Unbalanced eating habi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consideration in choosing what to eat(p<0.01) and interest in health(p<0.05). 70.9% of children with unbalanced eating habit showed intention for correction, and those with high interest in health had stronger intention (p<0.01). Regarding children's perception of 20 kinds of vegetables frequently used in school lunch, swiss chard leaf beet, amaranthus magistratus, and curled mallow were rarely heard of or hardly eaten before. Korean chinese cabbage, radish(62.7%), cucumber(62.1%), perilla leaves(60.4%), lettuce(58.1%), and spinach(54.5%) were among the most frequently eaten. Survey result on children's preference for the vegetables shows lettuce, cucumber, Korean chinese cabbage, perilla leaves, spinach, and radish were highly preferred and stem of garlic, crown daisy, sweet pepper-green, pepper, and curled mallow were the least preferr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p<0.01, p<0.001) between children's and their parent's preference for each vegetables, implying that children's preference towards vegetable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ir parent's choice. Children showed negative attitude towards vegetables with strong flavor and tended to avoid vegetables that they remember as not tasty. This suggest that strong flavor and negative prior experience is what determines children's attitude in vegetable consumption. Many children said they try to eat vegetables even if they haven't had it before, and this tend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p<0.05) and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f health in choosing what to eat(p<0.00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기피 식품 중의 하나인 채소류 섭취에 대한 인식 및 섭취 태도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강원도 소재 초등학교 학생과 그의 학부모 각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총 742부, 학생 391, 학부모 351),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사 시 건강 관심도는 학생 64.3%, 학부모 84.9%가 (매우) 관심 있다고 하여 두 그룹 모두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아동 46.6%, 학부모 52.4%가 편식을 한다고 하였고, 편식하는 식품은 대부분 채소류로 버섯, 당근, 마늘, 피망, 파, 김치, 호박이나 콩이었다. 편식 여부는 식사 시 건강고려도(p<0.01), 아동의 건강관심도(p<0.05)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편식 아동의 70.9%가 편식 개선 의지를 보였고, 건강에 관심이 많은 경우 편식 개선의지도 높았다(p<0.01). 학교급식에 주로 사용되는 20종 채소류에 대한 인지도는 고추, 깻잎, 브로콜리, 배추, 양상추, 시금치, 양배추, 열무, 무, 오이, 피망, 호박은 90%이상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근대, 비름나물과 아욱은 들어보거나 먹어본 경험이 적은 생소한 채소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 무(62.7%), 오이(62.1%), 깻잎(60.4%), 양상추(58.1%), 시금치(54.5%) 등이 자주 먹는 채소류였다. 각 채소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양상추, 오이, 배추, 깻잎, 시금치, 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마늘종, 쑥갓, 피망, 고추, 아욱은 선호도 순위가 낮았다. 아동과 학부모의 채소류 선호도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p<0.01, p<0.001) 학부모의 선호도가 아동의 채소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선호하는 채소류 조리방법은 쌈장, 국과 비빔밥이었고, 소금 간을 이용하는 것보다 고추장 무침을 선호하였다. 향이 강한 채소의 섭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맛이 없었던 채소는 다음에도 섭취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아 채소의 향과 맛이 없었던 경험은 아동의 채소류 섭취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먹어본 적이 없는 채소도 먹으려 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건강관심도(p<0.05), 식사 시 건강 고려도(p<0.001)와 먹어본 적이 없는 채소의 섭취 태도 사이에는 유의적 상관을 보였다.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 요인 및 낙관적 편향과 대학생의 채소 및 과일 섭취 간의 관계

        서미숙,김이삭,서경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a college student's fruit and vegetable intake, to explore the effects of variables from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nd to evaluate the roles of optimistic bias in their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24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verage of age was 20.57 (SD=2.14).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a frequency list of vegetables and fruits based on Korean nutrition standards, fruit and vegetable module, questionnaires for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tention, and Optimistic Bias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appropriate to adop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odel that includes direct pathways from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 fruit and vegetable intak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variables from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 28.8% accountability for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in which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a determinant variable. In addition, there was an increase of 1.9% accountability of the optimistic bias for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Optimistic bias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asonable to account for fruit and vegetable intake as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optimistic bi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채소․과일 섭취행동에 대한 계획된 행동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채소․과일 섭취행동에 대한 계획된 행동이론 변인의 영향력과 그 관계에서 낙관적 편향의 역할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49명(남: 107, 여: 142)의 대학생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0.57(SD=2.14)세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근거한 채소․과일 섭취빈도목록, Fruit and Vegetable Module 질문지, 채소․과일 섭취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 및 의도 그리고 낙관적 편향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행동통제력에서 채소․과일 섭취행동으로 직접 경로가 포함된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 변인들이 채소․과일 섭취행동을 28.8%정도를 설명하고 있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가장 강력한 예언변인이었고, 거기에 낙관적 편향이 채소․과일 섭취행동을 1.9% 정도 추가적으로 더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관적 편향은 채소․과일 섭취에 대한 태도와 채소․과일 섭취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채소․과일 섭취행동을 계획된 행동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이 타당하고, 낙관적 편향이 채소․과일 섭취에 대한 태도와 채소․과일 섭취행동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고려중.후기 채소생산의 발전

