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애 예기와 진로발달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정미예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3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anticipat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361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aries of anticipated career barriers, general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showed a better fit than the full mediation model. General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nticipat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s imply that stuednts' anticipated career barriers appeared to affect career development via general self-efficacy. Therefore, their career development is high when their general self-efficacy is high and anticipated career barriers is less.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for intervening general self-efficacy in depressed students were offered.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래 진로장애 예기와 진로발달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전 및 충남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생 361명을 대상으로 진로장애 예기 척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발달 척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측정변인 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진로장애 예기를 예언변인으로, 진로발달을 결과변인으로,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미래 진로장애를 적게 예상하고 기대할수록 일반적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았고 진로발달 수준이 높았다. 진로장애 예기와 진로발달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장애 예기가 미래의 진로발달을 촉진하는 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졸업 후 취업이라는 진로를 앞두고 불안해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할 수 있다는 진로장애 예기 감소, 자기효능감 증진 개입활동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애 예기와 개인·심리적 변인의 구조적 분석

        정미예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1

        The present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uture career barriers and tested theory-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at included variables hypothesized to be related to their levels of anticipated career barriers.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antecedents, the relations among the participants' levels of anticipated career barriers, powerful others (one of the three dimensions of locus of control), fear of negative social evaluation, general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were examined. The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live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perform the analysis with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2.0 and AMOS 4.0. In terms of the consequence, anticipated career barrier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werful others and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general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fear of negative social evaluat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anticipated career barriers. In terms of the consequence, anticipated career barrier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development.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래 진로 장애 예기에 초점을 두고, 진로장애 예기 수준과 관련하여 가설로 설정한 변인들을 포함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장애 예기 수준, 통제소재(강력한 타인들-통제소재의 세 측면 중 하나), 부정적 사회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일반적 자기효능감, 진로발달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대전 및 충남에 거주하는 대학생이며, 분석은 SPSS win 12.0과 AMOS 4.0 통계프로그램에서 구조방정식 모형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장애 예기는 강력한 타인들과 정적 관련을, 일반적 자기효능감과는 부적 관련을 보였다. 부정적 사회평가에 대한 두려움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애 예기는 진로발달과 부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진로신화 척도 개발

        정미예 한국직업교육학회 2007 職業 敎育 硏究 Vol.26 No.1

        Clients approach to career counseling with abstractive hypotheses about career decision-making or the world of work. Speculation and hypotheses that the clients are viewed are career myths, they are relatively new and unexplored phenomena. There is, however, a distinct paucity of quantitative scientific research in this field. This study has attempt to develop and standardized a scale designed to assess the career myths held by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verify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cale developed were examined the relations of the variables related with career development. For the study, the pilot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open ended survey about career myths, and then the experts evaluated the questionnaire. Finally the Career Myths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 with 40 items, the inventory administered to 361 college student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iewed 6 factors(38 items), explained these factors cumulative variate 45.56%. 6 factors are consists of interest and effort myth(10 items), success and choice myth(8 items), superiority myth(5 items), view of career myth(7 items), perfection myth(5 items), test myth(3 items). Factor of interest and effort myth is the most powerful effect on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factor of perfection myth is one on locus of control(P), factor of view of career myth is one on trait anxiety, factor of success and choice is one on fear belief of negative evaluation.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진로상담에서 내담자들은 진로의사결정이나 직업세계에 관한 추상적인 가설을 가지고 접근한다. 이러한 내담자가 보이는 추측과 가설이 바로 진로신화이며 이는 기대하지 않았던 새로운 현상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아직 진로신화에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진로와 관련된 신화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한 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진로발달과 관련된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진로신화에 관한 자유 응답식 설문을 토대로 기초 질문지를 구성한 후 전문가 평정을 거쳐 40문항의 질문지를 대학생 361명에게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6가지 요인(38문항)이 추출되었으며, 6개 요인이 전체 변량의 45.56%를 설명하였다. 각 요인은 흥미와 노력신화(10문항), 성공 및 선택신화(8문항), 우월성신화(5문항), 직업관신화(7문항), 완벽성신화(5문항), 검사신화(3문항)로 명명되었다. 각 요인이 진로발달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발달과 자기효능감에는 ‘흥미 및 노력신화’가, 통제소재(P)에는 ‘완벽성신화’가, 특성불안에는 ‘직업관신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인지진로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 예측모형

