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개화기 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중국학계의 한문학 연구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곽미선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중국에서 한국 개화기 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고는 중국에서 한국 개화기 문학 연구의 역사를 제1기(1980년대 초~1980년대 말), 제2기(1990년대 초~1990년대 말), 제3기(2000년~현재) 등 세 개 발전단계로 나누고 이 시기 한문학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각 시기의 주요한 연구 성과와 특징을 고찰하였다. 재중 망명 문인에 대한 연구와 한중 지식인의 교류 에 대한 연구, 한국 근대문학에 미친 중국 지식인의 영향 연구, 개화기 조선 지식인 의 중국체험과 해외문화 수용 연구는 중국에서 한국 개화기 문학 연구의 쟁점으로 되어 있다. 특히 중국학자들은 한국 개화기 문학 연구에서 자기들의 우세와 특색을 발휘하여 漢文學을 중심으로 중국과의 관련성에 주목하였다.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대상을 확충하여 개화기 중국 만주지역과 화동지 역으로 망명했던 문인들의 체험을 비교문학의 각도로부터 연구해야 할 것과 디아 스포라의 연구방법을 원용하여 망명 지식인들의 활동행적을 재구하는 작업, 그리 고 개화기 지식인들의 국한문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과 중국망명 문인들의 망명전후 세계관의 변화과정을 비교사적 시각으로 재조명하는 작업은 당면 중국 학파의 주요한 연구과제와 전망임을 밝혔다. This paper focus on the Chinese Scholars' retrospect and prospect on South Korean civilized period literature. Since 1980, the research on the South Korean civilized period literature has achieved marked results in China. The research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1980s, 1990s and after 2000, this paper will explore the main achievement of each stage. It mainly showed in four aspects. First, the research on Korean scholars exiled in China; second, the research on the contact between scholars from China and Korea third, the research on the Chinese intellectuals’ influence on South Korean modern literature forth, the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overseas cultures and Chinese experience of Korean Civilized Period scholars. We should continually find new research material to push forward this research. Firstly, do research on the exotic experience of the exiled scholars in Manchuria and Easter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secondly, retarget the activities of the exiled scholars with the Diaspora method; thirdly, explore the civilized period Korean’s recognization of the Chinese style; finally, compare the world view of exiled scholars before and after they exiled to China.

