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주양(Ju-Yang Lee),차석빈(Suk-Bin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탐색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진로탐색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본 후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에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청남북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4개 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면접효능감 1개 요인에만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탐색행동의 매체이용 직업탐색,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직업탐색 등 2개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직업탐색효능감과 관계구축효능감, 개인탐색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with a sample of 211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in Choong Chung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s based on the use of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self-estee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e factor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while negative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viewing efficacy. Second, positive self-estee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exploration. Third, career search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Lastly, career search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elf-esteem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적응성에 관한 연구

        조태현,이정란,현영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edictable effect relation of career adaptability which mediates usually for development of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success and career transifion adaptability related with career search and career choice activitie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354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earch efficacy among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rades from the junior class to senior, high school types, and average grades.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effect of career search efficacy to 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Therefore,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areer search efficacy to career adaptability could be synthetically used as a practical strategy to successfully achieve their goals of career.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활동 수행능력과 관련된 진로탐색효능감과 직무조건에 대처준비도인 진로적응성과 영향·예측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진로적응성의 책임감, 목표의식, 주도성, 긍정적 태도, 진로탐색효능감의 직업탐색, 개인탐색, 관계구축이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출신계열은 연구변인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평균성적에 따른 차이는 책임감, 목표의식, 직업탐색효능감, 개인탐색효능감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진로탐색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따른 진로적응성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책임감에 대한 개인탐색효능감, 목표의식은 직업탐색효능감, 개인탐색효능감, 대인관계에서는 직업탐색효능감, 관계구축효능감, 주도성에서는 진로탐색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 긍정적 태도에는 직업탐색효능감, 관계구축효능감이 유효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생의 성공적인 진로적응과 목표달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장애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옥인,임양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career explora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x and degree of disability on the relationships. The subjects were 119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or special classes located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Jeollabuk-do, and Gangwon-do,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areer exploration,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llectually disabled male adolesc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career exploration(intended-systematic exploration, environment exploration, self-exploration) than female ones did. Additionally, the lower the degree of disability of adolescents,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On the other hand,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exploration. Secondly,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sex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Specifically,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self-regulation had a greater influence on intended-systematic exploration and self-exploration, when the adolescents’ sex was female. Further,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d a greater influence on intended-systematic exploration and self-exploration, when the adolescents’ sex was mal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in the field depending on adolescents’ sex. 이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별, 장애정도와 자기조절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과 장애정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강원도 고등학교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111명에게 진로탐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척도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선정한 독립변인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지적장애 청소년이 여자 지적장애 청소년에 비해 진로탐색 활동(체계적 진로탐색, 환경탐색, 자아탐색) 수준이 높았으며, 지적장애 청소년의 지적장애 정도(등급)가 낮을수록 높은 수준의 체계적 진로탐색・환경탐색・자아탐색 행동이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제시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여아가 남아에 비해 자기조절이 체계적 진로탐색 및 자아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남아가 여아에 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체계적 진로탐색 및 자아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에게 개인내적요인으로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같은 자기결정 요인을 강화해주는 진로탐색 교육이 계획될 필요가 있으며, 여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조절 변인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더 효과적일 수 있으며, 남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인을 활용한 진로교육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진로결정몰입 및 진로탐색행동의 구조 관계 분석