        위은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9 No.-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vegetables that appeared in various literary works such as Dongguklisanggukjib(東國李相國集) and Mogeunjib(牧隱集) since the 12th century, Bangjung Hyangyakmok(方中鄕藥目) of Hyangyak Gugeubbang(鄕藥救急方) of the 13th century, Nogeoldae(老乞大) of the 14th century, and Sangayorok(山家要錄) of the 15th century with Chinese agricultural books such as Jeminyosul(齊民要術), Sasichanyo(四時纂要), and Nongsangjibyo(農桑輯要), most of vegetables of China were also cultivated in Goryeo during the similar period, except some Hunchae vegetables. That is, during Song Dynasty, most of vegetables from America were cultivated, and it was the same situation in late Goryeo. Vegetable typ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root vegetables, fruit vegetables, green vegetables, and Hunchae vegetables, during late Goryeo, root vegetables and fruit vegetables seemed to be highly regarded, since they could be used in place of food. Among them, taro was highly regarded as famine relief vegetables, and cucumbers consumed the most. It is remarkable that the major ingredients of Kimchi, a representative vegetable storage, were fruit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such as cucumber, radish, eggplant, taro, winter bud, etc. The important point of development of vegetable cultivation method was fertilization, Gujongbeob(區種法), the best intensive method during that period, focused on root vegetables and fruit vegetables. Development of such vegetable cultivation method enabled vegetable cultivation for market sale mainly with the region located in suburban areas or traffic routes. Particularly,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the ruling class, who could utilize the by-products such as silkworm droppings and animal manure for fertilization by managing silkworm farming or animal husbandry relatively in a large scale. However, the most important point was, a great contribution to stabilization of peasant management, as kinds of vegetables became various and cultivation method was developed.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relieve shortage of food by cultivating using small pieces of land or restless cultivation along with staple crops using difference in sowing and growth period of various vegetable crops. 12세기 이후의 동국이상국집과 목은집을 위시한 여러 문집, 13세기 향약구급방의 방중향약목, 14세기 노걸대, 15세기 산가요록에 등장하는 채소를 제민요술, 사시찬요, 농상집요 등 중국농서와 비교한 결과, 일부 훈채류를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 동시대의 중국에서 재배되던 채소가 고려에서도 재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중국에서는 송대에는 아메리카대륙산 채소를 제외하고 거의 재배되었다고 하는데, 고려후기에는 그와 유사한 상황이었다고 할 수 있다. 채소 종류는 크게 근채류, 과채류, 엽채류, 훈채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고려후기에는 여전히 식량의 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었던 근채류와 과채류가 중시되었던 것 같다. 그 중 토란은 구황작물로 인식되어 중시되었고, 오이는 가장 많이 소비되는 채소였던 것 같다. 채소저장법의 대표라 할 수 있는 김치의 주재료로 이용된 것도 오이, 순무와 더불어 가지, 토란, 동아 등 과채류, 근채류인 것도 주목된다. 채소재배술의 발전에서 중요한 것은 시비법인데, 당시 최고의 집약농법이라 할 수 있는 구종법은 근채류와 과채류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채소재배법의 발전은 도시근교나 교통로 등에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시장판매를 위한 채소재배를 가능케 하였다. 특히 양잠이나 축산 등을 상대적으로 규모있게 경영하여 蠶沙나 家畜糞 등 그 부산물을 시비에 이용할 수 있던 지배층에게는 채소생산을 통해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배채소의 종류가 늘어나고, 재배법이 발전하면서 소농민경영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자투리땅을 이용하여 재배하거나, 다양한 채소작물의 파종과 생육기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곡작물과 더불어 쉴 틈 없이 재배하여 식량결핍을 면할 수 있게 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유아의 채소편식 감소와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컬러푸드 원예활동

        손효정(Hyo-Jung Son),송종은(Jong-Eun Song),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5

