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노인소비자ㆍ노인소비자의 사회적 참여소비의 유형화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시월,조향숙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의학과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은 단순한 수명의 증가보다 노년의 삶의 질에 대한 문제로 옮겨가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비단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의 소비행위를 이분화 할 때 집을 중심으로 한 내부적 생활과 집 밖으로의 외부적 생활로 분리할 수 있는데, 집 외부와 연결된 사회적 참여 소비생활은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 현대 생활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노인소비자와 노인소비자의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의 현황을 알아보고, 유형화하였으며,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이 예비노인소비자와 노인소비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액과 세부 비목인 통신비, 교통비, 문화생활비 모두 예비노인소비자가 노인소비자보다 지출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신/교통비 중심형, 문화생활비 중심형, 통신비 중심형, 교통비 중심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삶의 만족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친구/이웃관계, 건강/여가활동, 가족관계, 경제/주거만족도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예비노인소비자, 노인소비자를 분류하는 노인소비자 여부,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소비자 여부,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은 삶의 만족도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로 살펴보면 친구/이웃관계, 가족관계, 경제/주거관계가 노인소비자 여부와 함께 삶의 만족도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고, 건강/여가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주효과는 보였으나 노인소비자 여부와 상호작용 효과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소비자의 삶의 질 향상에 있어서 사회적 참여 활동이 주요한 영향변수이나, 사회적 참여소비 지출액이나 유형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 각기 다른 접근 방식으로 관련 정책이나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함의한다. It is evolves medicine and science technology, a rapidly aging population worldwide is taking place in this times. An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people's attention is a simpl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than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had begun to shift problem of this phenomenon, a silk personal problem is not a social problem, emerging on. The consumption of consumer behaviour into two when internal life revolved around the house and externally into life, can be detached from outside the house, which associated with the outside society participation. That the consumer is to individualization as strong a means for modern life is very big. As a result, this study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 spending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ype of service. Preliminary consumer spending, old man also has social participation and recognized what you see the old man's life satisfaction in any capacity.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consumer spending, social participation and detailed category preliminary communication costs, transport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both the study found that many spending, there are so many old man. Second, social participation by consumer spending to determine the type of Cluster Analysis by Two-way ANOVA, telecommunications and transportation hub, the type, and cultural activities centered, communication service bill centered, transportation. Classification by streamlining its center. Third, life satisfaction score of neighbor relations,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After analyzing factors, life satisfaction were friends and family relations, economic and were sorted into factor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Fourth, social, displaying whether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old life satisfaction the effects on consumer spending into each other to a two-tier a variance analysis conducted by results, whether the elderly, social participation are life satisfaction were shown to interaction causes an effect on consumer spending. Our neighbor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relations, economic and housing old man/If you take a close friend by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whether life satisfaction in the interaction effect and of life,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the interaction of whether or not the old man, but when we effect of the main effect is shown to be invisible. These findings, older adul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ocial participation is variable or a major impact,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participation of consumer spending, or life satisfaction in the effect different policies being implemented with a different approach or education must not only to seek ways at different times

      • KCI등재

        정리수납 교육의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혜경,한문성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정리수납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들의 참여 동기가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및 참여 동기에 따른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규명하고, 참여 동기와 행복감 의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리수납교육에 참 여한 서울, 경기, 인천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 최종 342건의 표본을 바탕 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리수납 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목표지향 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과 교육만족도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 형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리수납 교육에 참여한 성 인학습자의 교육만족도와 행복감 간에는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정(+)의 방향으로 높아졌 다. 셋째, 정리수납 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 효과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가 참여 동기의 세 가지 요인인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그리고 학습지 향형에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결과를 토대로 정리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그동안 교육 및 학술적으로 거의 없었던 정리수납 교육에 대한 연구를 Houle(1961)의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 행복감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에 대한 통합적 모형을 검증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정리수납 교육’과 ‘정리수납 전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정 리수납 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동기에 맞는 전문적이고 세부적이며 다양한 부분의 정리수납 교육 프로그램개발들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education and on each variable according to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happines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oal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which are the motivation for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organized storage education,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happin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happiness, it was tested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s in the three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goal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It is meaningful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oule (1961)'s motivation to participat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verifying an integrated model for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practical terms, the interest in Organization and Storage Education and Organization and Storage Specialist is increasing, and based on the results of adult learn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target, activity, and learning) on educational satisfaction, professional, detailed, and various parts of organized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특성이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윤주,김여정,김영제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23 地域發展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특성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2개 시에서 노인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참여 특성이 참여 만족도와 생활 만족도를 분석하고 참여 만족도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근로 형태의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보다 사회 봉사활동으로 참여하는 노인의 참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기존의 근로활동에서 벗어나 취미활동, 자원봉사, 사회적 활동 등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은 참여를 통해 사회관계를 형성하고, 자아실현, 삶의 의미를 완성해 가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노인 일자리 참여기관별 사업 내용에 따라 참여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나 기존 참여 기관들이 지역사회에 적합한 맞춤형 노인 일자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 상황이 좋을수록 참여 만족도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r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mong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in two cities in Gyeonggi-do,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by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participation than those who participate in work-based activities and they utilize it as a hobby volunteer and social activity away from their existion work activities. In addition participants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use it as a means of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realizing themselves and complet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participa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program contents of each elderly employment participating organization, suggesting that existing participating organizations need to develop customized elderly employment program suitable for communit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employment program participants,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better the economic situation, the greater the impac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참여동기, 교육적 가치, 만족도, 지속적 참여의도 간의 관계

