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재참여의도에 대한 감정 에너지(emotional energy)와 그룹 동일시의 역할

        오지현(Jihyeon Oh),김유겸(Yukyoum Kim)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는 감정 에너지(emotional energy)라는 개념을 스포츠 참여 상황에 적용하여 감정 에너지가 스포츠 참여자의 재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스포츠 참여 그룹에 대한 그룹 동일시와 재참여의도의 관계에서 감정 에너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Amazon Mechanical Turk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했고, 이 중 불성실 응답 9개를 제외한 360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정 에너지의 직간접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포함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동일 종목에 대한 스포츠 참여자의 그룹 동일시는 재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1). 그룹 동일시는 감정 에너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H2), 감정 에너지는 스포츠 재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3). 마지막으로, 그룹 동일시는 감정 에너지를 통해서 재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4).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그룹 동일시가 높은 스포츠 참여자 일수록 감정 에너지를 통해 재참여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그룹 동일시와 감정 에너지의 경험이 스포츠 재참여의도의 증가에 있어 그룹 동일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규명했다. 또한, 감정 에너지라는 개념이 스포츠 경영학 분야에서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상황과 관계를 설명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motional energy, which has been mainly used in the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fields, affects the re-participation intention by applying it to a sport participation context.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ner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identifica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To test this purpose, we recruited a sample of 360 sport participants from Amazon Mechanical Turk (MTur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bootstrapping procedur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using Mplus7.0.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group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participation intention(H1).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roup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energy(H2).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nergy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H3). Thus, group identification indirectly influenced re-participation intention through emotional energy(H4). The significant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to use the concept of emotional energy in the sport management field as a key predictor of re-participation intention which is a valuable outcome in the sports industry. Moreover, results also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sport managers, sports centers, and sport instructors. A number of situational factors, such as other participants’ passion or the entertainment value as perceived by the individual, may influence the experience of emotional energy in a positive manner. Furthermore, there may be additional factors(e.g., constraints, extrinsic motivation) that negatively influence emotional energy, which is also worth investigat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융합연구 메타버스 심포지엄 참여속성이 만족도, 재참여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메타버스 사전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영희,김진희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

        융합연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융합연구 메타버스 심포지엄의 참여속성이 만족도, 재참여의도 및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심포지엄을 참여한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22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4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융합연구 심포지엄 참여속성은 만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는 재참여의도 및 구전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참여의도는 구전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참여속성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메타버스 사전지식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심포지엄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심포지엄 참여속성과 같은 연구자들의 참여를 집중시킬 수 있는 요인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비대면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홈트레이닝 참여자를 대상자로

        황체리,전찬수,신승호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4

        이 연구는 비대면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ㆍ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글(Google) 온라인을 통한 눈덩이표집방법으로 홈트레이닝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지를 배포하였고 238명이 응답하였다. 이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14부를 제외한 총 224부를 최종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 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으며,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대면 운동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 요인 중 내적동기는 참여만족의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요인에, 외적동기는 환경적, 신체적, 교육적, 심리적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대면 운동프 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는 운동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비대면 운동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만족 요인 중 신체적요인과 교육적요인이 운동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홈트레이닝을 통해 체중조 절과 건강 또는 운동자체의 매력에 빠져들어 새로운 기술들을 익히 것 등에 재미와 기쁨을 느낄 수 있다면 홈트레이닝과 같은 비대면 스포츠서비스 환경이 지속적으로 활성화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38 home training participants by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hrough the Google online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224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validity,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participation motive factors,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physical,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eco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Third, among non-face-to-face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participation satisfaction factors, physical and educational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In conclusion, if you can fall into the charm of weight control, health, or exercise itself through home training and feel fun and joy in learning new technologies, it is highly likely that non-face-to-face sports service environments such as home training will continue to be active.

