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조영아(Youngah Cho),이재은(Jaeeun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이 연구는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을 다룬 국내문헌에서 경험이 어떻게 정의되고 측정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진로관련 경험의 구체적인 내용과 영향요인 및 결과변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Whittemore와 Knafl(2005)가 제안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2018년 12월 31일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의 등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진로’, ‘경험’과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을 검색어로 자료를 검색하였고, 연구자가 선정한 기준에 따라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논문을 제외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학생들의 진로관련 경험을 다룬 연구들은 대부분 경험을 ‘활동 및 프로그램 참여 행위’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참여 유/무와 빈도를 중심으로 경험을 측정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단계 학생들의 진로관련 경험은 대부분 ‘진로교육 경험’을 다루고 있었으며, 특히 ‘학교 진로교육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의 영향요인에는 크게 학교특성, 개인특성, 학습관련 경험, 교사 및 학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은 진로성숙도, 자아개념, 목표설정, 학습동기, 직업인식과 같은 진로 관련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 연구에 갖는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is defined and measured, what is the specific content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and what is the influencing and consequential factors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in the existing literature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the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2005)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total 27 articles are se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excluding unfit literature for research purposes after searching data based on ‘career’, ‘experience’ and ‘middle school student’ or ‘high school student’ amo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CI Journals until December 31,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the stud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approached to experience as ‘activities and program participation’. Second,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the stud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measured experience as a status of participation and frequency. Third, the career-related experiences of secondary students were mostly focused o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were found to be especially focused on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the school. Fourth,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chool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arning experienc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arents. Lastly,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was found to affect the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career such as career maturity, self-concept, goal setting, motivation to learn, and perception of occu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considering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students in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 발현과정

        조영아(Youngah C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성인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적용되어 온 계획행동이론을 모델로 경력관리행동과 계획행동이론의 주요 변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및 의도 간의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64명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의 적합도, 변인 간 직 간접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관리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의도 간의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적 구조모형의 직접 경로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의도는 경력관리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경력관리행동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의 관계에서 의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를 매개로 경력관리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이들의 유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경력관리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고, 개인 및 조직에게 경력관리행동을 촉진시키고 발현시키는 데 관련 요인들을 잘 관리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management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of employee. The population of for this study was all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A total of 364 surveys was used for analysis. Windows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verify descriptive analysi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earch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 concluded the standar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t .05.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of employee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Third, subjective norm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Fourt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Fifth, intention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Especially, intention took a crucial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affected career management behavior.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진로교육연구」 연구동향 분석: 진로교육정책 주요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조영아(Youngah C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진로교육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시기별 「진로교육연구」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난 10년간「진로교육연구」에 게재된 총 40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도출된 총 1,647개의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진로교육정책의 주요 시기별 「진로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기별 구분의 준거를 2015년 진로교육법 제정이라는 진로교육 분야의 큰 정책적 변화와 함께 진로교육정책의 종합계획 적용 연도를 반영하여 2010년~2015년을 1기로 2016년~2020년을 2기로 구분하고, 시기별 키워드 빈도분석, 네트워크 속성 분석, 키워드별 중심성 분석 그리고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와 2기가 매우 유사한 네트워크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2기 네트워크가 ‘대학생’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보다 응집력과 중심화 경향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진로교육’ 키워드들은 시기에 상관없이 출현빈도와 중심성이 높게 나타나 「진로교육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는 주제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교육정책 주요 시기에 따른 연구주제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1기에는 ‘중학생’, ‘진로성숙’, ‘진로결정수준’이, 2기에는 ‘진로정체감’, ‘진로적응성’, ‘진로개발역량’ 등이 출현빈도와 중심성이 높은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진로상담’, ‘사회적배려대상자’, ‘부모진로지지’ 등의 핵심 키워드들은 진로교육정책이 강조한 것과 잘 매치되는 주제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체험’ 등은 진로교육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되지 못하는 주제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학 분야와 진로교육정책 분야의 발전방향 및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areer education research trends by perio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areer education policy environment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647 keyword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403 papers published in「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major period of career education policy was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 from 2010 to 2015 and the second period from 2016 to 2020, and keyword frequency, network, centrality,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by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etwork structure in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s very similar, but the second-period network has higher cohesiveness and centralization tendency centering on the keyword ‘college student’. Second, the keyword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ollege studen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education’ are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regardless of period, and were continuously studied with interest i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Third, differences in research topics by period were also confirmed. In the first period,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in the second period, ‘career identity’,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ppeared as the main keyword. Fourth, major keywords such as ‘college studen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counseling’,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and ‘parent career support’ were identified as subject areas that are well-matched with career education policy. Fif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experience’ were identified as subject areas that were not closely related to career education policy.

