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현림(Hyun Rim Lee),김지영(Ji Young Kim)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을 이용한 진로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 간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변화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 간의 진로의사결정 수준 변화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셋째, 진로의사결정 개인상담과 집단 상담을 받은 집단 간의 진로의사결정 능력변화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된 가설은 첫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 유형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 될 것이다. 둘째, 진로의사결정상담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향상될 것이다. 셋째, 진로의사결정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받은 집단간에는 진로의사결정 능력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있는 4년제 남녀 대학생으로 구성하였으며, 개인상담집단에 15명, 집단상담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과 진로의사결정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가설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F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합리적 유형이 향상되었으며,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은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향상되었다. 즉 상담을 받은 집단은 상담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학교에 대한 적응수준, 직업계획수준, 전공에 대한 확신 및 이해수준이 모두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넷째, 진로의사결정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받은 집단 간에는 진로의사결정 능력 변화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의사결정 유형 변화에 있어 합리적 유형은 향상되고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양자 간의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진로의사결정 수준 변화에 있어서도 학교에 대한 적응수준, 직업계획수준, 전공에 대한 확신 및 이해수준의 향상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집단상담 윤리: 개관

        권경인,조수연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group counseling ethics research and related materials up to date, and explore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for major components of group counseling ethics. Ultimately, we sought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group counseling ethics regulations and research. For this, we gathered existing research or publications on group counseling ethics, current codes of ethics of various associations, and orientation materials used in actual group counseling settings and reorganized their contents largely into three categories. First category was ‘member rights protection and education,’ which included confidentiality, counseling relationship, prior consent, and rights of multicultural, minor, or school-setting group members. Second category was ‘protection for group counselor's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which included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of group counselors, supervision and training, and professional ethics on relationships with other professionals. Third category was ‘group counseling process and management,’ which included ethics on group composition and management, and note of caution during group counseling process. Based on this review, the study suggested that future group counseling ethics research and regulation revisions should be fortified with more structure and practicality. The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group counseling ethics and paved a way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집단상담 윤리 연구 및 관련 자료를 통합적으로 검토하여 집단상담 윤리의 주요 요소별로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후 집단상담 윤리 규정과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판된 집단상담 윤리 연구 및 관련 자료, 국내외 학회 윤리 강령, 집단상담 장면에서 활용하고 있는 오리엔테이션 자료들을 중심으로 집단상담 윤리 개관을 크게 세 개의 범주로 개관하였다. 세 개의 집단상담 윤리 범주는 집단원 권리 및 교육 윤리, 집단상담자 전문성 및 책임 윤리, 집단상담 과정 및 운영 전반에 대한 윤리이다. 범주별 세부 윤리 요소로 첫째, 집단원 권리 보호 및 교육 윤리로 비밀보장, 상담관계, 사전동의, 다문화, 미성년자 및 학교 장면의 집단원에 관한 윤리, 둘째, 집단상담자 전문성 및 책임을 위한 윤리로 집단상담자의 전문성 및 전문적 책임에 관한 전문가 윤리, 셋째, 집단상담 과정 및 운영 윤리로 집단상담 구성 및 운영상의 윤리, 집단상담 과정에서 주의할 집단상담 윤리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추후 집단상담 윤리 관련 연구 및 윤리 규준 개정에서는 누락되거나 제한적이었던 집단상담 윤리적 관점을 보다 구조적이고, 상담실제에 실효성 있게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집단상담 윤리 관련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집단상담 윤리에 대한 중요성 및 관심을 유발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대학생을 위한 동기강화중심 집단상담과 인지행동 집단상담의 효과 연구

        최은미,김명식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tivational interview oriented and cognitive behavioral group counseling on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 anxiety, impulsivity, aggression, ego resiliency and preparedness for change.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high risk group of smartphone addiction, in J city and ha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counseling groups were composed of motivational interview oriented group(n=12) and cognitive behavioral group(n=9) with control group(n=9). The two group counseling had 6 sessions and pre , post, 1-month follow-up test were administer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depression tended to decrease at post evaluation of motivational interview oriented and cognitive behavioral group counseling. Second, the level of impulsivity decreased and the level of preparedness for change increased at post evaluation of motivational interview oriented group counseling while the level of aggression decreased at follow-up evaluation of it. Third, the level of resilience increased and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decreased at follow-up evaluation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counseling. This study tried to modify and integrate CBT and MI for high risk group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uggested some implications. The limitation and future task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감소를 위한 동기강화중심 집단상담과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불안, 충동성, 공격성, 자아탄력성, 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중 스마트폰 중독 점수가 높으며, 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밝힌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동기강화중심 집단상담은 12명, 인지행동 집단상담은 9명이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9명이 참여하였다. 동기강화중심 집단상담과 인지행동 집단상담 모두 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모든 참가자에게 사전, 사후, 추후(한 달 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강화중심 집단과 인지행동 집단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에 우울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동기강화중심 집단에서 사후에 충동성이 감소했으며, 변화준비도가 증가하였고, 공격성은 추후에 감소하였다. 셋째, 인지행동 집단에서 자아탄력성은 추후에 증가하였고,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추후에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영역에서 많이 실시되고 있는 동기강화상담과 인지행동상담을 스마트폰 중독집단에 적용하여 재구성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발달 특성 분석

