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귀주성(貴州省) 준의(遵义) 차문화 고찰

        정은희(Eun-hee Jung)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6 No.-

        중국 귀주성 준의시는 깊은 역사 속에 다채로운 차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준의의 자연과 인문환경을 고찰하고, 차문화를 시대별, 지역별로 분석하여 차문화 특성을 분석한다. 첫째, 준의의 차문화는 자연문화이다. 천혜의 자연환경에서 자란 준의는 국가급 우량 차 산지로서 독특한 향미를 지니고 있다. 둘째, 소수민족의 문화이다. 준의에 살고 있는 30여 민족들은 그들의 일상식과 의례·사교 등 생활 속에 차가 함께 하며 다채로운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셋째, 해독(解毒)문화다. 든든하면서도 소화하기 쉬운 유차는 아편 해독과 치료에 도움을 주었다. 넷째, 다방문화이다. 고진에는 차를 거래하고 보관하는 다방(茶帮), 차를 저장한 다고(茶庫)가 설치되었고, 상인들이 잠시 쉬거나 거래를 위한 찻집이 흥성하였다. 다섯째, 풍류문화이다. 황정견, 막우지 등 선인들은 준의의 차를 마시며 계절과 산수의 아름다움, 그리움 등을 읊은 아회를 즐겼다. 여섯째, 준의의 차문화에는 시대적 특징이 담겨있다. 중국의 서남 변방에 위치한 준의는 차마고도, 염다고도와 연관된 차문화가 발달했으며, 현대에도 차 산지 생태관광, 레저와 건강을 위한 차 여행지로 알려져 있다. 깊은 역사만큼이나 차문화가 풍부한 준의는 과거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문화로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차문화를 전승하고 있다. The city of Zuny possesses colorful tea culture with its deeply rooted tea histo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of Zuny by touching both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and sub-regional traits. Firstly Zuny’s tea culture is natural culture. Blessed by heaven with a wonderful natural environment, Zyny produces best quality tea. Secondly, with more than 30 ethnicities Zuny is characterized by ethnic tea culture. Zuny’s long history of tea rooms and tea storage has contributed current tea room culture. Fifthly, Zuny’s art tasting culture combined with naturally endowed landscapes is still thriving. Lastly, with the legacy of ancient tea route, Zuny is famous for eco-tourism, tea-based healing tourism, and the best place for leisure and health. Zuny is tea producing and value-creating place through rich tea history, tea sharing culture, and transmitting tea culture to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 하동과 중국 황산의 차문화관광 비교연구

        이영관 ( Young Kwan Lee ),박근수 ( Keun Soo Park ),오요 ( Yao Wu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본 연구는 차문화관광의 비교분석을 위해 한국 차 시배지인 하동과 중국 3대 명차를 생산하는 명승지인 황산의 차문화관광, 즉 두 지역의 차의 역사와 다원 경관, 차의 종류와 다례?다예, 차문화관광 상품과 관광수용태세 등을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여 대안을 모색하였다. 하동과 황산은 유구한 전통문화와 아름다운 다원 경관이 차문화관광을 활성화시키는 토대가 되었다. 신라 흥덕왕 3년(828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차를 재배했던 하동지역은 천혜의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맛과 품질이 우수한 녹차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다례가 발달했는데, 외빈을 접대하는 의식다례와 제사 지낼 때의 차례 등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중국의 황산은 세 가지 명차를 생산하고 있다. 모봉차와 태평후괴는 1875년에, 기문홍차는 1900년에 제조하기 시작했다. 다예 공연은 차문화를 즐기는 관광객들에게 인기있는 프로그램이며, 차문화축제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또한 황산은 주변 관광지와 연계된 관광코스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형태의 차문화관광이 이루어지고 있다. 두 지역은 차문화의 역사성과 천혜의 자연경관, 박물관이나 전시관을 설립하고 아름다운 생태다원을 조성하였다. 차문화축제는 두 지역에서 차문화관광을 견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동의 야생차 문화축제는 다양한 체험행사와 차별화된 프로그램들이 하동치의 브랜드 가치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황산 태평후괴차 문화축제는 주변 명승지와의 연계 관광코스가 좋고, 농가락 형식의 관광과 결합해 성장하였지만 온라인을 활용한 홍보 서비스와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편의시설이 부족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향후 두 지역의 차문화관광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차문화축제 외에도 차문화를 주제로 한 리조트를 개발하거나 전통 차문화를 현대문화와 결합시켜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 Tea culture represents both visible and nonvisible value system of people having a tea and implies values of wellbeing, self-examination, communication, ceremony, education, leisure, art·aesthetic appreciation, and ecology·environment. This study adopted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Hadong, a famous tea cultivation area in Korea and Hwangsan, one of three most famous tea growing places in China in terms of tea history, tea garden scenery, tea types, tea ceremony, tea art, and tea culture tourism products and tourism preparations to receive. Authors proposed several implications based on comparative study between Hadong and Hwangsan in terms of tea history, tea garden scenery, tea types, tea ceremony, tea art, and tea culture tourism products and tourism preparations to receive. Both areas should develop a tea themed resort with a tea culture festival as well as to foster the traditional tea culture into a new art form with a modern culture atmosphere.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차(茶)의 문화접변