        본 연구는 컬러푸드 채소류를 활용한 원예활동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채소편식을 감소시키고 정서지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은 유치원 7차 교육과정의 건강생활영역을 기초로 하여 영양교육의 요소들을 적용하였고, 유아의 지속적인 식습관의 개선과 효과를 위해 가정과 연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합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4세반 유아들로 총 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은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였고, 영양교육군은 영양교육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원예활동과 영양교육 모두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기간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유아용 영양지식검사 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영양지식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에서 더욱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편식행동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채소선호도에서도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은 채소류의 선호도 증가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정서지능에서는 하위항목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에서는 대조군,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자기조절에서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점수가 높았지만,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타인조절에서는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이 영양교육군 보다 매우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영양교육만을 실시한 유아들 보다 원예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이 채소와 과일의 색에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즐거워하는 정서적 감성과 컬러푸드채소를 직접 키워보는 원예활동을 통해 자발적인 섭취를 하게 되어 채소편식이 감소되는 결과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연구의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은 채소 편식으로 인한유아의 건강의 불균형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focuses on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to reduce diets unbalanced in vegetables and to increase emotional intelligence.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vegetables were based on ʻHealth in Daily Lifeʼ in the ʻ7th Kindergarten Curriculumʼ; to improve the dietary habits of the young children, the program was also linked with a parentsʼ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0 children from classes for four-year-olds in thre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based upon nutrition education included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vegetables and nutrition education. For the nutrition education group, only nutrition education was provided, while neither horticultural activities nor nutrition education were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1. A total of twelve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According to the result,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with colorful food vegetable were conducted, both the nutrition education group and horticultural activity & nutrition education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ʻNutrition Knowledgeʼ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garding ʻUnbalanced Diet Behaviorsʼ,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 nutrition education group showed meaningful decreas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oreover for preference of fruits and vegetables,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 nutrition education group reveal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conclusion, colorful food vegetable horticultural activity c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to resolve the imbalance of health caused by unbalanced diets a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olorful food vegetable horticultural activities continued to respond spontaneously to the colors of vegetables and fruits and showed joy and kept voluntarily eating them.

      • KCI등재

        초등학생과 초등학생 어머니의 채소류 식품군 식품의 기호도 조사

        김희혜,김영남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vegetables preferences. Total of 360 students and their 360 mothers in Seoul and Gumi-si were participated in survey during July, 2011, and data of 253 students and their 253 mothers(70.3%) were analyzed by SPSS ver 12.0. The preference scores of mot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all kinds of vegetables examined, except bean sprout and laver. The preference scores of lower grader(2, 3 grade) were higher than higher graders(5, 6 grade), and those of female student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The preference accordance degree of students and their mothers were highest in seaweeds group, and lowest in root․stalk vegetables. The onion, welsh onion, water dropwart, mustard kimchi were showed specially low student-mother preference accordance. Among the 50 vegetables investigated, all mother had chance to eat was 31 vegetables, and all students had chance to eat was 10 vegetables. The 3 kinds of seaweeds such as seastaghorn, ceylon moss and seaweed fusiforme were the foods that more than half of student had no experience to taste.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having the sibling, whether or not mother had job, the type of breakfast foods, and food and frequency of eating-out, all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vegetables preference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비선호 식품으로 지목되는 채소에 대하여 기호도를 조사하고, 학년별, 성별 기호도 차이, 학생과 학생 어머니의 기호도 일치정도를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와 구미시 소재 초등학교 저학년(2, 3학년) 남녀 재학생 180명과 고학년(5, 6학년) 남녀 재학생 180명, 그들의 어머니 360명을 대상으로 2011년 7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253명의 자료를 통계처리 하였다(SPSS ver 12.0). 조사 대상 50종 채소 가운데 김과 콩나물은 제외한 48종 모두 어머니의 기호도 점수가 학생보다 높았다. 그리고 저학년 학생이 고학년 학생보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각종 채소류의 기호도 점수가 높았으나 열매채소의 성별 차이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아니었다. 학생과 어머니의 기호도 일치정도는 해조류가 가장 높았고, 뿌리ㆍ줄기 채소가 가장 낮았으며, 특히 양파, 파, 미나리, 갓김치는 일치정도가 낮았다. 조사대상 채소류 중 모두가 먹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채소는 어머니 31종, 학생 10종이었으며, 학생의 절반 이상 먹어 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식품으로 청각, 톳, 우뭇가사리가 있었다. 섭식경험이 적은 채소류(특히 해조류)와 많은 학생들이 싫어하는 향신채소 식품의 경우 학교급식 식단에 의도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편식의 기회를 줄이는 시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채소류 식품군 기호도에의 영향 변인으로 형제 유무, 어머니의 직업 유무, 아침식사 유형, 외식 음식과 외식 빈도를 분석한 결과 이들 변인에 의한 기호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 KCI등재

        실제 채소에 대한 노출 프로그램이 유아의 채소 섭취 및 실제 식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수진,정경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2