      • KCI등재

        한국고전시화에 나타난 산동문인들에 대한 인식 및 수용 양상 연구

        郭美善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3 No.-

        한국고전시화에는 중국 문인의 작품에 대한 비평이 다수 수록되었지만 지금까 지 학문적 조명을 받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한국고전시화에 나타난 산동문인 관 련 기록을 살펴본 기초 상에서 조선 문인들의 산동 문인에 대한 인식과 수용 양상 을 전체적으로 조망해보았다. 한국고전시화에서 산동문인을 바라보는 시각은 크 게 유교문화 전통에 대한 推仰, 文藝에 대한 高評, 문학교류를 통한 시문품평, 여류문인에 대한 인식 등 네 가지로 요약해볼 수 있다. 우선, “유교문화 전통에 대한 推仰”에서는 유교문화를 추앙하면서 공자 이후 후 세로 詩道가 무너지게 된 풍조를 비판하였고 공맹의 文道에 대한 후세 문인들의 인식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文藝에 대한 高評”에서는 조선조 문인들이 산동출신 이백의 시적인 능력과 명성을 추숭하고 그런 것을 시화의 소재로 활용하였음을 확 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문학교류를 통한 시문품평”에서는 연행길에 이병연이 산 동 문인 위정희로부터 시문 품평을 받았는데 이러한 전통이 한객건연집까지 이 어져서 영향을 미쳤던 점과, 산동출신 왕사정 시의 장단점과 특색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면서 정확한 평가를 부여하였던 조선 문인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규명하였 다. 마지막으로, “여류문인에 대한 시각”에서는 산동출신 女流詞家인 이청조의 문 학적 성취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改嫁한 행위에 대해서는 失節이라고 혹 평하였던 측면을 확인하였으며, 유가적 질서와 남성의 문학경험에 기초를 두고 유 교문화의 발상지인 중국 문인들보다 훨씬 더 폐쇄적인 시선으로 여류문인을 바라 보았던 모습을 살펴보았다. 조선문인들은 한국고전시화에서 산동문인을 바라볼 때 산동의 지역적 특수성을 염두에 두고 품평했던 것이 아니라 중국문학을 거시적인 틀에서 바라보았다. 본고 에서는 산동문인에 의해 창작된 문학이 조선문학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일으켰던 측면을 주목하였다. 조선 문인들의 산동문인에 대한 수용은 크게 仙風과 神韻 등 두가지로 요약된다. 조선의 문인들은 이백의 문학에 암묵적으로 영향을 받아 仙風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자신의 작품에 수용하였다. 신운의 수용 에서는 신운론을 성정론과 동등시하여 인식하였던 측면과, 문학창작의 한 전범으 로서 왕사정의 신운론을 추앙하면서 자기들의 창작에 실천하였던 모습을 확인하였다. Many literary reviews on Chinese litterateurs' literary works are included in “Classical Notes on Poets and Poetry of Korea”, which don’t receive enough attention until now. This paper will do the research on the Korean litterateur’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Chinese Shandong litterateurs from macro perspectives. It related to the following four areas: the admiration of Confucian cultural tradition, the high praise of Chinese literature and art, the comments on Chinese poetry in the communication, the evaluation of Chinese poetess. First, it expounds the understanding of Confucius and Mencius by later ages. Second, it confirms Korean litterateurs’ highly praise for Shandong poet Li Bai. Third, it states that Li Bingyuan received a Shandong litterateur – WeiTingxi’s comments on his poem on the road of Yanxing. And this kind of comments can also be found in the review in A Collection of Poems by Four Korean Poets of Li Dynasty. Korean litterateurs evaluate the poetry of Wang Zhenzhi objectively, and give his work positive evaluation and affirmation. Finally, Korean litterateurs fully affirmed Li Qingzhao's literary achievement, but excoriate her remarrying as the dishonor behavior. It means Korean litterateurs take Confucianism and the male literary experience as the baseline; and they take more critical judgment on poetess even than the litterateurs of Confucianism cradle - China. Korean litterateurs didn't take the particularity of Shandong area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evaluated the Shandong Litterateur mentioned in Classical Notes on Poets and Poetry of Korea.They only did the comments in the macroscopical framework of Chinese literatur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important role that Shandong litterateurs'literary works play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Korean litterateurs'acceptance can be summed up into two aspects: Xian Feng and romantic charm. Korean litterateurs are influenced by Li Bai subtly; they pay attention to Xian Feng and make it their own. During the acceptance of the romantic charm, we can know Korean litterateurs'cognitive view; they equal the theory of romantic charm to the views on Xing and Qing; they take Wang Shizhen's theory of romantic charm as the model of the literary creation, and put it into their own writing.

      • KCI등재

        김택영의 한시를 통해 본 망명 전후 의식세계의 변모

        곽미선 열상고전연구회 2009 열상고전연구 Vol.29 No.-

        본고는 창강 김택영의 한시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이다. 김택영은 망명을 전후로 내면세계의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다. 김택영이 망명 이전에 지은 한시에서 진취적이고 幽興적인 생활의지를 보여주었다면, 망명 이후에 지은 시에서는 애원의 정조를 부각시키면서 우국충정과 망국의 한을 표출하였다. 고려의 遺民으로 살아가려던 김택영의 의식은 망명을 계기로 조선의 유민의식으로 승화되었다. 망명지에서 김택영은 조선의 遺民으로 생활하면서 조국광복에 대한 열망이 보다 강해졌으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문장보국의식을 실천에 옮겨 주목된다. 김택영은 중국으로 망명한 후 중국 지식인들과 교유하면서 그들의 사상에 감화를 받아 근대계몽을 지향하는 의식이 싹트게 되었다. 이를테면 중국의 새로운 학풍을 높이 평가하거나, 신해혁명을 찬성하면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부단히 발전 변화하는 개방된 의식을 드러낸 점을 꼽을 수 있다. 여러 가지 역사적 사건을 경험하면서 김택영의 의식은 많은 변모를 가져왔는데, 우리는 이 변모과정을 김택영 사상의 발전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김택영이 보여준 의식세계의 변모는 근대계몽기 지식인들이 지닌 사유와 문학의 특징적 면모를 이해하는 데 밑거름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look over poetry of Changgang KimTaekyoung. He had an internal change and improvement during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The poetry in his early period shows progressive and pleasure characteristic, while the poetry during his second period shows his intense patriotism and lamentation over the national ruin with pleading sentiment. His decision to spend his life as a migrant of Goryeo dynasty changed into the consciousness as a migrant of Joshon dynasty. In China, as a migrant of Joshon dynasty, he got stronger passion for the independence and put literal patriotism into practice to overcome his irresistible yearning for Joshon. After he came to China as an exile, he made friends with Chinese intellectuals and became eager for modern enlightenment. For example, he valued Chinese new academic atmosphere and supported Chinese revolution. In conclusion, he got open 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the dynamic period. By experiencing many historical events, his consciousness had changed a lot and we need to consider this process as his ideological improvement. The transformation which Changgang showed can be a basic step to understand the thinking and literature of intellectuals who lived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 KCI등재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력유형 연구

