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진로탄력성과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소연희(Yeon-Hee So) 한국인간발달학회 2023 人間發達硏究 Vol.30 No.2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진로탄력성, 진로포부와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과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339명을 대상으로 측정모형과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한 가설모형을 설정한 후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분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결과, 측정모형은 적절한 모형이었고, 애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직접적으로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탄력성과 진로포부를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 또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는 직접적으로 진로적응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진로탄력성과 진로포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진로적응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에 있어서는 애정적 양육태도와 과보호적 양육태도 모두 진로포부와 진로탄력성을 각각을 매개로하여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향상을 위해서, 진로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운영할 시 부모양육태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진로탄력성과 진로포부 등을 고려한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 career resilience,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aspi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adaptability. A sample of 339 4-yea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model based on the measurement model and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bootstrapp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surement model was suitable, and that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Moreover,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rough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aspiration. In contrast,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rough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aspiration.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both affectionate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s had indirect effects on career adaptiveness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adaptability, resp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at strategies considering individual career variables such as students' perceptions of parenting style,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aspiration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노윤신,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adaptability,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purpose,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university. With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39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rawn from this popul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adaptability,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adaptability and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lso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adaptability and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n indirect sequential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adaptability and proactive personality.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의 3,4 학년을 목표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720부를 표집하여, 최총 39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 제시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모형은 변인 간 구조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인과적 구조모형 내에서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학생의 주도적 성향은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연속적으로 매개하여 진로적응력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을 개발하는 데에 요구되는 다양한 변인의 적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및 진로결정 자율성과 진로적응력간의 관계

        문태형(Moon, Taihyo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적응력에 대한 긍정심리자본 및 진로결정 자율성의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292명이며, 연구도구로는 긍정심리자본 척도, 진로결정 자율성 척도 및 진로적응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진로적응력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또한 진로결정 자율성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력의 진로관심, 진로통제 및 진로자신감 하위요인들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희망 하위요인은 진로적응력 네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탄력성 하위요인은 진로적응력의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및 진로자신감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낙관주의 하위요인은 진로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진로결정 자율성도 진로적응력의 진로통제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고 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진로결정 자율성을 제고하고 또한 긍정심리자본을 함양함으로써 자신의 진로적응력을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adapt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cal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l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ll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There were also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self-efficacy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ly influenced on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and career confidenc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The hope sub-fa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 four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The resilience sub-fact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control, career curiosity and career confidenc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and optimis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control. The influenc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control sub-factor of the career adaptability was also significan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y increase their career adaptability by strengthening their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ultiva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KCI등재

        유도전공 대학생들의 진로탐색에 따른 진로적응력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이원희(Lee, Won-Hee)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2

        이 연구에서는 유도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탐색에 따른 진로적응력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경기도 Y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가운데 유도전공자들로 표집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2020년 3월 1일부터 5월 2일 까지 약 2개월 간 250명의 유도전공 대학생을 표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도전공 대학생들의 진로탐색은 진로적응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도전공 대학생들의 진로탐색은 진로탐색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도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적응력은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career exploration of judo college students. To conduct the study, a sample was conducted for judo maj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Y University in Gyeonggi-do. Specifically, 250 judo major students were sampled for about two months from March 2020 to May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exploration of judo major student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career exploration of judo major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ird, career adaptability of judo major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후보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적응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양복만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the social adaptive abilitys and the self-esteem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how does career exploration program affect the social adaptive ability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ly, how does career exploration program affect the self-esteem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t was identified that career exploration program improved the students' social adaptability by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obtain suitable skills for various social situations through career exploration program. It was verified that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tudents' self-esteem, especially when they are with their peers.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d mostly examined whether the program improved the self-concept and the career maturity of non-disabled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who had no cognitive deficits but had sensory disabilities or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advantages in that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the social adaptive behaviors of multiple handicapped students who had mental retardation.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can be a theoretical basis in developing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who have social adaptability deficits. 본 연구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통해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적응력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정된 연구 문제는 첫째,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 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정신지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 적응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황에 적합한 기능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인지적 결함을 가진 정신지체 학생에게도 사회 적응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 시키고 그 중에서도 동료 간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지금까지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일반학생과 인지적인 손상이 없는 감각장애와 지체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를 수반한 중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 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평균 이하의 지적 능력과 사회 적응 기능의 결함을 나타내는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본 연구의 결과가 이론적인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 사회적지원, 진로탐색활동과 진로적응력 간의 구조모형 분석