        김동명(Kim Dong-Myung)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1 No.-

        본고는 일본제국주의의 지배하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진 문화 접변 중에서 차(茶)에 초점을 맞추어 그 실태를 규명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침체상태로 구평형을 유지하던 차문화는 개항 이후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침체상태를 벗어나 새롭게 차문화를 도입하려는 부분적인 해체를 시작하고 있었다. 다음에 한일병합을 전후해서 일본인이 조선에 대거 이주하면서 일본 등에서 다량의 차가 이입되고 조선에서 근대적인 차재배가 시작됨으로써 기존의 조선의 차문화에 외래문화요소가 전파, 선택되었다. 그리고 여전히 소수이기는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차를 마시는 조선인이 증가하면서 외래문화요소인 차문화가 마침내 조선에 수용되었다. 그러나 일본인이 일본식 다도를 조선인에게 널리 보급하려 하자 앉는 자세와 건축과 의복 등의 형식을 둘러싸고 조선인의 저항이 일어났다. 한편, 차문화의 경우 기존에 조선에 존재하는 문화요소였다는 점에서 순조롭게 문화접변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문화접변이 조선인의 자발적인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본제국주의 세력의 조선에의 팽창에 따른 이주 일본인에 의해 강제적인 상황에서 차문화요소가 전파, 선택되었다.또한 일부 조선인 사이에 차문화가 수용되기는 했지만,일본식 다도의 보급이 상징하듯 조선에서의 차의 문화접변은 일본제국주의의 지배를 강화하는 수단의 일환으로 일방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이에 대해 전면적인 형태는 아니지만 다도의 형식을 둘러싸고 조선인이 저항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ealities of acculturation in Colonial Korean under the Japanese rule, focusing primarily on the green tea.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in the late Chosun dynasty era, did tea culture start spreading out of the inactive old stereotypical balance to introduce the new wave of tea culture since the port opening. Since the Korea was amalgamated by Japan, with the influx of Japanese people, new foreign tea types were brought in along with the new cultures and even Korea started cultivating those tea crops to adopt new things. Very few at first though, as the more people gradually started drinking teas, the foreign tea culture was gradually being adopted in Chosun. However, as Japanese tried to spread the Japanese teaism among Chosun people widely, the Chosun people were opposing to it’s formulas such as sitting posture, architectures and costumes. Meanwhile, since teaism was already existing culture in Chosun, very smooth acculturation was expected in the first place. However, the actual acculturation wasn’t in Chosun people’s necessity and with the expans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Chosun, teaism was being spread and adopted by Chosun people in the begrudging manner. The tea culture was accepted by some Chosun people though,as the tea acculturation was being exploited and forced by means of Japan Imperialism enhancement, some Chosun people were showing resistant attitude towards it, not that directly though

