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재 편찬 연구

        南燕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3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학교육을 위한 교재의 총체적인 체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중국 내 한국어학과의 양성목표,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문학교육의 유용성을 적용시켜 한국어학과에서의 한국문학교육의 위상을 밝혀 봤다.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학교육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이루질 수 있다. 첫째, 전면적 의사소통 능력을 통합적으로 신장시키고 문화적 소양(문화적 소양)과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언어자료로서의 문학(작품)에 대한 교육; 둘째, 문화능력 신장(과 문화적 소양 함양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함양하기 위한 문화자료로서의 문학(작품)에 대한 교육; 셋째, 전문 분야의 의사소통 능력(즉 문학능력)(과 문화적 소양 함양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학(작품)에 대한 교육; 넷째, 문화능력의 신장(과문화적 소양 함양과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문학사에 대한 교육이다. 이들 위상에 각각 대응하여 네 가지 한국문학 교재를 구상해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앞의 세 가지 교재는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이루는 교재이고, 마지막 교재는 설명 글을 위주로 하는 문학사 교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의 세 가지 교재의 선정 기준에 대해 살펴봤는데, 그 차이점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①번 교재는 문학작품의 언어성, 인문성을 강조하고, ②번 교재는 문학작품의 문화성을 강조하며, ③번 교재는 문학작품의 총체성과 정전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각 교재의 보다 구체적 편찬 원칙을 밝히기 위해 향후 과제로 작품 선정 기준에 관한 보다 세분화된 연구와 교재 구성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本文的主要研究目的在於闡明韓國語教育中韓國文學教育領域所應編纂的系列教材. 為此, 本文首先闡明了中國國內韓國語教育的培養目標, 教學目的和教學內容, 據此並結合外語教育中文學教育的優點分析論述了韓國文學教育在韓國語教育中的地位. 研究結果表明, 韓國教育中韓國文學教育可以在四個層面進行:一是通過文學(作品)培養學生全面的語言沟通能力及文化修養, 創造性思考能力;二是通過文學(作品)培養學生文化能力(文化修養, 創造性思考能力);三是通過閱讀賞析文學作品培養學生對文學(作品)的閱讀理解, 欣賞, 分析的文學能力(及文化修養, 創造性思考能力);四是通過文學史學習培養學生历史性的知識文化能力(及文化修養, 創造性思考能力). 與這四個層面相對應, 分別需要編寫四類教材. 其中前三個層面的教材是以文學作品為主的文學教材, 而最後一個教材則是以說明性文字為主的文學史教材. 對於如何編寫這四類教材, 本文給出了前三種教材的作品選定標準. 这三種教材作品选定标準主要不同之处在于:第一类教材着重于文学作品的语言(包括语言的难易度, 易解性等), 人文性等;第二类教材着重于文学作品的文化层面;第三类教材着重于文学作品的整體及其经典性. 此外, 本文還指出為具體阐明各類教材的編寫規則, 還需要對一些作品選定標準做進一步的細化研究, 也需要對教材編寫結構做具體的研究.

      • KCI등재

        한국 문학사 교육을 위한 한국 현대 문학작품 선정 연구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남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어 교육 Vol.26 No.3

        Considering the lack of the studies about the selection and bibliograph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used in Korean literary history education which focuses on the Korean major students in China and a series of questions existed in the existing textbooks,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out the list of the modern Korean literary works service to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chapter 2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Korean literary history education which aims at the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puts forward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selecting the Korean used i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applicable to practical teaching. In pursuit of efficiency, this study does not focus on the research monograph of Korean literary history, but prefers to compare the existing 11 kinds of Chinese textbooks of literary history and literature readings textbooks with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namely Literature and Korean, as well as the bibliograph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used in Korean literary history education to make an analysis of the bibliography. On the basis of the study in chapter 3, chapter 4 sorts out the selected firsthand Korean literary works used i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ry history, and puts forward the direction of selecting the supplementary works. The supplementary works should be selected with the reference to the literary works contained in the textbooks both in Korea and China. If it is difficult to select, it should be in line with notion that Chinese students ought to share the same literary experience with Korean students to select referring to the list of all the literary works included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first puts forward a feasible list of Korean literary works used in Korean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offers some important suggestions.