        박원주,빙원철 국기원 2020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motivation, educational value, satisfaction and continuing participation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thus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aturated taekwondo stadium .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ents of their childre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parents of children receiving taekwondo train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ere selected as a sample. The conclusions draw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to participate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values. Second, the motivation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to participat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Third, the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continuously. Fifth, the satisfaction level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port. Sixth, it was shown tha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slightly more effective i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participation through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an it was in the medium of continuous participation through educational valu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value affected by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continued involvement as a medium of satisfaction than in the direct effect of the intention for continuing participation. Finally, the effect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parameters educational value and desirability had a partial repurchase effect.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참여동기, 교육적 가치, 만족도, 지속적 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태권도장의 효율적 운영방안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충청도 지역의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 600명을 선정하여 최종 51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0.0,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참여동기가 교육적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교육적 가치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교육적 가치가 지속적 참여의도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만족도 가 지속적 참여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참여동기는 교육적 가치를 통해 만족도를 매개로 지속적 참여의도에 효과가 있는 것보다 만족도에 직접적인 효과를 통해 지속적 참여의도에 효과가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 수련생을 만족시키는 도장운영은 개개인의 참여동기를 파악하여 교육적 가치를 높이고 높은 만족도를 통해 수련생을 태권도 수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

        심인숙,표내숙,정상훈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산교육청 산하지역 내 스포츠클럽을 실시하고 있는 10개 중학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유목적 할당표집법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347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변수들 간의 구성요인들의 단일차원성 확인을 위하여 연구 단위별로 직교회전방식에 의한 Varimax 방법을 사용하여 주성분 분석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은 이론 변수의 다측정 항목간의 내적 일관성을Cronbach's a값에 의한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인식차이에서 참가자의 신체적 자기개념 하위요인인 외모, 유연성, 규칙적 운동, 근력, 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에서 스포츠클럽 참여 학생이 비 참여 학생들보다 교사관계, 수업일반, 교유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스포츠클럽의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에서 참여빈도,, 강도, 기간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외모, 유연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수용되었고, 건강, 체지방, 지구력은 기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 concept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the effect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middle school sports clubs on the physical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rom ten middle schools which host various sports clubs under the guidance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Test samples were extracted by using a purposed sampling method, and the Varimax method was conducted after gathering 347 data. In order to obtain reliability, Cronbach’s value was conducted using the variable’s consistency among the multi measur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self concept affected external appearance, flexibility, regular exercise, muscular strength and persistence after participating in sports clubs. According to a survey on physical self concept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orts club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heir teachers, as well as with their friends than those who did not. However, the physical environment or the school was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he students' satisfaction. Seco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clubs influenced the physical self concept,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time, and duration showed less importance than physical self concep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had partial influence on appearance, flexibility, physical strength, but not on health, body fat and endurance.

      • KCI등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우울이 초등학생의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모 참여, 교사-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최효식,이선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in level of family-based participation and school-based participation of mothers who hav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demonstrate how the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ffect parental participation. The study also looked at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parental participation (family-based participation, school-based particip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academic efficacy and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Methods Using 486 pairs of mother and their children who become on 5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in 2019, the 12th year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PSKC),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family-based participation and school-based participation. Also, how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chool participation relate to children’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cademic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explor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As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reported higher family-based participation than the school-based participation,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family-based and school-base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on depression, and a positive relationship on both family-based and school-based participation. Nonetheless, mother's depression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to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Third, the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family-based particip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marital satisfaction also report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family-based particip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ffected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Conclusions The study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induce mothers’ active family-based participation by increasing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 기반 참여도, 학교 기반 참여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결혼만족도, 우울)이 부모 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우울이 부모 참여(가정기반 참여, 학교 기반 참여), 교사-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초등학생의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의 어머니-자녀 486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2019년) 자료는 2008년 출생 신생아가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 기반 참여도, 학교 기반 참여도에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우울, 부모 참여(가정 기반 참여, 학교 기반 참여), 교사-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수행능력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 기반 참여도 수준이 학교 기반 참여도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녀의 성별에 따른 가정 기반 참여도, 학교 기반 참여도의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우울에 부적인 영향, 가정 기반 참여도와 학교 기반 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어머니의 우울은 가정 기반 참여도, 학교기반 참여도, 교사-학생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결혼만족도는 가정 기반 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결혼만족도는 가정 기반 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사-학생 관계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교육 활동 참여, 물리적 교육 환경 조성 등의 적극적인 가정 기반 참여를 이끄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순 ( Soon Min ),주리애 ( Ree Aie Ju ),정현필 ( Hyon Pil Jung ),정영주 ( Young Ju Jung ),김미란 ( Mi Ran Kim ),김윤경 ( Yun Gyung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8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4 No.2

