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인성에서의 성별차이

        유경훈(Lew Kyoung h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아동들이 성별의 차이 없이 동등한 영재교육에의 참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창의적인 사고능력과 창의적 인성에 관하여 성차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TTCT를 사용하여 창의적인 사고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창의적 인성은 하주현(2001)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창의적인 사고능력 총점과 하위요인, 창의적 인성의 총점과 하위요인별로 각각 성차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 이와 함께 성별에 따라 창의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와 창의적 사고능력을 창의적 인성이 얼마만큼 설명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를 살펴보면 창의적 사고능력 의 총점에서 여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별로 추상성과 정교성이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창의적 인성요인에서는 총점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별로 호기심과 유머, 개방성 영역은 남학생이 높았으며, 여학생은 독립성 요인에 있어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인성 요인들이 창의적 사고능력을 설명하는 정도는 남학생의 경우 개방성, 모험심 요인이 창의적 사고능력을 의미있게 설명했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상상력 요인이 의미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 in creativity in prim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as made. 1 .Is there any gender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 2. Does boys and girls group makes any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37 students(male ; 389, female ; 348). The creativity was measured by TTCT and the test of creative personality. TTCT and creative personalit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boys and girls of forth grades who attended primary sch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12.0 SPSS program. The data were also tested by using the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ests of mean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the creative thinking and personality. 2. There is also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creative thinking subfactor and creative personality. In addi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personality factors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reative thinking. Finally,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서)

        김수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5-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 “H” in Gyeongju, Kyungsang Province. The eight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hich lasted for 14 weeks. During this time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were videotaped, and all dialogues were transcribed. The tests used were Young-Chai Kim's (2002) translation of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as scored with Hennessey & Amabile's (1988)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ults: 1.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2.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the participant's activities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는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8명이었으며, 창의적 사고의 측정은 Torrance의 창의적 사고 검사 중 언어검사 한국판(김영채 역), 문제해결 능력의 측정은 Hennessey와 Amabile(1988)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Isaksen과 Treffinger(1992)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본 연구자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으로 재구성하여 1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점수가 높은 유아들은 창의적 사고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유아들은 창의적 사고 점수 역시 사전 보다 사후에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의 참여정도는 창의적 사고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일반 화학 실험의 가설 설정 과정에서 변인 교체와 변인 조합 활동을 강조한 교수 전략의 효과

        정솔,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 실험에서 필요한 잠정적인 가설 설정 활동에 변인을 교체 하거나 변인을 조합하는 활동인 CQ-MHi-SV1-SV2-CV-MHf 모형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나은 합당한 가설을 설정하게 유도하는 교수 전략을 한 학기동안 적용한 후에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알아보는 것이다. 개발한한 학기용 총10개의 교수 전략을 경험한 실험반과 그렇지 아니한 비교반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력인 협의의 창의적사고력의 변화와 탐구 능력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p<.05). 그러나 이 학생들의 탐구 능력 측면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의미하게 향상 되지않은 것으로나타났다(p>.05). 오직 탐구 능력의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 가설 설정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나타났다(p<.05). 그러나 문제 인식 능력, 변인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 결론 도출 및 일반화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이 연구에서개발한 가설 설정활동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들은 대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teaching strategy of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making hypotheses with the CQ-MHi-SV1-SV2-CV-MHf model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college. Ten activities of making hypotheses by the CQ-MHi-SV1-SV2-CV-MHf model wer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 with respect to the inquiry thinking skill(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making hypothese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p<.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s in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p>.05). This result may become the basis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 thinking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college for the future.

      • KCI등재

        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입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 향상 수준 및 영향요인 탐색