      • KCI등재

        진로전담교사 전문성 구성요소 탐색 연구

        조영아 ( Cho¸ Youngah ),곽미선 ( Kwak¸ Misun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학교진로교육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 구성요인과 구성요인들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10년 정도의 진로전담교사 경력이 있거나, 주변으로부터 높은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고 추천을 받은 10명의 진로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 구성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 구성요소는 크게 10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보유 요소, 과정 요소, 결과 요소, 융합 요소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보유 요소는 ‘진로, 진학, 상담 등 다방면의 전문지식’, ‘다름에 대한 존중, ‘한번 해보자는 열린마음’, ‘애정어린 열정’이 도출되었으며, 과정 요소로는 ‘소통과 협력 중심의 문제해결’, ‘보다 나은 방법을 추구하는 발전적 문제해결’이 나타났다. 결과 요소로는 ‘학생들의 주도적 성장과 발전 촉진’, ‘학교, 지역사회 및 진로교육 발전에 긍정적 영향력 발휘’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보유, 과정, 결과 요소들과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중요한 동인이자 결과로 작용하는 융합 요소로 ‘개인의 폭넓은 경험’과 ‘공동체 학습 경험’이 도출되었다. 각각의 전문성 요소들은 분절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닌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역동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professional components of career teachers who play a central role in school career education and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he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10 career teachers who had about 10 years of experience and were recommended by those around them as having high professionalism. Through this, the professionalism factors of career teache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ten major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were deriv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retention factors’, ‘process factors’, ‘performance factors’, and ‘convergence factors’. Specifically, As elements of possess, ‘professional knowledge in various fields’, ‘respect for differences’, ‘open mind to try once’, and ‘affectionate passion’ were derived. As process elements, ‘problem-solving center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progressive problem-solving in pursuit of better results’ appeared. As a performance elements, ‘promoting student-led growth and development’ and ‘exhibiting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chools, communities and career education’ were derived. Finally, ‘broad experience’ and ‘community learning experience’ were derived as convergence factors that organically relate to retention, process, and performance factors and act as important drivers an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each professional components does not appear separately, but is linked organically and is dynamically working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areer teachers.

      • KCI등재

        강점기반 진로교과가 대학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조영아(Youngah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강점기반 진로교과가 대학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및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도 소재 4년제 대학의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수강한 실험집단 125명, 다른 내용으로 구성된 진로교과를 수강한 통제집단 108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및 진로적응력 수준을 사전과 사후에 각각 측정하고 집단 간 효과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수강한 학생들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아존중감, 진로적응력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강점기반 진로교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강점을 인식하고, 인식한 강점을 활용하는 것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더 나아가 진로적응력 역시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ngth-based career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o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Methods For this study, the level of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125 students who took strength-based career course and the control group 108 students who took other career course consisting of different contents.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groups was analyzed. Results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test sco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can be improved not only for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their strengths through strength-based career courses, and to use the recognized strengths, but also to give positive evaluations of themselves and career adaptability which is a form of adaptation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developing a strength-based career course linking strengths and career paths, it provided verified data for enhancing college students strengths awareness and use of strengths, self-esteem, and career adaptability.