        박성열,고주은,주민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4 No.2

        이 연구는 진로적응력의 하위요소에 대한 구성개념을 확인하고, 이러한 진로적응력을 중심 으로 사회적지원, 학교생활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탐색활동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 여 대학생들에게 적절한 진로교육과 지도를 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 적이 있다. 총 231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경우 약 68%가 자신들의 진로 나 취업 관련 방향을 설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나 취업 관련 정보는 학 과와 학교취업기관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력은 요인분석 결과에 의해 4가지 하위영역인 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의 구성을 확인하였으며, 측정 문항 은 진로통제의 3개 문항을 제외하고는 구성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대학생의 진로적응력은 외생변인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내생변인인 진로탐색활동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적지원과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직접적 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모형분석으로부터 효과를 분해한 결과 진 로결정자기효능감의 경우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동시에 효과 크기는 작지 만 진로탐색활동을 거쳐 가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이나 진로적응력에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 진로적응력의 유형 분류 및 예측변인 탐색

        김한결 ( Kim¸ Hangyeol ),정현희 ( Chung¸ Hyunhee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7

        본 연구는 구성주의 진로이론의 진로적응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 진로적응력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수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CYPS 2018 중1 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및 랜덤포레스트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진로적응력의 잠재프로파일은 ‘우수’, ‘보통’, ‘부족’의 세 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진로적응력의 수준을 예측하는 상위 5개 변수는 학업무기력, 주의집중부족, 사회적위축, 우울,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 상위 5개 변수의 부분의존성을 확인한 결과 학업무기력, 주의집중부족, 사회적위축, 우울은 진로적응력과 부적인 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진로적응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진로적응력 증진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ypes of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and to explore the predictive variables of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 career adaptation model of career construction theory. To achieve this goal, latent profile analysis and random forest were conducted using panel data from KCYPS 2018.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of career adaptabil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xcellent”, “average”, and “poor”. Second, the top 5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were academic helplesness, lack of attention,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artial dependence of the top 5 variables of importance, academic helplessness, lack of attent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y, and self-esteem positively predicte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Adolescents’ career adaptabil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자기수용, 강점인식, 강점활용의 구조적 관계

        조영아,이재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2

        This study carried out for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elf-acceptance,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four-year university via purposive sampling. A total of 309 surveys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S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strength use of university students fu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knowledge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the strength knowledge and strength us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acceptance and career adaptability. In other words, self-acceptance could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to cope with current and anticipated career related change by recognizing and utilizing one’s strength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trength use is an important mediator to positively affect career adap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demonstrating the positive role of self-acceptance in the field of career development and reveal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influences career adaptability, especially through mediation of strength knowledge and strength us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tained the suggestions for the utilization of the important variables such as self-acceptance, strength knowledge, and strength use to develop career adaptability which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field of career education for the university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자기수용, 강점인식, 강점활용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을 유의표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9개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수용은 강점인식, 강점활용, 진로적응력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적응력 간 관계를 강점활용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수용과 진로적응력 간 관계를 강점인식과 강점활용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은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게 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직업과 관련된 변화를 준비하고 대처하는 진로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점인식이 진로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강점활용이 중요한 매개변수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개발에서 자기수용이 갖는 긍정적인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특히 강점인식과 강점활용을 매개하여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개발에 있어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는 진로적응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자기수용, 강점인식, 강점활용의 개념을 진로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강점기반 진로교과가 대학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조영아(Youngah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강점기반 진로교과가 대학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및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도 소재 4년제 대학의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수강한 실험집단 125명, 다른 내용으로 구성된 진로교과를 수강한 통제집단 108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및 진로적응력 수준을 사전과 사후에 각각 측정하고 집단 간 효과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수강한 학생들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진로적응력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강점을 인식하고, 인식한 강점을 활용하는 것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더 나아가 진로적응력 역시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ngth-based career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o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Methods For this study, the level of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125 students who took strength-based career course and the control group 108 students who took other career course consisting of different contents.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groups was analyzed. Results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test sco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can be improved not only for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their strengths through strength-based career courses, and to use the recognized strengths, but also to give positive evaluations of themselves and career adaptability which is a form of adaptation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developing a strength-based career course linking strengths and career paths, it provided verified data for enhancing college students strengths awareness and use of strengths,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해 조절된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노윤신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university. A total of 496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rawn from this population. To analyze the results, SPSS 22.0 and SPSS Macro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intolerance of uncertainty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practi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so,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propos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 가운데 인문/자연 계열의 비중이 균형적인 95개 대학의 3,4학년을 목표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820명을 표집하여 최종 15개 대학의 4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2.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최종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적응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탐색행동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확실성 불관용의 크기가 커질수록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의 크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력에 있어서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