        권경인,지희수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3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killed expert's expertise in group counseling. In this study, the skilled expert means professionalist corresponding to the stage before the group counseling master after the master's and doctor's courses which hasn't been researched in the developmental of the existing group counseling. The group counseling skilled experts as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s for their concrete criteria for selection, first they practically experienced in group counseling for over 10 years and second, are still taking care of group counseling and third, are training control professional counselors of the Group Counseling Association or counselors who proceed with group counseling super vision and fourth, are counselors with counseling related certificates for over 5 years. The counselors in compliance with these criteria for selection were called group counseling skilled experts and finally 10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a consistent interview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 interview schedules was prepared and twice individual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trauss & Corbin, 1998). As a results of categorization of the interview data through open cording, axial cording and selective cording, 53 notions, 31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deducted. In the analyzed result, the important subjects i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counseling skilled experts are as follows. They are selection of group counseling, recognition of group counseling as an important method to maintain expertise, conversion to deeper expertise, initial demand and demand of consistent expertise elevation, serious events which influenced the group counseling skilled experts / disappointment felt as a person and group counselor and its countermeasures, contribution to personal life, method for maturity, application of flexible theories and skills, change to an expert,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basis on the group counseling performance and etc. 본 연구는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전문성 발달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연구에서 숙련전문가는 기존의 집단상담 발달 연구에서 탐색되지 못한 대학원 석⋅박사 과정 이후부터 집단상담 대가 이전의 단계에 해당하는 전문가들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인 집단상담 숙련전문가는 목적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선정 기준은 첫째, 집단상담 실무경험이 10년 이상, 둘째, 현재에도 집단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자, 셋째, 집단상담학회 수련감독 전문상담사이거나 집단상담 수퍼비전을 진행하는 상담자, 넷째, 상담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지 5년 이상인 상담자였다. 이에 부합하는 상담자를 집단상담 숙련전문가로 명명하고 최종 10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일관된 면담을 위해 면담흐름표를 작성한 후 2차에 걸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는 근거이론 접근 방식(Strauss & Cobin, 1998)으로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면담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53개의 개념, 31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나타난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발달 특성의 중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집단상담의 선택, 집단상담을 전문성 유지를 위한 중요한 방식으로 인식, 더 깊은 전문성으로 전환, 초기 요구와 지속적인 전문성 고양의 요구,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에 영향을 미친 중대 사건/ 사람, 집단상담자로서 느끼는 좌절과 대처 방법, 개인적 삶의 기여, 전문성을 유지, 성숙 시키는 방법, 융통성 있는 이론과 기법의 적용, 전문가로의 변화, 전문적 특성, 집단상담 성과에 대한 평가 근거 등이다.

      • KCI등재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말선(Kim Mal Seo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대학 학생 중에서 학생상담센터 주최로 공고된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라는 공고를 통해 자발적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대학생 22명을 선정하고 이를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을 적용하였으며, 한 회기에 소요시간 120분씩,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을 실시하기 전·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대인관계능력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인관계에 관한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 결과에서 가정적 자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성 또는 진행과정에서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의 구성과 효율적인 진행방안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실험 결과로 보아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자신감 향상을 통한 대학생활 적응과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의사소통 훈련이 필요한 집단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적용한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대학생 뿐 아니라 성인 및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의 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22 college students of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os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for Interpersonal Relation Improvement` which was publicly noticed and hosted by Student Counseling Center.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1 members. Measurement devices used to verify hypotheses made here were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est and Self-Esteem Test. After these tests, the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over 10 session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To verify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on thos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urthe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cores from pre- and post-tests in accordance with hypotheses proposed here. Then,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Thus the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kills of interpersonal relations. Second,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self-esteem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Thus the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kills of self -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me-related skills as one of the sub-areas of self-esteem between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and the other group who didn`t.