        정미예,조남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and to test the structural model of variables effect on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was constructed on basis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model attempted to account for the interplay among six sets of variables: career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ffective traits, goal- directed activity, outcome expectations, and social support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385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model was a good fit. Secondly, social supports, outcome expectations, and goal-directed activity mediated affective traits and life satisfaction. Thir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fective traits and career satisfaction. Finally,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이 상정하는 이론적 모형에 주관적 안녕감인 특질적 정서, 삶의 만족, 진로만족 요인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ent와 Brown(2008)의 통합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에서 제시한 목표지향행동, 결과기대, 환경적 지지, 특질적 정서, 진로만족, 그리고 삶의 만족 6가지 요인들을 사용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모형의 검증 분석을 위해 대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검증에서 특질적 정서의 진로만족에 대한 영향력을 제외한 진로만족, 삶의 만족, 목표지향행동, 결과기대, 환경적 지지 변인들 간에는 정적인 직접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인지진로이론 모형에 대한 주관적 안녕감 요인의 적용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학업참여의 매개효과

        정미예,권정희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2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400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for one month in July 2019. In order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the fitness of the research and the alternative model was compar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i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partial mediation model was adopt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suppor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iversities and professors need to understand the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befor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hat in order to enhance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not onl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t also interventions that activate academic engagement are needed.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ross-sectional study, it is bound to be somewhat limited in the verification of the intermediary model, so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re need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지속의향 관계에서 학업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참여대상 및 인원은 대학생 400명으로 2019년 7월 한 달간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학업참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이 채택되었고 학업참여의 매개효과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과 교수가 교수-학습과정 이전에 대학생의 개인적 심리 특성을 파악해야 하고, 대학생들의 학업지속 의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뿐만 아니라 학업참여를 활성화시키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횡단 조사연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매개모형 검증엔 다소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추후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참여 증진 프로그램 개입의 실험연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의 구조적 분석

        정미예,조남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adaptability, positive affect,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420 students in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Chungcheong-do(Province),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positive affect, career ada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ffect had direc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Career adaptability showe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meditated the links from social support to career adaptability and from social support to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for career counseling to promote career adaptabilit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가설적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충청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0명이며, 임의표집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 정서, 진로적응성,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긍정적 정서는 진로적응성과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진로적응성은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정서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관계를 매개하는 유의미한 매개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진로상담에서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및 조절효과

        정미예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to test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ose relationship.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359 college students. The SPSS Win 12.0 computer program and Amos 4.0 program were used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empirical analysis and to calculate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Group Factor Analysis.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Students'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Secondly, soci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irdly, Moderation effect analysis indicated that didn't moderate the relation of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results imply that students'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ppeared to affect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via social support. Therefore, the present findings are recommended when the counselors develop a program to facilitate to the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가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와 중재하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의도와 사회적 지지, 그리고 진로탐색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과 AMO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는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의도와 진로탐색행동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탐색의도와 진로탐색행동에 영향력을 줄 때 사회적 지지는 진로탐색의도와 상호작용을 하여 진로탐색행동을 조정하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가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나 사회적 지지가 부분적으로 두 변인의 관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을 촉진하는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예측모형

        정미예,이건모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 실제적인 수행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적용되어 온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모형의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인, 진로탐색의도를 매개변인, 진로탐색행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생 359명을 임의표집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과 AMO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 검증에서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의해 유의미하게 설명되고 진로탐색행동은 진로탐색의도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직접 설명되었고 또한 진로탐색의도를 매개로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간접적 영향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을 예측하는 진로탐색의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계획행동이론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and to test the structural model of variables effect on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structed on basi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model consisted of four constructs: four variables a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359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imply that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o affect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and social support also did to affect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o affect indirectly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장애 지각과 진로신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발달의 구조적 분석

        정미예,이현림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anticipated career barriers were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how mediator factors affected students, and what process was involved. To verify the model, a survey was carried out on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Daegu,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subjects were 479 students. To statistically process the collected data, SPSS win 12.0 and AMOS 4.0 were used, and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terpretation of goodness of fit index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propo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sufficien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o a modification model was set up. In the theoretical verification of the modification model and effect verification of indicators, the variable which showed the highest effect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as career myths, while the endogenous variable was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In addition, anticipat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myths did not affect career development in a direct way but rather, in an indirect way. In particular, career relationship variables which affected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ere explained,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the mediator variable played an important role. Keywords : anticipated career barriers, career myth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development, structural analysi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관련된 진로장애 지각과 그것을 매개하는 변인이 어떠한 경로로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및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은 총 47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win 12.0과 AMOS 4.0 프로그램이 각각 사용되었고, 모형 검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적합도가 양호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모형 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 모형을 통한 연구문제의 검증과 예언변인들의 효과 검증에서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영향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외생변인은 진로신화였으며, 매개변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었다. 또한 외생변인인 진로장애 지각과 진로신화는 내생변인인 진로발달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주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매개변인을 통해 영향력을 주고 있었다. 특히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진로관련 변인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 매개변인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어 : 진로장애 지각, 진로신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발달, 구조적 분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