        곽미선,안주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여성연구 Vol.108 No.1

        이 연구는 베이비부머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경력패턴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가정배경, 진입 및 결과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경력유형별 노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격년 조사하는 여성가족패널(KLoWF) 자료를 활용하였다. 경력 유형 분석에는 직업력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적일치법과 군집분석을통해 유형을 구분하였다. 또한 유형별 특성 중 인구통계학적, 가정배경, 진입특성 변인은 응답자가패널에 최초 진입했던 차수의 응답값(1-4차), 결과변인은 응답자가 마지막으로 응답한 차수의 응답값(4-7차)을 활용하였고, 교차분석과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력중기 이후 경력 유형은 크게 안정적정규직종사자 유형, 비정규직전환종사자 유형, 무임금가족사업종사자 유형, 특수고용종사자 유형, 자영업종사자 유형의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별로인구통계학적 특성, 가족배경 특성, 진입특성, 결과특성은 상이하게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결과는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력이 노년생활까지 이어지는 중간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인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 간의 메타분석

        곽미선,방윤희,김미정,이주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를 주제로 한 45건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 참여동기는 Houle이 제시한 목표지향, 학습지향, 활동지향의 3가지 유형을 활용하였으며, 관련 성과로는 강사, 교육내용, 교육환경/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포함된 학습성과와 가정생활, 사회적(여가), 신체정서, 인지적 변화와 자아성장, 삶의 만족이 포함된 삶의 질 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는 중간 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 참여동기 유형별 학습성과 및 삶의 질 성과 변인의 관계에서는 학습지향, 활동지향, 목표지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지향, 활동지향은 중간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목표지향은 중간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습 참여동기 유형별 학습성과로 인식된 변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학습자가 학습에 참여하는 동기는 학령기 학생들처럼 획일적이지 않다. 따라서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내용과 목표, 교육방법, 강사, 시설 등을 고려하여 운영의 목적을 달리한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related variable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o do this, we conducted a meta-analysis based on 45 studies o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learning for adult learner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learning was three types of go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proposed by Houle. The related performance was learning achievement including satisfaction with instructor,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environment/facilities, Social, leisure,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self - growth,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related variables is moderate.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and the variable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type, learning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were higher in order. Learning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medium level of correlation, but the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be lower than the middle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perceived as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The motivation for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is not uniform as school-age students. Therefore, variou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different purpose of operation considering the content and goals of lifelong learning program, education method, lecturer, facilities.

      • KCI등재후보

        허균의 <東征賦> 연구-정철의 <관동별곡>과 김창협의 <동정부>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곽미선 열상고전연구회 2008 열상고전연구 Vol.27 No.-

        This article considers the relevance of three works such as Heo-Gyun's "Dongjungbu", Jung-Chul's "Gwandongbyulgok" and Kim,ChangHyup's "Dongjungbu(東征賦)". Sabu and Kasa have similarity on the rhetoric using, there are amplification, contraposition and quotation of classics. Because Jung-Chul's Kasa and Heo-Gyun, Kim,Chang-hyup's Bu handle the same subject―Geumgangsan tour, comparison of the three works is possible. Heo-Gyun acquired Jung-Chul's "Gwandongbyulgok" form his friends Gwon-Pil and Lee,An-nul. Heo-Gyun's "Dongjungbu" is similar to Jung-Chul's "Gwandongbyulgok" in style. It appears on expression of one's fun, will of natural affinity and the way of showing the subject. Heo-Gyun's "Dongjungbu" was collected in "Wayurok" and it became a trip indicator book to the writers who went to Geumgangsan. Kim,Chang-hyup felt deep sympathy in Heo-Gyun's "Dongjungbu" when he was 21 years old and made a composition in the same title. This work did the role of references to write a book of travel experience. 이 논문은 허균의 금강산 기행체험을 형상화한 <동정부>를 중심으로 정철의 <관동별곡>, 김창협의 <동정부> 등 세 작품의 관련성을 고찰한 글이다. 辭賦와 歌辭는 수사적인 운용면에서 유사성을 지니는데 敷衍性, 對偶, 그리고 用事를 들 수 있다.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정철의 가사작품과 허균, 김창협의 賦작품은 양식상의 차이를 뛰어넘어 금강산 유람이라는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기에 비교고찰이 가능한 작품이다. 허균은 친구인 권필과 이안눌을 통하여 당파를 서로 달리 했던 정철의 <관동별곡>을 입수할 수 있었다. 허균의 <동정부>는 정철의 <관동별곡>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주관적 감흥의 표출, 자연친화의 의지, 주제를 드러내는 방식 면에서 구체화되어 드러난다. 허균의 <동정부>는 賦라는 문체적 특성을 잘 살리면서 遊山의 흥취를 장편의 편폭 속에 담아 잘 드러나게 하고 있는데,『와유록』에 수록되어 훗날 금강산여행을 떠나는 문인들에게 여행지침서로 되었다. 김창협은 21세의 나이에 금강산으로 떠날 때,『와유록』을 가지고 올라『와유록』에 수록된 허균의 <동정부>에 깊은 공감을 느끼고, 허균과 같은 제목으로 <동정부>를 지었는데, 이 작품은 김창협에게 기행체험을 적기 위한 참고문헌의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중고령자 특성에 따른 희망 일자리 분석 연구

