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로교육의 정체성

        김현우 신라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2017 論文集 Vol.62 No.-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이래 진로교육 또는 진로지도가 대학뿐만 아니라 각급 학교에서도 중요한 주제의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교육부는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이를 실제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최근의 예를 들면 중등의 경우, 2016년부터 전면 실시된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시행, 고등교육에서는 실무 중심의 평생 직업교육 선도대학 육성 사업 또는 전문대학 중심의 직업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등이 그에 해당한다. 학교교육에서 진로지도가 강조되는 것은 진로와 직업이 개인 차원의 삶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에 비추어 당연한 현상이기도 하다. 사회적으로는 1997년 국제 통화 기금(IMF)의 관리를 받았던 경제 위기 이후, 대량 실직, 조기 퇴직, 만성적 고실업과 구직난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사회 경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에서 진로지도 및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추세에 따라 신라대학교에서는 2003학년도부터 진로지도가 정식 교과목으로 개설되어 학생들이 수강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진로지도를 담당하는 담임 지도 교수제로 운영되었는데 2006년부터 평생 지도교수제로 변경되었다. 이는 재학 기간뿐만 아니라 졸업 후에도 추수지도를 함으로써 진로지도에 더하여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및 평생교육의 취지를 추가한 것이다. 진로교육과 연관된 지도 교수제는 우리 대학뿐만 아니라 타 대학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그 사례를 살펴보면, 진로지도 교수제(한남대), 진로 및 취업지도 전담 교수제(충남대), 담임 교수제(중앙대), 평생지도 교수제(신라대, 서강대, 조선대), 학사지도 교수제 (연세대), 분담지도 교수제(상명대, 경일대), 전담 교수제(배제대), 취업매직센터 운영(건양대) 등이 있다(각 대학 요람 참고). 대학마다 다양한 명칭으로 진로지도 교수제가 운영되고 있는데 학생들의 진로에서 취업을 중시하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것은 최근에 교육부가 대학평가에서 졸업생 취업률과 재학생 충원율을 중요 지표로 삼는 정책을 추진 하는 데 따른 현실적 이유에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대학의 사명은 교육, 연구 및 봉사의 3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대학의 설립 유형이나 시대 상황에 따라 세 가지 강조점에 경중의 차이가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대학생들의 인격 도야 및 개발을 도와주는 교육 기능은 변함없이 중요시되어 왔다.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은 넓은 의미에서 교육적 기능의 하나에 포함시킬 수 있다. 최근의 진로교육 강화 추세는 학생들의 취업 진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대학 입장에 서 교육 기능을 심화하는 현상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진로교육의 개념 및 발달 과정을 알아본다. 둘째, 대학 진로교육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본다. 셋째, 외국의 사례를 통하여 진로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찾아본다. 넷째, 진로교육의 정체성을 이해하여 앞으로 대학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탐색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identity of college career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career education is career preparation education. Also, students pointed out professors as to the person they wanted to receive from regarding employment paths. Therefore the abstract focuses on the career education identity that can be pursued through teaching activities. First, the professor shall help the student choose a path that is adequate to the aptitude and interest of the student. Even though the career path subject is an option in highschool, most students will have rather received counseling focused on college entrance. Therefore,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major when entering, and waste their college life in conflicts. To these students, the career education in college can be their first chance in finding their identity. If we take into account the education reality of our country where a systematic career counseling does not exist befo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we must find the importance of‘career education’that can be learned first in college. Second, professors must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discovery. By using a standardized test or other testing method, they must congratulate the chance of personal discovery. Also, discovery through personal counseling or group counseling, and aid in establishing self identity must be given. Job guidance is a small activity where techniques or information need for employments is transferred or learned. The career education must not only be a job guidance but a larger activity where it can help develop and discover paths by understand oneself. Third, professors must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employment world and establish career identity. Most students only show interest in careers related to their major and information usage has the tendency to be limited. The professor shall guide the students see the entire career world and help them properly understand what type of careers there are regarding their major, how the future will seem, and what type of jobs there are in the chosen field. Fourth, the professor shall help the students plan their career and perceiv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They shall help the students have insight in strategically planning their life in steps and have the proper occupational view to plan their goals in detail. In the process they shall help th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ife-long study. They shall also counsel the students to perceive the reality of society where keeping a life-long career is impossible and help them prepare in changing jobs or a career change. The life-long study that is connected to the career education can be the foundation for a follow-up service after graduation.