        김순미,이현림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anticipated self-efficacy wa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ow mediator factors affected students, and what process was involved. To verify the model,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54 undergraduate students residing in D city and K Province, Korea. To statistically process the collected data, SPSS win 14.0 and Amos 6.0 were used, and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y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terpretation of goodness of fit index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propo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sufficien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o a modification model was set up. In the theoretical verification of the modification model and effect verification of indicators, the variables which showed highest effects in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were the career outcome expectancies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본 연구는 개인의 진로결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진로결정몰입, 진로탐색행동을 토대로 이론적 모형을 구성하여,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 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은 첫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결과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는 진로결정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째,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는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몰입은 진로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와 K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0명을 선정하여, 이 중에서 분석에 적절하지 않은 설문지 46부를 제외한 3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Sherer, Maddux, Mercandante, Prentice-Dunn 및 Jacobs(1982)가 개발한 자기효능감 척도와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를 측정하기 위하여 Betz와 Voyten(1997)의 척도(Career Outcome Expectancies Scale)를 사용하였다. 진로결정몰입은 Blustein, Ellis 및 Devenis(1988)가 개발한 척도(CCC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진로탐색행동은 Stumpf, Colarelli 및 Hartman(1983)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4.0과 Amos 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검증을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결과기대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몰입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과는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는 진로결정몰입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진로결과기대는 진로탐색행동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몰입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진로결정몰입 및 진로탐색행동은 대학생의 진로결정 여부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유형의 특성, 그리고 향후 진학 및 노동시장으로의 이전 방향성과 지속성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사결정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김민정,김봉환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t was applied in a two-step approach. the goodness of fit and validity of measurement model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structural relation model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fluence of career self-regula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72, .54, and .68,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21 and the influence of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11. the fitness indexes of the final model were GFI= .901, RMSEA= .085(90%=.078-.092), NFI= .895, TLI= .888, CFI= .909. The study confirmed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areer self-regulation has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s well as direct influence on it. career self-regulation has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rough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 as well as direct influence on it.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verifying relations among variabl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진로자기조절은 진로목표 달성과정에서 방해가 되는 요소들로부터 목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조정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을 진로탐색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가정하여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사결정,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서울시,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에 소재한 대학의 학생 7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통해 변인들 간의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최적의 모형을 선정하기 위해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들을 제시하여 모형평가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과 AMOS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로자기조절은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사결정,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합리적의사결정은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결정효능감도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진로자기조절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합리적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진로자기조절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효과를 주면서 합리적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셋째, 진로자기조절과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에서 합리적의사결정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진로자기조절은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효과를 주면서 합리적의사결정을 통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또한 합리적의사결정은 진로결정효능감을 통하여 진로탐색행동에 간접효과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들은 진로자기조절이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해석할 수 있게 하여 진로교육과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진로미결정 중학생의 진로자아효능감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박계향,천미숙,이현림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on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career indecisi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find the ways of career guidance for the future.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ould make a positive progress for career self-efficacy. Second, the career identi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whose scores were more than 43(upper 25%) in ‘Career Decision Scal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s the result, 15 students were allocated to both groups respectively. With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hich comprised totally 15 sessions by 90 minutes each time, the group counseling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but only the pre and post-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after the career-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as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a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including education and task in career self-efficac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progress than the control group including stability, object-orientedness, uniqueness, self-assertion, self-being awareness in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for the career indecision middle school students verified great effects on career self-efficacy for deciding their ways for the future and motivating their career identity.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진로미결정 중학생들의 진로자아효능감과 진로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가설은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자아효능감은 통제집단보다 향상될 것이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은 통제집단보다 향상될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C중학교 1학년 30명을 선발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자료 분석은 진로자아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의 하위 요인별로 사전-사후검사에서 얻은 점수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하위요인별 평균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론은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은 중학생의 진로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이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진로미결정 중학생의 진로자아효능감을 향상시켜 자신에게 주어진 과업이나 행동을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서 필요한 능력이 자기 자신에게 어느 정도 있다고 생각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기대의 정도가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은 중학생의 진로정체감 전체와 하위영역인 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자기주장, 자기존재 의식의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이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진로미결정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켜 자신의 모습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탐색을 한 후, 자신이 종사할 직업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은 진로미결정 중학생의 진로자아효능감과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2010년도 제17회 어린이재단 직원연구논문 공모 수상작 : 최우수 ; 소년원생을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성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김은영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0 동광 Vol.106 No.-