      • KCI등재

        중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된 조절효과

        남연,홍혜영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ife stress perceived by adolescents affects depression, and to analyze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 total of 454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7.0 and PROCESS Macro. First, self-esteem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Secon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adaptive strategies on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did not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strategies, yet the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strateg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a resul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aladaptive strategies was verified.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지각하는 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전라남도에 재학 중인 중학생 1, 2, 3학년의 남학생과 여학생 총 4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7.0,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생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과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되는 매개된 조절효과의 유의성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자아존중감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최종적으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에서 산재보상을 신청한 과로사에 관한 연구

        남연,오차재,박정래,이동준,조병만,이수일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1

        목 적 : 부산지역의 근로복지공단에서 1991년부터 1999년까지 과로사 관련 보상심사가 이뤄진 총 219례를 대상으로 과로사의 발생양상과 그 인정여부에 영향을 밀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향후 과로사 관련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부산지역의 3개 근로복지공단 지사에 소장된 과로사 심사기록을 대상으로 재해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소속사업장과 근무환경에 대한 변수, 사망원인질환과 기존질병력, 업무상 과중부하의 성격과 분류, 직무수행성과 직무기인성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행정기관의 과로사 인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였다. 결 과 : 1. 전체 219례 중 135례(61.6 %)가 과로사로 인정을 받았으며, 96년 이후 매년 50례 이상의 보상신청이 이뤄져 왔다. 전체의 30.6 %가 50인 미만의 영세사업장 소속이었고, 직업운전사와 경비 직종이 34.7 %로 높았다. 연령층은 50대 이상이 48.8 % 였고, 하루 12시간 이상의 근무자가 29.6 % 였다. 근무형태에서는 교대근무와 심야근무 등의 불규칙 근무형태가 37.5 %였으며, 새로운업무에 배치된 지 6개월 이내에 발생한 경우가 21.5 %였다. 2. 사망원인으로는 뇌출혈 등의 뇌혈관계 질환이 전체의 49.8 %로 심장질환보다 많았고, 현행법령상의 인정범위에 속하는 경우가 85.4 %였다. 또한 선행질병력이 48.9 %에서 나타났는데, 대다수가 고혈압 등의 순환기 질환으로 확인되어 이들 병력자들의 보건관리에 중점을 둘 필요를 보였다. 3. 운전과 감시·정밀작업, 위험작업, 잦은 장기 출장 등의 위험요인에 노출된 경우가 전체의 53.9 %였고, 재해에 선행된 돌발사건이 전체의 17.8 %에서 관찰되었다. 업무상 과중부하에서 업무량증가와 업무시간연장이 전체의 64.7 % 였고,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육체적, 정신적 과중부하가 있었던 경우가 42.5 %였다. 이 결과로 볼때 현행 법령상의 장기적인 과로에 대한 인정범위가 보다 확대되어야 할 필요를 보여준다. 4. 과중부하가 발생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 예가 전체의 76.3 %로 실제 인정율보다 높았다. 이중 충분요인으로 작용한 경우가 43.6 %, 부분요인인 경우가 10.4 %, 변경·촉진요인인 경우가 22.3 %였다. 5. 과로사 인정여부와 각 변수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해당 업무의 근무경력이 6개월미만인 경우가 교차비 6.76(p=0.016), 사망질환이 법규상의 뇌심혈관계질환에 포함되는 경우가 교차비 3.00(p=0.034)을로 유의하게 높았다. 업무상 과중부하의 증가가 있는 경우는 교차비가 2.02로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다소 낮았다(p=0.081). 반면 50대 이상의 고령층과 기존 병력자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불인정되는 경향을 보여 현행 행정기관의 인정기준이 과로에 민감한 대상층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론 : 부산지역에서의 과로사는 주로 50인 미만의 영세사업장 중 운전업, 경비업 등에 종사하는 40대 이상의 중·고령층 근로자에서 많았다. 재해자중 다수에서 뇌·심혈관계질환 병력이 확인되었고, 행정기관의 과로사 인정에는 법규상 인정범위의 뇌·심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한 경우와 재해자의 근무경력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서 인정되는 경우가 의미있게 높았다. 반면 기존 질병력이 있거나 50대 이상의 고령층의 경우 과로사로 인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보다 많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과로와 과중부하를 유발하는 고위험직업에서의 과로사 빈도가 높아 현행 법규상의 과로인정기간의 범위를 넓혀야 할 것이고 직업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는 인정기준의 검토와 개선이 요구된다. 그리고 과로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업무시간 및 업무량의 개선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Onjectives : Karoshi is a word meaning death from work-overload. Work-related diseases due to continuous overwork are primarily cerebro- and cardio-vascular in nature. In korea, despite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Karoshi, it is not easy to recognise by workmen's compensation in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basic information concerning the incidence of Karoshi. Methods : 219 cases were collected based on workers' compensation records of three Busan Regional Centers of Labor Welfare Corporation from 1991 to 1999. The size of workplace, occupation, daily working time, type of working schedule, job tenures, characters of work-overload and duration of work-overload were investigated according of subgroups of general characterictics. Both univariat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r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a recognition of Karoshi. Results :1. 61.6 % of total cases were recognized as Karoshi. 30.6 % occurred in a small workplace of less than 50 workers, 34,7 % were drivers or guardss, and 48,8 % were more than 50 years old. Additionally, 29.6 % worked more than 12 hours, 37.5 % were irregular hours and shift workers and 21.5 % of the total had been on the job less than 6 months. 2. Of the causes of death, 49,8 % was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it was more than cardio-vascular ones. And 80.4 % of total cases was belonged to the recognition-category of the Labour Ministry's Law. The previous desease history was found on 49.8 % of all cases. Of them, hypertension was most common as 21.9 %. 3. 53.9 % of patients were exposed to job hazards such as driving, monitoring, guarding, risky jobs and frequent long-term official trips. 64.7 % recorded a increased work-overload of job contents and working hours. Of the several types of work-overload, 42.5 % displayed long-term physical and psychotic work-overload and 22.2 % exhibited job characteristic work-overload. 4. In this study, work-overload was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Karoshi in 76.3 % of cases. This rate wa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of Workmen's compensation recorded by the Korea Labor Welfate Corporation. Of these, 43.6 % belonged to sufficient factors, 10.4 % partial factors, and 22.3 % were due to aggravating factors. 5. Logistic regression demonstrated that death due to cerebro- and cardio-vascular disease, short-tenure within 6 mon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recognition of Karoshi (p=0.034, OR=3.00, CI=1.09~8.30/p=0.016, OR=6.76, CI=1.43~32.07 respectively) and that an increase of work-overload was also associated, bu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lightly lower(p=0.081, OR=2.02, CI=0.91~4.46).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is recognition and overtime work, hazardous job, irregular work schedule, low-income, injury-onset place, or small size of workplace. The elderly group(>50years old) and those with a previous disease history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cognition although the statistical associaltion was low. Conclusions : Karoshi in Busan occurred frequently in a small workplace of less than 50 workers, especially drivers or guards. Additionally, these cases worked more than 12 hours, were irregular hours and shift workers. The death due to cerebro- and cardio-vascular disease, short-tenure within 6 mon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recognition of Karoshi. However Karoshi in this study occurred frequently in overtime work and high risk groups of work-overload. Therefore, for prevention of Karoshi, work-overload and overtime work need improved and controled.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 현황 분석 및 향후 방향 설정