        본 연구는 G시 D복지관에 있는 60세 이상 된 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설계로 노인들의 대조군이 없는 현실적인 문제를 갖고 있어 비교할 수 없는 제한점을 갖고 있지만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참여시키므로 그들을 돕는데 의미를 두고 있으며, 본 프로그램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자아인식의 평균이 참여 전3.31에서 참여 후 3.50으로, 자아가치는 참여 전 평균이 3.04에서 참여 후 3.46으로, 자아존중 정도도 참여 전 평균 3.31에 참여 후 3.48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저소득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낮다는 Shim (2005)의 연구결과와 일치했고, 월 사용 지출액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차이가 있다는 Kim2003)의 연구 결과와 월수입이 많은 사람 즉 경제적으로 나은사람이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Kim (2002)의 연구 결과 및 일자프로그램 참여를 여가활동으로 여겨 이에 참여하는 사람이참여하지 않는 경우보다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한 Kim (2007)연구 결과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노인에게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요소로,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우울과 역상관관계가 있는데(Park,1993), 본 연구에서 노인들이 일자리에 참여하므로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는 노후에노인 대상자들에게 여가활동과 소정의 수익을 통해 용돈이나기초생활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받게 된 것이 자아존중감을 높인 것으로 사료된다.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점을 볼 때, 노인의 일자리 참여는 자신들의 소득을 확보하려는 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사회참여의 욕구도 포함하고 있어 노인에게 일자리 참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고, 소일거리와 여가선용 차원에서도 노인에게 일자리 참여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것은 노후의 경제적인 자립생활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한 방안이라 할 수 있어 일을 통해 보람도 얻고, 단체 활동을 통한 소속감을 가지고 경제활동도 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일자리 참여 프로그램 전과 후의 생활만족도의 변화에서,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평균 3.04점이었고,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평균 3.24점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는데, 이는 일자리 참여자와 비참여자들을 비교 연구한 Kim (2007)과Seo (2007)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고, 시니어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이 참여하지 않고 있는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Bang (2005)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노인의 사회적 지지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Jang, 2006; Kim,2005; Park & Lee, 2006).노인들이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므로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는 노인대상자들에게일자리를 통해 심리적, 경제적 여건에 도움이 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로 인해 생활만족 정도를 높인 것으로 사료된다. 노후의시간활용 방법에 대한 2004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결과에서 가장 선호되는 것이 소득창출 27.8%, 취미활동16.3%, 소일거리 14.5%, 자원봉상활동 3.1%, 자아계발 활동2.4%로 나타났다(Jung et al, 2005). 그러나 노인의 일자리 참여는 여러 가지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우선 노인시장에 유입되는 신규 노동력의 과잉과 기업의 인사정체, 그리고 노인취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서 기능주의적 사회격리이론은 인간의 노화를 기능주의적으로 이해하려는 사회적 편견인데 노인이 반드시 체계적, 생물학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결함이 있다는 편견으로 인해 노인인력 활용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Jung, 2007). 또한 본 연구 대상자들에게 연구일자리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는데 노인들에게 일자리 참여 자체가 생활만족과 자아존중감 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 유형별로는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어떤 형태이든 간의 노인의 일자리 참여는 고령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노후 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며, 노년기의 역할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통해 역할상실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인 스스로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Purpose: The effects of job participatio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Methods: Seventy residents of D welfare center located in G city who were >60 yr-of-ag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SERS research tool (Nugent and Thomas,1993; modified by Koh, 2002) was used to assess self-esteem before and after a job participation program. The Cronbach`s αvalue-based reliability of this tool was 0.923 and 0.920 before and after the job participation program, respectively. Cronbach`s αvalue-based life satisfaction as measured according to Choi (1986) was 0.932 and 0.933 before and after the job participation program, respectively. Results: The hypothesis that job participation program increases self esteem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The mean self esteem of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job program, 3.31 and 3.48, respectively, represented a significant increase. The hypothesis that the job participation program increases life satisfaction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The mean life satisfaction index of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3.04 and 3.24, respectively, represents a significant increase. Conclusions: Increased job opportunities and income guarantee for adults, particularly the elderly, can increas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 stability.