        곽미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 jobs accumulated by middle and high-aged people before retirement,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job characteristics they hope to have, focusing on individuals, not businesses or society. To this end, 804 people who responded to aging panel data from 1st to 6th were in the state of work-seeker status after losing their jobs or with non-economical people were used as final targets for the study with the sequential analysis method. The study found that first, middle-aged people prefer jobs and employment patterns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major jobs. Second, in the case of men, the proportion of men who were generally trying to move to related jobs linked to former ones was higher, and in the case of women, the range of desired positions was wider than that of men. Third, the pattern of desired job movements appeared different depending on age. The 45-54 age group wanted to move to different job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while those aged 55-64 and 65-74 had a high pattern of experts moving to business positions, which was recently confirmed to have expanded their participation in self-employment after retirement. 이 연구는 중고령자가 퇴직 이전 축적해놓은 이전 일자리의 특성을 바탕으로 기업, 사회 등 수요자 입장이 아닌 개개인에게 초점을 두고 이들이 희망하는 일자리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패널(KLoSA) 데이터 중 이전 패널조사 시 경제활동인구였으나 다음 조사 시 실직 후 구직 상태에 있거나 비경제활동인구로 응답한 804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활용하여 순차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령자는 이전 주요 일자리의 특성과 유사한 직종 및 고용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남성의 경우 대체적으로 이전 일자리 직종과 연계된 유관 직종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희망하는 일자리의 이동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라 희망 일자리 이동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 45~54세 세대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다양한 직종으로 이동하고자 하였으며, 55~64세, 65~74세 연령층에서는 전문가 집단이 판매종사자로 이동하는 패턴이 높게 나타나 퇴직 후 자영업 참여가 확대되는 최근 현황과 결을 같이 하는 결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STEAM)를 위한 미래학교 특성 탐색

        곽미선,곽영순,이수영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competencies necessary for students with future convergent STEAM talents, and to explore ideal student image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evaluation methods, and teachers’ competencies and their training methods for future schools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ies. In order to figure out the features of the future schools, 25 experts from related fields, including in-service teachers, administrators, and college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participated in a future workshop.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with future convergent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s are expected to have flexible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to solve problems in innovative ways rather than traditional ways. In other words, it takes the power to accept and accommodate unexpected situations and solve problems appropriately in those situations. To cultivate such competencies, therefore, future schools should also be flexible and proactive. Rigid schools delivering knowledge-based information make it impossible to cultivate flexible and creative talents. Future schools should change into leaner-centered project-based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naturally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and solve large and small problems, and prepare assessment systems that can provide feedback based on the student’s performances rather than achievement standards.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이러한 역량을 양성할 미래학교의 인재상, 교수⋅학습 방법, 평가방법, 교사들의 역량 및 양성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미래학교의 모습을 도출하기 위해 현장교원, 과학기술 분야 대학생 등 관련 분야 종사자 25명이 참여하여 미래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를 지닌 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다시 말해, 예상치 못한 상황을 받아들이고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미래학교의 모습 역시 유연하고 활동적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지식기반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직된 학교에 서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낼 수 없기 때문이다. 미래학교는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여러 가지 상황에 직면하여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활동 기반의 수업으로 변화해야 하며, 성취 기준이 아닌 상황별 학생들이 보인 결과를 정리하여 피드백 할 수있는 평가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역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교수역량을 개발해 나아가는 교사가 될수 있도록 제도와 시스템을 개편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