        본 연구는 놀이프로그램을 통한 6개월간의 채소에 대한 직접적 노출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첫째, 직접 노출프로그램 전후의 아동의 채소 섭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둘째, 노출프로그램이 실제아동의 식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4개의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1세에서 4세의 아동 47명을 대상으로 실제 채소에 대한 노출을 6개월 간 진행한 후, 채소 섭취량의변화를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노출집단에서 노출된 채소에 대한 섭취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채소에 대한 노출이 실제 식사행동에도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부모의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아동이 실제 섭취한 음식과 종류를 파악하고 영양소별로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출집단에서 채소 섭취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는 비타민 C와 엽산에서유의한 증가가 나타났고 철의 영양소 섭취 적정비도 유의하게 증가하여 채소 섭취와 관련된 영양소 섭취정도가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와 더불어 한계점 및 추후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rect exposure to vegetables on young children’s consumption of vegetables, with actual nutritional recording. A total of 47 young children with ages ranging from 1 to 4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mong these, 24 children were assigned to a 6-month direct vegetable exposure program. Children were assessed on their vegetable consumption before and after the exposure progra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osure increased the consumption of vegetabl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t is noteworthy that those who were exposed to vegetables consumed more nutrients, and more specifically, more ascorbic acid(vitamin C) and folic acid, which are both related to vegetable consump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direct exposure program may not only be effective in correcting children's inappropriate eating habits but may also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nutrient intak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계층적 분석과정을 활용한 초등실과 교과의 가꾸기 실습에 적합한 식물 선정

        정옥란 ( Og Ran Jeong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1

        본 연구는 2007년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새 교과서 편찬 시 식물 가꾸기 학습내용에 반영될 학습 소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초등실과 교과에서 가꾸기 내용 중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에서 ‘꽃이나 채소 가꾸기’ 실습에 적합한 식물 선정에 영향을 주는 속성을 조사한 다음 계층적 분석과정을 활용하여 가꾸기 실습에 적합한 식물을 선정하였다. 가꾸기 영역과 관련된 식물의 종류와 속성은 선행 연구 참고, 전문교수의 조언, 동료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선정하였다. 먼저 식물은 꽃과 채소로 분류하였는데, 꽃은 한두해살이 화초, 여러해살이 화초, 알뿌리 화초, 다육식물과 선인장류, 난과식물, 관엽식물, 수생식물, 식충식물로 분류하였고, 채소는 잎ㆍ줄기채소, 뿌리채소, 열매채소, 허브류로 분류하였다. 최종 선정된 꽃은 8종류로 분류하여 32가지 선정, 채소는 4종류로 분류하여 20가지 선정, 속성은 꽃과 채소 각각 17가지씩 선정하였다. 1차 설문에서는 가꾸기에 적합한 식물을 선정하는데 영향을 주는 속성과 각 속성에 따른 식물들의 중요도를 조사하고 2차 설문에서는 계층적 분석과정을 활용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종합 가중치를 구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꽃에 대해 분석한 결과 재배의 용이성, 재배의 즐거움, 수업의 실현성, 식물의 친근감 속성에 대한 종합 가중치는 봉선화가 가장 높았고, 쾌적한 환경조성과 환경적 적응력에 대한 속성에서는 산세베리아가 선정되었다. 채소에 대한 분석 결과 수확의 기쁨, 재배의 즐거움, 수업의 실현성, 노작활동의 효과, 원예치료 속성에서는 토마토가 선정되었고, 재배의 용이성에서는 상추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계층적 분석과정을 활용한 결과, 가꾸기 실습에 가장 적합한 꽃은 봉선화가 선정되고, 채소는 토마토가 선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of the most suitable plant used for ``Cultivating Flowers or Vegetables`` practice in <Life with Plant> unit from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selected the appropriate plant using AHP. This study has its purpose for offering a elementary data for the study material which is going to be reflected in the new textbook, due to the modification of curriculum in 2007, containing plant cultivation study. The species of plant and properties related to cultivation were selected by a reference of past study, professional advice, and discussion between colleague teachers. Flowers were classified as annual-biennial flowers, perennial flowers, bulb flowers, flesh plants and succulents, Orchidaceae, foliage plants, hydrophyte, and insectivorous plants. Vegetables were classified as leafy-stem vegetables, root vegetables, fruit vegetables, and class of herbs. Finally, 32 flowers in 8 classes, 20 vegetables in 4 classes, and 17 properties for each of the flowers and vegetables were selected. In the first questionnaires, both the properties responsible for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lants to cultivate and the importance of plants for each of th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this, relative importance and overall weight was analyzed, which was calculated using AHP, in the second questionnaires. The result from analyzing flowers showed that balsamine scored the highest total point in easiness of cultivation, enjoyment in cultivation, feasibility of course, and affinity to plant parts. And Sansevieria was selected in making agreeabl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adaptability part. For vegetable, tomato was selected in feasibility of course, pleasure in harvest, enjoyment in cultivation, and horticulture therapy parts. Lettuce was selected in easiness of cultivation part. In this study using AHP, balsamine and tomato were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ones for cultivating practice as flower and vege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