      • KCI등재

        청대 茶文化 양상과 文人의 文藝創作 - 茶詩歌의 形式과 風格을 중심으로

        任振鎬 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語文學誌 Vol.0 No.56

        中國的茶文化萌芽於魏晉南北朝, 成於唐朝, 盛於宋代, 至博大精深, 從其起源到現在, 經歷了不同時期的。發展和延伸, 內涵也得到不斷的豊富, 然而茶文化發展到淸代, 則旣是傳統文化的總結, 也是現代茶文化的開始, 淸代茶文化雖然沿襲和傳承了前代的茶文化道路, 但也有自己的發展和特徵, 淸朝是北方來的滿足政權, 漢化後皇室偏愛飮茶, 尤其是康熙乾隆皆飮茶, 這種情況使得淸代上層社會品茶風氣尤盛, 進而也影響民間, 茶深入到民間的許多領域, 與傳統的民間風俗相結合, 形成多方面與茶相關的茶館文化和風俗, 茶作爲重要的生産活動, 必然成爲。詩歌藝術的重要表現內容, 茶與詩歌作品的關系歷史悠久, “茶自最初之時卽助成詩思”, 卽茶與詩歌結合在一起, 淸代茶詩歌數量龐大, 也有許多著名詩篇, 特別是淸代的文人在嚴酷的專制高壓環境下, 性情盡管被壓迫, 被內斂了, 更沒有心情去創造文化了, 但是茶是要品的, 茶還是文人們舒放性靈的手段, 淸代茶詩歌在藝術形式和風格上不滿元詩的纖弱⋅明詩的膚廓和狹隘, 在技巧上兼學唐⋅宋詩的長處, 不斷追求創新, 改變了原明以來的頹勢, 出現了新的繁榮,淸代愛茶的著名人有屈大鈞⋅錢謙益⋅顧炎武⋅鄭燮⋅吳偉業⋅杜浚⋅周亮工⋅施潤章⋅吳綺⋅孫枝蔚⋅杜芥⋅陳章等許多文人,盡管他們在茶學說和飮茶的方, 而且方法上已沒有什麽貢獻, 但淸代文人所留下的一批茶詩詞仍然是對文化的一種貢獻, 是淸代文化的助成部分, 而淸代文人對中國文化的貢獻, 爲後人硏究和了解茶葉⋅茶史⋅茶文化保存了資料和提供了便利.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교육 : 한국의 차 문화를 중심으로