        이재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of high school self-directed learning admissio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To do this, Longitudinal data of the high school self–directed learning entrance admission students were used, and the repeated measures mixed model analysis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elf-directed learning entrance admission students improved as the grade increased. Second,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ntrance year. Third, the level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student and school curriculum variables. Fourth,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improved creative thinking abil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private education decreased creative thinking ability. Fifth, school education activities, friendship, academic-oriented school culture,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mproved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입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 향상 수준을 알아보고 창의적 사고능력 향상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입학생의 3개년종단 데이터를 대상으로 반복측정 혼합모형 분석과 다층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입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은학년이 올라갈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고와 외고 및 국제고의 학교효과가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입학년도에 따라 창의적 사고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2016년 2학년 코호트는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다른코호트는 유의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천정효과로 인하여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생 및학교 과정 변인의 통제 여부에 따라 창의적 사고능력의 수준은 다르게 나타났다. 단순한 평균 비교를 할 때 나타나는한계를 다층선형모형 분석을 통해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넷째,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나학교 교육활동의 참여는 창의적 사고능력을 향상시켰으나 교과 사교육은 창의적 사고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나타났다. 사교육의 효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다섯째, 학교교육 활동, 친구관계, 학업 지향적 학교 문화, 교사 전문성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효과를개선하기 위하여 개인 및 부모 요인 이외에 학교의 과정변인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재 편찬 연구

        南燕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3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학교육을 위한 교재의 총체적인 체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중국 내 한국어학과의 양성목표,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문학교육의 유용성을 적용시켜 한국어학과에서의 한국문학교육의 위상을 밝혀 봤다.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학교육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이루질 수 있다. 첫째, 전면적 의사소통 능력을 통합적으로 신장시키고 문화적 소양(문화적 소양)과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언어자료로서의 문학(작품)에 대한 교육; 둘째, 문화능력 신장(과 문화적 소양 함양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함양하기 위한 문화자료로서의 문학(작품)에 대한 교육; 셋째, 전문 분야의 의사소통 능력(즉 문학능력)(과 문화적 소양 함양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학(작품)에 대한 교육; 넷째, 문화능력의 신장(과문화적 소양 함양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학사에 대한 교육이다. 이들 위상에 각각 대응하여 네 가지 한국문학 교재를 구상해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앞의 세 가지 교재는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이루는 교재이고, 마지막 교재는 설명 글을 위주로 하는 문학사 교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의 세 가지 교재의 선정 기준에 대해 살펴봤는데, 그 차이점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①번 교재는 문학작품의 언어성, 인문성을 강조하고, ②번 교재는 문학작품의 문화성을 강조하며, ③번 교재는 문학작품의 총체성과 정전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각 교재의 보다 구체적 편찬 원칙을 밝히기 위해 향후 과제로 작품 선정 기준에 관한 보다 세분화된 연구와 교재 구성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本文的主要研究目的在於闡明韓國語教育中韓國文學教育領域所應編纂的系列教材. 為此, 本文首先闡明了中國國內韓國語教育的培養目標, 教學目的和教學內容, 據此並結合外語教育中文學教育的優點分析論述了韓國文學教育在韓國語教育中的地位. 研究結果表明, 韓國教育中韓國文學教育可以在四個層面進行:一是通過文學(作品)培養學生全面的語言沟通能力及文化修養, 創造性思考能力;二是通過文學(作品)培養學生文化能力(文化修養, 創造性思考能力);三是通過閱讀賞析文學作品培養學生對文學(作品)的閱讀理解, 欣賞, 分析的文學能力(及文化修養, 創造性思考能力);四是通過文學史學習培養學生历史性的知識文化能力(及文化修養, 創造性思考能力). 與這四個層面相對應, 分別需要編寫四類教材. 其中前三個層面的教材是以文學作品為主的文學教材, 而最後一個教材則是以說明性文字為主的文學史教材. 對於如何編寫這四類教材, 本文給出了前三種教材的作品選定標準. 这三種教材作品选定标準主要不同之处在于:第一类教材着重于文学作品的语言(包括语言的难易度, 易解性等), 人文性等;第二类教材着重于文学作品的文化层面;第三类教材着重于文学作品的整體及其经典性. 此外, 本文還指出為具體阐明各類教材的編寫規則, 還需要對一些作品選定標準做進一步的細化研究, 也需要對教材編寫結構做具體的研究.