      • KCI등재

        희소성 메시지와 기업신뢰가 크라우드 펀딩 참여만족도 및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종석,송경수,권영선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8 기업경영리뷰 Vol.9 No.2

        The growth of internet, social network service and community vitalization by advanced IT technology has been making crowd funding industry activated. Crowd funding is a new form of financing way to fund-raise form public through online platform for idea or startup, expansion of business, or various projects.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scarcity message and corporation trust on the crowd fund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A scarcity message is one of the message appeals of sales promotion type, attempting to increase customer’ intent to purchase products by informing of the fact that likelihood of purchases is limited. Scarcity message can be a way of promotion that motivates customers to choose this restriction and incites them to interest in and fascination by a product and increase their desire to obtain the product by limiting the usability or freedom of choice on the product.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prove the customer behavior to the limited availability of products and trust by examining the effect of scarcity message and corporation trus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corporation trust into benevolence, integrity, competence and analyzed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re-participation intention and scarcity and corporation trust. Th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arcity message turned out to affect positively the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benevolence,,competence, sub-factors of corporation trust affected positively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integrity, one of the sub-factors of corporation trust did not turn to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ird, Scarcity message turned out to be effective one that affect the re-participation intention for crowd funding. Forth, all of the sub-factors of corporation trust had positive effect on the re-participation intention for crowd fu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articipation corporation should develop their advertising message that is easier to process through the scarcity message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s’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본 연구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의 성공을 위하여 크라우드 펀딩 참여자에게 희소성 메시지와 기업신뢰의 효과가참여자의 만족과 재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희소성 메시지는 판매촉진 유형의 메시지 소구방법 중 하나로 소비자에게 구매 가능성이 제한되어 있다는사실을 알림으로써 구매의지를 증가시키는 시도이다. 희소성 메시지는 제품에 대한 이용가능성이나 선택의자유를 한정시킴으로써 소비자들이 제약에 대한 선택 동기를 유발하게 하고 제품에 대한 관심과 매력을 부추겨제품을 획득하고자 하는 욕구를 증가시키는 촉진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희소성 메시지와 함께기업신뢰를 호의성, 진실성, 전문성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하여 종속변수인 만족도와 재참여의도에 미치는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희소성 메시지는 크라우드 펀딩 참여자의 만족에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신뢰 중 호의성, 전문성은 크라우드 펀딩 참여자의 만족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실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소성메시지는 크라우드 펀딩 참여자의 재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신뢰의 세가지 하위요인인 호의성, 진실성, 전문성은 크라우드 펀딩 참여자의 재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연구 결과 크라우드 펀딩 참여기업으로 하여금 광고를 제작할 때, 참여자의 만족도와 재참여의도를 높이기위해서는 희소성 메시지를 통해 소비자들이 광고를 이해하기 쉽도록 제작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골프참여자의 마인드셋과 회복탄력성 및 운동지속의 관계 분석

        정지해,원영인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olf participants' mindset, resilience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Method] We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resilience,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through the spss 22.0 program for golf participants' data collected to derive results. [Results] First, the growth mindset of golf participants had a positive (+) effect on resilience (control, positivity, sociality). Second, golf participants' growth mindset had a positive (+) 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possibility, reinforcement, tendency), and fixed mindset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intention (possibility, reinforcement). Third, among golf participants' resilience, control was i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propensity), positivity was i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possibility, reinforcement, tendency), and social was i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possibility, tendency) had an influence. [Conclusion] In the light of these research results, participants with a high tendency of growth mindset are positive and understand that they are in the process of growth, and participants with a high tendency of fixed mindset are not compared with other participants but a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ort to concentrate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exercise continuity. [목적] 본 연구는 골프참여자의 마인드셋과 회복탄력성 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결과 도출을 위해 수집된 골프참여자의 자료를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마인드셋과 회복탄력성 및 운동지속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골프참여자의 성장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골프참여자의 성장마인드셋은 운동지속의도(가능성, 강화성, 경향성)에, 고정마인드셋은 운동지속의도(가능성, 강화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골프참여자의 회복탄력성 중 통제성은 운동지속의도(경향성)에, 긍정성은 운동지속의도(가능성, 강화성, 경향성)에, 사회성은 운동지속의도(가능성, 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로 비추어 볼 때, 성장마인드셋의 경향이 높은 참여자에게 긍정적이며, 성장 과정에 있음을 이해시키고, 고정마인드셋의 경향이 높은 참여자에게 다른 참여자와 비교하지 않고 자신의 목표에 집중하려는 노력이 회복탄력성과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서핑참여자들의 참여목적과 참여수준에 따른 감각추구성향과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도