        박경자(Park Kyung-ja)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본고는 한국의 차 문화를 한국어 교육과 연계하여 문화교육과 언어교육으로 연계하여 교육적가치가 있음을 제고하고자 한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직접 차를 빚어 마시며 담소를 나누는 가운데 정서 안정과 친화를 다지는 한편 생생한 한국의 문화와 언어문화도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차 문화는 한국문화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살아있는 텍스트이자 주제, 수단, 보조 자료로 채택되고 응용된다. 심신을 안정시키고 기운을 북돋우는 차의 효능은 오랜 세월에 걸쳐 동서가 두루 공유해 왔다. 특히 정신 건강에 좋은 차는 마음을 맑고 고요하게 정화시키고, 혼탁한 정신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는 양가적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옛사람들은 차를 혼자서 마실 때는 잡념과 번뇌를 제거하여 정신을 바로 잡아 왔다. 둘이서 혹은 여럿이 마실 때는 화합을 다지고 생산적인 의사소통을 이루었다. 한국에서 외국인 학습자는 언어, 문화, 생활환경, 교우관계, 생계 대책 등 다방면에서 정서불안과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들이 직접 차를 빚어 함께 나누며 익히게 될 차 문화 교육은 현장 체험학습과 같이 살아있는 문화 교육에 해당된다.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장르로 기능할 뿐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참여해 문화의 실상을 직접 시연하는 실용적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한국의 차 문화를 한국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해 외국인 학습자 한국문화교육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고, 외국인 학습자들은 함께 차를 마시는 시간적 여유 속에서 동료와의 화합을 다지고 자연스럽게 원활한 의사소통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의 차 문화를 이해하고 차를 상용함으로서 정서 순화뿐 아니라 한국의 우수한 정신문화를 자국에 전파해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Study intends to present tea culture as par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is because foreign learners can make their own tea and chat, strengthening emotional stability and friendship, while also learning vivid Korean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Tea culture is adopted and applied as a living text, theme, means, and supplementary material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ffects of cars that stabilize the mind and body and boost energy have been shared by East and West for many years. In particular, tea, which is good for mental health, is known to have a ambivalent effect that purifies the mind in a clear and calm manner and awakens the chaotic spirit. When people drink tea alone, the old people have been able to straighten their minds by removing their thoughts and anguish. When two or several people drink, they re in harmony. In Korea, foreign learners are experiencing emotional instability and stress in many ways, including language, culture, living environment, friendship, and livelihood measures. Tea culture education, which they will make their own tea and share it with, is equivalent to living cultural education such as field experience learning. Practical effects of not only functioning as a genre that introduces Korean culture, but also teachers and learners participate in demonstrating the reality of culture directly.

      • KCI등재

        한국 하동과 중국 황산의 차문화관광 비교연구

        이영관,박근수,오요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Tea culture represents both visible and nonvisible value system of people having a tea and implies values of wellbeing, self-examination, communication, ceremony, education, leisure, art·aesthetic appreciation, and ecology·environment. This study adopted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Hadong, a famous tea cultivation area in Korea and Hwangsan, one of three most famous tea growing places in China in terms of tea history, tea garden scenery, tea types, tea ceremony, tea art, and tea culture tourism products and tourism preparations to receive. Authors proposed several implications based on comparative study between Hadong and Hwangsan in terms of tea history, tea garden scenery, tea types, tea ceremony, tea art, and tea culture tourism products and tourism preparations to receive. Both areas should develop a tea themed resort with a tea culture festival as well as to foster the traditional tea culture into a new art form with a modern culture atmosphere. 본 연구는 차문화관광의 비교분석을 위해 한국 차 시배지인 하동과 중국 3대 명차를 생산하는 명승지인 황산의 차문화관광, 즉 두 지역의 차의 역사와 다원 경관, 차의 종류와 다례․다예, 차문화관광 상품과 관광수용태세 등을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여 대안을 모색하였다. 하동과 황산은 유구한 전통문화와 아름다운 다원 경관이 차문화관광을 활성화시키는 토대가 되었다. 신라 흥덕왕 3년(828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차를 재배했던 하동지역은 천혜의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맛과 품질이 우수한 녹차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다례가 발달했는데, 외빈을 접대하는 의식다례와 제사 지낼 때의 차례 등의 형태로 발전하였다. 중국의 황산은 세 가지 명차를 생산하고 있다. 모봉차와 태평후괴는 1875년에, 기문홍차는 1900년에 제조하기 시작했다. 다예 공연은 차문화를 즐기는 관광객들에게 인기있는 프로그램이며, 차문화축제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또한 황산은 주변 관광지와 연계된 관광코스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형태의 차문화관광이 이루어지고 있다. 두 지역은 차문화의 역사성과 천혜의 자연경관, 박물관이나 전시관을 설립하고 아름다운 생태다원을 조성하였다. 차문화축제는 두 지역에서 차문화관광을 견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동의 야생차 문화축제는 다양한 체험행사와 차별화된 프로그램들이 하동치의 브랜드 가치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황산 태평후괴차 문화축제는 주변 명승지와의 연계 관광코스가 좋고, 농가락 형식의 관광과 결합해 성장하였지만 온라인을 활용한 홍보 서비스와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편의시설이 부족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향후 두 지역의 차문화관광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차문화축제 외에도 차문화를 주제로 한 리조트를 개발하거나 전통 차문화를 현대문화와 결합시켜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茶文化