      • KCI등재

        집단상담 윤리 요소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권경인,조수연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is study aims to derive ethical elements that need to be recognized as group counseling ethic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general survey was conducted on group counseling related researches and documents publish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se included the Institute Code of Ethics established in Korea and orientation materials used in group therapy scenes. Under the direction of three group counseling professionals, a draft of Group Counseling Ethics Delphi questionnaire was made. In order to derive ethical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the consensus process on the validity of each element should be derived. With this purpose the Delphi method was repeated three times, confirming the agreement of 29 group counseling experts.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was employed as a data processing method. As a way of measur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content validity of each element,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was calculated for each item by applying the internal validity calculation formula developed by Lawshe. As a result of the study, 143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ethics consisting of 11 categories and 41 areas were drawn. The 11 categories of group counseling ethics include, ‘confidentiality’, ‘participating in the group counseling’, ‘counseling relationship’, ‘ethical problem solving’, ‘responsibility of the group counselor’, ‘supervision training and education’, ‘pushing the values of the counselor’, ‘expertise in group counseling’, ‘composition of group counseling’, ‘orientation’, and ‘termination of group counseling’. Among these, 6 categories including ‘confidentiality’, ‘counseling relationship’, ‘expertise in group counseling’, ‘supervision training and education’, ‘responsibility of the group counselor’, ‘ethical problem solving’ were derived as the essential categories of group counseling ethic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the ethical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and the specification of essential ethical elements of group counseling. 본 연구는 집단상담 윤리로 인식되어야 할 집단상담 윤리 요소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판된 집단상담 윤리 연구 및 관련 자료, 국내외 학회 윤리 강령, 집단상담 장면에서 활용하고 있는 오리엔테이션 자료들을 중심으로 집단상담 윤리 개관을 하여 집단상담 윤리 요소를 추출하고, 3명의 집단상담 전문가의 감수를 통해 집단상담 윤리 델파이 설문 초안을 작성하였다. 집단상담 윤리 요소 도출을 위하여 요소별 내용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 과정을 도출하기 위해 29명의 집단상담 전문가에게 3차에 걸쳐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소별 중요도와 내용 타당도를 Lawshe가 개발한 내적 타당도 산출 공식을 적용하여 항목별 CVR(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총 11개 범주, 41개 영역, 143요소로 구성된 집단상담 윤리 요소가 도출되었다. 11개의 집단상담 윤리 요소 범주는 ‘비밀유지’, ‘집단상담 참여’, ‘상담관계’, ‘윤리적 문제 해결’, ‘집단상담자 책임’, ‘수퍼비전 훈련․교육’, ‘상담자 가치관 주입’, ‘집단상담 전문성’, ‘집단상담 구성’, ‘오리엔테이션’, ‘집단종결’로 확인되었다. 그중 ‘비밀보장’, ‘상담관계’, ‘집단상담 전문성’, ‘수퍼비전 훈련․교육’, ‘집단상담자 책임’, ‘윤리적 문제 해결’의 6개 범주는 집단상담 윤리의 핵심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 윤리 요소를 전체적으로 종합하고, 중요한 집단상담 핵심 윤리 요소를 체계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유채은 ( Chae Eun Yoo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소재 D대학교에 재학생 중 집단상담에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 20명이다. 이들은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배치되었다. 실험집단은 주 1회, 매회 120분, 총 10주 동안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에 참가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는 대인관계능력척도와 자존감척도를 사용하였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 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만족감, 감정이해, 의사소통, 개방성의 대인관계능력 하위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자존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존감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상담영역에서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22 college students of D university.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0 members. Measurement devices used to verify hypotheses made here were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est and Self-Esteem Test. After these tests, the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over 10 session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To verify effects of the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on thos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urthe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cores from pre- and post-tests in accordance with hypotheses proposed here. Then,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Second,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general skills as a sub-area of self-esteem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 KCI등재

        집단상담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급 집단상담자의 도움 경험을 중심으로

        이은경,권경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는 중급 집단상담자들의 집단상담 수퍼비전에서 도움 경험을 탐색하고 변화의 본질적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상담 2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집단상담 수퍼비전에 최소 5회 이상 참여하였거나 상담 1급 자격취득을 준비하는11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2019년 9월~2021년 3월까지 개별 면접을 시행하였고,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적용하였다. 결과 6개의 상위범주, 16개의 범주, 66개의 의미 단위와 3개의 주제로 분석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 수퍼비전참여에 대한 상담자들의 기대는 집단에 대해 궁금함을 해소하고 집단상담자로서 점검받고자 하는 것이었다. 상담의 실재에서는 집단상담에 대한 현실적인 고려가 없어 참여자들이 자격증 취득을 위한 수련요건을 채우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상담 수퍼비전에서 도움 되었던 경험은 어렵고 부담스러운 수퍼비전 참여에 적응되어 갔던 점과 수퍼바이저의 피드백을실제 개입에 적용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성장과 변화를 경험하였다. 셋째, 집단상담자로서의 변화는 집단을깊게 신뢰하게 되었고 자기 이해가 확고해져 갔으며 집단상담 수퍼바이저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집단상담 수퍼비전에서 상담자들의 도움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중급 집단상담자의 전문성을 배양하기위한 학습 과정과 성장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지도자 훈련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김동일,이혜은,이한림,김명찬,송민정,이명화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집단상담 지도자가 집단상담 훈련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지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 소속되어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집단상담 지도자로 활동했던 11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지도자 경험에 대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자료들을 분석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집단상담에 대한 인식과 인상적인 집단상담 참여경험을 지니고 리더로 입문함>, <과학적 개발절차에 기반한체계화된 운영 안에서 보호와 도움을 받음>, <리더 경험을 통해 배우며 ‘나름의 성장’을 함>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집단상담 지도자들을 위한 실제적인 실습 사례로서 S대학교의 구조화된 집단상담 훈련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상담 지도자들의 훈련 경험과 그 의미를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집단상담 지도자로서 입문단계에서의 적응과 성장에 주는 상담학적 함의를 도출하여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