        김성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서핑참여자들의 참여목적과 참여수준에 따른 감각추구성향과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도의 차이분석을 통하여 서핑종목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동해안‘I’지역의 서핑참여자들(163명)을 대상으로 SPSS 23.0 통계분석을 통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일원변량 분산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핑참여자들의 참여목적에 따른 감각추구성향은 집단 간 차이가 없고, 운동정서, 운동지속 의도는 서핑마니아를 원하는 참여집단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집단에서 참여목적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서핑참여자들의 참여수준에 따른 감각추구성향과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도 모두에서 중급자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핑을 잘하고자 하는 욕구로 중급자 집단에서 심리적부적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서핑교육과 사업을 주관하는 담당자는 참여자들에게 올바른 목적이 선행되도록 하여야 하며, 참여수준에 따른 심리적 효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체험수준부터 맞춤식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승마 참여동기, 참여제약, 지속의도 및 참여수준의 관계

        김봉수 ( Kim Bong-su ),양명환 ( Yang Myung-hwa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승마 참여 동기와 참여수준 간의 관계에서 참여제약, 지속의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승마 동호인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251명을 연구대상을 선정하였으며, 대상자들은 참여동기, 제약, 지속의도 및 참여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완료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18.0, SPSS PROCESS Macro 연속다중매개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즐거움 추구 동기는 개인내 제약과 지속의도를 경유하여 승마 참여수준에 부(-)의 간접효과를 유발하였으며, 지속의도 또한 즐거움 추구동기와 승마 참여수준 간의 유의한 정(+)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둘째, 건강·체력 동기는 대인간 제약과 지속의도를 경유하여 승마 참여수준에 정(+)의 간접효과를 유발하였으며, 지속의도 또한 건강·체력동기와 승마 참여수준 간의 유의한 정(+)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셋째, 직업적 동기는 대인간 제약과 지속의도를 경유하여 승마 참여수준에 부(-)의 간접효과를 유발하였으며, 지속의도 또한 직업적 동기와 승마 참여수준 간의 유의한 정(+)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articipation constraints and persistence inten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level.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1 adults participating in horseback riding hobbyist activiti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onnaire assessing participation motivation, constraints, persistence intention, and participation leve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18.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Pleasure-seeking motivation caused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horseback riding participation through intra-individual restrictions and persistence intentions. Persistence intention also cause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between pleasure-seeking motivation and horseback riding level. Health and fitness motivation cause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horseback riding participation through interpersonal constraints and persistence intention. In addition, persistence intention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between health· fitness, and horseback riding. Occupational motivation caused negative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horseback riding participation through interpersonal constraints and persistence intention. Seventh, social motiv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horseback riding through participation constraints and persistence intention, but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through persistence intention were significant.

      • KCI등재

        아동의 운동참여에 따른 끈기와 자기조절이 운동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인수(Kim, In Soo)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influence of children s tenacity and self-control on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xercis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361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ors: 199, non-participators: 162) residing in G City and J province were analyzed and firstly compared with the variables between the participating children and the nonparticipating children. This study use exercise participation scale which is constructed frequency, time, and periods of participation, tenacity scale which is constructed 9 questions, self-regulation scale which is made by Hur(2003),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ports participation which is made by Kim(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ort participators show higher tenacity, cognitive, motivational, and active self-regulation score than those of non-participators. This is to proof positive effect of sport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directly. Second, there are correlated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variables(frequency, time, periods) and tenacity, self-regulation, and intention to exercise participation. Third, among the exercise participants, participation tim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ersistence, self-regula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 significantly affec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In the case of exercise participation time, i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when the time of participation is more than one hour. Fourth, child persistence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xercise.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운동참여에 따른 끈기와 자기조절이 운동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도적 표집법에 의해 G광역시와 J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361명(참여: 199명, 비참여: 162)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첫째, 운동참여아동과 비참여아동 간 변인을 비교한 결과 참여아동이 비참여아동에 비해 끈기, 자기조절(인지적, 동기적, 행동적)과 운동참여의도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운동참여가 끈기와 자기조절, 운동참여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빈도, 시간, 기간, 끈기,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자기조절은 운동참여의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참여변인 중 참여시간이 끈기와 자기조절, 운동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참여빈도는 운동참여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참여 시간의 경우 1회 참여 시간이 1시간 이상일 때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끈기와 행동적 자기조절은 운동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참여자의 관광업 종사 여부와 성별을 중심으로 -