        신미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0 No.-

        조선시대는 고려시대와 마찬가지로 차는 여전히 궁궐에서 의식다례로 행해졌으며 더 격식화되고 엄격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근래에 고려시대의 융성한 차문화가 조선시대에 쇠퇴 했다는 것은 보편적인 상식이 되어 버렸 다. 조선시대의 차문화가 우리에게 어떻게 전해지고 지금껏 이어져 왔는지 선인들의 흔적으로 조선시대 차문화를 살펴보면 지금까지 발견된 조선시대의 다서는 5권으로 차에 관한 전문다서가 있었고, 16-19세기까지 많이 출간 되 었던 백과사전류의 책속에는 차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었다.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茶事를 살펴보니 궁중에 는 ‘茶禮’라는 이름으로 더 격식화, 의식화되어 행해지고 있었다. 18세기 이후 궁중의 다사가 사라지고 조선의 차문화가 쇠퇴하였다고 말하지만 선가의 차인들은 여전히 차를 마시고 차문화는 茶詩로 이어져오고 있었다. 사대 부가의 차문화는 『주자가례』의 유입으로 가정의 제의례에 차를 올렸고 600여명이 넘는 차인들이 차시를 남겼고 차문화의 맥은 이어져 내려왔다. 우리나라 차문화가 쇠퇴했다고 말한 사람은 1940년에 펴낸 『朝鮮の茶と禪』에 당시 조선총독을 지낸 바 있는 우가끼(宇垣一成)가 쓴 서문과 당시 상공대신(商工大臣) 이었던 후지하라(藤原銀次 郞)가 쓴 글로 우리나라 근현대에 나온 다서들이 그대로 다시 인용하면서 우리의 차문화는 쇠퇴하였다고 전해졌다. 이는 식민사관의 쇠퇴이며 우리의 시각은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여전히 차가 존재했다. Chosun Dynasty still held the traditional tea ceremony in the palace like the Goryeo Dynasty, only more formal and strict. However, recently the thought “flourishing tea culture in Goryeo Dynasty declined in Chosun Dynasty” has become a fact. By examining how the tea culture passed down and continued to the modern days through traces of our ancestors, five traditional tea specialty publications were found and encyclopedias published during 16th-19th century held contents related to teas. According to the “affairs of tea (茶事)” in 『朝鮮王朝實錄』, the tea was more formally referred to as the “tea rituals(茶禮)” and were performed as a ceremony. People say that after the 19th century, affairs of tea declined in the Chosun Dynasty, but the tea drinking ancestors continued to drink tea and the tea culture continued in the tea books. The tea culture of the noble mans was influenced by the 『朱子家禮』 and put tea on the table for traditional memorial ceremony. Over six hundred tea drinkers left tea poems and the tea legacy continued on. People say that the Korean tea culture declined becaus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ea specialty publications directly quoted from the 『 朝 鮮の茶と禪』 published in 1940 which contained prefaces of Wugaki (宇垣一成), Japanese who once served as the governor of Chosun, and writings of Hujihara (藤原銀次郞), Japanese who was the minister of commerce and industry at the time. This is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not our traditional view of history. Tea still existed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효당 최범술과 ‘한국차도회’에 대한 연구