        본 연구는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소년원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자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소년원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2.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소년원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구성, 사전검사, 진로탐색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A시에 위치한 B소년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소년원생 중 8호처분(1개월 미만)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소년원상의 특성으로 소년원생의 참여의사가 아닌 각 반별 담당선생님의 추천을 받아 4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기학(1997)이 개발한 진로태도 성숙도 검사(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와 박명심과 김성회(2006)가 개발한 진로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태도성숙도 검사는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로자기효능감은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로탐색프로그램은 다양한 진로탐색프로그램 중 직업세계 이해, 진로의사결정, 진로계획 및 준비로 구성된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내 꿈은 내가 만든다.」기초로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재구성 하였다. 진로탐색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매주 2회 60분씩 총 8회에 걸쳐 B소년원집단상담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 방법으로 SPSS WIN 12.0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탐색프로그램 실시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대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실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t-검정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소년원생은 참여하지 않은 소년원생들에 비하여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진로성숙도가 평균점수 150.30 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161.65점으로 평균점수가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t=-2.344, p<.05) 둘째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소년원생들을 참여하지 않은 소년원생들에 비하여 진로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진로자기효능감 평균점수 111.25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127.05점으로 평균점수가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t=-2.965, p<.05)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이 낮고 인관관계 형성이 능력이 부족하여 미래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소년원생의 진로성숙도 와 진로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소년원생들의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자신을 사랑하게 되고 차 후 사회에 복귀하였을 때 건전한 사회구성으로 활동할 수있도록 소년원생들에게 적합한 진로탐색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나아가 진로탐색프로그램 참여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예측모형

        정미예,이건모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 실제적인 수행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적용되어 온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모형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인, 진로탐색의도를 매개변인, 진로탐색행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생 359명을 임의표집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과 AMO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 검증에서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의해 유의미하게 설명되고 진로탐색행동은 진로탐색의도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직접 설명되었고 또한 진로탐색의도를 매개로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간접적 영향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을 예측하는 진로탐색의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계획행동이론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and to test the structural model of variables effect on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structed on basi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model consisted of four constructs: four variables a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359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imply that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o affect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social support also did to affect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o affect indirectly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유머 스타일, 놀이성이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에 대한 애착을 매개로 하여”

        민성혜 ( Sung Hye Min ),신혜원 ( Hye Won Sh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3개 대학의 남녀 대학생 488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유머, 놀이성, 부모에 대한 애착, 진로탐색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유머와 놀이성이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에 대한 애착이 대학생의 유머와 놀이성과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유머는 Martin, Kuiper, Loinger와 Dance91993)이 개발한 척도를 이재선(2005)이 수정·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고, 놀이성은 Glynn과 Webster(1992)가 개발한 성인용 놀이성 척도를 박현숙(2003)이 수정·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은 Solberg, Good, Nord, Holm, Hohner, Zimer, Hefferman과Malen(1994)이 개발한 것을 최옥현(2006)이 수정·번안한 것으로 측정하였고, 부모에 대한 애착은 Armsden과 Greenberg(1987) 개발한 것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의 유머가 부모에 대한 애착 그리고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부모에 대한 애착도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놀이성은 유머, 부모에 대한 애착,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유머는 부모에 대한 애착을 거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반면 놀이성은 직접적으로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부모에 대한 애착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성향이나 태도로 가정되는 유머와 놀이성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였고, 특히 유머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시각을 제시하여 개인의 유머 증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arch self-efficacy are affected by humor and playfulnes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Subjects were 488 university students, with 281 men and 207 women. We measured university students` attachment by IPPA(Armsden et al., 1987), playfulness by Playfulness scale(Glynn et al., 1982), humor by Humor scale(Martin et al., 1993) and career self-efficacy by CSSE(Solberg et al., 1994). Analysis was done by Amos 4.0, In conclusion, university students` humor affects positively to career search self-efficacy through attachment. But playfulness affects negatively to career search self-efficacy.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옥인,임양미,유장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9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self-regulation on career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pathway. The subjects were 190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wo universities located at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areer explor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directly and positively related with career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rt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career exploration. Therefor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ally exer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self-regulation to career exploration. The finding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education or counseling programs for improving the level of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order to decide career effectively in universities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이 진로탐색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자기조절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에 위치한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9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척도를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조절과 진로탐색 간의 관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 중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의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 검증을 통해 타당도가 높은 문항들로 관측지표를 만들어 연구모델의 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MOS 21.0 프로그램의 부트스트레핑 절차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은 진로탐색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β = .37, p < .001),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정적인 관계(β = .71, p < .001)가 제시되었다. 또한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 간에는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β = .54, p < .001). 또한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과 진로탐색 간의 관계에 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 = .007).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자기조절은 진로탐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동시에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과 진로탐색 간의 관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대학생이 효과적인 진로탐색을 통해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지원이 대학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진로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도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