        양영순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rural tourism education on behavioral intention, as well as participants’ engagement in tourism and gender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For this, 183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 rural tourism education and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otives for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education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personal network, intrinsic satisfaction, and social utility, all of which positively influenced behavioral intention. Personal network most strongly affected behavioral intention, followed by intrinsic satisfaction and social utility. The results show that both participants’ engagement in tourism and gende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t implies that individual variables including participation motives for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nduce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s in rural tourism education. Also needed are special programs or schemes to boost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to build networks. 본 연구는 농촌관광사업의 기획과 운영을 위해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농촌관광교육의 교육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 사업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교육 참여자의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그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관광업 종사 여부와 성별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는 2016년 10월 28일부터 12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18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관광교육의 참여 동기는 ‘인적 네트워크’, ‘내재적 즐거움’, 그리고 ‘사회적 효용’으로 구성되며, 행동 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동기의 3가지 요인 중에는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 배우고 교류하며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얻고자 하는 인적 네트워크 요인이 행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자의 참여 동기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관광업 종사 여부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육 참여자가 관광업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적 네트워크가 행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반면에, 관광업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학습 자체에 대한 즐거움이나 만족을 추구하는 내재적 즐거움이 가장 큰 동기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관광교육 참여자의 호의적인 행도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각의 참여 동기와 관련된 교육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고, 교육 이후에도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포럼이나 학습 조직의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참여자의 관광업 종사 여부나 성별과 같은 변인을 활용하여 교육 과정을 세분화하고, 교육 내용을 포함한 운영 방식의 차별화를 고려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관계효익은 고객참여를 유도하여 서비스제공자에 대해 관용하게 하는가?

        김수정,김기중,현병환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2 마케팅관리연구 Vol.27 No.1

        서비스 산업에서의 서비스 비분리성 특성에 기인하는 고객참여는 오늘날과 같은 언택트(non-contact) 소비 시대에도 여전히 그 중요성을 간과하기 어려우며, 서비스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서비스 경 제를 통한 서비스 가치 창출이 가일층 중요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런데도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고 객참여를 통한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사이의 이해 가능한 매개변인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심리적 매개변인인 고객관용을 중심으로 관계효익이 고객참여를 유도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 관용하게 하는지를 검증하고, 이후 고객참여와 고객관용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미용실 이용자를 대상 으로 설문을 시행하여 수집된 401부의 유효설문을 기초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및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참여의 선행 변수 관계효익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효익, 심리적 효익, 경제적 효익은 고객참여에 모두 유의한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고객참여는 서비스 접점에서 기대한 대로 전달되지 않은 상황에 대해 인내하 고 참는 고객관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참여는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고객관용 또한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증 명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비분리성에서 기인하는 고객참여와 재구매의도 간의 서비스 성과에 대한 기저 원인을 파악하고자 고객참여와 재구매의도 사이의 매개변인인 고객관용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 함에 그 의의가 있다. 결론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고객참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서비스제공자와 서비 스 고객 간의 진정성 있는 상호작용을 통한 고객관용은 서비스 접점 이후 서비스 결과 실패를 줄여줌으 로써 종국적인 서비스 실패 이후 서비스 회복 노력에 투입되는 많은 손실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는 의 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Customer participation due to the inseparability of service in the service industry is still difficult to overlook its importance even in today's non-contact consumption era. Thi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Nevertheless, previous studies have not been sufficient to study understandable mediator variables between antecedent and outcome factors through customer particip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relational benefits induce customer participation and tolerant of service providers, centering on customer tolerance, a psychological mediator of the interaction between customers and service providers, and then to verify that customer participation and customer tolerance It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valid questionnaires of 401 copies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targeting beauty salon us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benefit, psychological benefit, and economic benefit, which are sub-variables of relational benefit as an antecedent variable of customer participation, all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on customer participation. Second, customer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tolerance to endure and tolerate situations that were not delivered as expected at the service point of contact. Third, it was prov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custome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customer tolerance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s an empirical analysis of customer tolerance, which is a mediator between customer particip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causes of service performance between customer particip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resulting from service inseparability. . In conclusion, this study re-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ustomer participation and customer tolerance through sincer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 customers reduces the failure of service results after service contact, resulting in a lot of loss in service recovery efforts after eventual service failure. It provides a meaningful implication that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