        이진미(Jin-Mee Lee)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5 No.-

        효당 최범술은 일찍부터 차생활을 익혔고, 일제강점기에도 다솔사에서 차를 가꾸고 만들며 차생활을 영위했다. 1960년대 이후에는 우리 전통의 차문화를 발굴하고 교육하며, 차문화 운동을 전개하는 데 진력함으로써 많은 차인들을 길러내고 스러져 가던 차문화의 맥을 되살렸다. 현대 차문화의 중흥조로 그를 평가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한편, 효당은 제자이자 부인이었던 채정복의 도움을 바탕으로 ‘한국차도회’를 결성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국단위 차 단체로, 이 단체의 탄생 이후 본격적으로 한국의 차문화 단체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 대표적인 단체가 한국차도회 창립 2년 후에 결성된 한국차인회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단체가 만들어져 초의스님의 일지암이 복원되고 차의 날이 제정되면서 한국 현대 차문화 운동이 본격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효당의 차생활과 ‘한국차도회’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효당은 한국 현대 차문화의 중흥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며, 최초의 차문화 종합 개론서라고 할 수 있는 『한국의 차도』 집필과 발간을 통해 차문화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둘째, 효당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한국차도회’는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적인 전국단위 차문화 단체였다. 셋째, ‘한국차도회’가 ‘한국차인회’의 결성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차인회의 결성에 한국차도회와 효당이 끼친 공적은 결코 작지 않았다. 이로써 효당의 차문화 보급 운동은 그가 길러내고 키워낸 여러 차인들을 통해 마침내 오늘에 이어지게 되었고, 한국차도회는 이런 흐름의 맨 앞자리에 놓이는 차문화 단체로 기억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Hyodang(曉堂) Choi Beom-sul(崔凡述) has learned tea life since he was young. He also led tea life by cultivating and making teas in Dasolsa(多率寺)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 1960s, Choi Beom-sul has worked hard to discover and educate traditional Korean tea culture. So he raised many tea masters. As a result, he revived the Korean tea culture that had been falling apart. Therefore, it is not too much to regard him as the man who promoted modern Korean tea culture. Meanwhile, Choi Beom-sul formed the “Hankuk Chado-hoe(韓國茶道會)” based on the help of Chae Jeong-bok, a student and wife. It was Korea s first nationwide tea culture organization, followed by similar groups that began to be set up. A representative group is the “Korean Tea Master s Association(韓國茶人會)”, which was formed two years after its foundation. Based on the above, summarizing the meaning of Hyodang s tea life and “Hankuk Chado-ho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Hyodang s a great contributor to the revival of modern Korean tea culture and led the popularization of tea culture through the writing and publication of Korea s Chado(茶道), which is the first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Korean tea culture. (2) “Hankuk Chado-hoe”, founded by Hyodang, was the first nationwide tea culture organization in modern Korea. (3) “Hankuk Chado-hoe” had a meaningful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Tea Master s Association”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차 문화 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김인숙(Kim In Sook)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3

        Drinking tea customs of Korea and Japan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loved by many people, forming the tea culture in their own countries. As a means of cultivation of minds or hospitality for priests or literary men or as their taste drink, tea was welcomed and sometimes was widely used in important ceremonies. From their being called differently as ‘tea doctrine’ in Japan and ‘tea ceremony’ in Korea, two countries are showing different features on various aspects, like its spirit, formality, usage and their base. While Japan s tea culture stresses spiritual enhancement and its formality, that of Korea make much of liberal formality and could be characterized by its diversity in usage. These different patterns of development in tea culture of both countries seem to give us meaningful suggestions about its future orientation of development. Firstly, As formality does not mean just only formality and spirit does not stop just being spirit, they both could make development by the intervening process of give and take. And hence, there should be more effort to meet the need of the times that requires fusion and combination in tea culture’s formality and spirit. Nextly, to enlarge the base of tea culture, peoples engaged in tea culture should not stay content with keeping our tea culture as that of upper class or a certain group, but have to make more effort to expand to the general public. Furthermore, the tea culture should be used both as an instrument of self-reflection and a social medium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harmony, thereby making it more popular and global. 차 문화의 풍속은 중국으로부터 한국과 일본 등으로 전래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형성되어 왔다. 차는 승려와 문인들의 정신수양과 접대 내지 기호식품으로서 때로는 제례나 의식에 이르기까지 광범위 하게 활용되었다. 일본의 차 문화를 ‘다도’라고 하고 한국의 차 문화를 ‘다례’라 하는데, 차 문화의 정신과 형식, 그리고 용도와 기반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배경과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차 문화가 형식과 정신수양이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다례는 형식의 자유분방함과 아울러 용도의 다양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한국과 일본 간의 상이한 발전패턴은 ‘앞으로 차 문화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에 대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먼저 형식은 형식에 그치지 않고, 정신은 정신에 그치지 않으며, 상호 주고 받는 과정을 통해 발전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차 문화의 형식과 정신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융복합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다음으로 차 문화가 그 기반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계층만의 문화에 그치지 않고 전 국민에게로 확산되어야 하며, 개인적으로는 성찰의 도구로서,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소통과 화합을 위한 사회적 매개체로서 역할을 함으로써 대중화, 세계화를 추구하여야 한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차(茶)문화 활용에 관한 연구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2