      • KCI등재

        과학적 용어를 나열하고 교체 또는 추가 하는 기법으로 가설 설정 과정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 효과

        정솔,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 실험 과정의 가설 설정 활동에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가설들을 정교하게 만드는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에 대학생들의 창의 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을 알아보았다. 개발한 한 학기용 총 10개의 교 수 전략을 경험한 실험반과 그렇지 아니한 비교반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력인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와 탐구 기능 측면으로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모형을 적용한 실험 교수 전략을 한 학기 동안 경험한 학생들의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협의의 창의적 사고력의 3개 하위 요소들인 유창성, 융통 성,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또한 이 학생들의 탐구 능력 측 면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탐구 능력의 5개 하위 요소들 중에서 문제 인식 능력, 변인 통제 능력,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 능력에 대한 비판 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결론 도출 및 일반화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05). 이 연구에서 개발 한 ‘용어 나열-교체/추가 기법’ 으로 가설 설정 활동을 강화한 일반 화학 실험 교수 전략들은 대학생 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탐구 능력을 신장시키는 실험 교수 전략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seeking and substituting or adding scientific terms for developing hypotheses i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in college, and whether the strategy enhances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en activities of making hypotheses by this method were presented to students over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p<.05). In addition, the three sub-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ll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s(p<.05).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skills with respect to inquiry thinking skills(p>.05). The sub-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recognition of problems, control of variables, and trans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in mak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p>.05). This result forms the basis for the futur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in college.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현대시 기출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박순희 ( Soon Hee Park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대학에서의 학생 선발 시 주요 전형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전국 수준의 시험으로, 지금까지 20년 이상 그 기본적인 성격이나 틀이 유지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잦은 교육과정 개정과 입시제도의 변화 속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언어 영역의 경우 수준별 수능의 도입과 폐지 등의 혼란 속에서 평가의 타당성 확보에 대한 노력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5개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현대시 기출 문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평가 문항의 형식 측면에서 최근 5개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현대시기출 문항은 매년 자료추가형 문항 하나와 둘 이상의 문두독립형 문항으로 구성되고 있는데, 출제된 각 문항의 문두까지 거의 유사하게 제시되어 문항유형의 정형화가 심각하였다. 그리고 평가 문항의 내용 측면에서는 주로 추론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것을 평가 목표로 하면서 교육과정 내용 요소 중 ‘문학 작품의 수용’ 측면에 편중되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대시 영역이 학습자의 고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사고력 향상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평가 문항의 형식측면에서 정형화된 문항 유형을 탈피하여 다양한 평가 문항을 개발해야 한다. 서로 다른 장르간의 제재통합형 문항, 문학 영역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을 연결시키는 영역통합형 문항, 다양한 매체와 관련된 통합형 문항 등의 개발을 통해 보다 종합적인 감상 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평가 문항의 내용 측면에서는 추론적, 비판적 사고력의 측정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벗어나 창의적 사고력의 측면까지도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작품의 창작 과정이나 다른 장르로의 매체 전환 과정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고차원적 사고를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제시해야 한다. 수준별 수능의 도입과 3년만의 폐지라는 체제 변화 속에서 교육 주체들의 혼란을 방지하고 바람직한 평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대학수학능력시험평가 문항의 타당성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대시 영역에서도 평가 문항의 유형화를 탈피하고 학습자의 문학 능력을 바람직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문항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In this study, I identify the problems and explore an improvement plan by analyzing the questions from the previous 5 CSAT targeting the area of modern poetry which are grasped as its standardization of questions is remarkable compared with other areas of Korean language. First, analyzing the past questions of the CSAT in the area of modern poetry in recent 5 years in the aspect of question form, the questions of modern poetry are composed as one question of material-addition and more than one questions of subject-independence, but it reveals severe standardization of the question types that even the subject of each question from tests is presented almost similarly. In addition, in terms of contents, I identify that measuring inferential think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is their assessment purpose. It shows the assessment is undertaken with bias to the aspect of ‘understanding and embracing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To step forward to the desirable direction such as contributing learner’s higher and complex thinking, reflecting the goal and contents of high school curriculum consistently and faithfully, the area of modern poetry of CSAT should improve as follows. First of all, various assessment questions should be developed by breaking away from typical questions. in the question of material-addition case, presenting critical materials is eschewed associated with analysis of the work phrases or auteurism criticism. Secondly, in the assessment contents, creative thinking assessment should be also undertaken, getting away from the tendency that is focus on measurement for inferential and critical thinking by centering on appreciate and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The most important matter is ensuring validity of the assesment questions of CSAT in order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of assessment and prevent the commotion of main agent of education in an era of rapid change, the introduction and abolition of the graded test. Therefore, in the area of modern poetry of CSAT, various efforts should be also made to improve assessment questions consistently so that learner’s literary ability is able to favorable evaluation and break away from the typology.