      • KCI등재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조영아(Youngah Cho),한건수(Gunsu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된 감사 프로그램이 실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A복지법인이 운영하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 감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53명, 기존의 심리⋅정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 50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 수준을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고 집단 간 효과차이를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감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회복탄력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감사성향의 감사행동, 학교적응력의 교우관계, 사회적응력의 사회적 활동성, 협동성과 안정성에서 유의미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그동안 돌봄 및 기초학력 지원 중심의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심리⋅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보다 적극적 개입 형태의 긍정심리 요소인 ‘감사’를 중심으로 감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감사 프로그램은 감사성향, 회복탄력성과 같은 심리적 요인 외에도 학교 및 사회적응력과 같은 적응적 요인 역시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whether a gratitude program, developed as part of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utilizing community child cent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rateful disposition, resilience, school and social adaptability of the childre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grateful disposition, resilience, school and social adapt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53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atitud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50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is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The levels of grateful disposition, resilience, school and social adapta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trolling for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grateful disposition, resilience, school and social adaptability among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gratitude program. Particularly, notable findings include a significant increase in resilience an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The gratitude program demonstrated a positive impact on grateful behaviors, peer relationships,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cooperation and stability. Conclusions The expansion of community child center programs, which have primarily focused on caregiving and basic academic support, to includ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s has been emphasized. In this context, a gratitude program was developed, placing a stronger emphasis on a proactive form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element, gratitude. The gratitude program has been found to not only improv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grateful disposition and resilience but also enhance adaptive factors such as school and social adaptability.

      • KCI등재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 관련 심리적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조영아(Youngah Cho),정지은(Jieun Je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서 폭넓게 연구되어온 진로준비행동과 관련하여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개발 관련 심리적 변인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다양한 변인 중 대학생 진로개발과 관련된 주요 심리적 변인들 간의 효과크기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 관련 심리적 변인들의 하위 구성요소 수준에서 하위 구성요소들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대학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 진로결정수준, 진로장벽, 진로정체감은 중간 이상의 효과 크기가 나타났으며, 변인 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의 하위 구성요인별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 구성요인인 진로계획과 자기평가가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대학생진로준비행동의 하위 구성요인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효과크기는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실천적노력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 유형에 따라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효과크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meta-analytic approach with the academic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purpose, previous studi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reviewed comprehensively and meta-analyzes of effect sizes between major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among various variable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analysi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university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s medium or more effect size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barrier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ub-constituent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self evaluation, career planning, lack of self clarity, and lack of job informa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career preparat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university typ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경력관리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영아(Youngah Cho),정철영(Chyulyoung Jy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경력관리행동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기존 척도를 고찰하여 경력관리행동 개념을 확립하고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이후 경력개발 및 경력관리 전문가 6인, 기업 현장 전문가 2인을 대상으로 문항내용 및 표현의 적절성 등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예비조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예비문항을 토대로 성인 근로자 1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한 후 총 21문항으로 구성된 경력관리행동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비 척도에 대하여 성인 근로자 36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4요인, 20문항의 경력관리행동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 1은 경력탐색행동(5문항), 요인 2는 경력계획행동(4문항), 요인 3은 경력전략실행행동(7문항), 요인 4는 경력평가행동(4문항)으로 명명하였다. 경력관리행동 척도 전체 Cronbach 계수는 .926이며, 경력탐색행동은 .785, 경력계획행동은 .899, 경력전략실행행동은 .802, 경력평가행동은 .909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척도에 대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개념신뢰도(CR) 및 평균분산추출(AVE) 등을 통해 경력관리행동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경력관리행동 척도에 대한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경력관리행동 척도와 핵심자기평가 척도 및 행동의도 척도 간의 상관을 확인하였다. 경력관리행동 척도와 핵심자기평가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687, 행동의도 척도와의 상관계수는 .701로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임으로써 공인타당도가 수용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경력관리행동 척도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cale. First, 21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s and other existing scales after verification of experts(6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management experts, 2 office workers).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50 office workers. Then, after revising the preliminary items based on item-scor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the revised scale consisting of 20 items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364 office workers.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cale was finalized and it consists of 4 factors and 20 items . The first factor(5 items) was related with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second factor(4 items) one with Career Planning Behavior, the third factor(7 items) with Career Strategy Implementation Behavior and the last factor(4 items) with Career Evaluation Behavior. Th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 of the total scale was .926 and cronbach’s α of 4 subfactors ranged between .785 and .909.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The 4 factor model proved good fit to the data and all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to each construct from which it can be concluded that convergent validity is supported for all of the items. The relationships among subfactors were examined and no strong relationship was found, suppor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scale. The construct reliability index(CR)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AVE) index indicated good reliability of the this scale. Also, the Career Management Behavior Scale’s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with other constructs and results showed that it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re Self-Evaluation Scale, Intention Scale. Finally, limitation of the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