        Korean Tea culture have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rough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However, tea was not become popular in Japan or china. Recently, tea culture have rapid growth with various space such as museum of tea culture and tea culture association, Reason for tea culture bring into vogue as symbol of well-being tre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consider the tea culture have the potential as material of cultural content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 of the various tea culture and applied case study of tea culture. First of all, tea culture can apply to the material of cultural contents utilized movie and soap opera. A refined and formality England tea culture appeals through the film which is based on the novel of Jane Austen. Also Korean soap opera ‘DAMO(茶母)’ is the possibility as material of storytelling about the woman's changable life related with tea. In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for many case studies of utilizing tea culture as material of cultural contents. To liven up the mood, tea festival, tea product take relation with friendly character, album and DVD. Development of tea culture growth with pottery and interior design, especially interior space is very important to feel their classical atmosphere and make different form by situation. Interior design apply to the various art, therefore factor in above mentioned field will be in the origin of cultural contents to make another value during the tea diffusion. Added value will be created with approaching the tea from a cultural contents angle. these will be in relation to the tea, tea house, teacup and many cultural product with tea 우리나라의 차(茶)문화는 삼국시대로부터 고려, 조선시대를 거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서는 대중화되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웰빙문화의 상징으로 차(茶)문화가 성행하여 차(茶)문화 관련 단체 및 차(茶)문화 박물관 등 다양한 차(茶)문화 공간들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차(茶)문화에 관한 많은 사회적 관심을 초래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차(茶)문화의 특징들과 차(茶)문화를 활용한 사례를 알아봄으로서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영화 및 드라마에 활용된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차(茶)문화는, 제인오스틴의 소설을 영화화한 내용을 통해 영국 차(茶)문화의 격조와 격식을, 우리나라 TV 드라마 ‘다모(茶母)’에서는 차를 다루는 여인의 변화된 삶에 관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차(茶)관련 축제와 차 음료의 상품에 친근감의 표현 수단으로 사용되어 온 캐릭터분야를 조사하여 정리하였고 음반 및 DVD분야에도 차와 관련한 음악을 수록하여 차를 음용하며 분위기를 높이는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차(茶)문화 활용 예를 살펴보았다. 또한 차(茶)문화의 발달은 도자기 산업과 실내 공간 디자인분야를 발전시켰는데 특히 실내공간은 아주 다양한 형태로 상황에 따라 만들어지고 있었다. 또 시대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기에 인테리어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으며 또한 예술분야를 접할 수 있는 분야라고 판단되어지므로 앞서 제시한 다양한 분야의 요소들이 차(茶)확산과정에 또 다른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문화콘텐츠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보아진다. 따라서 차(茶)자체를 비롯하여 보이지 않는 차(茶)관련 문화상품들과의 연관은 물론, 차(茶)를 담아내는 그릇과 차(茶)를 마시는 공간과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차(茶)와 관련된 모든 문화적 행위들이 문화콘텐츠 적 접근을 통하여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출 해낼 수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