      • KCI등재

        대학생 진로지도를 위한 진로지도 수업의 효과분석

        윤영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9

        본 연구는 대학 내 교양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는 진로지도 교과목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4년제 대학에서 진로지도 교양과목 수업을 수강한 학생 60명과 진로지도 교양과목 수업 수강하지 않은 학생 45명 총105명이다. 연구도구는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두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와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진로교과목 수업을 이수한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대학 내 교양과목으로 운영되는 진로지도 교과목은 대학생 진로지도에 효과적이므로 교양필수교과로 운영하여야 한다. 진로지도 교과목은 1학년에서부터 4학년까지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진로정체감 하위요인 중 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한학기의 진로지도 교과목 교양수업으로는 향상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강구되어 자신감 향상을 위한 비교과·교과프로그램이 대학차원에서 연구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ways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guidance courses and classes that operate within the liberal arts college and university career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found through this. The subjects in the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who have taken a career guidance liberal arts classes to 60 students name and career guidance is 45 people a total of 105 liberal arts students do not attend classes. Research tools were presented the Plan of Career Identity check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st was used for two group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uidance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the difference of the following. First, the course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students'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ve completed the course. Therefore, career guidance courses run by university liberal arts are so effective for college students career guidance should be run by educated mandatory curriculum. Career guidance curriculum is the whole process should be systematically planned and operated from the first grade to the fourth grade. Second, confidence in the Career Identity sub-factors capable of is has not improved career guidance curriculum education classes in one semester. Therefore, various measures to improve confidence in the students' abilities have been taken Compare & Save for improving self-confidence, curriculum programs research should be operating in the university level.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현황과 지원 방안

        김현미(Hyun-Mi Kim),이수정(Soo J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현황을 분석하여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를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학교 연차별로 차별화된 3종의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응답 결과 총 84개의 연구학교에서 응답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 조사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구성, 둘째, 진로집중학기제 운영을 통한 고1 학사운영 구안, 셋째, 진로·학업설계 지도 담당자 및 지도 현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많은 연구학교에서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및 교육과정 전담 부서를 구성하였고, 고1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진로 지도 프로그램 및 학업설계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는 교육과정 전담 부서에서 주관하거나 담임교사가 주축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담당 교사들의 업무 과중과 담당 인력 부족 등 운영상의 어려움도 파악되었으며,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의 체계적 운영과 역할 분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전문성 신장과 내실화 지원, 진로 및 학업설계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의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s of guiding career and studies and suggest support pla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Methods It conducted a survey of the guidance of career and studie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It developed three kinds of questionnaire for the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research schools, and a total of 84 research schools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It presented as the result of the survey first, organization of course completion guidance team, second, implementation of the first year school affairs as career-focusing semester, and third, the person in charge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guiding career and studies. As the result, a lot of research schools organized course completion guidance team and curriculum division, various career and studies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curriculum division or homeroom teachers led mainly guiding career and studie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research schools were struggling from overwork of teachers in charge of guiding career and studies and labor shortages. Conclusions It suggested as the support pla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first, support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bstantiality of the guidance of career and studies, and second, support for promoting programs of career and studies.

      • KCI등재후보

        지각된 부모의 양육 및 진로지도 태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종운,나운환,정승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5 No.4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 및 진로지도 태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진로결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각장애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지도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특히 부모의 양육 및 진로지도 태도에 대한 청각장애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조사는 대구 경북지역 중ᆞ고ᆞ대학교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88명을 최종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교육형태의 결정은 부모가 단독으로 선택하거나 부모와 본인의 합의로 결정하는 경우가 전체 응답자의 67.1%로 나타났으며, 주로 부모와 함께 진로를 의논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지도에 있어 전문가들보다 부모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모의 진로지도에 대한 태도 요인 중 진로결정과 상관을 보인 것은 부모의 애정요인 뿐이었는데 이는 부모의 지지와 애정이 진로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모는 지속적으로 애정적 태도를 갖고 진로결정을 지지해 주어야 하며, 청각장애학교의 진로지도를 담당하는 학교에서는 청각장애학생의 진로지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모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진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연구결과 드러난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교 진로지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로지도프로그램을 늘리고, 진로지도의 내실화 및 전문성 확보, 직업훈련교사 등 전문가 배치 확대가 필요하다.

      • 일반계고 진학/진로지도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김수원 직업과고용서비스연구학회 2018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Vol.13 No.1