      • KCI등재후보

        국내 비판적 사고 및 창의적 사고 연구 동향에 대한 검토

        이진남 ( Jin Nam Y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5

        국내 비판적 사고 및 창의적 사고 관련 연구는 1960년대에 시작하여 1990년대에 발전의 발판을 만들고 2000년대에 들어와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이에 대한 분석과 점검이라는 메타적 연구는 제대로 수행된 바가 없다. 이에 논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내용적 측면에서 그동안의 연구 성과들을 분석하고 일곱 가지 특징들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후속 작업으로 2011년 상반기까지의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양적인 측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1990년대에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와 폭발적인 양적 성장이 있었다. 둘째, 내용은 조금씩 달랐지만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연구 모두 전공 편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셋째, 연구 내용에 있어 사고 성향보다는 사고 능력에 편중된 현상이 있었고 이는 비판적 사고보다 창의적 사고 연구의 경우 더욱 두드러졌다. 이러한 세 가지 특징들을 논자 자신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특징들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2000년대의 양적 편중 현상은 창의적이고 발전적인 성과의 부재, 이론 위주의 연구 경향, 의사소통과의 관련성에 대한 무관심과 양립하거나 연관되었다. 둘째, 전공편중 현상은 학제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의 부족, 단편성, 균형 있는 관계 연구의 부재라는 특징들과 양립 혹은 연관되었다. 셋째, 능력 편중 현상은 사고 능력 위주의 연구와 정확히 일치했다. In this essay, I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searches 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in Korea from 1960s to 2011, and I also compare these results with my former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ame subject matter. As a meta-research, I classify theses, articles and monographs on these subject matters from quantitative perspectives.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s: first, gradual increase of studies on critical thinking turned into sharp after 2000. Second, education, philosophy, psychology and nursing science comparatively produced more achievements. Third, studies on competence and theories are greater than those on disposition. After I compare these three with seven characteristics in my former research, I find these: first, preponderance in 2000s is related to the lack of creative and progressive research, centering on theoretical research and indifference to the relevance with communication. Second, leaning to some majors is related to the lack of interdisciplinary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scrappiness, and the absence of balanced studies with related fields. Third, straining on thinking competence corresponds with few research on disposition.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김지숙(Ji-Suk Kim),최희정(Hee J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에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P시 U 대학교 간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한 18명 실험군과 K 대학교 2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 캡스톤디자인 수업 전 후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창의적리더십이 높아지면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교육 실시 후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성향 등을 반복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간호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apstone Design Program on creative 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18 experiment groups taking course in nursing capstone design of U university in P city and 20 control group of K university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nursing capstone design class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Students Creative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showed improvements after the Capstone Design Program. Creative 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n Problem solving abilities appeared to be higher improved critical thinkin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sufficient repetitive practice is to be made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효과 : 창의적 사고, 문제해결 수행능력을 중심으로

        김수향,정대련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주 소재 H유치원 소속의 만 5세 유아 16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Torrance의 TTCT 중 '언어' 검사와 Treffinger의 CPS 체크리스트가 활용되었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이 추가되었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 사고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문제해결 수행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은 유아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picture-books on both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ixteen 5-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 "H" in Gyeongju, Kyungsang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of 8 children participated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12 picture-books, and the the control group was in the process of usual class after listening to the same book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lasted for 12 weeks, the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were video taped, and all dialogues were transcribed. The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picture-books were assessed by Torrance's TTCT(Verbal) and Treffinger's check lists of CPS. The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bilities were analyzed by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children's response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were interpreted. The results 1.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enhanced the creative thinking in aspects of fluency, flexibility and uniqueness. 2.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enhanced the children's problem-solving performance ability, in areas such as, analyzing problems, designing strategies, applying them properly, and generating new ideas. In conclusi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can help young children develop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performance abilit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s a tool for solving problems, should be encouraged at an early age so that it can become a natural and accepted part of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