        남연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61

        This paper focuses on the realistic problem that the introdu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s rare in China today and with a view to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researcher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e instruction direction aiming to modern Korean literature major graduates. Therefore, in order to spread modern Korean literature more widely and solve the problem that the dire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research is not clear, this paper will discuss the setting of the dire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research. Thus, Chapter 2 of this study identified the nature, purpose, and scop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research in China by distinguishing it from Korean literature studies in order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research status and presenting future direction. Chinese researchers of Korean literature will take the position of Korean literature introducers, comparative researchers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and educators of Korean literature as foreigners. The purpos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research as a foreign literature study is to introduce modern Korean literature, to develop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by looking into Korean literature, and to conduc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o achieve individual growth. Depending on the framework of this analysis, Chapter 3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modern academic literature by dividing the form of research results (books, papers, articles) and research fields (body of literature,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ry translation). Theses and general papers, which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udies, were analyzed in detail by period based on the origi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presented in detail the completeness of future research. Considering that the research system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in China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Chapter 4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presen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t a macro leve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3. They include the study of the body theory of literature that needs to be reorganized, the study of literature education that needs to be done based on correct research consciousness and theory, and the study of translation of literature that has to be gradually deepened from practical research to theoretical study. 본 연구는 한국 현대문학이 중국 지역에 많이 소개되어 있지 않다는 현실적인 문제와 한국 현대문학 연구자로서 지향해야 할 연구의 방향, 그리고 대학원문학전공자를 위한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지도 방향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현대문학을 널리 소개하고,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불분명한 방향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방향 설정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 현황 분석과 향후 방향 제시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외국인’이라는 입장에 착안하여 국문학 연구와 구별하여 중국 내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성격과 목적 및 연구의 내용 범위를 규명하였다. 중국인한국문학 연구자는 외국인으로서 한국문학 소개자의 입장, 한중문학 비교 연구자의 입장, 한국문학(외국문학) 교육자의 입장을 지닌다. 이에 외국문학 연구로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목적은 한국 현대문학을 소개한다는 것, 한중문학을 들여다봄으로써 한중문학을 발전시킨다는 것, 개개인의 성장을 이루게하는 한국문학 교육을 실시한다는 것,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연구 내용범위도 한국문학 본체론 연구(비교문학 연구 포함), 한국문학 교육 연구, 한국문학 번역 연구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분석의 틀에 따라 3장에서는 연구 성과의 형태(저서, 논문, 기사문)와 연대 및 연구 분야(문학 본체론, 문학교육, 문학번역)에 따른 개괄적인 연구 현황을 분석하였고, 연구 수량이 비교적 많은 학위 논문과 일반 논문 등은 한국 현대문학사의 시기구분에 따라 시대별로 나누어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향후 연구의 보완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중국 내 한국 현대문학 연구 체계가 미비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거시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해 제시하였다. 체계적 소개부터 연구 내용을 재정립해 나가야 하는 문학 본체론 연구, 올바른 연구 의식과 이론을 기반으로 해 나가야 하는 문학교육 연구, 실천 연구에서 이론 연구까지 심화해 나가야 하는 문학 번역 연구가 그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