        본고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의 4-7차 웨이브를 이용하여 진로지도 방식, 진 학지도 방식, 진로 성숙도 그리고 진학/진로지도 만족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진학 및 진로지도에 변화가 어떠한 특성을 지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진 학/진로지도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지도 방식, 진학지도 방식, 진로 성숙도 그리고 진학/진로지도 만족도에 대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년도별, 학교 유형별, 학교 규모별 변화와 차이 등 특성을 분 석하였으며, 진로지도 방식, 진학지도 방식이 진로 성숙도와 진학/진로지도 만족도와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진로지도 방식에서 ‘외부인사 초청 강연’, ‘선배·직업인 멘토링 프로그램’ 등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부문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담임교사 개별지도’나 ‘진로담당교사 집단/개별지도’ 등 교사 활용부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학지도 방식에서 ‘진로 관련수험자료 제작·배포’, ‘지원 대학 정보 제공’ 등 정보나 자료 제공과 같은 단순한 방식이 많으면서 증가하고, 반면에 ‘진학전문가 초빙 진학설명회’, ‘학과 체험활동 제공’ 등 전문적이고 실질적 체험부문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 성숙도에서 전반적 으로 년도별로 U자 곡선형태로 변화하였는데, 학생 스스로 장래의 적성과 희망을 발견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나 ‘장래 희망에 필요한 내용 구상’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지도 방식, 진학지도 방식과 진로 성숙도의 관계에서 ‘별도 과목 편성.지도’, ‘진로담당교 사 집단/개별지도’,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등은 진로 성숙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부인사 초청 공연’, ‘지역사회 및 자원 활용’, ‘학과 체험활동 제공’ 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진로지도 질 관리를 위한 영국 사례 분석

        정지은,곽미선,홍은선 한국비교교육학회 2024 比較敎育硏究 Vol.34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국 대학 진로지도 질 관리에 관한 배경과 발전 과정 및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영국의 진로지도 정책과 대학 진로지도의 질 관리 관련 정부 발간자료 등의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Hooley&Rice(2019)가 제안한 진로지도의 질 보장 개념 모델의 정책, 조직, 프로세스, 인력, 성과, 소비 6개 영역을 분석 틀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지도 질 관리를 위한 벤치마크 개발을 시작으로 파일럿 연구, 법적 지침 제정 등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관련 내용을 개정하고 있다. 둘째, 질 관리를 위한 총괄 기관을 지정하고 지역 단위의 유기적인 조직 체계를 구성하였다. 셋째, 진로지도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모든 교육기관이 기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환류 시스템과 장기적 지원 체계를 갖추었다. 넷째, 진로지도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양성 및 교육하고 있다. 다섯째, 진로지도 질 관리의 효과성을 정량적으로 확인하며 모니터링하고 있다. 여섯째, 참여자인 학생과 기업이 만족도와 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결론] 한국의 대학 진로지도가 모든 학생을 위한 보편적 진로 기회 제공이 되기 위해서는 진로지도 질 관리를 접근하는 관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 by analyzing in depth th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contents of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career guidance in the UK. [Methods] We analyzed literature such as UK career guidance policies and government-published data related to quality management of university career guidance, and selected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career guidance quality management frame of Hooley & Rice (2019). [Results] University career guidance quality management in the UK has established a system and implementation capacity for career guidance quality management in six areas: policy, organization, process, human resources, performance, and consumption, and is continuing its efforts. [Conclusion] In order for college career guidance in Korea to provide universal career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erspective of approaching career guidance quality management, and a plan should be prepared to advance it in the long run.

      • 공주대학교 상시진로지도 모형 개발

        한승록(Han Seung Lock)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학생들의 입학에서부터 졸업에 이르기 까지 진로 및 취업지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시진로지도 모형 및 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공주대학교 진로 및 취업지도 현황과 요구 사항들에 대한 재학생, 교수, 졸업생 대상 설문지 분석과 국내ㆍ외 우수사례 밴치마킹 등을 통하여 공주대학교의 특성에 적합한 진로 및 취업지도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시스템을 개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진로 및 취업지도 모델은 ① 진로인식단계, ② 진로탐색단계, ③ 진로결정단계, ④ 취업준비단계 등 네 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적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제안하였다. 또한 이 시스템은 On-line과 Off-line 상에서 서로 조화롭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공주대학교 상시진로지도시스템(FAMS)은 CPMS(커리어포트폴리오관리시스템), LAMS(학술활동관리시스템), JAMS(취업역량강화관리시스템), MMS(멘토링관리시스템) 등 4개의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하도록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e Kong Ju National University’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system(Future Ability Management System : FAMS). The system would be useful for college students of Kong Ju National University to search and decide their career during their being at KJNU. The system was developed to operated both on-line and off-line. The process of career guidance in the system has four phases, career perception phase - career search phase - career decision phase - work preparation phase. And the system has four sub-parts, CPMS(Career Portfolio Management System), LAMS(Learning Activity Management System), JAMS(Job 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MMS(Mentoring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good effect of the system, these four parts would be operated both on-line and off-line.

