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애인에게 체육활동의 가치는 무엇인가? : 수단목적 사슬 이론의 적용
원영인 한국체육과학회 2025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ived value of physical activity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participants registered with the regional branches of the Korea Paralympic Committee as of 2024.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50 participants, with 50 individuals selected from each of the five regions: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TP (Attribute–Consequence–Value) laddering technique, applying both soft and hard laddering sequentially.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attribute–consequence phase, the most prominent links were: preference for physical activity–goal setting, preference for physical activity–enhancement of mental health, and cost efficiency–economic benefits. In the consequence–value phase, the connections were: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skills–diversity, acquisi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expertise, and economic benefits–cost-effectiveness. These findings empirically present the value structure of physical activit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disability sports policies and educational programs.
골프참여자의 마인드 셋과 운동 지속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 효과 검증
원영인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3
[목적] 본 연구는 골프참여자의 마인드 셋과 운동 지속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결과 도출을 위해 수집된 골프참여자의 자료를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다중회귀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 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매개 효과의 간접효과 검증은 Sobel Test 기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골프 참여자의 마인드 셋과 그릿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인드 셋과 운동 지속은 부분 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인드 셋과 운동 지속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 매개와 완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로 비추어 볼 때, 골프참여자들에게 장기적 비전을 제시하 고, 수행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지도 방법 적용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lf participants' mind set and exercise continuity. [Metho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22.0 program on the golf participant data collected to derive the results, and the Sobel Test technique was used to verify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olf participants' mindset and grit had a partial influence. Second, mind set and exercise continuity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influe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set and exercise continuity, grit was found to have partial and complete mediation effects. [Conclusion] In light of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long-term vision to golf participants and to apply a coaching method that can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during the performance process.
코어 안정성, 기능적 움직임 및 재활훈련을 위한 서스펜션 트레이닝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원영인,정주연,홍상민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는 코어 안정성 향상, 기능적 움직임과 재활훈련 및 부상예방에 효과적인 서스펜션 트레이닝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서스펜션 트레이닝은 코어안정성을 향상시켜주며 일반인뿐만 아 니라 선수들의 체력과 경기력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서스펜션 트레이닝은 기능성트레이닝으로 적용 가능하 기에 기능적 움직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서스펜션 트레이닝은 코어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부상예방과 재활 에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선수와 일반인들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서스펜션트레이닝은 코어의 안 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능적 움직임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상예방과 동시에 재활훈련의 도구로서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트레이닝 적용 시 고려하여할 훈련프로그램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suspension training that are effective in enhancing core stability, functional movement,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njury preven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uspension training could improve core stability and could improve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for athletes as well as the ordinary person. Second, suspension training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movements as it could be applied to functional training. Third, suspension training could improve core stability and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injur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Therefore, the suspension training that could be applied to both the athlete and the ordinary person and coul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core, functional movement and could be used as a tool for rehabilitation training at the same time as injury prevention. It is considered to be a recommend program when applying combined training.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영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권, 충청권, 전라권의 4개 권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인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된 12부를 제외하고 총 38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모형방정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출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건강관리는 수면장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대외활동은 수면장애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신체활동은 수면장애에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체장애 인의 건강증진행동이 수면장애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행동을 이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sleep disorder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00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lived in four regions of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Jeolla-do, and a final analysis of 388 data except 12 copies lacked consistency in response. Used fo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pply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equation through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ealth care, a sub-factor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d not affect sleep disorders. Second, external activity, a sub-factor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sleep disorders. Third, physical activity, which was a sub-factor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a partial negative effect on sleep disorders. Through these studie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s been shown to alleviate sleep disorders.