      • KCI등재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동진 ( Dong Jin Lee ),강미경 ( Mi Kyung Kang ),유가효 ( Ka Hyo Yoo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4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유형에 따라 알아봄으로써 장애인의 생활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여가활동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정도는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언어장애유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장애인의 생활만족수준은 어떠하며 장애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장애유형별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로 장애인종합복지관, 시각장애인협회, 농아인협회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장애인의 전체적인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며, 이 중 TV보기처럼 소극적 실내활동의 참여수준이 가장 높았고, 적극적 신체활동과 관련된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장애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참여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2) 장애인의 생활만족은 인간관계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경제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장애유형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장애유형별로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지체장애인의 경우 정적인 여가활동만이 인간관계만족도, 일·직업만족도, 사회여가만족도, 행복감, 자율성·자아감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뇌병변장애인의 경우 사회참여 여가활동만이 일·직업만족도, 경제만족도, 사회여가생활만족도, 행복감, 자율성·자아감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여행관련 여가참여는 인간관계만족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각·언어장애인의 경우 정적여가활동이 자율성·자아감만족도에, 문화예술적 여가활동이 사회·여가활동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the handicapped in leisure activ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 variation depending upon their disability type.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o survey the handicapped people in Gyeong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handicapped respondents participated very inactively in general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disability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overall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mong groups. Secondly, handicapped respondents felt satisfied most at personal relationships and least at financial conditions. Depending on disability type, it was found that audial and verbal disability group felt highest satisfaction at their daily life, which was followed by mental retardation group, visual disability group and brain disability group. Thirdly, for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only static leisure activiti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t personal relationships, work/occupation, social leisure, sense of happiness and autonomy/self-esteem. For the adults with brain disability, only leisure activities of social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occupation, financial conditions, life of social leisure, sense of happiness and autonomy/self-esteem. For the adults with visual disability, tourism-related leisure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ly on their satisfaction at personal relationships. And it was found that recreational leisure activities had nega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t personal relationships, financial conditions, social and leisure life, and the sense of happiness. For adults with audial and verbal disability, static leisure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t autonomy and self-esteem.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정도가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및 참여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시니어클럽에서 수행하는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박양숙 ( Yang Sook Park ),송진영 ( Jin Yeong Song ),박용순 ( Yong Soon Park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3

        본 연구는 시니어클럽에 참여하는 노인의 시장형 일자리사업 참여정도가 일자리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일자리참여만족도가 이들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있는 시니어클럽에 참여하는 노인 236명을 표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정도는 참여지속의사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자리참여만족도 중 기관만족도는 참여정도와 참여지속의사 간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정서만족도, 경제만족도, 건강만족도, 그리고 동료만족도는 참여정도와 참여지속의사 간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지속의사를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participation level of senior employment project by senior club and the intension of participation continuity.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urveyed 236 participants of senior club in Kyunggi province in Korea, and analyzed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Participation level of senior employment project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ntension of participation continuity. (2) Agent satisfaction among sub variable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participation level of senior employment project and the intension of participation continuity was verified. On the other hand, others such as emotional satisfaction, economic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fellow satisfaction among sub variable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didn``t mediate between participation level of senior employment project and the intension of participation continuity. Based on the results,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intension of participation continuity of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 KCI등재

        노년기교육 참여 동기 및 만족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김미란(Kim, Mi Ran),한정란(Han, Jung Ra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5 노년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교육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산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노년기교육에 참여하는 150명을 대상으로 노년기교육 참여 동기 및 만족도, 생활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교육 참여 동기를 분석한 결과, 참여 동기 중 건강의 동기가 가장 높고, 사회적 동기, 안정의 동기, 지 적 동기, 휴식적 동기, 창의적 동기, 인정의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교육 참여 만족도 분석 결과, 안정의 만족이 가장 높았고,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 지적 만족, 건강의 만족, 창의적 만족, 인정 만족의 순이었다. 셋째, 노년기 생활만족도는 평 균 3.44로 보통 이상이었다. 넷째,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 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참여 동기 요인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고, 교육 참여 만족 요인 중 지적 만족도만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으며, 25.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향 후 노년기교육을 통하여 노년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고 성공적 노화로 이끌기 위한 방안을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lderly'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elderly educat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50 students of the Senior Academy of Social Welfare Center in Seosan-si.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① In participation motivation, health motivation is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stability, intellectual, relaxational, creative, and recognition motivation. ② In satisfaction on participation, stability satisfaction is the highest, followed by social, relaxational, intellectual, health, creative, recognition satisfaction. ③ The life satisfaction is 3.44 above the average level. ④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in senesce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s in education are not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The only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 of life satisfaction. Some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abov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