      • KCI등재후보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실태에 대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 비교 연구

        이병욱,정현옥,이찬주 대한공업교육학회 201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developing an efficient career guidance method of Vocational High Schools on the basis of analyzing awareness differences in students, teachers an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s well as awareness differences according to a position of teachers in terms of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guidance and improvements with the target of students and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at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Seoul Metropol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the awareness of students on the career guidance level of Vocational High Schools is insufficient, and students answered that employment guidance is more insufficient compared to educational guidance.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students on the career guidance conditions appeared to be generally insufficient. Second, in case of awareness of teachers on the career guidance condi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eachers answered that arrangement of teachers in full charge of career guidance, career counselling room, securing and utilization of latest care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arch systems capable of using the Internet for career guidance are sufficient, whereas they answered that time for career guidance, operating budget of a career counselling room and linkage with external institutions are insufficient. Third, they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generally sufficient in the order of a principal, vice-principal and teachers. The principal is cognizing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sufficient all question items, and the vice-principal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insufficient in only operating budget of a career counselling room and linkage with external institutions. Teachers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insufficient in only time for career guidance, operating budget of a career counselling room and linkage with external institutions. In addition, compared to teachers, the principal was cognizing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sufficient except operating budget of the career counselling room through analysis of awareness difference among principle, vice-principle and teachers. Fourth, students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insufficient in all question items, but teachers cognized that career guidance conditions are sufficient in all question items excluding time for career guidance. Among them, what showed a difference of the biggest awareness was analyzed as information search systems capable of using the Internet. 이 연구는 전문계 고교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진로지도 실태 및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한 학생, 교원, 학생과 교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전문계 고교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서울특별시 전문계 고교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정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미흡하다고 나타났으며, 진학지도에 비해서 취업지도가 더 미흡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대체로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교원의 인식은 진로지도를 위한 전담 교사 배치, 진로상담실, 최신 진로 정보 확보 및 활용, 진로지도를 위한 인터넷 사용 가능 정보 검색 시스템은 충분하다고 응답한 반면,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 진로상담실의 운영예산,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는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진로지도 여건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교장, 교감, 교사 순으로 충분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장은 모든 문항에서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감은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과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에 대해서만 부족하다고 응답하였고, 교사는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 외부 유관 기관과의 연계에 대해서만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장, 교감, 교사 사이의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서 진로상담실의 운영 예산을 제외하고 교장은 교사에 비해서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진로지도 여건에 대한 학생은 모든 문항에서 부족하다고 응답했지만, 교원은 진로지도를 위한 시간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충분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중에서 가장 큰 인식의 차이를 보인 것은 인터넷 사용 가능 정보검색 시스템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부모의 성취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보윤,공윤정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9 초등상담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 5학년 5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성취 압력 및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 과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진로발달에 어떠한 설명력을 갖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발달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발달의 하위 영역인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진로지도와 아동의 진로발달역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의 진로지도 하위 영역 중 정서적 지지를 제외한 영역들은 진로발 달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직업선택의 합리성, 직업적 성 편견, 자긍심에는 의미 있는 설명력을 보이지 못했지만, 진로발달 총점, 진로지향성, 직업의 이해, 자기이해, 자율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부모의 진로지도는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발달에 부모의 성취압력과 더불어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였다. 하지만 진로지도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는 진로발달에 부적 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9 six-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dded to this,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urs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For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on influence of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were set up. The study showed three finding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and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guidanc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The sub factors of career guidance, except for emotional support,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b factors of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Second,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didn't show significant effect on fitness of career choice, sex-prejudice and pride, but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career development, career directivity, career comprehension, self-comprehension and self- control. Third, parent's career guidance showed additional impact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But emotional support, which is the sub-fact of career guidance, had no correlation with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와 진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유미영,정성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 지도 프로그램 적용이 진로 성숙도와 진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서 (1) 진로성숙도의 하위 영역인 진로태도와 진로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2) 진로 자기 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교육진로와 과업진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64명을 대상으로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은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 성숙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즉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의 학생들이 진로 지도를 받지 못한 통제 집단의 학생들보다 진로 성숙도의 태도 영역과 능력 영역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 자기 효능감 향상에 별로 효과가 없었다. 즉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통제 집단의 학생들보다 하위 영역인 교육진로 자기 효능감과 과업진로 자기 효능감에의 평균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지만 두 집단을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areer-guidance program on career-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tated and utiliz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s in the career-guidanc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in terms of career-attitude and career-ability which are the sub-domains of career-maturity, and career-skills which are the sub-domains of career self-efficacy.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 post-test was applied to 64 students in their sixth year of elementary school including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areer-guidance program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not to the control group. The data was collec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ly by t-test using SPSS(ver. 12)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guidanc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areer-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career-guidance program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attitude and ability domain of career maturity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career-guidance program. Second, the career-guidance program had littl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self-efficacy.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made a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career self-efficacy and skills when compared to the average of the control group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career-guidanc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career-mat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