지체장애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증진행동의 관계에서 스포츠 태도의 매개 효과검증
원영인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port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registered as the disabled 2019. 222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urvey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researcher directly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 administrated method. Data processing was done b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using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SPSS and Amos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styl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ffected health promotion behavior. Second, the sport attitude appeared as a partial mediating mod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증진행동의 관계에서 스포츠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2019년 현재 등록된 지체장애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222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연구대상자인 지체장애인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참여에 동의한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와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스트랩핑 기법을 적용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라이프스타일은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증진행동의 관계에서 스포츠 태도는 부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체장애인의 건강 증진활동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인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후속연구를 파생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지체장애인의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
원영인,백재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2 재활복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experience avoidanc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70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living in five regions of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pain tolerance, a sub-factor of experience avoid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hysical ac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econd, pain aversion, a sub-factor of experience avoida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hysical ac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Third, suppression and denial, which are sub-factors of experience avoida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health management and physical ac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urth, distraction and inhibition, which are sub-factors of experience avoida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health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hysical ac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ifth, delayed behavior, a sub-factor of experience avoida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physical activity, a sub-factor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ixth, it was found that avoidance behavior, a sub-factor of experience avoidance, did not affect all sub-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이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의 다차원적 경험회피가 건강증진행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의 5개 권역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 170명을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경험회피의 하위요인인 고통감내는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신체활동에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험회피의 하위요인인 고통혐오는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신체활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험회피의 하위요인인 억압및 부인은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인 건강관리, 신체활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회피의 하위요인인 주의분산 및 억제는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인 건강관리, 대인관계, 신체활동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험회피의 하위요인인 지연행동은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인 신체활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험회피의하위요인인 회피행동은 건강증진행위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연구를 통해서 지체장애인들의 사회적 정상화 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프로축구선수의 은퇴불안 및 은퇴 후 삶의 기대에 관한 연구
원영인,권순형,김지태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축구선수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불안 및 은퇴 후 삶의 기대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 다. 연구대상자는 대한축구협회에 소속된 K1, K2, K3, 내셔널 축구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 추출방 법을 사용하여 각 구단별 선수들을 대상으로 총 90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이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거나 문항의 누락이 발생한 59명을 제외한 84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각 구단에 방문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패키지 프로 그램인 SPSS 2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분석방법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프로축구선수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불안의 모든 변인에서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축구 선수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 후 삶에 대한 기대의 모든 변인에서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축구 선수들의 은퇴불안 저하 및 은퇴 후 삶에 대한 기대의 향상에 기초자료 또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retirement anxiety and the expectation of life after retir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a professional soccer players. As the population, K1, K2, K3, and national soccer players belonging to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was selected and a total of 900 players was collected b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841 of the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ept for 59 players where there was a lack of consistency in the double response or the omission of the statement. The survey tools were used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ceding study, and researchers and research assistants visited each team to conduct the research. Data processing was based on the analysis methods of t-test and ANOVA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22.0.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the factors in retirement anxie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professional soccer players. Second,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professional soccer players, partial differences appeared in variables of expectation for life after retirement. It was believed that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base material or indicator for future soccer players' declining retirement anxiety and improving expectations about life after retirement.
원영인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2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운동만족과 건강신념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기준 등록된 청각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충청, 강원, 전라의 5개 권역의 장애인 생활체육참여자를 대상으로 유목적 표집법을 통해 총 241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직접 청각장애인 생활체육 현장에 방문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정규성 검증, 구조방정식모형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운동만족은 건강신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운동만족은 건강신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운동만족은 건강신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운동만족이 건강신념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운동만족 효과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atisfaction and health beliefs of the hearing impair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deaf person registered as of 2019. A total of 241 samples were collected from nomadic sampling methods for disabled sports participants in five areas of Seoul, Gyeonggi, Chungcheong, Gangwon, and Jeolla-do. The survey tool was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vious study, and the researcher and research assistant visited the physical education site for the hearing impai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normality test, and modeling equations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physical exercise satisf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affect health beliefs. Second, social exercise satisf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affect health beliefs. Third, psychomotor satisf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affect health beliefs. Through this study, exercis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a positive factor influencing health belief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on exercise satisfaction effects of the hearing impa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